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625B1 - 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the stairs - Google Patents

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the stai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625B1
KR100809625B1 KR1020060129599A KR20060129599A KR100809625B1 KR 100809625 B1 KR100809625 B1 KR 100809625B1 KR 1020060129599 A KR1020060129599 A KR 1020060129599A KR 20060129599 A KR20060129599 A KR 20060129599A KR 100809625 B1 KR100809625 B1 KR 10080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wheels
stairs
drive shaft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이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수 filed Critical 이길수
Priority to KR102006012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6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6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6Transmiss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5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 B62B2301/258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by using screw-type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33Wheels provided with protrusions, e.g. anti-slip protrusions

Abstract

A 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stairs is provided to easily ascend a flat place as well as the stairs by forming wheels of a lower end part of a loading space in a rectilinear-shape structure. A 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stairs includes a body frame unit(100), a flat type loading plate unit(120), a first wheel unit(130), and a second wheel unit(140). The flat type loading plate unit is vertically formed at a lower part of the body frame. The first wheel unit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a lower end part of the flat type loading plate unit. The second wheel uni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frame to ascend a flat place as well as an inclined uneven surface such as the stairs. The second wheel unit includes a rectangular wheel mounting frame, a plurality of large wheels, and a plurality of small wheels. The rectangular wheel mounting frame has an outer frame with a main driving shaft and an inner frame with auxiliary driving shafts formed opposite the outer frame unit at a predetermined gap. The wheels are shaft-fixed at the main driving shaft to maintain a gap so as not to disturb drive. The small wheels are shaft-fixed at the auxiliary driving shaft of the outer and inner frame units respectively.

Description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the stairs}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the stai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lif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의 제2바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wheel portion of the lifting device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의 제2바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wheel portion of the lifting device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에 있어 그물망을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4a and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using a net in the lifting device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5a and 5b is a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lif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의 제2바퀴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wheel portion of the lif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바퀴장착 프레임 11 : 외측 프레임부10: wheel mounting frame 11: outer frame part

12 : 내측 프레임부 13 : 주구동축12: inner frame portion 13: main drive shaft

14 : 보조구동축 20 : 대형바퀴14: auxiliary drive shaft 20: large wheel

30 : 제1소형바퀴 31 : 제2소형바퀴30: first small wheel 31: second small wheel

40 : 제3소형바퀴 41 : 제4소형바퀴40: third small wheel 41: fourth small wheel

50 : 바퀴지지대 60 : 동력전달부재50: wheel support 60: power transmission member

70 : 지지대 75 : 그물망70: support 75: mesh

80 : 브레이크장치80: brake device

본 발명은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장치에 사용되는 바퀴를 개선하여 짐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장소가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계단을 오르내릴 때 덜컹거리지 않으면서도,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tairs,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loading place where the load can be loaded by improving the wheels used in the transporting device is in a high position, it is difficult to squeeze up and down the stai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 lift carrier device that can be used easily.

