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213B1 -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213B1
KR100808213B1 KR1020060036999A KR20060036999A KR100808213B1 KR 100808213 B1 KR100808213 B1 KR 100808213B1 KR 1020060036999 A KR1020060036999 A KR 1020060036999A KR 20060036999 A KR20060036999 A KR 20060036999A KR 100808213 B1 KR100808213 B1 KR 10080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content
server
administrator
appr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042A (ko
Inventor
손호준
Original Assignee
브레인즈스퀘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레인즈스퀘어(주) filed Critical 브레인즈스퀘어(주)
Priority to KR102006003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21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특정 관리자에 의해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승인이 안 된 동영상 콘텐츠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받지 못하게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불법 음란 유해 동영상이 무분별하게 네트워크상이나 CD 등으로 유포, 유통되어 사용자들이 아무런 여과 없이 제공받아 볼 수 있어, 교육상이나 미풍양속에도 많은 문제점을 주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관리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미리 확인하여 승인을 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 외의 다른 동영상콘텐츠를 제공받지 못하게 한다. 또한, 승인에 대한 추가 및 삭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모드에서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여 다른 사용자가 승인에 대한 추가 및 삭제를 자유롭게 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관리자가 특정 동영상 콘텐츠를 사전에 심의하여 승인함으로써, 승인받지 못한 불법 동영상 콘텐츠일 경우에는 원천적으로 차단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불법 음란 유해 동영상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인증서버, 데이터베이스, 웹클라이언트, 동영상서버

Description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FUNCTION OF CUTTING OFF MOVING PICTURE THROUGH APPROV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영상서버 20 : 웹클라이언트
30 : 데이터베이스 40 : 인증서버
50 : 음란물 동영상콘텐츠 55 : 에러메시지창
60 : 승인된 동영상콘텐츠 70 : 네트워크망
본 발명은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가 특정 동영상 콘텐츠의 정보를 인증서버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임의적으로 승인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소정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으려고 할 때,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시청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5년 기준으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종합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0.5%가 음란물을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음란물을 본 후 따라해 보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것은 남학생이 39.4%로 여학생의 3.0%보다 월등히 높았다. 음란물을 접한 청소년 중 37.9%는 스팸메일이나 문자, 인터넷사이트를 통해서 음란물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고 답했으며 35.4%는 다른 사람을 통해서, 20.9%는 스스로 찾아서 음란물을 접했다고 답했다.
음란물을 주로 보는 매체로는 대부분이 인터넷으로, 40.7%로 인터넷을 이용해서 음란물을 접하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음란물을 주로 보는 장소로는 집이 37.3%로 가장 많고, 친구집 6.8%, 학교 1.4%, PC방 1.0%, 비디오방 0.3% 등에서 본다고 답했다.
즉, 대부분의 불법 동영상은 인터넷이 설치된 PC를 통해 유포되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이 가정인 자기 집에서 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가정집인 경우에는 대부분 불법 동영상을 차단해 주는 시스템이 전 무한 실정으로, 직장을 다니시는 부모님의 늦은 귀가 시간으로 인해 PC에 관한 부모님의 관리가 소홀하여 PC에 어떤 동영상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모른다.
