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제어부, 기술분류 판독수단, 출력모드 설정수단 및 레벨설정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술분류를 가진 특허들로 이루어진 특허군을 자동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은, 상기 특허군에 속한 특허데이터들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기술분류 ID의 판독할 레벨이 상기 레벨설정수단을 통해 설정되는 단계; 상기 기술분류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된 레벨에 대응하는 특허데이터들의 기술분류 ID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판독된 각 기술분류 ID들의 중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된 기술분류 ID들간의 레벨에 따른 계층적 구조를 각 기술분류 ID와 함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술분류 ID는 동일 계열내에서 넓은 범위의 상위 레벨에 좁은 범위의 하위 레벨이 포함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 것이고, 각 레벨에는 대응하는 기술분류 ID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컴퓨팅 장치는 하이퍼링크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술분류 ID에 대응하는 상기 특허데이터들을 상기 기술분류 ID에 하이퍼링크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층적 구조를 가진 기술분류일 경우 이러한 계층적 구조의 하위기술분류를 처리하는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는 외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상기 레벨설정 수단이 소정 기술분류의 하위 레벨에 해당하는 기술분류 ID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라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기술분류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하위 레벨에 대응하는 특허데이터들의 기술분류 ID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된 하위 레벨의 기술분류 ID들을 중복제거한 후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이퍼링크 수단에 의해 상기 하위 레벨의 기술분류 ID에 대응하는 특허데이터들을 상기 하위레벨의 기술분류 ID에 하이퍼링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제어부, 분류 판독수단, 출력모드 설정수단 및 레벨설정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류를 가진 전자문서들로 이루어진 문서군을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방법은, 상기 문서군에 속한 문서데이터들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분류 ID의 판독할 레벨이 상기 레벨설정수단을 통해 설정되는 단계; 상기 분류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설정된 레벨에 대응하는 문서데이터들의 분류 ID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판독된 각 분류 ID들의 중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된 분류 ID들간의 레벨에 따른 계층적 구조를 각 분류 ID와 함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분류 ID는 동일 계열내에서 넓은 범위의 상위 레벨에 좁은 범위의 하위 레벨이 포함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 것이고, 각 레벨에는 대응하는 분류 ID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제어부, 기술분류 판독수단, 출력모드 설정수단 및 하이퍼링크 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술분류를 가진 특허들로 이루어진 특허군을 자동분류하는 컴퓨팅 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특허군에 속한 특허데이터들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기술분류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특허데이터들의 기술분류 ID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된 각 기술분류 ID들을 중복제거한 후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이퍼링크 수단에 의해 상기 기술분류 ID에 대응하는 상기 특허데이터들을 상기 기술분류 ID에 하이퍼링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제어부, 분류 판독수단, 출력모드 설정수단 및 하이퍼링크 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류를 가진 전자문서들로 이루어진 문서군을 자동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은, 상기 문서군에 속한 문서데이터들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분류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문서데이터들의 분류 ID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된 각 분류 ID들을 중복제거한 후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이퍼링크 수단에 의해 상기 분류 ID에 대응하는 상기 문서데이터들을 상기 분류 ID에 하이퍼링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기술분류 판독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
도 1은 개괄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서는, 먼저 분석하고자 하는 특허군(이하, 분석대상 특허군이라 한다)을 선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분석대상 특허군 선정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한 번 이상의 특허검색을 거쳐 검색된 특허들을 분석대상 특허군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분석대상 특허군이 선정되면, 이 특허들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입력되며 입력된 특허들은 상기 컴퓨팅 장치에서 처리되는데, 이 때 주된 작업은 상기 컴퓨팅 장치가 분석대상 특허군에 속한 각 특허들에 부여된 기술분류를 인식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각 특허들이 데이터로서 상기 컴퓨팅 장치에서 처리되므로 단순히 특허라는 표현보다는 특허데이터라는 표현을 이하에서 사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 특허데이터란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특허권이라는 권리의 실제 내용인 서지사항이나 명세서 내용을 의미하고 또한 컴퓨터에서 처리될 수 있는 전자적인 것을 의미한다.
각 특허데이터들의 기술분류가 인식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는 파악된 기술분류 중 중복되는 것은 제거하여 각 기술분류를 종류별로 구분한 다음, 이를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분석대상 특허들 중 각 기술분류에 대응하는 특허데이터들을 해당 기술분류에 하이퍼링크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하이퍼링크 작업이 완료되면 일단 기본적인 본 발명의 수행단계는 완료된다. 그 후에 필요한 경우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하이퍼링크된 특허 데이터들의 상세 내용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등의 후속작업을 거칠 수 있다.
상기 도 1의 방법은 본 발명의 작동방식을 개괄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각 단계는 다시 세분화되어 여러가지 다양한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2는 도 1의 작동 방식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가 가진 시스템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크게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20)와 그 작동을 보조하는 외부 장치(21)로 구분된다. 먼저, 외부 장치는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22)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26), 특허데이터를 저장한 특허데이터베이스(24) 등이 구비된다.
상기 입력수단(22)은 컴퓨팅 장치(20)에 대한 명령 입력외에도 필요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24)를 검색하는데 필요한 입력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키보드, 마우스 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입력장치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특허데이터베이스(24)는 특허 데이터들을 저장한 일반적인 특허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검색된 결과가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가 분석하고자 하는 분석대상 특허군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밖에 저장장치(26) 등으로부터 확보된 특허데이터들을 분석대상 특허군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상기 저장장치(26)는 하드디스크나 플래시메모리 또는 DRAM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억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령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에서 연산을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로 작동하거나 또는 분석대상 특허군의 특허데이터들 또는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20)가 만들어내는 출력결과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20)는 외부의 명령을 수행하고 또한 장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201), 분석특허군의 기술분류를 파악하는 기술분류 판독수단(202), 판독된 기술분류를 디스플레이 화면(203)에 디스플레이할 때 그 출력형식을 지정하는 출력모드 설정수단(204), 그리고 하이퍼링크 수단(205)으로 대별된다.
상기 기술분류 판독수단, 출력모드 설정수단 및 하이퍼링크 수단 등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가 분석할 임의의 분석대상 특허군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특허들은 실제 특허와는 무관한 가상의 내용이며 기술분류 또한 그 정의(definition) 등은 가상의 것임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예로 드는 모든 특허 또는 기술분류 정의도 실제와는 무관하거나 적어도 본 발명의 유효성과는 무관한 가상의 내용이다.