일반적으로, 운반장치는 물품을 실어 바퀴를 통해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이동용 기구로서, 바디 프레임(body frame)의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그 바디 프레임의 하부에는 직각 방향으로 평판형의 적재 공간이 형성되며, 바디 프레임의 후방의 하단부 양측에는 각각 바퀴가 구비되는바, 적재 공간에 물품을 싣고 손잡이를 뒤로 당겨 바디 프레임과 물품의 무게 중심을 바퀴 위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를 가볍게 밀어 물품을 원하는 장소로 쉽게 옮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conveying device is a moving mechanism that can be easily carried through the wheel to load the good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body frame) is formed with a handl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has a flat loading space in a right direction Each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rear of the body frame is provided with wheels, and loads the goods in the loading space and pulls the handles back to the body frame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goods above the wheels, lightly push the handles to the desired It is easy to move to a place.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운반장치는 상기 바퀴가 닿는 부위가 플랫(flat)한 경우에는 물품을 이송하기 용이하나, 상기 운반장치에 물품을 싣고 계단을 오르내릴 경우에는 계단의 단차로 인하여 요동이 매우 심하게 되어 주의가 요구되는 깨지기 쉬운 물품을 계단으로 이송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물품 중량이 더해지면 이동이 더욱 어려워지며, 신중하게 힘을 주어 계단 한 칸씩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general transport device is easy to transport the goods when the contact area of the wheel is flat (flat), but when the goods are loaded on the transport device up and down the stairs, the fluctuation is very severe due to the step of the stairs. Not only is it difficult to transport fragile items that require attention to the stairs, but the weight of the items makes it more difficult to move them, and they can be moved step by step with careful force, but it takes a lot of time to move. There is a lifting problem.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운반장치의 바퀴 구조를 개선한 국내특허공개 2005-28945호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부면에 운반도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평편하게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 다수개의 홈이 분리 형성되는 상부 브라켓트와; 상하부가 돌출되어 다수개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브라켓트의 하부면 홈에 상부 돌출부가 결합되고, 하부 돌출부 사이에 다수개의 홈을 구비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하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에 장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제 2구동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제 2구동바퀴의 선단과 후단에는 구동축에 의해 연결된 제 1 및 제 3구동바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구성으로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28945, which improves the whee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nveying devic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formed in a flat conveying device so that a conveying tool can b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a conveying device for a lift. An upper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 central shaft having an upper and lower portions protruding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 upper protrusion being coupled to a lower surface groove of the upper bracket,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between the lower protrusions; And a second driving wheel mounted to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between the lower protrusions of the central shaft, and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and third driving wheels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econd driving wheel by the driving shaft.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characterized in that.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운반장치는 상기 제2구동바퀴의 배열이 다축 선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교차 배열되어 있어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그 교차된 바퀴와 바퀴 사이에 간극(틈)을 최대한 줄인다 하여도 최소한의 간극은 남아있게 되어 이 또한 원활하게 오르내리는데 한계가 있다. By the way, the conventional conveying device has a certain effect of moving up and down the stairs because the second drive wheel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multi-axis line, but the gap between the wheels and the crossed wheels (gap) Even if you reduce the maximum), the minimum gap remains, and this also has a limit of smooth up and down.

즉, 상기 바퀴와 바퀴 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계단의 모서리로 그 간극이 빠지게 될 경우 상당한 힘을 운반장치에 부여하지 않는 이상 힘들이지 않고 오르내리 는데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if the gap between the wheels and the wheels fall into the edge of the stairs, there is a problem in going up and down without effort unless a considerable force is applied to the transport device.

따라서, 국내실용등록 제20-422286호에 개시되어 있는 계단 승강이 용이한 카트는 바퀴에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각각의 기어의 외측에는 그 기어를 연결하도록 타이밍 벨트가 끼워져 기어 결합된 기술이다.Therefore, the cart which can be easily stepped up and down stair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Registration No. 20-422286 is rotatably mounted on wheels, and a timing belt is fitted to the outside of each gear to connect the gears. .

그런데, 이러한 타이밍 벨트를 구동시켜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많은 구동력이 부여되어야 한다. However, a large amount of driving force must be given to drive such a timing belt up and down the stairs.