이로 인해 자녀들이 심야에 혼자 은밀하게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이동식 저장매체 등을 이용해서 불법 동영상을 시청함으로 대부분 부모님의 통제권에 벗어나 있어, 불법 동영상의 차단 보완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관리자가 동영상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특정 동영상콘텐츠만 승인 함으로써 승인되지 못한 특정 불법 유해 동영상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들이 제공받지 못하도록 하며, 비밀번호를 둠으로써 관리자 외에 동영상콘텐츠 승인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실행가능한 동영상서버가 구축된 PC에 동영상 차단기능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동영상 콘텐츠를 표출하고 인증서버에 동영상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동영상서버; 상기 사용자가 PC 가동시 자동으로 플러그인 형태로 설치되어 소정의 영역에 미디어창이 형성되는 웹클라이언트; 관리자가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 및 관리자에 의해 동영상콘텐츠의 파일명이나 내용 등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승인할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동영상서버에서 표출되는 모든 동영상콘텐츠를 차단하고, 관리자가 순차적으로 차단된 동영상콘텐츠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동영상콘텐츠의 승인에 대한 추가 및 삭제를 관리하는 관리자 모드와 관리자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승인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과 상기 동영상서버에서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와 비교하여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는 상기 동영상서버에 제공하여 동영상을 표출하고, 승인이 안 된 동영상 콘텐츠는 표출거부 에러메시지창과 상기 인증서버로 접근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창이 형성되는 사용자모드를 일체화하여 미디어창에 제공하며, 특정 관리자만 관리자모드에서 특정 동영상콘텐츠를 승인하도록 비밀번호 입력을 하는 소정의 검증과정을 거쳐 동영상콘텐츠를 승인하는 검증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실행가능한 동영상서버가 구축된 PC에 동영상 차단기능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PC 가동시 서비스제공사의 인증서버에 네트워크망을 통해 자동으로 접속하여 플러그인 형태로 설치되어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서비스설치단계; 상기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동영상서버에서 실행하는 동영상제공준비단계; 상기 사용자가 동영상서버준비단계를 거친 후, 네트워크망을 통해 인증서버에 특정 동영상콘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과 비교하여 승인 및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단계; 및 특정 동영상콘텐츠가 승인되었을 시, 상기 동영상서버에서 동영상이 표출되어 사용자가 시청하는 동영상시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서비스설치단계 이후에 관리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동영상 콘텐츠의 정보를 입력, 저장하는 관리자모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단계 이후에 특정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이 거부되어 동영상서버에서 동영상 표출이 중단되는 동시에 표출거부 에러메시지창과 비밀번호입력창이 형성되는 동영상콘텐츠차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서버가 구축되어 있는 PC를 구비한 사용자가 자신의 PC를 가동할 때 자동으로 플러그인 형태로 설치되어 소정의 영역에 미디어창이 형성, 실행된다.
처음에 본 발명의 시스템이 설치될 때는 서비스제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시스템을 다운 로드하여 사용자 본인이 직접 설치를 하며, 설치 과정에서 서비스제 공사가 제공하는 소정의 인증 번호 등을 입력하여 서비스제공사에 정회원사용자로서 등록함으로써 본 시스템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설치를 끝나 실행이 되면, 동영상서버에 제공되는 시청 가능한 동영상콘텐츠는 우선 모두 차단이 되어 사용자들이 시청을 하지 못하게 된다. 특정 동영상콘텐츠를 시청하려면, 관리자가 관리자모드에서 승인을 해야만 특정 동영상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디어창에는 관리자모드와 사용자모드 및 그외 다양한 기능을 실시하는 소정의 메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미디어창은 평소에는 시작메뉴바의 알림표시줄에 감추어져 있으며, 알림표시줄에 감추어진 아이콘을 클릭하면, 활성화되어 미디어창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의 모드는 크게 관리자 모드와 사용자모드로 나누어진다. 상기 관리자모드는 관리자인 부모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관리자모드에 접근하며, 비밀번호를 모를 시에는 서비스제공사에 문의하여 소정의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는 한 관리자모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사용하지 못하고 사용자모드만 가능하다.
상기 관리자모드는 관리자가 특정 동영상콘텐츠를 승인 및 차단하게끔 하는 작업 모드로서, 관리자모드에서는 모든 동영상콘텐츠가 시청가능하며, 관리자가 승인할 동영상콘텐츠를 선별하여 서비스제공사 인증서버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승인할 동영상콘텐츠의 정보를 전송해 저장한다.
비밀번호는 관리자가 직접 주기적으로 바꾸어 주어 다수의 사용자가 알 수 없도록 해야 하며, 승인 동영상콘텐츠를 정할 때는 관리자가 우선적으로 동영상 파일명이나 동영상 콘텐츠의 내용 등의 정보를 심의하여 유기적으로 결정해 주면 된다.
또한,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 파일 내역은 각각 데이터베이스와 PC본체에 동시 저장이 가능함으로써, 네트워크망을 통해 유포된 불법 음란 유해 동영상콘텐츠뿐만 아니라, CD-ROM이나 이동식 저장매체를 이용한 동영상콘텐츠도 차단시켜 준다.
