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270B1 - 빌딩피트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빌딩피트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270B1
KR100809270B1 KR1020060137953A KR20060137953A KR100809270B1 KR 100809270 B1 KR100809270 B1 KR 100809270B1 KR 1020060137953 A KR1020060137953 A KR 1020060137953A KR 20060137953 A KR20060137953 A KR 20060137953A KR 100809270 B1 KR100809270 B1 KR 10080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imer
air
pump
decompo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화식
정영진
윤성조
이병우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심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화식 filed Critical 심화식
Priority to KR102006013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for dispersing an oily layer o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오수 및 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빌딩피트에서 적층된 유분을 분해하기 위한 유분분해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적정량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빌딩의 지하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오수저장조와, 상기 오수저장조의 저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수중배수펌프와, 상기 수중배수펌프와 연결되는 각각의 관로가 합류되어 하수도로 배출되되 합류전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각각 장착되는 배출관로와, 상기 오수저장조의 상부에는 내부에 유분분해제가 충진되는 약품탱크가 형성되고 정량펌프에 의하여 오수에 유분분해제를 자동으로 일정량을 투입하도록 하는 유분분해제 투입장치와, 상기 오수저장소 저면의 수 개소에 공기를 배출하는 산기장치가 연결되는 에어관로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에어관로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로 이루어지는 에어공급장치로 구성되는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분분해제 투입장치는 약품탱크에 유분분해제를 투입하는 유분분해제 투입과정과;
약품탱크내의 유분분해제 잔량과 정량펌프의 시간당 토출량을 계산하여 투입된 유분분해제가 전부 소비되기 전까지의 시간을 제1 타이머에 설정하는 제1 타이머 설정과정과;
상기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내이면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고,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후면 유분분해제 투입과정으로 이동하는 제1 타이머 제어과정과;
일정시간을 간격으로 한 단위 시간을 설정하는 제2 타이머 설정과정과;
상기 제2 타이머의 단위시간 이내이면 정량펌프를 가동하고 제1 타이머 제어과정으로 이동하고, 단위시간을 벗어나면 정량펌프 가동을 멈추고 제2 타이며 제어과정으로 이동하는 정량펌프 제어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피트, 오수

Description

빌딩피트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The supply-control Equipment for wastewater Treatement Equipment in the Building p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2는 오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수저장조
2 : 배출관로
21 : 수중배수펌프 22 : 체크밸브
3 : 유분분해제 투입장치
31 : 약품탱크 32 : 정량펌프
4 : 에어공급장치
41 : 산기장치 42 : 에어관로
43 : 에어펌프
본 발명은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빌딩 피트 내에서 쌓이는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전하기 위하여 개발된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오폐수의 처리 방법 중 지하층을 다양하게 이용하는 대형빌딩에는 지상층뿐만 아니라 지하층에 구내식당이나 음식업종의 입주가 존재하는 특성이 있으며 지하층과 일부 지상층에서 발생된 오수 등이 지하층에 모였다가 건물 외부로 강제펌핑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의 오수가 모이는 장소를 빌딩피트(Building Pit)라고 하며 건물 지하층에 소재한 음식업종에서 발생되는 잡배수는 지상층에 입주한 음식업체 또는 일반 사무실 등에서 발생된 잡배수와 함께 지하 2∼3층 또는 그 이하 층의 빌딩피트(Building Pit)에 함께 모였다가 어느 정도 모이면 외부 하수도로 반복적으로 자동배출하는 지하탱크의 역할을 한다.
이때 분뇨에도 서구화된 식생활의 영향에 따라 동식물성 유지분 또한 많이 섭취사용하고 또한 배출되고 있으며, 식기나 용기의 세척시에도 많은 양의 유분이 배출되고 육고기류가 포함된 음식을 조리할 때 찌개국물 등이 배수구를 타고 대부분 지하층에 위치한 빌딩피트(Building Pit)에 옮겨지면 일정시간 체류하고 온도가 낮아지면서 응고되고 응고된 유지방은 빌딩피트(Building Pit)내 벽체와 펌프류에 굳어 붙거나 상단부에 떠오르면서 굳은 상태로 존재하는 스컴(Scum)화가 되어 계속 상단부층을 감싸면서 빌딩 시설관리에 악작용을 미치게 된다.