도 3의 분석대상 특허군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나온 결과이거나 또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특허데이터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특허데이터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각의 특허데이터들은 각기 국제특허분류(IPC)라는 기술분류를 가진 미국등록특허의 데이터들이다. 하지만 이러한 IPC나 미국등록특허는 하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이며, 그 밖에 한국, 일본, 유럽, 중국 등 각국의 특허들이나 이들이 혼합된 그룹도 분석대상 특허군이 될 수 있다. 또한 IPC 뿐 아니라 UPC, ECLA, FI, F-Term, 산업기술분류 또는 사용자정의 기술분류 등도 본 발명의 기술분류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등록특허 뿐 아니라 공개된 특허도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은 상기 특허검색 수단에 의해 적어도 두 번 이상의 서로 다른 특허 검색 과정을 거쳐 검색된 각각의 검색 결과들이 중복제거되어 합쳐진 그룹을 분석대상 특허군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기술분류에 따른 분석 뿐 아니라 이종의 기술분류, 가령 UPC를 가진 미국특허와 F-Term을 가진 일본특허를 한 분석대상 특허군에 속하도록 한 후, 이 특허군에 대해 본 발명의 장치가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 각 UPC와 F-Term 들은 서로의 그룹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계층적 종속이나 연관성 등이 전혀 없는, 별개의 기술분류로 인식하고 작동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뿐 아니라 기술분류를 가진 그 밖의 논문이나 기사(news)를 분류하는데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술분야에 그치지 않고 어떤 소정의 분류를 가진 모든 전자적인 문서데이터에 적용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든 예의 하나임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특허데이터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C 분류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 IPC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도 3의 분석대상 특허군이 선정되면 그에 속한 각 특허데이터들은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에 입력된다. 도 2의 기술분류 판독수단(202)은 입력된 분석대상 특허군의 특허데이터들을 파싱(parsing)하여 기술분류를 인식하는 단계를 거친다.
인식의 방법은 제공되는 특허데이터의 구조를 따르는데 특허데이터 각각이 기술분류를 필드의 하나로서 명확히 가지는 경우에는 해당 필드를 찾아서 필드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방식이다. 만약 필드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기계어 수준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만을 가진 특허데이터라면, 상기 기술분류 판독수단은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기술분류 룩업테이블(lookup table, 도시되지 않음), 가령 IPC 코드가 기재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기술분류를 구분해 낸다. 즉, 하나의 특허데이터가 가진 데이터스트링(data string)에서 기술분류 룩업테이블에 존재하는 데이터와 형식이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테이터를 찾아 이를 기술분류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일단 기술분류 판독수단에 의해 분석대상 특허군에 속한 특허데이터들의 기술분류가 판독되면 도 2의 제어부(201)는 이들 판독된 기술분류간의 중복여부를 판단한다. 중복판단이란, 다른 특허데이터들에서 판독해 낸 특허기술분류가 서로 동일하다면 그들을 모두 한 종류로 인식한 다음, 그 중 하나만을 해당 기술분류의 대표로 선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중복제거"라 한다.
이러한 중복제거는 기술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삭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 3의 분석대상 특허군에 대해서,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에 속한 상기 기술분류 판독수단(202)이 전술한 방식으로 기술분류를 파악하고 그 중복을 제거한 다음, 이를 디스플레이한 경우가 도 4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화면 4B(이하, 이러한 화면을 "기술분류 화면"이라 한다)에서, 도 3의 특허 3A, 3B 및 3C 등이 가진 기술분류들이 중복제거된 후 도시되어 있다. 특히, 특허 3B 및 3C는, 예를 들어 C30B-2/00이라는 기술분류를 모두 갖고 있음에 반해 기술분류 화면 4B에는 하나의 C30B-2/00만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전술한 중복제거를 거쳐 기술분류 화면(4B)에 현시(display)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에서 화면 4A는 상기 도 3의 분석대상 특허군을 검색하는 방식을 예로서 나타낸 것으로서, 가령 검색식(query)으로서 semiconductor 와 device라는 단어가 명세서내에 포함되어 있는 미국 특허데이터를 검색한 후 그 중 등록된 것(registered)들만 분석대상 특허군으로 하겠다는 검색조건을 입력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검색화면은 화면 4A외에도 일반적으로 특정 특허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되는 화면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화면들에서 기술분류 화면의 표시방식은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에 속한 출력모드 설정수단(204)에서 설정한다. 출력모드 설정수단은, 특히 상기 화면 4B의 기술분류를 현시하는 형태를 결정하는데, 가령 어떤 순서로 기술분류들을 화면에 표시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 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출력모드 설정수단이 상기 기술분류를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해당 기술분류에 속한 특허데이터 수가 가장 많은 기술분류부터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기술분류 매뉴얼에 기재된 순서대 로 기술분류를 표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표시 방식으로는 특정 기술분류들을 모아서 한꺼번에 표시하는 방식도 가능한데, 가령 그에 속한 특허데이터수가 매우 적은 기술분류들은 각각을 표시하기 보다는 기타 분류 또는 마이너분류 등으로 한꺼번에 포함시켜 현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후에 상술한다.
기술분류 화면 4B에 분석대상 특허군이 가진 기술분류가 표시되는 단계를 전후하여 도 2의 하이퍼링크 수단(205)에 의해 상기 기술분류 각각에 해당하는 특허데이터들을 하이퍼링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친다.
이러한 하이퍼링크를 거친 후의 작동 형태를 먼저 간략히 설명하면, 도 4에서 사용자는 상기 기술분류 화면(4B)에서 마우스 포인터(41)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소정 기술분류, 가령 C30B-2/00이 표시된 특정 지점을 클릭하거나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해당 기술분류에 속한 특허데이터들을 표시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고, 이 명령을 받은 컴퓨팅 장치는 해당 기술분류에 하이퍼링크된 특허데이터들을 별도의 화면(4C, 이하에서는 이를 "특허데이터 화면"이라 한다) 등에서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특허데이터 화면이 나타나면 사용자는 해당하는 기술분류에 속한 특허데이터들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특허데이터들을 기술분류 화면의 해당 지점에 하이퍼링크 작업은 일반적으로 HTML 등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동일, 유사하게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특허데이터들은 중복적으로 여러 기술분류에 하이퍼링크될 수 있다. 이 러한 중복적인 하이퍼링크란, 가령 도 3의 특허 3B처럼 두 개의 기술분류에 속하는 특허인 경우, 도 4의 기술분류 화면 4B의 기술분류 중 C30B-2/00 과 H01S-3/18에 특허 3B의 특허데이터가 모두 하이퍼링크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특허데이터 화면 4C가 만들어진 후, 이 링크된 특허데이터들의 좀 더 상세한 내용을 보기 위해서 다시 마우스 포인터 등으로 특허데이터 화면 4C의 해당 부분을 클릭할 경우에는 본 발명인 컴퓨팅 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직접 해당 특허의 데이터들을 불러와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인 특허데이터베이스의 결과물이 화면에 출력되는 것과 대동소이하다.
전술한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서,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검색된 분석대상 특허군을 기술분류별로 실시간으로 구분하여 열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전처럼 기술분류별로 별도로 검색하여 특허데이터들을 분석하거나 또는 매 특허데이터마다 기술분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동으로 분류하여 작업하는 종래 경우에 비해 대단히 고속적이고 능률적인 특허분류 작업이 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적이고 효율적인 특허분류를 통해, 각 기술분류의 정의로부터 분석대상 특허군에 속한 특허데이터들 중 필요없는 특허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걸러낸 후, 필요한 특허데이터를 손쉽게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실시예 2: 레벨설정 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
도 5는 레벨설정 수단(206)을 포함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컴퓨팅 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레벨설정 수단(206)이 새로이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와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진 블록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이하,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같다.