상기 사용자모드는 평상시 PC를 가동되었을 때 사용되는 모드로서, 사용자인 자녀들이 동영상콘텐츠를 제공받으려고 동영상서버에서 동영상콘텐츠를 실행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사용자 모드일 때의 동영상서버를 이용하여 동영상콘텐츠를 제공받을 때, 승인된 동영상컨텐츠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시청이 가능하지만, 관리자 모드에서 관리자에 의해 승인시킨 동영상콘텐츠 외의 다른 동영상콘텐츠를 실행시키게 되면, 바로 에러메시지창이 뜨면, 동영상콘텐츠가 제공되지 않고 바로 중지가 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사용자에게 동영상 콘텐츠를 표출하는 동영상서버(10)와 플러그인 형태로 소정의 영역에 미디어창이 형성되는 웹클라이언트(20), 비밀번호 및 관리자에 의해 차단된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 관리자가 소정의 동영상콘텐츠 정보를 승 인, 차단 및 관리하는 관리자 모드와 사용자가 동영상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모드를 일체화하여 미디어창에 제공하고 특정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서버(40) 및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망(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동영상서버(10)는 통상 동영상콘텐츠를 플레이하는 동영상플레이어를 말하며,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동영상 콘텐츠를 표출한다.
또한, 동영상서버(10)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송된 동영상파일이나 PC에 저장된 파일 및 CD-ROM과 이동식저장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모두 재생가능하다.
또한, 동영상서버(10)에서 사용자에게 동영상콘텐츠가 제공될 때 인증서버(40)에 동영상 콘텐츠 정보를 전송시킴으로써 인증서버(40)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해 준다.
상기 웹클라이언트(20)는 상기 사용자가 PC 가동시 자동으로 플러그인 형태로 소정의 영역에 미디어창이 형성되어 실행되며, 동영상서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웹클라이언트(20)는 미디어창이 생성될때 임베딩(Embedding)되어 실행되는 일종의 프로그램으로, PC가 가동될 때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 특징이며, 자동으로 최소화되어 메뉴바의 알림표시줄에 있으며, 관리자가 관리자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클릭을 하게 되면 활성화된 미디어창이 생성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는 관리자가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서버(40)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 및 관리자에 의해 동영상콘텐츠의 파일명이나 내용 등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을 저장한다.
한편, 상기 인증서버(40)는 상기 웹클라이언트(20)에서 구현되는 관리자모드와 사용자모드가 일체화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동영상서버(10)에서 표출되는 모든 동영상콘텐츠를 차단하고, 관리자가 순차적으로 차단된 동영상콘텐츠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동영상콘텐츠의 승인에 대한 추가 및 삭제를 관리하는 관리자 모드와 관리자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승인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과 비교하여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동영상서버에 제공하여 동영상을 표출하고, 승인이 안 된 동영상 콘텐츠는 표출거부 에러메시지창(55)과 상기 인증서버(40)로 접근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창이 형성되는 사용자모드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 사용자모드에서 관리자모드로 접근하려면 메뉴바의 알림표시줄의 생성된 아이콘을 클릭하여 우선 사용자모드로 실행 중인 미디어창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미디어창에서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여 비밀번호입력창을 표출시켜 관리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관리자모드로 접근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인증서버(40)에 의해 상기 미디어창은 관리자모드와 사용자모드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리자모드는 다수의 사용자의 무분별한 동영상콘텐츠의 승인 및 차단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검증과정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검증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증서버(40)는 상기 동영상 서버(10)에서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 정보를 동영상 콘텐츠가 실행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시킨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과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다시 동영상서버(10)에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한다.
즉, 동영상 서버(10)에서 실행하려는 동영상 콘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관리중인 승인 동영상 콘텐츠인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표출거부 에러메시지창(55)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것인지,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60)임으로 동영상콘텐츠를 표출해도 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동영상서버(10)를 통해 동영상콘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PC를 가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설치되는 웹클라이언트(20)에 의해 관리자가 승인시켜 놓은 동영상 컨텐츠 외에는 특정 불법 유해 동영상콘텐츠의 시청을 제한받게 된다.
또한, 상기 미디어창은 관리자모드와 사용자모드로 나누어 선택할 수 있는데, 관리자모드일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들어갈 수 있는 특정 모드이며, 사용자모드는 평소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모드이다.
