KR100810419B1 -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419B1
KR100810419B1 KR1020060058106A KR20060058106A KR100810419B1 KR 100810419 B1 KR100810419 B1 KR 100810419B1 KR 1020060058106 A KR1020060058106 A KR 1020060058106A KR 20060058106 A KR20060058106 A KR 20060058106A KR 100810419 B1 KR100810419 B1 KR 10081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bscriber
power supply
capacito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360A (ko
Inventor
정명남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58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4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에 설치된 다수의 가입자 보드에 리플(ripple) 성분이 없는 양질의 직류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가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전파 정류하도록 하고, 제 1 캐패시터(capacitor)가 브리지 다이오드에 의해 전파 정류된 교류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로 변환하도록 하며, 분배기가 제 1 캐패시터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직류 전원 공급부로 제공하기 위해 분배하도록 하고, 제 2 캐패시터가 분배된 직류 전원을 평활하여 분배된 직류 전원 중에 포함된 리플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가입자 보드는 리플 성분이 없는 양질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POWER SOURCE SUPPLY APPARATUS OF SUBSCRIBER'S BO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압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류 및 평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전자 교환기(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에 설치된 다수의 가입자 보드에 리플(ripple) 성분이 없는 양질의 직류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 교환기는 다수의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가입자 선로를 전전자 교환기에 정합시키기 위한 가입자 보드를 다수개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입자 보드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그 가입자 보드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가입자 보드에 리플 성분이 없는 양질의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입자 보드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사례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3-0006238호는 교환기 가입자 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환기로부터 가입자간의 팁 및 링 선로 임피던스와 가입자 전화기의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부하와; 상기 부하 전압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감지수단과; 상기 전류감지수단의 출력전류에 대응하는 팁 제어전압과 링 제어전압 및 기준 전압을 각기 출력하는 전류전압변환수단과; 상기 부하의 전압에 따라 가입자 전화기의 오프 훅상태를 탐지하여 탐지신호를 출력하는 탐지수단과; 상기 탐지신호에 따라 스위칭 레귤레이터 또는 시리즈 레귤레이터로 구동하여 상기 기준전압에 따른 소정전압을 출력하는 전압제어회로와; 상기 팁 제어전압과 링 제어전압을 상기 전압제어회로의 공급전압에 따라 증폭하여, 상기 팁 및 링 선로에 각기 인가하는 팁 증폭기 및 링 증폭기로 되는 증폭수단을 포함하는 교환기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0076003호는 사설 교환기에서 가입자 보드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회로에 있어서, 클럭단으로 전원 온 신호를 인가받고, 클리어단으로 리세트 신호를 인가받고 프리세트단으로 하이 신호를 인가받고, 입력단으로 하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가되는 클럭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의 반전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도통 또는 비도통되는 포토커플러와, 전원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포토커플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게이트단으로 인가받아 온/오프됨에 따라 가입자 보드로 상기 공급된 전원을 전달하는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사설 교환기에서 가입자 보드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회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교환기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전류전압변환기(2)는 전압감지부(1)에 감지된 부하(RL)의 전압(VAB)에 따른 소정 기준 전압(S3)을 출력하도록 하고, 탐지부(7)는 부하(RL)의 전압이 오프 훅 상태를 나타내는 전압일 때 탐지신호(DET)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전압제어회로(4)는 탐지신호(DET)의 인가시 스위칭 레귤레이터로서 동작하도록 하고 탐지신호(DET)가 인가되지 않을 때 시리즈 레귤레이터로 구동하도록 하여 기준전압(S3)에 따른 소정전압(S5)을 증폭회로에 인가하도록 하는 것으로, 교환기에 설치된 다수의 가입자 보드에 리플 성분이 없는 양질의 직류 전원을 각각 공급하도록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사설 교환기에서 가입자 보드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회로는, 사설 교환기에서 전원을 인가할 때 가입자 보드에 동시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하나씩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여 초기 전원 인가시 발생되는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하는 것으로, 교환기에 설치된 다수의 가입자 보드에 리플 성분이 없는 양질의 직류 전원을 각각 공급하도록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교류 전원이 전파 정류된 신호를 두 번 평활시켜서 리플 성분이 없는 양질의 직류 전원을 만들어 전전자 교환기에 설치된 다수의 가입자 보드에 각각 공급하도록 하는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교환기에 설치된 다수의 가입자 보드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 