도 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 전에, 우선 본 발명의 레벨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IPC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령, H01L-3/18 이라는 IPC데이터의 경우, 맨좌측 H는 섹션(section), 그 다음 01은 클래스(class), L은 서브클래스, 3은 메인그룹, 18은 서브그룹 까지를 표현한 것으로서 이들은 해당 기술분류가 속한 기술분류의 최상위 계층부터 하위 계층까지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서브디비젼(sub division) 즉, 닷(dot)의 갯수로 각 기술분류간 계층을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는 특별히 해당 기술분류의 메뉴얼을 참조할 경우에 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층 구조는 상기 IPC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UPC나 FI, F-Term 등 대부분의 특허기술분류가 갖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분석대상 특허군을 기술분류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할 때 이러한 기술분류의 계층 구조를 함께 현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어느 계층까지 현시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상기 레벨설정 수단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레벨이란 일반적인 기술분류가 가진 계층적 개념과 동일, 유사한 것이다.
상기 레벨설정 수단은 사용자가 특정 레벨의 기술분류까지 분석대상 특허군의 특허데이터를 분류하기를 명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그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레벨설정 수단이 작동하기 위한 기술분류, 즉 한 예로서 상기 H01L3-18 등은 동일 계열내에서 넓은 범위의 상위 레벨에 좁은 범위의 하위 레벨이 포함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각 레벨에는 대응하는 기술분류가 설정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기술분류의 판독할 레벨을 설정하는 레벨설정수단이 포함된 것이다.
여기서 동일 계열의 의미는, 가령 H01L과 H01S는 다 같이 H01이라는 동일한 계열에 속할 때와 같은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고, 넓은 범위란 상기 예에서 H01을, 좁은 범위란 상기 예에서 H01S나 H01L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각 레벨에 대응하는 기술분류라 함은 상기 예에서 상위 레벨에 대응하는 것은 H01이고 그 하위 레벨에 대응하는 것은 H01S나 H01L이란 뜻으로서, 이를 좀 더 일반적인 구조로 설명하면, 상기 각 레벨의 기술분류들은 자신의 레벨을 나타내는 고유코드, 가령 H01S의 경우 마지막 S 및 자신의 상위 레벨 기술분류가 가진 상위레벨코드, 가령 H01S의 경우 전반부의 H01이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우스 포인터나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판독될 기술분류 ID의 판독할 레벨을 입력하거나 또는 미리 디폴트로 설정된 레벨이 있으면 이 레벨은 상기 레벨설정수단을 통해 설정되어 제어부에 전달된다.
그 다음, 상기 기술분류 판독수단이 상기 기술분류 ID를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가령 하위 레벨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예에서 그에 대응하는 기술분류 ID인 H01S 이나 H01L을 판독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판독된 각 기술분류의 ID들을 상기 디스 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판독된 기술분류 ID들간의 레벨에 따른 계층적 구조, 즉 상기 예에서는 H01L이나 H01S가 H01에 속하는 계층 구조를 각 기술분류 ID와 함께 출력하게 된다. 계층 구조를 출력한다는 것은 간략히 말해 사용자가 H01과 H01S간 또는 H01과 H01L간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모니터 등에 출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령 트리(tree) 구조가 이에 해당한다. 트리 구조란, 임의의 상위 레벨에 하위 레벨을 나타내는 가지가 다수 개 연결되어 그 종속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구체적 예를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분석대상 특허군이 선정된 후 컴퓨팅 장치(50)에 입력되면 기술분류 판독수단(202)은 특허데이터들의 기술분류를 디폴트 레벨(default level), 가령 IPC의 경우에는 섹션+클래스까지만 판독하여 중복 제거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기술분류 화면상에 이를 디스플레이하고 특허데이터를 해당하는 기술분류에 하이퍼링크 단계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다.
도 6a의 화면 6B에는, 가령 도 3의 미국등록특허 제 6,XXX,345 호가 가진 IPC 분류인 H01L-21/30의 디폴트 레벨로서 H01과, 제 5,XXX,453 호의 IPC 디폴트 레벨인 C30 및 H01과, 제 5,XXX,830 호의 IPC 디폴트 레벨인 C30 및 H01과, 제 4,XXX,383 호의 IPC 디폴트 레벨인 B23이 각각 중복제거된 후 기술분류 화면에 표시된 형태이다. 이하에서는 이처럼 화면에 표현되는 각 기술분류를 나타내는 문자나 숫자들, 가령 H01, H01L, C30 등을 기술분류ID 라 호칭한다.
상기 설명에서 디폴트 레벨이란 사용자가 레벨을 정하지 않을 경우 출력모드 설정 수단(204)에 의해 기술분류 화면에 자동적으로 현시되는 레벨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의 디폴트 레벨이 섹션+클래스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일 뿐이므로 그 밖에 이보다 더 넓은 분류인 상기 섹션만으로 디폴트 레벨을 정하거나 또는 더 좁은 분류인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 또는 그 이하 기술분류로 디폴트 레벨을 정할 수도 있다. 또한, 디폴트 레벨이 아예 없고 대신 사용자가 항상 레벨설정 수단을 통해 기술분류 화면에 나타날 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폴트 레벨이 기술분류 화면에 현시된 단계 이후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디폴트 레벨보다 더 세밀한 하부 기술분류에 따라 특허데이터를 분류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하부 기술분류를 지칭함에 있어서 각각 1레벨, 2레벨, 3레벨 등으로 지칭하는데, 레벨 숫자가 증가할수록 좀 더 미분화된 하부 기술분류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섹션+클래스는 0 레벨이라 한다.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레벨을 입력할 수 있다. 가령 도 6a에서처럼 기술분류 화면 6B의 기술분류 ID가 표시된 위치의 전단부에 함께 표시된 "+" 표시를 마우스 포인터(41)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클릭하면, 이는 해당 레벨 다음의 하부 기술분류를 기준으로 해당 레벨에 속한 특허데이터를 분류하라는 명령이 되어 기술분류를 원하는 레벨로 설정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레벨을 입력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는 레벨입력창(도시되지 않음)에 특정 레벨의 형식을 입력하여 레벨을 설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전자의 입력 방식을 좀 더 상술하면, 먼저 기술분류 화면 6B가 현시될 때는, 가령 섹션+클래스만으로 이루어진 디폴트 레벨의 기술분류 ID가 표시된다. 그 다음, 그 중 한 분류, 가령 예를 들어 H01의 전단부에 표시된 상기 "+" 표시를 마우스 포인터(41)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클릭하면, 레벨설정 수단(206)은 이것이 디폴트 레벨(도시된 실시예에서는 0레벨)의 하단 분류인 1레벨의 중복을 제거한 후 이를 기술분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라는 명령임을 제어부(201) 및/또는 기술분류 판독수단(202)에 통보한다.