즉, 각각의 바퀴만의 구동력으로 오르내리는 통상의 운반장치보다 상기 타이밍 벨트가 결합된 바퀴의 구동은 모든 바퀴의 구동력이 타이밍 벨트에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운반장치를 미는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힘은 통상의 개별 바퀴에 부여되는 힘보다 더 많은 힘이 부여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모터 등을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수단을 통해 그 구동력을 타이밍 벨트에 전달하는 전동식 운반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비용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That is, the driving force of the wheels in which the timing belt is coupled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of all the wheels, since the driving force of all the wheels must be transmitted to the timing belt, rather than the usual transport device that moves up and down by the driving force of each wheel only. Although there is a problem that more force is to be applied than the force applied to individual wheels of the motor, an electric convey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o the timing belt through a transmission means using a motor or the like is disclosed. This will occu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플랫한 장소에서 사용할 시에 후위측의 바퀴를 사용하여 무게감을 크게 느끼지 않게 되어 쉽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짐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장소가 높은 위치의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 적재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한 기어 형태의 바퀴들이 간극을 줄이는 직선형 배열 구조로 형성되어 계단의 모서리(경사 요철면의 꼭지점)에 번갈아가면서 접촉하도록 형성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쉽게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도 록 하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used in a flat place can be easily moved, as well as load can be loaded by using the rear wheels do not feel great weight When the loading place moves up and down the stairs in high position, the gear-shaped wheel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space are formed in a linear arrangement that reduces the gap so that they alternately contact the edges of the stairs (the vertices of the inclined surfac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moving up and down stai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틀을 이루는 바디 프레임(body frame)부(100)와, 상기 바디 프레임부(100)의 하부에는 직각 방향으로 평판형의 적재 플레이트부(120)와, 상기 적재 플레이트부(120)의 하단부 양측에는 구비된 제1바퀴부(130)와, 상기 바디 프레임부(100) 전면 방향으로는 평지는 물론, 계단과 같은 경사 요철면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2바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shaped body frame portion (100),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portion 100, the plate-shaped loading plate portion 120 in a right angle direction, The first wheel portion 1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plate portion 120 and the front to the body frame portion 100 direction of the flat, as well as the agent to make the inclined uneven surface such as stairs up and down In the lifting device for stairs, including two wheels 140,

상기 제2바퀴부(140)는 외측으로 주구동축(13)이 형성된 외측 프레임부(11)와, 상기 외측 프레임부(11)의 내측으로 그 외측 프레임부(1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보조구동축(14)이 형성된 내측 프레임부(12)를 포함하는 장방형의 바퀴장착 프레임(10)과;The second wheel part 140 faces each other with an outer frame part 11 having a main drive shaft 13 formed at an outer side, and an outer frame part 11 at an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part 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rectangular wheel mounting frame 10 including an inner frame portion 12 having an auxiliary drive shaft 14 formed in a viewing direction;

서로 구동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주구동축(13)에 축고정된 다수개의 대형바퀴(20)와;A plurality of large wheels 20 fixed to the main drive shaft 13 so as to maintain an interval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상기 대형바퀴(20)와 대형바퀴(2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줄일 수 있도록 서로 엇갈림 배열로 교차 형성된 상기 외측 프레임부(11) 및 내측 프레임부(12)의 각 보조구동축(14)에 축고정된 다수개의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reduce the gap formed between the large wheels 20 and the large wheels 20 to each of the auxiliary drive shaft 14 of the outer frame portion 11 and the inner frame portion 12 intersected in a staggered arrangement mutual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xed first to fourth wheels (30 to 41).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2바퀴부(14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딩식이 거나 가위부재 방식이면서 바퀴장착 프레임(10)에 회동결합 형성된 바퀴지지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wheel unit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heel support 50, which is a folding type or a scissor member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and is pivotally coupled to the wheel mounting frame 10.

특히, 상기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는 일측의 제1 및 제3소형바퀴(30,40)가 상기 대형바퀴(20)의 간극을 메우고 난 다음 발생하는 최소한의 간극을 완전하게 메울 수 있도록 타측의 제2 및 제4소형바퀴(31,41)가 상기 제1 및 제3소형바퀴(30,40)에 대해 각각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하여 배열된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first to fourth small wheels 30 to 41 completely fill the minimum gap generated after the first and third small wheels 30 and 40 on one side fill the gap of the large wheel 20. The second and fourth small wheels 31 and 41 on the other side are formed in an asymmetrical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and fourth small wheels 31 and 41 are moved upwards or downwards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third small wheels 30 and 40, respectively,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characterized by.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의 제2바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Attached Figure 1 is a view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wheel portion of the lifting device for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는 운반장치의 틀을 이루는 바디 프레임(body frame)부(100)와, 상기 바디 프레임부(10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되고, 그 바디 프레임부(100)의 하부에는 직각 방향으로 평판형의 적재 플레이트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부(120)의 하단부 양측에는 각각 제1바퀴부(130)가 구비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lifting device for moving up and down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rame part 100 forming a frame of a carrying device, and a handle part 110 at an upper end of the body frame part 100. ) Is formed, the lower plate of the body frame portion 100 is formed with a plate-shaped loading plate portion 120 in a right angle direction, the first wheel portion 130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plate portion 120 Is provided.