공급부에 직류를 제공하는 정류 및 평활부를 구비한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정류 및 평활부는,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에 의해 전파 정류된 교류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로 변환하는 제 1 캐패시터(capacitor)와, 상기 제 1 캐패시터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로 제공하기 위해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된 직류 전원을 평활하여 상기 분배된 직류 전원 중에 포함된 리플 성분을 제거하는 제 2 캐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류 전원은 AC16V이고 상기 제 1, 제 2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capacitance)은 각기 220uF인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변압기(10), 정류 및 평활부(12), 제 1,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14, 16) 및 제 1, 제 2 가입자 보드(18, 20)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변압기(10)는 상용 교류 전원(AC220V)을 인입선 등을 통해 제공받아 소정의 교류 전압으로 감압시켜서 정류 및 평활부(12)로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압기(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변압기(10) 내의 1차 측 코일(T1)에 상용 교류 전원(AC220V)이 제공됨에 따라 2차 측 코일(T2)은 교류 전원(AC16V)을 출력한다. 상기 2차 측 코일(T2)이 출력하는 교류 전압은 1차 측 코일(T1)과 2차 측 코일(T2)의 권선비에 따라 결정된다. 즉 1차 측 코일(T1)에서 2차 측 코일(T2)로 유도되는 기전력은 1차 측 코일(T1)과 2차 측 코일(T2)의 권선비에 따라 다르게 되는 것이다.
정류 및 평활부(12)는 2차 측 코일(T2)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AC16V)을 전파 정류 및 평활하여 5V 50A의 직류를 생성하여 제 1,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14, 16)로 각기 제공한다. 예로, 전전자 교환기에서 정류 및 평활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모듈은 다섯개의 직류 전원 공급부를 각기 구성하는 각 모듈로 5V 50A의 직류를 병렬로 제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류 및 평활부(12)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정류 및 평활부(12) 내의 브리지 다이오드(30)는 2차 측 코일(T2)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AC16V)을 전파 정류한다. 즉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는 특정 교류 전원을 반파 정류하는 반면, 브리지 다이오드는 전파 정류하기 때문에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 에너지가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의 출력 에너지에 비해 매우 많다.
제 1 캐패시터(C1)는 브리지 다이오드(30)에 의해 전파 정류된 교류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로 변환한다. 상기 제 1 캐패시터(C1)의 정전 용량은 220uF이고 정격 전압은 35V이다. 상기 제 1 캐패시터(C1)는 전해 캐패시터이다.
분배기(IC 7812)(32)는 제 1 캐패시터(C1)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제 1,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14, 16)로 병렬로 각기 제공하기 위해 분배한다.
제 2 캐패시터(C2)는 분배기(32)에 의해 분배된 직류 전원을 평활하여 그 분배된 직류 전원 중에 포함된 고조파 등 리플 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제 2 캐패시터(C2)의 정전 용량은 220uF이고 정격 전압은 25V이다. 상기 제 2 캐패시터(C2)는 전해 캐패시터이다.
실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캐패시터(C1, C2)의 정전 용량이 각기 220uF일 때 제 2 캐패시터(C2)의 양 단에 걸리는 직류에 비교적 리플 성분이 없었다.
일반적으로 정전 용량이 작은 캐패시터는 세라믹 캐패시터로 제조되고 정전 용량이 비교적 큰 캐패시터는 전해 캐패시터로 제조되며, 세라믹 캐패시터는 극성에 유의할 필요가 없으나 전해 캐패시터는 극성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세라믹 캐패시터에는 극성이 표시되어 있지 않고 전해 캐패시터에는 극성이 표시되어 있다.
제 1,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14, 16)는 전전자 교환기에 설치된 제 1, 제 2 가입자 보드(18, 20)로 그 제 1, 제 2 가입자 보드(18, 20)의 구동용 직류 전원을 각기 제공한다. 상기 제 1,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14, 16)의 각 구성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이에 대한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전전자 교환기에 설치된 가입자 보드는 일반 전화 교환망 가입자 외에 데이터망 가입자 등 각 가입자를 전전자 교환기와 정합시킨다. 예로, 가입자 보드를 통한 각 신호는 전전자 교환기 내에 디지털 신호로 제공된다. 즉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사이에는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지만 전전자 교환기 내에서는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사이의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처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류 전원이 전파 정류된 신호를 두 번 평활시켜서 리플 성분이 없는 양질의 직류 전원을 만들어 전전자 교환기에 설치된 다수의 가입자 보드에 각각 공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가입자 보드는 리플 성분이 없는 양질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로 정류 및 평활부(12)가 리플 성분이 비교적 많은 직류 전원을 제 1,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14, 16)에 제공할 경우 그 제 1,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14, 16)를 구성하는 각 부품이 불안정하게 동작함에 따라 특정 부품이 고장나기도 하고 제 1,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14, 16)는 제 1, 제 2 가입자 보드(18, 20)에 리플 성분이 많은 직류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각 가입자 보드(18, 20)는 리플 성분이 많은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그 동작이 매우 불안정하게 된다.