레벨설정 수단(206)으로부터 이를 통지받은 기술분류 판독수단(202)은 분석대상 특허군의 특허데이터들이 가진 IPC를 1레벨까지 판독하여 그 중 섹션+클래스가 해당하는 기술분류, 즉 도면에서는 H01인 특허데이터들을 선택하면서 이와 동시 또는 이 단계 후에 선택된 특허데이터들의 IPC 코드를 서브클래스까지 판독하여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 조합의 중복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에서 기술분류 판독수단이 각 레벨을 구분하는 방법은 레벨설정 수단(206)에 의해 설정된 레벨에 따라 판독된 기술분류의 자릿수를 세어 구분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레벨설정 수단에 가령 1레벨까지 판독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IPC의 경우에는 기술분류 판독수단이 각 특허데이터의 IPC 코드 중 전반부의 네자리까지만 판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복제거 단계를 수행하는 등의 후속과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또 다른 방식으로는 본 발명 전용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표"를 이용하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b의 기술분류 화면 6B'은 이 단계를 거친 후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0레벨인 H01 하부에 H01L 및 H01S가 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퍼링크 수단은 화면 6B'가 현시되는 단계를 전후하여, 가령 1레벨로서 H01L 및 H01S까지 IPC를 가진 특허데이터들을 분석대상 특허군으로부터 검색한 후, 이를 각 기술분류 ID에 하이퍼링크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6b에서 다시 마우스 포인터 등으로 1레벨의 하부 기술분류인 2레벨, 즉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메인그룹까지에 대해 특허를 분류하라는 명령을 사용자가 전술한 방식으로 내리는 경우, 즉 H01S라는 기술분류 ID의 좌측에 표기된 "+" 표시를 마우스 포인터(41)로 클릭할 경우에는 기술분류 화면 6B는 도 6C의 기술분류 화면 6B"로 변화된다. 두 화면간의 변화는 마치 윈도우즈의 탐색기에 있는 계층 구조의 폴더들이 열리는 것과 흡사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대상이 기술분류라는 점과 그로부터 특허분류가 대단히 편리해진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윈도우즈 탐색기에 구현된 기술로부터는 기대할 수 없는 특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화면 6B"에서는 H01S 하부에 H01S-3과 H01S-7이라는 2레벨의 기술분류 ID들이 중복제거된 후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역시 해당하는 특허데이터들이 이에 하이퍼링크되어 되어 있다.
이러한 레벨설정 수단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매우 세밀한 기술분류까지 특허데이터들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데이터의 하이퍼링크에 있어서, 해당 레벨의 하부에 속하는 기술분류를 가진 특허데이터 전부가 하이퍼링크되도록 한다. 가령, 도 6의 기술분류 화면 6C에 도시된 것처럼 마우스 포인터(41) 등으로 기술분류 ID H01을 클릭할 경우, H01S 및 H01L을 IPC 기술분류로서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에 가진 모든 특허데이터들이 특허데이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6 등에서 화면 6A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일 뿐이며 본 실시예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 아님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 표기를 클릭하면 하위 레벨의 기술분류가 표시되거나 특정 기술분류 ID를 클릭하면 특허데이터 화면이 별도창으로 나타나는 등의 방식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가령, 도 6d에 도시된 것처럼 기술분류 화면상에서 기술분류 ID 좌측에 사각박스 표시(61)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가령 이 H01의 사각박스을 선택할 경우, 이 레벨을 기술분류로서 가진 특허데이터들을 특허데이터 화면 6C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 등의 변형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를 좀 더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출력모드 설정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상기 기술분류 ID 각각에 대해 소정 마크, 가령 전술한 "+"표시를 출력하고, 입력수단에 의해 소정 기술분류의 하위 레벨에 해당하는 기술분류 ID를 출력하라는 명령을 입력받는 것은, 상기 입력장치, 가령 마우스 포인터 등을 통해 상기 소정 마크를 클릭하는 등의 “지적”행위를 통하여 명령하는 것이다. 상기 마크는 "+"표시 외에도 이와 유사한 다양한 마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기술분류 ID 자체가 이 마크가 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즉 기술분류 화면에서 소정의 기술분류 ID를 클릭할 경우 하부 기술분류가 펼쳐지는 방식인데, 이 경우에 하이퍼링크된 특허데이터를 현시하는 것은 기술분류 ID를 클릭하는 것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것이다.
<실시예 3: 기술분류 매뉴얼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
본 발명은 특히 일반적인 IPC나 UPC 등의 기술분류 ID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기술분류의 계층구조를 좀 더 정확하게 시현하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이 계층 구조는 특히 서브디비젼 분류까지 만들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듯이, IPC의 경우에 서브디비젼, 즉 dot은 그 위치 및 갯수로 각 기술분류간의 계층관계가 결정된다. 이는 UPC나 기타 기술분류에서도 마찬가지인데, 가령 IPC 7th 버전에 따르면 H01S-3/00는 dot이 없고 H01S-3/09는 한 개의 dot을, H01S-3/091은 두 개의 dot을, H01S-3/0915는 세 개의 dot을, H01S-3/092는 네 개의 dot을, H01S-3/093은 다섯 개의 dot을 갖고 있으며 각 기술분류들은 매뉴얼상에서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표현의 의미는 H01S-3/00 밑에 H01S-3/09, H01S-3/091, H01S-3/0915, H01S-3/092, H01S-3/093이 순서대로 세부화되면서 분류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예에서 보다시피 반드시 메인그룹이나 서브그룹의 표기, 즉 기술분류 ID에서 알파벳이나 숫자가 반드시 이러한 분류 및 소속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예에서 IPC 매뉴얼을 참조하지 않은 상태로 H01S-3/092가 H01S-3/0915에 속한 하부 분류라는 것을, 그 기술분류 ID만으로 파악하기는 대단히 어려운 일일 것이다. 물론 일본특허청에서 사용하는 FI 분류에서는 상기 dot을 세자리의 숫자(digit)로 표현하고 있지만 이는 FI에 국한된 사항일 뿐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서브디비젼 개념까지 계층화시켜 분류가능토록 구성하고 있다. 도 7은 기술분류 ID의 계층구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구성하는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70)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컴퓨팅 장치(70)에서 새로이 추가된 구성부분은 전자화된 기술분류 매뉴얼(207)이다. 이것은 IPC나 UPC 또는 이와 유사한 기술분류에 대한 계층정보를 기록한 매뉴얼로서 상기 서브디비젼 개념까지도 모두 전자적으로 기록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웹 등에서 제공되는 기술분류의 pdf 파일이나 xml 파일, 기타 전자문서를 적절한 변환을 거쳐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에 입력한 다음, 기술분류 판독수단이 이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도 7의 장치(70)가 작동하는 방식은, 먼저 전술한 것처럼 분석대상 특허군이 선정되고 입력된 후 필요에 따라 레벨설정 수단(206)에 의해 특정한 레벨의 기술분류하에서 분석대상 특허군을 분류하라는 작업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수단(22)을 통해 컴퓨팅 장치(70)가 전달받는다.