이때, 상기 바디 프레임부(10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는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한 거치부(150)가 형성되어 추가적인 물품의 적재시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frame part 100, a mounting portion 150 that can be rotated at an angle is formed so that it can be used when loading additional articles.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운반장치의 바디 프레임부(100) 전면 방향으로는 평지는 물론, 계단과 같은 경사 요철면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2바퀴부(140)가 구비되어 있다.The second wheel part 140 is provid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frame part 100 of the general convey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flat, as well as up and down inclined uneven surfaces such as stairs.

이때,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장착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바퀴지지대(50)는 회동결합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장착 프레임(10)의 선단측을 지지하는 바퀴지지대(50)는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폴딩(folding)식으로 되어 있는 바, 일반적인 공지된 기술로서, 상기 바퀴지지대(50)의 길이가 소정 길이로 조절되는 것이라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부재 방식을 포함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wheel support 50 for supporting the wheel mounting frame 10 has a rotational coupling structure and the wheel support 50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side of the wheel mounting frame 10 is It is a folding type (folding)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as a general known technique, if the length of the wheel support 50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Figure 4b, including the scissors member method It may be done in any way.

따라서, 상기 제2바퀴부(14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바디 프레임부(100)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한 다음, 적재 플레이트부(120)의 하단부에 위치한 제1바퀴부(130)를 사용하고, 계단과 같은 경사 요철면을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2바퀴부(14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운반장치의 전방에 위치한 바퀴지지대(5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계단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wheel part 140 is not used, the first wheel part 130 positioned near the body frame part 100 is used, and then the first wheel part 130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plate part 120 is used. In order to use the second wheel part 140 to move the inclined concave-convex surface, such as a staircase, the step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heel support 50 located in front of the conveying device can be easily up and down the stairs. .

여기서, 상기 제2바퀴부(140)는 기어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구동바퀴가 축 선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도록 바퀴장착 프레임(10)이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바퀴장착 프레임(10)은 장방(長方)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쪽의 외측 프레임부(11)에 형성된 주(主)구동축(13) 선상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대형바퀴(20)가 서로 구동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Here, the second wheel part 140 is a wheel mounting frame 10 is 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having a gear shape can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axis line, the wheel mounting frame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large wheels 20 having a constant diameter on the main drive shafts 13 formed on the outer frame portions 11 on both sides thereof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It is densely formed so as to maintain the interval of.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11)의 내측으로 그 외측 프레임부(11)와 일정 간격을 두고 그 길이 방향으로 내측 프레임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프레임부(1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보조구동축(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구동축(14) 상에는 각각 일정한 직경을 갖는 기어 형상의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frame portion 1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er frame portion 11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portion 11,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frame portion 11. The auxiliary driving shaft 14 is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to fourth small wheels 30 to 41 of gear shap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re formed on the auxiliary driving shaft 14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It is.

상기 외측 프레임부(11) 및 내측 프레임부(12)의 축 선상에 각각 장착된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는 운반장치의 크기에 따라 그 바퀴의 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며, 그 바퀴의 배열은 상기 보조구동축(14) 선 상에 서로 엇갈리게 중복되어 교차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to fourth miniature wheels 30 to 41 respectively mounted on the axial line of the outer frame part 11 and the inner frame part 12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wheel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ransport device. It is adjustable, and the arrangement of the wheels is alternat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on the auxiliary drive shaft 14 line.