Claims (2)

  1. 교환기에 설치된 다수의 가입자 보드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 공급부에 직류를 제공하는 정류 및 평활부를 구비한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정류 및 평활부는,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에 의해 전파 정류된 교류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로 변환하는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캐패시터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로 제공하기 위해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된 직류 전원을 평활하여 상기 분배된 직류 전원 중에 포함된 리플 성분을 제거하는 제 2 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교류 전원은 AC16V이고 상기 제 1, 제 2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은 각기 220u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KR1020060058106A 2006-06-27 2006-06-27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 KR10081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06A KR100810419B1 (ko) 2006-06-27 2006-06-27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06A KR100810419B1 (ko) 2006-06-27 2006-06-27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60A KR20080000360A (ko) 2008-01-02
KR100810419B1 true KR100810419B1 (ko) 2008-03-04

Family

ID=3921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106A KR100810419B1 (ko) 2006-06-27 2006-06-27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223B1 (ko) * 2009-07-31 2011-01-19 삼성전기주식회사 리플 제거회로를 구비한 튜너
KR101718730B1 (ko) 2015-05-27 2017-03-22 박윤아 다단 압축식 수납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723A (ko) * 1991-10-17 1993-05-21 강진구 죠그다이얼에 의한 디스크의 타임서치방법
KR20000000434A (ko) * 1999-10-21 2000-01-15 이종관 교환기에서의 이종방식 트렁크신호의 호환형 컨버터카드장착구조
KR20010026532A (ko) * 1999-09-07 2001-04-06 김병욱 통신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KR100359709B1 (ko) 2000-11-08 2002-11-07 박준호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
KR20060122126A (ko) * 2005-05-25 2006-11-30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VoIP 케이블 모뎀용 전원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723A (ko) * 1991-10-17 1993-05-21 강진구 죠그다이얼에 의한 디스크의 타임서치방법
KR20010026532A (ko) * 1999-09-07 2001-04-06 김병욱 통신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KR20000000434A (ko) * 1999-10-21 2000-01-15 이종관 교환기에서의 이종방식 트렁크신호의 호환형 컨버터카드장착구조
KR100359709B1 (ko) 2000-11-08 2002-11-07 박준호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
KR20060122126A (ko) * 2005-05-25 2006-11-30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VoIP 케이블 모뎀용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360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829B1 (ko) 부하 선택형 입력 전압 센서
CN100403629C (zh) 开关电源的功率因数校正设备
US20020176269A1 (en) Circuit for converting AC voltage into DC voltage
CN209516944U (zh) 电力转换器、一次控制器及相关设备
CN208209813U (zh) 集成电路功率因数控制器和离线转换器
JP201016672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810419B1 (ko) 가입자 보드의 전원 공급 장치
US9099915B2 (en) Congruent power and timing signals for device
US10615637B2 (e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apparatus with shared electronic components
KR20080013242A (ko) 대기전원 공급장치
US8072786B2 (en) Power supply module with power saving mode
EP2804303B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200405694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CN100488013C (zh) 直流电压转换模块及相关的直流转换系统
JP200721533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9075710A (zh) 开关电源控制电路及开关电源装置
JPH0726484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20020154525A1 (en) Circuit for converting AC voltage into DC voltage
US10256632B2 (en) Power factor correction using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ry from deactivated circuit
KR101208180B1 (ko) 대기전력 저감타입 전원 공급 장치
US20170373529A1 (en) Battery backup arrangement
KR100957784B1 (ko) Scr을 이용하여 콘트롤 ic를 동작시키는 전원 공급장치 및 방법
KR100289582B1 (ko) 스위칭전원의 pwm 제어신호 생성회로
TW201541839A (zh) 一種交換電源供應電路
KR101153586B1 (ko) 대기전력 저감형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