즉 이들 응고된 기름성분은 일부는 빌딩피트(Building Pit)의 바닥과 벽체, 그리고 펌프 몸체에 엉겨붙거나 상단부로 떠올라 굳은 상태로 그 형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스컴(Scum)화 되며 결국은 강제배수 펌프의 오작동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D/L상태로 만들어 빌딩피트(Building Pit)와 그리고 인근한 지하주차장 등의 지하 시설물이 오수에 의해 물이 차면서 잠기거나,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키기고, 발생되는 인화성 가스에 노출되는 위험성을 가기고 있다.
도 2는 오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원인이 출원 등록한 특허등록번호 제10-0751038호(2007년08월14일) "빌딩피트 내 잡배수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이의 구성은 빌딩의 지하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오수저장조(1)와, 상기 오수저장조(1)의 저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수중배수펌프(21)와, 상기 수중배수펌프(21)와 연결되는 각각의 관로가 합류되어 하수도로 배출되되 합류전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22)가 각각 장착되는 배출관로(2)와, 상기 오수저장조(1)의 상부에는 내부에 유분분해제가 충진되는 약품탱크(31)가 형성되고 정량펌프(32)에 의하여 오수에 유분분해제를 자동으로 일정량을 투입하도록 하는 유분분해제 투입장치(3)와, 상기 오수저장소(1) 저면의 수 개소에 공기를 배출하는 산기장치(41)가 연결되는 에어관로(42)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에어관로(42)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43)로 이루어지는 에어공급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응고된 기름을 분해하는 유분분해제를 투입하면서 에어공급장치에 의하여 내부를 교반시켜 유분이 장기간 체류하여 더욱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본 원인이 실시하면서 대부분의 빌딩에서 쌓이는 유분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이때 사용되는 정량펌프는 일반적으로 분단위로 일정량을 토출하는것으로서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은 가장 소형이 15㎖/분 ∼ 36㎖/분의 범위로 조절 가능한 것으로, 유분분해제를 100ℓ 용기에 가득 담고 정량펌프를 최소한 단위인 15㎖/분으로 세팅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하루에 21,600㎖ 정도 소비되어 결국 약 4.6 일 마다 유분분해제를 재보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유분분해제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회전을 계속 하게 된다면 분해제가 공급되는 공급로 상에 각종 찌꺼기가 엉겨붙어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특성상 소량을 지속적으로 투입하는 방법보다 대량을 일정 주기로 투입하는 방식이 보다 효율적이고 기계적인 트러블 발생이 적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한정된 저장량을 가진 약품탱크로 재충전 기간을 늘이는데 있다.
또한 일정량으로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유분 분해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또 약품의 충전시기를 인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빌딩의 지하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오수저장조와, 상기 오수저장조의 저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수중배수펌프와, 상기 수중배수펌프와 연결되는 각각의 관로가 합류되어 하수도로 배출되되 합류전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각각 장착되는 배출관로와, 상기 오수저장조의 상부에는 내부에 유분분해제가 충진되는 약품탱크가 형성되고 정량펌프에 의하여 오수에 유분분해제를 자동으로 일정량을 투입하도록 하는 유분분해제 투입장치와, 상기 오수저장소 저면의 수 개소에 공기를 배출하는 산기장치가 연결되는 에어관로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에어관로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로 이루어지는 에어공급장치로 구성되는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분분해제 투입장치는 약품탱크에 유분분해제를 투입하는 유분분해제 투입과정과;
약품탱크내의 유분분해제 잔량과 정량펌프의 시간당 토출량을 계산하여 투입된 유분분해제가 전부 소비되기 전까지의 시간을 제1 타이머에 설정하는 제1 타이머 설정과정과;
상기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내이면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고,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후면 유분분해제 투입과정으로 이동하는 제1 타이머 제어과정과;
일정시간을 간격으로 한 단위 시간을 설정하는 제2 타이머 설정과정과;
상기 제2 타이머의 단위시간 이내이면 정량펌프를 가동하고 제1 타이머 제어과정으로 이동하고, 단위시간을 벗어나면 정량펌프 가동을 멈추고 제2 타이며 제어과정으로 이동하는 정량펌프 제어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1 타이머 제어과정에는 상기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후면 유분분해제 투입과정으로 이동하기 전에 별도의 알람수단이 가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 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각 도면 부호는 도 2에 도시된 적용되는 오수처리 장치 구조에 준한다.