그 다음, 컴퓨팅 장치(70)는 전술한 방식대로 기술분류를 인식하여 중복제거 단계를 거치는데, 이를 전후하여 제어부는 기술분류 매뉴얼(207)에 의뢰하여 해당 기술분류를 검색한 후 그 계층적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출력모드 설정수단(204)을 통해 가령 도 8의 기술분류 화면과 같은 계층 구조를 현시하게 하는 것이다. 기타 구성부분의 작동방식은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이용하면, 실시예 2의 경우처럼 단순히 기술분류 ID에 따라 특허데이터들을 분류하거나 또는 기술분류 ID만으로 계층구조를 유추하여 현시하는 경우에 비해서 좀 더 정확한 기술분류 계층구조 현시가 가능할 뿐 아니라, 나아가 기술분류 ID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서브디비젼 레벨이나 이와 유사한 세부 기술 분류의 계층구조까지 자동적으로 파악하고 특허들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는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을 포함함으로써 기술분류 계층구조 분석에 필요한 작동속도가 획기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란, 기존에 사용되던 기술분류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본 발명 전용의 기술분류 코드로서, 기존 기술분류의 계층적 구조가 잘 나타나도록 반영된 것이다. 즉, 이는 각 레벨의 기술분류 ID들 각각에 대해 만들어지는데, 그 구조는 자신의 레벨을 나타내는 고유코드 및 자신의 상위 레벨 기술분류 ID가 가진 상위레벨코드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9는 IPC 7판의 H01J 계열을 예로 들어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와 종래 기술분류와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표에서, 좌측열은 IPC코드를 그대로 쓴 것이고, 중간열은 좌측 IPC 코드가 가진 dot 구조, 즉 서브 디비젼 구조를 dot 갯수로 나타낸 것이며, 우측열은 이러한 상황들을 반영하여 계층 구조가 잘 나타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를 기재한 것이다. 생략 부분을 제외하고 각 분류는 연속적으로 기재된 것이며, N/A는 dot이 없음을 의미한다.
도 9의 표에 따르면, H01J-1/00는 H01 및 H01J에 속하며 동시에 H01J-1/02 내지 H01J-1/08을 모두 포함하는 기술분류임을 dot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경우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는 적절한 자릿수를 가진 문자 및/또는 숫자의 조합으로서 이러한 계층적 상황을 반영하도록 구성된다.
즉, 예를 들어 임의의 자릿수 n개로 만들어지는 스트링으로서, 좌측부터 원 기술분류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로 시작해서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 레벨(이를 1레벨이라 한다)까지는 원래 기술분류와 동일한 문자 및 숫자로 구성하고 그 다음부터는 원 기술분류가 매뉴얼에 나타나는 순서에 따라 숫자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표에 따르면, 가령 H01에 대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는 IH010000....(중략)..0 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맨 좌측의 I는 원 기술분류가 IPC임을 나타내는 코드이고, 그 다음 H01은 원 기술분류와 동일하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그 하부 분류인 H01J도 마찬가지로 IH01J000....(중략)..0 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H01J-1/00 부터는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의 구성이 조금 달라진다. 즉, H01J-1/00이 H01J라는 서브클래스에서 나타나는 순서가 몇 번째인가를 반영하도록 하는데, IPC 7판에 따르면 H01J-1/00은 H01J에서 첫 번째 나타나는 그룹이므로 IH01J 다음에 001을 기록하고 그 뒤부터는 n개 자릿수까지 0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001에서 1 앞에 0이 두 개 붙은 이유는 이 레벨에서의 기술분류 종류가 세 자리수까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H01J-1/02는 H01J-1/00에 속하는 것으로서 첫번째 나타나는 그룹이므로 IH01J001 다음에 01을 붙여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가 구성된다. H01J-1/04는 H01J-1/02에 속하는 첫번째 그룹이므로 IH01J00101 다음에 01을 붙이는 방식이다. 참고로 이 경우에도 순서상 10번째 이상의 분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1보다는 01로 구성한다.
이런 식으로 모든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는 자신이 속한 상위 레벨의 기술분류 코드(상위레벨 코드)를 좌측부터 그대로 기록한 다음에야 비로소 자신의 고유번호가 부여되는데, 그 고유번호는 자신이 소속된 그룹내에서 자신이 몇 번째로 기술분류 매뉴얼에 나타나느냐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H01J-1/08의 경우에는 H01J-1/04에 속하는 그룹내에서 H01J-1/05, H01J-1/06에 이어 세 번째로 나타나므로 IH01J0010101003...(중략)..0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동일 레벨에서는 반드시 매뉴얼에 나타나는 순서대로 고유 번호가 붙지 않아도 됨은 당업자라면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해당 레벨에서 균등한 기술레벨들은 다만 서로간에 구분해 줄 수 있는 번호만 붙이면 된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매뉴얼 순서대로 넘버링을 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H01J-3/14는 H01J-3/00에 속하면서 8번째에 나타나므로 H01J-3/00의 고유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에 08이 붙어 IH01J0020800000...(중략)..0이 되는 것이다. 참고로 H01J-3/00은 H01J 서브클래스에 속하면서 동일 레벨인 H01J-1/00 에 이어 두 번째로 나타난다.
전술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의 구성 방식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밖에 다양한 변형 형태가 가능하다. 가령, 코드의 스트링 자릿수를 해당 레벨에서 필요한 자릿수만큼만 존재하도록 하거나 또는 H01등의 기존 분류를 앞에 붙이는 대신 좀 더 간편한 형태를 붙이는 등이다.
상기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를 만드는 방식은, 가령 원 기술분류의 매뉴얼이나 기타 계층 구조 등에 관한 정보를 가진 전자적인 데이터북이 만들어지면, 해당 데이터북 을 판독하여 모든 클래스, 서브클래스 및 그룹에 대해 전술한 방식대로 고유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를 부여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IPC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UPC나 F-TERM 등에서도 동일한 논리로 고유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를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도 10은 FI 코드인 H01L-021/30 501에 대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살펴보면, FI코드를 나타내는 문자인 F를 선두로 하여 섹션+클래스,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그룹 등의 순으로 전술한 방식대로 코드가 부여된다. 또한 이번에는 각 코드별로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레벨이 부여되는데, 가장 넓은 분류인 섹션+클래스는 0레벨로, 그 다음 섹션+클래스+서브클래스는 1레벨로 하면서 분류가 세밀화되어 갈수록 레벨의 숫자가 올라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전술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208)를 포함한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110)에 대한 블록도이다.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208)는 물리적으로는 저장장치(26) 등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코드이지만 기능적으로는 저장장치와는 별도로 작동하는 모듈이므로 도 11에서 둘은 별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208)의 형식 또는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타입이 가능한데, 가령 예를 들어 H01J-1/08에 대해서, 그 상위 기술분류들 및 그에 대응하는 각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가 레벨과 함께 모두 기록, 저장된 형태인 A타입(이하, 이를 "계층적기술분류 코드표"라 한다)과 H01J-1/08에 해당하는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만 저장된 형태인 B 타입이 그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차이는 컴퓨팅 장 치(110)의 작동 방식에 있어서 차이를 가져온다.