이때, 상기 외측 프레임부(11)의 바깥 방향에 장착되어 있는 대형바퀴(2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서로 엇갈림 배열로 교차 형성된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는 상기 대형바퀴(20)에 대해 그 간극을 메워 주는 형상으로 교차 배열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to fourth small wheels 30 to 41 cross-crossed in a staggered arrangement so as to minimize the gap formed between the large wheels 20 moun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part 11 as much as possible. The large wheels 20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hape to fill the gaps.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형바퀴(20)와 대형바퀴(20) 사이의 간극을 메워 줄 수 있도록 상기 바퀴장착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축 고정된 제1 및 제3소형바퀴(30,40) 중, 상기 제1소형바퀴(30)는 일측의 대형바퀴(20)쪽으로 치우쳐 장착되고, 상기 제3소형바퀴(40)는 타측의 대형바퀴(20)쪽으로 치우쳐 장착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and 3,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inside of the wheel mounting frame 10 so as to fill the gap between the large wheel 20 and the large wheel 20 is fixed to the shaft Among the first and third small wheels 30 and 40, the first small wheel 30 is mounted to be biased toward the large wheel 20 on one side, and the third small wheel 40 is the large wheel 20 on the other side. Mounted side by side.

아울러, 상기 바퀴장착 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와 같은 교차 배열을 이루는 구동바퀴들과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구동바퀴들 중, 상기 대형바 퀴(20)들은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는 서로 비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arge wheels 20 are formed to form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each other among the driving wheels mounted at positions facing the driving wheels forming the intersecting arrangement as formed on one side of the wheel mounting frame 10. However, the first to fourth miniature wheels 30 to 41 are formed in an asymmetrical structure with each other.

즉, 상기 바퀴장착 프레임(10)의 일측 및 타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는 일측의 제1 및 제3소형바퀴(30,40)가 상기 대형바퀴(20)의 간극을 메우고 난 다음 발생하는 최소한의 간극을 완전하게 메울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3소형바퀴(30,40)에 대해 타측의 제2 및 제4소형바퀴(31,41)는 도 3의 평면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하여 배열된다. That is, the first to fourth miniature wheels 30 to 41 mount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heel mounting frame 10 may include the first and third small wheels 30 and 40 at one side thereof. The second and fourth small wheels 31 and 41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third small wheels 30 and 40 to completely fill the minimum gap generated after filling the gap of the large wheel 20.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3, are arranged to move upward or downwar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respectively.

이때,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제2 및 제4소형바퀴(31,41)가 상기 제1 및 제3소형바퀴(30,40)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At this tim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econd and fourth small wheels 31 and 41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low the first and third small wheels 30 and 40.

이는 상기 대형바퀴(20)와 대형바퀴(20) 사이의 간극 및 그 대형바퀴(20)와 대형바퀴(20)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난 다음의 대형바퀴(20)와 소형바퀴(30 ~ 41) 또는 소형바퀴(30 ~ 41)와 소형바퀴(30 ~ 41) 사이의 간극을 완전하게 메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fills the gap between the large wheels 20 and the large wheels 20 and the large wheels 20 and the small wheels 30 and 41 after filling the gaps between the large wheels 20 and the large wheels 20. Alternatively, the gap between the small wheels 30 to 41 and the small wheels 30 to 41 may be completely filled.