즉 빌딩의 지하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오수저장조(1)와, 상기 오수저장조(1)의 저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수중배수펌프(21)와, 상기 수중배수펌프(21)와 연결되는 각각의 관로가 합류되어 하수도로 배출되되 합류전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22)가 각각 장착되는 배출관로(2)와, 상기 오수저장조(1)의 상부에는 내부에 유분분해제가 충진되는 약품탱크(31)가 형성되고 정량펌프(32)에 의하여 오수에 유분분해제를 자동으로 일정량을 투입하도록 하는 유분분해제 투입장치(3)와, 상기 오수저장소(1) 저면의 수 개소에 공기를 배출하는 산기장치(41)가 연결되는 에어관로(42)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에어관로(42)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43)로 이루어지는 에어공급장치(4)로 구성되는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 장치에 적용하는 것으로 상기 유분분해제 투입장치(3) 중 정량펌프(32)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상기 유분분해제 투입장치는 약품탱크(31)에 유분분해제를 투입하는 유분분해제 투입과정과;
약품탱크(31)내의 유분분해제 잔량과 정량펌프의 시간당 토출량을 계산하여 투입된 유분분해제가 전부 소비되기 전까지의 시간을 제1 타이머에 설정하는 제1 타이머 설정과정과;
상기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내이면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고,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후면 유분분해제 투입과정으로 이동하는 제1 타이머 제어과정과;
일정시간을 간격으로 한 단위 시간을 설정하는 제2 타이머 설정과정과;
상기 제2 타이머의 단위시간 이내이면 정량펌프를 가동하고 제1 타이머 제어과정으로 이동하고, 단위시간을 벗어나면 정량펌프 가동을 멈추고 제2 타이며 제어과정으로 이동하는 정량펌프 제어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타이머는 유분분해제의 잔량에 따른 사용시간을 제어하면서, 제2 타이머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 분량의 유분분해제가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유분분해제가 100ℓ의 용기에 가득 채워졌을 경우 기존에는 정량펌프를 최소한 단위인 15㎖/분으로 세팅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하루에 21,600㎖ 정도 소비되어 결국 약 4.6 일 마다 유분분해제를 재보충해야하는데, 같은 사용량이라 할지라도 10분마다 한번 150㎖를 한꺼번에 공급하는 것이 그 유분분해 효과가 월등하게 뛰어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그 주기를 1시간에 한번 150㎖를 공급하여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경우에는 한정된 제어단위를 가진 정량펌프를 장착하고도 종래보다 재충전기간이 6배가 늘어나게 되어 유분분해제의 잦은 보충에 따른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타이머 제어과정에는 상기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후면 유분분해제 투입과정으로 이동하기 전에 별도의 알람수단이 가동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알람수단은 경보등, 경보벨 등의 여러 가지 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재보충 시기를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정된 시간 동안의 유분분해제 사용량을 줄여 한정된 저장량을 가진 약품탱크의 잦은 재충전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분량의 유분분해제를 투입하고도 그 처리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약품의 충전시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빌딩의 지하에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오수저장조(1)와, 상기 오수저장조(1)의 저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수중배수펌프(21)와, 상기 수중배수펌프(21)와 연결되는 각각의 관로가 합류되어 하수도로 배출되되 합류전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22)가 각각 장착되는 배출관로(2)와, 상기 오수저장조(1)의 상부에는 내부에 유분분해제가 충진되는 약품탱크(31)가 형성되고 정량펌프(32)에 의하여 오수에 유분분해제를 자동으로 일정량을 투입하도록 하는 유분분해제 투입장치(3)와, 상기 오수저장소(1) 저면의 수 개소에 공기를 배출하는 산기장치(41)가 연결되는 에어관로(42)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에어관로(42)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43)로 이루어지는 에어공급장치(4)로 구성되는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분분해제 투입장치는 약품탱크(31)에 유분분해제를 투입하는 유분분해제 투입과정과;
    약품탱크(31)내의 유분분해제 잔량과 정량펌프의 시간당 토출량을 계산하여 투입된 유분분해제가 전부 소비되기 전까지의 시간을 제1 타이머에 설정하는 제1 타이머 설정과정과;
    상기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내이면 다음 과정으로 이동하고,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후면 유분분해제 투입과정으로 이동하는 제1 타이머 제어과정과;
    일정시간을 간격으로 한 단위 시간을 설정하는 제2 타이머 설정과정과;