분석대상 특허군에 속한 소정 특허가 가진 기술분류가 H01J-1/08인 경우에 있어서 도 11의 장치(110)가 작동하는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교적 간단한 B 타입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의 경우, 각 특허데이터들이 컴퓨팅 장치(110)에 입력된 후 기술분류 판독수단(202)이 이 소정특허의 디폴트 레벨을 판독할 때, 기술분류 판독수단은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를 전부 판독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코드의 왼쪽부터 자리수를 세면서 전반부의 네 자리, 즉 IH01까지만 판독하게 된다. 이렇게 분석대상 특허군에 속한 특허들 모두에 대해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의 전반부 네 자리만 판독한 다음, 판독된 데이터들끼리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중복들은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를 위해서는 상기 각 레벨에 대응하는 기술분류 ID의 상위레벨 코드의 자리수 및 고유코드의 자리수를 설정하는 단계가 있어야 하며, 상기 기술분류 판독수단이 상기 설정된 레벨에 따라 소정의 기술분류 ID를 판독하는 단계는, 우선 상기 기술분류 ID를 그 상위레벨코드의 자리수까지 판독하여 어느 상위 레벨에 속하는 것인지를 인식하여 인식된 상위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 및/또는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전달하여 그 하위레벨로서 출력되도록 해야 한다.
자리수를 설정하는 방법은, 가령 전술한 것처럼 100개 이하의 기술분류를 가진 레벨인 경우에는 두 자리수로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고 1000개 이하의 기술분류를 가진 레벨은 세자리수로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으므로, 최상위 레벨부터 이러한 기준 또는 유사한 기준에 맞추어 고유코드를 만들어주고 그에 연속하여 상위레벨코드 를 붙여서 전체 코드를 만든 다음, 그에 대응하도록 각 레벨에 대해 판독할 자릿수를 설정해주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리수 제한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중복제거후 남은 기술분류의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다시 이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역으로 원래 기술분류를 찾고, 다시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0레벨에 해당하는 자리수만큼의 원래 기술분류만을 제어부에 보고하여 출력모드 설정수단(204)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현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그냥 원래 기술분류 코드를 읽는 것과 별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거나 도리어 비효율적으로 생각되기 쉽다. 하지만, 하위 레벨, 특히 dot 개념을 포함한 레벨에서 기술분류를 판독, 분류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원래 기술분류 코드를 프로세싱하는 것과는 다른 효과를 가져온다.
가령,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가 아예 없는 상태에서 레벨설정 수단(206)에 의해 5레벨, 즉 H01J-1/05을 판독할 경우에, 이 그룹이 그 상위 레벨인 H01J-1/04에 속하느냐 아니냐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실시예 3에서처럼 기술분류 매뉴얼을 검색하여 그 정보를 참조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기술분류 매뉴얼 전체를 검색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컴퓨팅 장치의 작업 속도를 느리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타입 B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가 포함된 상태에서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정해진 자릿수, 가령 상기 예의 5레벨의 경우에는 좌측부터 14개의 자릿수만큼 각 특허들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를 판독한 후 판독된 데이터에 대해 중복제거 등을 거치면 되므로 그 작업 속도 및 효율이 월등히 상승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A 타입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의 경우에는 더욱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 A타입은 최상위 레벨부터 최하위 레벨까지 상기 각 레벨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성된 다수 개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가 대응하는 레벨과 함께 구성된 테이블 형태인데, 각 기술분류 ID를 판독하는 방식은 자리수를 세는 대신에 레벨설정 수단에 의해 명령된 레벨에 대응하는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를 읽어들여 중복 제거 등을 거치는 것이다.
즉, 각 특허데이터들의 디폴트 레벨을 판독할 때, 기술분류 판독수단은 각 특허데이터들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표에서 0레벨을 찾고 그에 해당하는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만 판독한 후 중복제거, 현시 등의 가정을 거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소정 레벨에 대한 분류가 레벨설정 수단(206)에 의해 명령되면 각 특허데이터들의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표에서 해당 레벨을 찾아 그에 대응하는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만 판독하여 프로세싱하면 되므로 한 층 작업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러한 계층적 기술분류 코드는 정확한 계층 구조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매우 빠르고 효과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5: 카운팅 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
본 발명의 중요한 실시예 중 하나는 카운팅 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카운팅 수단이란 한 마디로 특허건수 또는 그 양을 측정하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12에는 이러한 카운팅 수단(211)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 (12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장치가 작동하는 방식은, 상기 카운팅 수단이 상기 각 기술분류 ID들에 대해 대응하는 특허데이터들의 양을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특허데이터들의 양이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제공되면,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기술분류 ID들의 대응하는 특허데이터들의 양을 각 기술분류 ID들에 대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방식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전술한 실시예들처럼 분석대상 특허군이 입력되고 각 특허데이터들의 디폴트 레벨 또는 레벨설정 수단(206)에 의해 정해진 소정 레벨에 대한 기술분류가 인식되고 중복제거되는 단계를 거쳐 디스플레이 화면(203)에 현시된다.
또한 이 단계를 전후하여 상기 카운팅 수단(211)은 기술분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또는 이미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각 기술분류들에 대응하는 특허의 양을 카운팅한다. 여기서 기술분류에 대응하는 특허란, 해당 레벨의 해당 기술분류를 갖고 있는 특허데이터를 말한다.
카운팅 방법은 상기 기술분류 판독수단이 해당하는 특허데이터의 ID를 넘겨주면 카운팅 수단(211)은 그 숫자를 세거나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 수단이 작동하는 단계를 전후하여 하이퍼링크 수를 카운팅하는 등의 방식으로 계산된다.
카운팅 수단(211)이 해당 레벨에 속한 특허데이터의 양을 계산하여 제어부에 제공하면 제어부(201) 및 출력모드 설정수단(204)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 각 분류에 속한 특허의 양을 함께 현시하도록 작동한다.
여기서 특허의 양(Quantity)이란 적어도 특허데이터의 갯수 및/또는 그 백분율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 및 13b에 특허의 양이 기술분류와 함께 디스플레이된 기술분류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a에는 0레벨에서의 기술분류 화면(13A)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 0레벨 분류에는 이에 해당하는 특허들의 갯수 및 백분율이 함께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백분율을 구하기 위한 분모, 즉 각 분류에 속한다고 계산된 특허데이터 갯수를 모두 합한 값이 총 1000개라는 단순 가정하에 백분율을 구한 것이다.
참고로, 각 기술분류의 특허데이터 숫자를 합한 갯수는 일반적으로 분석대상 특허군의 총 특허데이터 갯수와 같지 않다. 왜냐하면 한 특허데이터가 두 개 이상의 기술분류에 속하는 경우, 이 특허데이터는 각 기술분류에서 각각 한 개씩으로 카운팅되어 결국 중복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석대상 특허군의 총 특허데이터 갯수보다 각 기술분류의 특허데이터 숫자를 합한 갯수가 더 큰 것이 일반적이다.