즉, 관리자모드로 관리자가 접속하게 되면, 동영상콘텐츠를 사전에 심의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과 차단 등의 전반적인 동영상콘텐츠의 정보를 관리하며, 관리자의 유동적으로 승인 추가 및 삭제를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모드에서 관리자가 승인 시킨 동영상콘텐츠만 시청 가능하며, 그 외의 다른 동영상콘텐츠는 시청하지 못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승인되지 못한 동영상콘텐츠 즉, 음란 물동영상콘텐츠(50)를 실행하게 되면, 그 순간 바로 동영상 표출거부 에러메시지창(55)과 인증서버(40)로 접근하기 위한 비밀번호입력창을 형성된다. 관리자일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서버(40)로 접근하여 승인되지 못한 동영상콘텐츠를 추가 승인시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일 경우에는 데이타베이스(30)에 저장되며, 관리자가 수시로 변경이 가능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유출되어 관리자모드로 입장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기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들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감시서비스설치단계(s10), 동영상제공준비단계(s20), 인증단계(s30), 동영상시청단계(s40)와 관리자모드단계(s50) 및 동영상콘텐츠차단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단계를 설명하자면,
상기 감시서비스설치단계(s10)는 사용자가 웹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플러그인 형태로 설치되는 과정을 거친 후, 소정의 영역에 미디어창이 형성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사용자에게 승인 및 차단 정보를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설치가 끝나게 되면, 실행 당시에는 모든 동영상콘텐츠가 차단되어 동영상이 제공되지 않으며, 관리자가 관리자모드에 접근하여 특정 동영상콘텐츠를 승 인함으로써 특정 동영상콘텐츠만 제공이 된다.
상기 동영상제공준비단계(s20)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동영상서버에서 실행하려는 단계이다. 상기 동영상서버는 보통 동영상콘텐츠를 플레이하는 동영상플레이어를 말한다. 동영상콘텐츠는 PC에 저장되어 있거나, CD-ROM, 이동식 저장매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동영상플레이어인 동영상서버에서 실행된다.
상기 인증단계(s30)는 상기 사용자가 동영상서버준비단계를 거친 후, 네트워크망을 통해 인증서버에 특정 동영상콘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승인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과 비교하여 승인 및 차단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인증단계(s30)는 동영상서버에서 동영상콘텐츠가 제공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영상시청단계(s40)는 특정 동영상콘텐츠가 인증서버에서 승인되었을 때, 상기 동영상서버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정보가 표출되어 사용자모드에서 동영상콘텐츠를 시청하려는 사용자에게 동영상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관리자모드단계(s50)는 사용자가 아닌 관리자가 감시서비스설치단계 이후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서버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승인할 특정 동영상 콘텐츠의 정보를 입력, 저장한다. 상기 관리자모드로 들어가려면 메뉴바 알림표시줄의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미디어창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활성화된 미디어창에는 우선적으로 사용자모드로 되어 있으며, 미디어창에 형성된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여 관리자모드에 접근하기 위한 비밀번호입력창을 표출시켜야 한다. 관리 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관리자모드로 들어가게 되며, 지금까지 승인된 동영상콘텐츠의 파일목록이 리스트화되어 제공되며, 상기 파일 목록 리스트에서 승인할 파일 목록을 추가하거나 또는 삭제하여 승인된 동영상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동영상콘텐츠차단단계(s60)는 인증단계 이후에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모드에서 승인시켜 놓은 특정 동영상 콘텐츠 외에 다른 동영상콘텐츠는 승인이 거부되어 동영상서버에서 동영상 표출이 강제로 중단되는 동시에 표출거부 에러메시지창과 비밀번호입력창이 형성된다. 사용자나 관리자가 만일 거부된 동영상콘텐츠를 감상하려면 형성된 비밀번호입력창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관리자모드에서 제공되는 차단된 동영상콘텐츠 파일목록에서 삭제함으로써 바로 다시 시청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어 당해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모든 동영상콘텐츠를 관리자가 관리자모드로 접속하여 사전에 우선 심의하여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를 관리함으로써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만 제공 가능하 여, 동영상을 시청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불법으로 유포된 특정 불법 음란 유해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모드에서 인증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를 둠으로써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들이 관리자모드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마음대로 동영상 콘텐츠를 승인받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에 한번 특정 동영상콘텐츠를 등록시켜 승인해 놓으며, 관리자가 계속 관리자모드로 접속하여 관리하지 않아도 승인 동영상콘텐츠의 정보가 계속 서버나 PC에 저장되어 관리자가 매번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실행가능한 동영상서버가 구축된 PC에 동영상 차단기능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동영상 콘텐츠를 표출하고 인증서버에 동영상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동영상서버;
    상기 사용자가 PC 가동시 자동으로 플러그인 형태로 설치되어 소정의 영역에 미디어창이 형성되는 웹클라이언트;