    상기 제2 타이머의 단위시간 이내이면 정량펌프를 가동하고 제1 타이머 제어과정으로 이동하고, 단위시간을 벗어나면 정량펌프 가동을 멈추고 제2 타이머 제어과정으로 이동하는 정량펌프 제어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타이머 제어과정에는 상기 제1 타이머의 설정시간 이후면 유분분해제 투입과정으로 이동하기 전에 별도의 알람수단이 가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피트 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
KR1020060137953A 2006-12-29 2006-12-29 빌딩피트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 KR10080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953A KR100809270B1 (ko) 2006-12-29 2006-12-29 빌딩피트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953A KR100809270B1 (ko) 2006-12-29 2006-12-29 빌딩피트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270B1 true KR100809270B1 (ko) 2008-02-29

Family

ID=3938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953A KR100809270B1 (ko) 2006-12-29 2006-12-29 빌딩피트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2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959A (ko) * 1999-05-31 1999-08-05 강점룡 촉매제를 이용한 각종 폐수 고속 정화 장치
KR200199532Y1 (ko) 2000-04-03 2000-10-02 조일주 응집재 정량 공급 용해 장치
KR20010072023A (ko) * 1999-05-24 2001-07-31 쇼조 나카무라 동식물성 폐유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의 처리방법과 그 장치
JP2002113476A (ja) 2000-10-10 2002-04-16 Sheru Shoji Kk ビルピットの汚水処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空気供給装置
KR200427714Y1 (ko) 2006-06-14 2006-09-29 심화식 빌딩피트 내 잡배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2023A (ko) * 1999-05-24 2001-07-31 쇼조 나카무라 동식물성 폐유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의 처리방법과 그 장치
KR19990064959A (ko) * 1999-05-31 1999-08-05 강점룡 촉매제를 이용한 각종 폐수 고속 정화 장치
KR200199532Y1 (ko) 2000-04-03 2000-10-02 조일주 응집재 정량 공급 용해 장치
JP2002113476A (ja) 2000-10-10 2002-04-16 Sheru Shoji Kk ビルピットの汚水処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空気供給装置
KR200427714Y1 (ko) 2006-06-14 2006-09-29 심화식 빌딩피트 내 잡배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4716B2 (en) Water treatment device
US3183525A (en) Method and means for operating a toilet in a fallout shelter
US5452956A (en) Grey water recirculation system with odor prevention
US20130284679A1 (en) Greywater treatment and reuse system
US20150191365A1 (en) System and method of greywater recovery and reuse
RU2011119275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 повтор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включая использование в доме и в саду
KR102092584B1 (ko) 유입 악취가스 농도와 세정액의 pH 측정값에 따른 약품 공급량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JP2010007281A (ja) 水洗トイレ用殺菌・洗浄装置
US10501357B1 (en) Mobil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6746612B2 (en) Water recycling system and method
JP4598143B1 (ja) 生活用水の再使用システム
KR100809270B1 (ko) 빌딩피트내 오수처리 장치의 유분분해제 공급제어장치
KR200427714Y1 (ko) 빌딩피트 내 잡배수처리 시스템
JP3250175B2 (ja) 戸建て用排水再利用装置
CN106436817A (zh) 一种大容量生活用水节水储水装置
US20120103888A1 (en) Waste water recycling system
CN214990861U (zh) 一种用于排水泵站集水井的除臭消毒清洁装置
CN105800778A (zh) 高效脉冲厌氧滤池
KR20110051636A (ko) 가구별 정화필터체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US20150013723A1 (en) Chemical Meting System
KR20130001804U (ko) 목욕수(沐浴水) 재활용 절수장치
KR200243227Y1 (ko) 간이상수도용 저수조 자동약품투입장치
KR20023798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무동력 차아염소산 칼슘 용해기
KR200238005Y1 (ko) 수압차를 이용한 무동력 차아염소산 칼슘 용해기
KR20240076451A (ko) 오배수 처리장치 및 세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