도 13b은 상기 도 13a의 H01이라는 0레벨의 하위 레벨, 즉 1레벨을 기준으로 다시 기술분류가 재편성된 기술분류 화면(13B)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다시 상기 카운팅 수단(211)은 작동한다. 즉, 마우스 포인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H01이라는 기술분류 ID가 클릭되어 레벨설정 수단이 가동되면 기술분류 분석수단은 클릭된 H01의 다음 하위 레벨인 기술분류를 기준으로 특허데이터들의 기술분류를 분석하고 중복제거하며 그에 따라 H01L 및 H01S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현시된다. 이 때 카운팅 수단(211)은 역시 H01L 및 H01S가 기술분류내에 포 함되어 있는 특허데이터 갯수를 각각 카운팅하여, 가령 도시된대로 250개 및 203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백분율도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이 때 백분율의 분모는 도시된 것처럼 전체의 합인 상기 1000이 되거나 또는 H01에 속한 453이 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하기에 달린 문제이다.
그 다음, 다시 레벨설정 수단에 의해 H01S의 하위 레벨을 기준으로 기술분류 화면을 재편성하면 이번에는 H01S-3과 H01S-7을 기준으로 상기 카운팅 수단이 작동하여 특허의 양을 계산한 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를 전후하여 하이퍼링크 수단이 작동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는 분석대상 특허군에 속한 특허 데이터들의 기술 분포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아가 각 기술분류의 정의를 파악하면 분석 대상 특허군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특허 데이터가 무엇인지 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특허 데이터가 무엇인지를 그 양에 비추어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가비지(garbage)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전술한 기술분류 도면에서는 해당 레벨에서 가장 특허양이 많은 분류부터 탑-다운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지만, 그 밖에도 특허양에 무관한 순서, 가령 원 기술분류의 매뉴얼에 설명된 순서나 기술분류 ID의 알파벳 순으로 기술분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허 양을 현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술분류 ID 상에 마우스 포인터를 둘 경우 이를 특허의 양에 대한 현시명령으로 인식하여 별도의 작은 팝업창에 일시 적으로 해당 기술분류에 속한 특허의 양을 현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 6: 기술분류 정의테이블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기술분류를 정의(define)한 테이블이 제어부에 연결되어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4에는 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술분류 정의테이블(213)은 일반적인 기술분류 매뉴얼이나 설명서에 나와 있는 정의(definition)를 기술분류별로 대응시켜 만든 전자문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도 7의 기술분류 매뉴얼(207)이 이에 해당하지만, 좀 더 엄밀하게 말하면 도 7의 매뉴얼(207)은 기술분류 ID와 그 계층 구조만 기재되어 있어도 무방한 정도의 매뉴얼인데 반해, 본 실시예의 기술분류 정의테이블(213)은 각 기술분류ID 및 그들에 대한 정의가 텍스트로 기재된 것이면 족하다. 물론, 양자 모두에 대해 계층구조 및 정의가 함께 기재된 동일한 전자문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4에서, 분석대상 특허군의 각 기술분류들에 대한 분석 및 중복제거가 끝나고 기술분류 화면에 해당하는 소정 레벨의 기술분류 ID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전후하여, 제어부(201)는 디스플레이될 또는 이미 디스플레이 된 각 기술분류 ID의 정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기술분류 정의테이블(213)을 참조하여 제공받으면, 출력모드 설정수단은 이를 기술분류 ID와 함께 현시하게 된다. 이 때 현시되는 내용은 해당 기술분류 정의의 전부 또는 일부가 될 수 있다.
도 15a에는 이렇게 현시된 기술분류 화면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현시된 각 기술분류의 정의를 참조하여 분석대상 특허군이 속한 기술분류들의 성격을 읽음으로써 분석에 좀 더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전술한 실시예 5의 특징이 추가되어 카운팅 수단이 각 분류에 속한 특허데이터의 양을 추가적으로 현시할 경우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분석대상 특허군속에서 자신이 원하던 그룹을 선정해낼 수 있게 된다.
도 15b는 도 15a에 대한 변형예로서 이번에는 기술분류 코드 대신에 각 기술분류의 정의와 특허의 양만이 현시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각 기술분류 코드를 보는 것은 그다지 큰 의미가 없고 실제로는 해당 코드의 기술적 정의 및/또는 각 분류에 속한 특허의 양을 인식하는 것이 더욱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분류 화면 또한 실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여기서 만약 하이퍼링크된 특허데이터 화면을 원할 경우에는 이제 더 이상 기술분류 ID, 즉 기술분류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에 상기 정의 문장을 포인터 등으로 클릭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부터 특허데이터 화면을 원하는 경우 클릭할 수 있는 기술분류 화면상의 대상은 단순히 기술분류 코드 뿐 아니라 해당 기술분류를 나타내는 정의나 기타 이와 유사한 것들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전체에서 기술분류 ID는 광의의 개념으로서 이러한 기술분류 코드, 기술분류에 대한 정의문장 및 기술분류를 특징지으며 특허데이터들이 하이퍼링크된 특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7: 마이너분류 선정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기술분류 중 일정 양에 미달하는 특허만을 가진 기술분류들을 기타 분류 또는 마이너분류로 통합, 정리하는 마이너분류 선정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분석대상 특허군의 기술분류를 임의의 레벨, 특히 하위 레벨로 내려가서 분색해 보면, 한 두건의 특허데이터들만으로 이루어진 기술분류가 매우 많아지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이처럼 적은 양의 특허데이터들을 가진 기술분류들은 사용자가 찾고자 하거나 분석하고자 원하는 기술분류가 아닐 확률이 매우 높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분류들이 주요한 기술분류들(이하, "메이저 분류(major classification)" 라 한다)과 함께 뒤섞여서 기술분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혼란스럽고 불편하게 각 기술분류들을 뒤져야 할, 비효율적 상황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설정된 값 이하의 특허 양을 갖는 기술분류(이하, "마이너분류(minor classification)" 라 한다) 모두가 기술분류 화면에 아예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지 않거나 또는 하나의 분류로 통합, 정리되어 나타나도록 하는 마이너분류 선정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본 실싱예에 대한 컴퓨팅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마이너분류 선정수단(219)은 그 내부에 특허데이터의 양을 카운팅하는 카운팅 수단 (221)과 마이너분류로 하는데 필요한 특허양의 한계값을 설정하는 한계값 설정수단(223)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면, 우선 한계값 설정수단에 의해 특허데이터의 양에 대한 한계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거치는데, 이는 사전에 이미 설정되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매 분석마다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카운팅 수단이 상기 각 기술분류 ID에 대응하는 특허데이터들의 양을 카운팅하면, 상기 카운팅된 특허데이터들의 양이 제일 작은 기술분류 ID부터 차례로 대응하는 특허데이터양이 작은 순서대로 기술분류 ID들의 각 특허데이터 양을 합산하거나 또는 양이 제일 많은 기술분류 ID부터 차례로 대응하는 특허데이터양이 많은 순서대로 기술분류 ID들의 각 특허데이터 양을 합산하는 등 두 가지 방법으로 합산할 수 있다.