    관리자가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 및 관리자에 의해 동영상콘텐츠의 파일명이나 내용 등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승인할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동영상서버에서 표출되는 모든 동영상콘텐츠를 차단하고, 관리자가 순차적으로 차단된 동영상콘텐츠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동영상콘텐츠의 승인에 대한 추가 및 삭제를 관리하는 관리자 모드와 관리자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승인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과 상기 동영상서버에서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와 비교하여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는 상기 동영상서버에 제공하여 동영상을 표출하고, 승인이 안 된 동영상 콘텐츠는 표출거부 에러메시지창과 상기 인증서버로 접근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창이 형성되는 사용자모드를 일체화하여 미디어창에 제공하며, 특정 관리자만 관리자모드에서 특정 동영상콘텐츠를 승인하도록 비밀번호 입력을 하는 소정의 검증과정을 거쳐 동영상콘텐츠를 승인하는 검증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인증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2. 삭제
  3.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실행가능한 동영상서버가 구축된 PC에 동영상 차단기능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PC 가동시 서비스제공사의 인증서버에 네트워크망을 통해 자동으로 접속하여 플러그인 형태로 설치되어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서비스설치단계;
    상기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아 동영상서버에서 실행하는 동영상제공준비단계;
    상기 사용자가 동영상서버준비단계를 거친 후, 네트워크망을 통해 인증서버에 특정 동영상콘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승인된 동영상 콘텐츠 파일 목록과 비교하여 승인 및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단계; 및
    특정 동영상콘텐츠가 승인되었을 시, 상기 동영상서버에서 동영상이 표출되어 사용자가 시청하는 동영상시청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서비스설치단계 이후에 관리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동영상 콘텐츠의 정보를 입력, 저장하는 관리자모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 이후에 특정 동영상 콘텐츠의 승인이 거부되어 동영상서버에서 동영상 표출이 중단되는 동시에 표출거부 에러메시지창과 비밀번호입력창이 형성되는 동영상콘텐츠차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60036999A 2006-04-25 2006-04-25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0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999A KR100808213B1 (ko) 2006-04-25 2006-04-25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999A KR100808213B1 (ko) 2006-04-25 2006-04-25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042A KR20070105042A (ko) 2007-10-30
KR100808213B1 true KR100808213B1 (ko) 2008-02-29

Family

ID=3881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999A KR100808213B1 (ko) 2006-04-25 2006-04-25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09B1 (ko) * 2011-06-03 2013-11-04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음악 프로듀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117A (ko) * 2000-12-27 2002-07-06 황영헌 동영상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저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117A (ko) * 2000-12-27 2002-07-06 황영헌 동영상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저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042A (ko) 200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tos et al. Are cookie banners indeed compliant with the law? Deciphering EU legal requirements on consent and technical means to verify compliance of cookie banners
JP6199177B2 (ja) クラウド供給されたゲームのビデオクリップを生成および共有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364762B (zh) 通过网页控制本地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US9219787B1 (en) Stateless cookie operations server
CN105874462B (zh) 应用许可的通知
US8804576B2 (en) Browsing management apparatus, browsing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product thereof
US20080155538A1 (en) Computer us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40222995A1 (en) Methods and System for Monitoring Computer Users
CN108881936B (zh) 直播资源共享方法、电子设备及介质
TWI306203B (en) Processe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host computer via user specific smart cards and for using low-cost memory cards to log onto a host computer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20150154417A1 (en) Securing access to business information
CN107124420A (zh) 身份验证方法及装置
JP2007279991A (ja) ログ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A2855828C (en)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digital content
Crepax et al. Information technologies exposing children to privacy risks: domains and children-specific technical controls
CN101836213A (zh) 对数字媒体内容未经许可的复制的保护
CN1963830A (zh) 记录游戏事件的方法与装置、查看游戏事件的方法与系统
US20110302633A1 (en) Safe Internet Browser
EP2582118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KR100808213B1 (ko) 승인을 통해 동영상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JP6636605B1 (ja) 履歴監視方法、監視処理装置および監視処理プログラム
JP534169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onoso Results of the assessmen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afer Social Networking Principles for the EU. Individual reports of testing of 14 social networking sites
KR20110120545A (ko) 컴퓨터 유해 동영상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2504539B1 (ko) 콘텐츠 배신 시스템 및 콘텐츠 배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