특히, 상기 제2바퀴부(140)의 구동바퀴는 기어 형상으로 이루어진바, 슬립(slip)이 발생되지 않아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driving wheel of the second wheel part 140 is formed in a gear shape, so that slip does not occur so tha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종래의 교차 배열로 이루어진 바퀴 구조를 갖는 운반장치에서 발생하는 최소한의 간극 발생을 완전히 줄여줄 수 있는 직선형 배열 구조를 갖게 되어 계단의 모서리(경사 요철면의 꼭지점)에 번갈아가면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비대칭 구조로 서로 교차 배열되는 제1 내지 제4 소형바퀴(30 ~ 41)로 인하여 제2바퀴부(140)가 전체적인 힘 분배를 통해 완충작용이 되면서 물품을 요동 없이 적은 힘으로도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has a linear arrangement structure that can completely reduce the minimum gap generated in the transport device having a wheel structure consisting of a conventional cross arrangement to the edge of the stairs (vertical of the inclined uneven surface) The second wheel part 140 is cushioned through the entire force distribution due to the first to fourth small wheels 30 to 41 which are formed to alternately contact each other and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in an asymmetrical structure. It can be easily moved with little force.

이때, 상기 대형 및 소형바퀴(20,30 ~41) 사이의 간격, 피치(pitch), 직경 등을 조정하여 간극 발생을 완전히 줄여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At this time, it is very important to derive an optimal condition that can completely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gap by adjusting the interval, pitch, diameter, etc. between the large and small wheels (20, 30 ~ 41).

한편, 상기 대형 및 소형바퀴(20,30 ~41)로 이루어진 구동바퀴의 선단측은 일정 각도 상방으로 굴곡 형성되어 둔각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바, 이는 계단 및 운반장치의 구동바퀴의 높이 차를 줄여줄 수 있게 되어 그 운반장치가 계단의 모서리를 오르는데 용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end side of the drive wheel consisting of the large and small wheels (20, 30 ~ 41) is formed to be bent up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n obtuse angle, which can reduce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driving wheel of the stairs and the conveying device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carrier to climb the edge of the stairs.

한편, 첨부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에 있어 그물망을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운반장치에 적재되는 물품이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 플레이트부(120)의 상측으로 지지대(70)를 설치하고, 그 지지대(70)에 연결되어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그물망(75)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Meanwhile, FIGS.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net is used in the transpor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7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upport 7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network 70, which shows that it can be used by mounting the net.

또한, 첨부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계단 전용 제2바퀴부(140)를 사용하여 평지를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바, 소용량은 물론, 대용량의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할 경우 다수개의 구동바퀴가 장착된 제2바퀴부(140)를 이용할 경우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함을 선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In addition, Figure 5a and 5b is a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lifting device for moving up and down the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of traveling on a flat plane using the second dedicated wheel unit 140, a small capacity Of course, it is selectively shown that when using a second wheel portion 14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when a large amount of goods are moved to mov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는 돌출된 장애물 또는 계단과 같은 연속 장애물을 통과시 운반장치에 적재되는 물품의 하중에 의한 가속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장치(8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device for moving up and down the stairs has a brake devic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be caused by acceleration due to the load of the item loaded on the carrying device when passing through a continuous obstacle such as a protruding obstacle or stairs ( 80) is preferred.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의 제2바퀴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모터 등의 구동수단(90)을 동력원으로 하여 상기 대형바퀴(20)가 고정된 주구동축(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체인 또는 벨트방식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재(60)가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wheel portion of the lif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rive shaft to which the large wheel 20 is fixed using a drive means such as a motor 90 as a power source It shows that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60 made of a chain or belt method is mounted so as to rotate (13).