상기 합산된 특허데이터들의 양이 상기 한계값에 최근접했을 때, 만약 양이 적은 분류부터 합산한 것이라면 지금까지 상기 합산에 참여한 기술분류 ID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출력하는 대신 한 개의 마이너분류로 통합하여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게 되고 만약 만약 양이 많은 분류부터 합산한 것이라면 상기 합산에 참여하지 않은 기술분류 ID들을 한 개의 마이너분류로 통합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마이너분류 선정수단(219)내의 한계값 설정수단(223)에는 미리 설계자에 의해 디폴트값으로 한계값을 설정해 두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즉석에서 한계값이 설정 될 수 있다.
가령, 디폴트 값으로 한계값이 1% 라고 한계값 설정수단(223)에 설정된 상황에서 분석대상 특허군이 입력되면, 컴퓨팅 장치(160)는 다음처럼 작동하게 된다.
즉, 기술분류 판독수단(202)이 분석대상 특허군에 속한 특허데이터들의 기술분류를 해당 레벨에서 판독하면, 그 다음 마이너분류 정리수단(219)이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구체적으로는 먼저 카운팅 수단(221)이 각 기술분류에 속하는 특허데이터 갯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각 기술분류별로 특허데이터의 갯수가 카운팅되면, 카운팅 수단(221) 또는 제어부(201)는 전체 갯수에 대비해서 각 분류에 속하는 특허데이터 갯수의 백분율을 기술분류별로 계산한다. 가령, 도 17a는 0 레벨에서 각 분류별로 속한 특허데이터양을 계산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하지만, 도 17a는 아직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 것은 아니고 다만 계산 형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것일 뿐이다.
이렇게 각 분류별로 특허의 양이 계산되면 제어부(201)는 소속된 특허데이터 양이 제일 적은 기술분류부터 그 다음으로 적은 기술분류 등에 대해 차례로 그 특허데이터 양을 모두 합친 다음, 그 합친 양이 상기 한계값 설정수단(223)으로부터 보고받은 설정된 한계값, 가령 전술한 1%보다 적거나 적어도 가장 근접한 값이 되는 기술분류까지를 마이너분류로 선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 다음, 마이너 분류로 선정된 기술분류들은 상기 출력모드 설정수단(204)에 의해 모두 마이너분류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어 기술분류 화면에 현시되도록 한다.
도 17b는 이렇게 현시된 기술분류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마이너 분류에 속한 기술분류들은 모두 Minor Class라 이름붙인 그룹에 속하게 되고 그 전체 양은 1%보다 작은 0.7%에 해당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Minor Class 전단부의 "+" 부호를 클릭하면 그 내부에 속한 기술분류들 및 그 특허데이터들의 상세 내용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는 분석대상 특허군의 주요한 기술분류에 속한 그룹들을 매우 편리하게 구분해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너분류에 속한 특허데이터들 중 하나가 사용자가 찾는 중요한 특허건이라면, 반드시 그 특허의 기술분류 중 하나 이상은 메이저분류에 속하는 것일 확률이 높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놓치게 될 확률 또한 희박하다는 안전성도 갖고 있다.
도 18은 상기 마이너분류 선정수단을 이용한 기술분류 화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a에서는, 상기 마이너분류를 정하는 한계값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계값 설정수단 입력창(181)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구성하였다.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값 대신에 상기 입력창에 자신이 원하는 정도의 한계값을 화살표 단추(182)나 또는 입력수단(22)을 통해 직접 입력한 후, "START" 단추를 클릭하게 된다. 그러면, 이 숫자를 한계값 설정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제어부는 그 숫자에 따라 상기 마이너분류에 속할 기술분류들을 정하여 도 18b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를 검토한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상기 숫자를 변경하여 다시 "START" 버튼을 누리고 이에 따라 새로운 결과를 낼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번에는 각 기술분류 레벨별로 마이너분류를 만들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입력이나 디폴트값에 의해 한계값이 설정된 후 0레벨의 기술분류 화면이 만들어지면, 0레벨에서의 마이너분류(191)가 만들어져 디스플레이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 다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1레벨이나 그 이상의 세분류를 기준으로 다시 특허를 분류할 수 있고 이 때에도 해당 분류의 해당 레벨에서 상기 한계값에 따른 마이너분류(192)를 만들어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만약 특허양이 많은 분류부터 차례로 합산하는 경우에는, 합산에 참여하지 않은 분류가 특허양이 적은 분류로서 마이너분류에 포함되어야 함을 당업자라면 손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세분류별로 마이너분류를 만들어 사용자가 손쉽게 주요기술 및 특허들을 구분해 낼 수 있게 함으로써 분석 및/또는 검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8: 저장형식 설정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
본 발명에서는 분류 및 검토된 기술분류 화면 및/또는 해당하는 특허데이터들을 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장치에 저장할 때, 그 저장형식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저장형식 설정수단을 포함한 컴퓨팅 장치의 구조를 제공한다.
도 20은 저장형식 설정수단(225)이 구비된 컴퓨팅 장치(200)의 블록도이며 도 21은 저장형식을 설정하는 기술분류 화면(21A)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에서, 각 "SAVE X" 버튼은 여러 다양한 형식으로 저장을 하라는 명령으로 사 용될 수 있다. "SAVE A" 버튼은, 가령 "SAVE ALL"로서 현재 기술분류 화면(21A)에 표시된 그대로, 또한 하이퍼링크된 특허데이터들도 모두 각 기술분류에 연동시켜 저장장치에 저장하라는 명령버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저장형식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로딩하면 현재 화면처럼 디스플레이되고 현재와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AVE A" 버튼은, 가령 "SAVE SELECTED"로서 반전된 체크박스(250)로 선정된 기술분류 일부, 즉 도면의 H01L, H01S 및 C30 분류와 그에 하이퍼링크된 특허데이터만을 저장하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2a는, 이렇게 저장된 파일을 후에 로딩할 경우 나타나는 화면의 예이다.
또한, "SAVE C" 버튼은, 가령 검은색으로 반전된 체크박스(250)로 선정된 기술분류에 속한 특허데이터들을 기술분류에 상관없이 모두 한 파일로 저장하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2b는 이렇게 저장된 파일을 로딩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의 한 예인데, 특히 해당 특허데이터가 어떤 기술분류로부터 비롯되었는지 그 기술분류를 함께 기록하여 후속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을 통해, 각 버튼은 저장형식 설정수단에 연결되고, 저장형식 설정수단은 버튼들을 통해 입력된 저장형식에 따라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200)에 연결된 외부 저장장치 등에 기술분류 화면이나 특허데이터 화면상의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9: 전술한 실시예들이 혼합된 컴퓨팅 장치>
전술한 실시예들이 적어도 2개 이상 혼합된 컴퓨팅 장치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수단들 중 일부 중복되는 수단들, 가령 도 12의 카운팅 수단(211)과 도 16의 카운팅 수단(221)은 동일한 수단으로서 구현될 것이다. 이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을 이해한 당업자라면 손쉽게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