이는 상기 구동수단(90)을 통해 운반장치의 구동력을 대형바퀴(20)에 동력전달부재(60)를 통해 전달하여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사용하는데 바람직하다. This is preferable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of the conveying device to the large wheels 2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60 through the drive means 90, the user can easily use without force.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는 제2바퀴부(140)의 구동바퀴가 서로 엇갈리게 중복되어 교차 배열되어 그 구동바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계단의 모서리를 따라 선형 이동이 가능하므로 물품을 요동없이 쉽고 빠른 시간 내에 이동시킬 수 있고, 특히 기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슬립 없이 더욱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Therefore, the stairway lifting transport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stairs by reducing the gap formed between the driving wheels of the second wheel unit 140 alternately overlapping each other and formed between the driving wheels Since the movement is possible, the article can be moved easily and quickly without shaking, and in particular, it is made of a gear shape and can be moved more easily without slipping.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에 의하면, 플랫한 장소에서 사용할 시에 후위측의 바퀴를 사용하여 무게감을 크게 느끼지 않게 되어 쉽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짐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장소가 높은 위치 의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 적재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한 기어 형태의 바퀴들이 간극을 줄이는 직선형 배열 구조로 형성되어 계단의 모서리에 번갈아가면서 접촉하도록 형성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쉽게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seen from the above, according to the lifting device for moving the st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in a flat place using the rear wheels do not feel a great sense of weight can be easily moved, as well as to load When the loading place is up and down the stairs of the high position, gear-shaped wheel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oading space are formed in a linear arrangement that reduces the gap, and is formed to alternately contact the edges of the stairs so that the stairs can be easily climbed with a small force. It is effective to get off.

Claims (7)

틀을 이루는 바디 프레임(body frame)부(100)와, 상기 바디 프레임부(100)의 하부에는 직각 방향으로 평판형의 적재 플레이트부(120)와, 상기 적재 플레이트부(120)의 하단부 양측에는 구비된 제1바퀴부(130)와, 상기 바디 프레임부(100) 전면 방향으로는 평지는 물론, 계단과 같은 경사 요철면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2바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에 있어서,The body frame portion 1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portion 100 forming a flat plate mounting plate portion 120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plate portion 120 A staircase including a first wheel part 130 provided therein and a second wheel part 140 for raising and lowering an inclined concave-convex surface such as a stair as well as a flat surfa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frame part 100. In the lifting conveying apparatus, 상기 제2바퀴부(140)는 외측으로 주구동축(13)이 형성된 외측 프레임부(11)와, 상기 외측 프레임부(11)의 내측으로 그 외측 프레임부(1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보조구동축(14)이 형성된 내측 프레임부(12)를 포함하는 장방형의 바퀴장착 프레임(10)과;The second wheel part 140 faces each other with an outer frame part 11 having a main drive shaft 13 formed at an outer side, and an outer frame part 11 at an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part 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rectangular wheel mounting frame 10 including an inner frame portion 12 having an auxiliary drive shaft 14 formed in a viewing direction; 서로 구동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주구동축(13)에 축고정된 다수개의 대형바퀴(20)와;A plurality of large wheels 20 fixed to the main drive shaft 13 so as to maintain an interval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상기 대형바퀴(20)와 대형바퀴(2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줄일 수 있도록 서로 엇갈림 배열로 교차 형성된 상기 외측 프레임부(11) 및 내측 프레임부(12)의 각 보조구동축(14)에 축고정된 다수개의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In order to reduce the gap formed between the large wheels 20 and the large wheels 20 to each of the auxiliary drive shaft 14 of the outer frame portion 11 and the inner frame portion 12 intersected in a staggered arrangement mutually Stair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xed first to fourth wheels (30 to 4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바퀴부(14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딩식이면서 바퀴장착 프레임(10)에 회동결합 형성된 바퀴지지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The second wheel unit 140 is a step-up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heel support (50) which is foldable and adjustable rotationally mounted to the wheel mounting frame (1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바퀴부(14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위부재 방식이면서 바퀴장착 프레임(10)에 회동결합 형성된 바퀴지지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The second wheel part 140 is a scissor member method of length adjustment, and the lifting device for stai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heel support (50) which is pivotally coupled to the wheel mounting frame (1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는 일측의 제1 및 제3소형바퀴(30,40)가 상기 대형바퀴(20)의 간극을 메우고 난 다음 발생하는 최소한의 간극을 완전하게 메울 수 있도록 타측의 제2 및 제4소형바퀴(31,41)가 상기 제1 및 제3소형바퀴(30,40)에 대해 각각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동하여 배열된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The first to fourth small wheels 30 to 41 completely fill the minimum gap generated after the first and third small wheels 30 and 40 of one side fill the gap of the large wheel 20. The second and fourth small wheels 31 and 41 on the other side are formed in an asymmetrical structure, which is arranged by mo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third small wheels 30 and 40, respectively. Carriage for climbing stairs.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대형바퀴(20)와,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는 슬립(slip)이 발생되지 않도록 기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The large wheels 20 and the first to fourth small wheels (30 to 41) is a lifting device for stair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gear so that slip (slip) does not occu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대형바퀴(20)와 제1 내지 제4소형바퀴(30 ~ 41)는 그 선단측이 계단 및 운반장치의 높이 차이를 줄여주어 그 운반장치가 계단의 모서리를 오르는데 용이하도록 일정 각도 상방으로 굴곡 형성되어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The large wheel 20 and the first to fourth small wheels (30 to 41) are at an angle upwards so that the tip side thereof reduces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teps and the transport device, so that the transport device can easily climb the edge of the stairs. Carrying device for moving up and down the stair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obtuse ang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2바퀴부(140)는 구동장치를 동력원으로 하여 대형바퀴(20)가 고정된 주구동축(1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체인 또는 벨트방식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재(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The second wheel unit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60 made of a chain or belt method is mounted to rotate the main drive shaft 13 to which the large wheel 20 is fixed using the driving device as a power source. Carriage for climbing stairs.
KR1020060129599A 2006-12-18 2006-12-18 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the stairs KR1008096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599A KR100809625B1 (en) 2006-12-18 2006-12-18 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the stai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599A KR100809625B1 (en) 2006-12-18 2006-12-18 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the stai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625B1 true KR100809625B1 (en) 2008-03-05

Family

ID=3939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599A KR100809625B1 (en) 2006-12-18 2006-12-18 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the stai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6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754A (en) * 2020-09-18 2022-03-25 임경표 Carrier for stairs ascent and desc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9273A (en) * 1992-05-22 1993-12-0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Heavy article transport dolly
KR200236301Y1 (en) 2001-03-23 2001-10-08 김성동 Carri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9273A (en) * 1992-05-22 1993-12-0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Heavy article transport dolly
KR200236301Y1 (en) 2001-03-23 2001-10-08 김성동 Carri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754A (en) * 2020-09-18 2022-03-25 임경표 Carrier for stairs ascent and descent
KR102394738B1 (en) * 2020-09-18 2022-05-04 임경표 Carrier for stairs ascent and desc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615B1 (en) Hand Truck
GB2429192A (en) Load carrying apparatus
WO200906914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EP1298025B1 (en) Wheel
KR101179804B1 (en) Automated hand cart
KR100809625B1 (en) Carrying device for ascending the stairs
JP4207229B2 (en) Traveling cart
CN205575508U (en) Stepless adjustment fork truck of fork centre gripping width
CN111343956B (en) Vehicle for crossing obstacle
KR20170075465A (en) Handle-type heavy goods carrier capable of flat operation
EP0881188A1 (en) Stair-climbing device
JP2008063067A (en) Travelling carriage
KR101712728B1 (en) Stairs carrying device of weights
KR101206931B1 (en) A form lifting unit
JP7033357B1 (en) Transport equipment
JP2014024375A (en) Step lifting apparatus
JP4078393B2 (en) Leg wheel moving device
CN212832264U (en) Multifunctional loading and unloading cart
CN216185573U (en) Step climbing device
CN111232085A (en) Telescopic leg type stair climbing machine
CN113511240B (en) Sheet handling device
KR101824323B1 (en) Moving cart capable of getting on and off for steps
EP3943364A1 (en) Motorized trolley for transporting a load
KR20070071743A (en) Transfering apparatus by a stairyway
KR102394738B1 (en) Carrier for stairs ascent and desc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