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141B1 -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141B1
KR100808141B1 KR1020060058627A KR20060058627A KR100808141B1 KR 100808141 B1 KR100808141 B1 KR 100808141B1 KR 1020060058627 A KR1020060058627 A KR 1020060058627A KR 20060058627 A KR20060058627 A KR 20060058627A KR 100808141 B1 KR100808141 B1 KR 10080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tructure
monitor
along
viewing ang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731A (ko
Inventor
오성일
Original Assignee
시엘오 시스템즈, 엘엘씨
주식회사 로보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엘오 시스템즈, 엘엘씨, 주식회사 로보멕스 filed Critical 시엘오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8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bstract

본 발명의 장착 시스템은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장착 시스템은 제 1 장착구조 및 제 2 장착구조 사이에 적어도 2개의 빔 세트를 포함한다. 제 1 장착구조는 벽에 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 2 장착구조는 플라즈마 텔레비젼 또는 LCD 텔레비젼과 같은 모니터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빔 세트 각각이 모터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2개의 빔 세트들이 별개로 신장 또는 수축하여 상기 제 1 장착구조에 대해 상기 제 2 장착구조를 이동시킴으로써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한다. 장착 시스템은 원격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어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모니터를 측면으로 기울이거나 이동시킨다. 원격제어기는 모니터의 기설정된 위치를 기억하는 사전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어 상기 사전설정 버튼의 작동으로 인해 장착 시스템이 모니터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장착 시스템, 시야각, 모니터

Description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Mounting System Capable of Adjusting Viewing Angle of a Monito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제 1 장착구조에 대한 제 2 장착구조를 X, Y 및 Z 축에 대하여 조절가능하게 지향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을 XZ 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장착 시스템을 YZ 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장착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가이드 구조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리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5c는 또 다른 슬리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유니버셜 조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 2 장착구조의 시야각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제 2 장착구조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취해질 수 있는 가능한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제 2 위치에 있는 도 1의 제 2 장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제 1 장착구조에 대해 음의 X 방향으로 제 2 장착구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 1 장착구조에 대해 양의 Y 방향으로 제 2 장착구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제 1 장착구조에 대해 음의 Y 방향에서 제 2 장착구조의 제 2 위치를 정의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소정 방향으로 제 2 장착구조를 기울이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다른 방향으로 제 2 장착구조를 기울이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또 다른 방향으로 제 2 장착구조를 기울이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제 2 장착구조가 또 다른 방향으로 기울여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또 다른 방향으로 제 2 장착구조를 기울일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다른 방향으로 제 2 장착구조를 기울이는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방향과 비교하면 역방향으로 장착된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장착 시스템 102: 제 1 장착구조
104: 제 2 장착구조 106,108,110,112: 빔
114,124: 가이드 구조 400, 402,404,406: 슬리브
408,410,412,414,416: 모터 418: 프로세서
420: 원격제어기 422: 수신기
448: 메모리 500: 너트
502,510: 하우징 504: 플랜지
506: 피벗 포인트(pivot point) 508: 베어링
514,516: 기어 518: 피벗축
600: 유니버셜 조인트
본 출원은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06년 2월 13일자에 출원된 정규 미국특허출원 No. 11/353,741을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기준면에 대해 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 시스템이 벽과 같은 표면에 모니터를 장착하고 수동으로 또는 원격제어기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기초로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컴퓨터 모니터, TFT, LCD, 플라즈마, 슬림 텔레비젼 등(집합적으로 "모니터"라고 함)과 같은 평면 모니터(flat panel monitor)가 매우 인기있으며, 이는 마루 공간을 절약하고 미적으로 수려한 외형을 위해 벽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지지암(mechanical support arm) 또는 브래킷(bracket)을 사용하여 벽에 장착되고 그런 후 모니터의 시야각을 최대화하기 위해 소정 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나중에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시청자는 통상적으로 모니터를 수동으로 새로운 시야각으로 기울여 시청자가 다른 위치에서 또는 시청자가 보았을 때 모니터상의 눈부심을 편향시켜 모니터를 더 편안하게 볼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모니터는 거실에 있는 벽에 고정될 수 있어 가족 또는 한 시청자가 원하는 시야각으로 모니터를 볼 수 있게 한다. 시청자가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예컨대 거실에서 부엌으로 이동하면, 그 시청자는 모니터를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모니터가 먼 위치에 또는 바닥위에 높이 장착되는 상황에서, 시청자가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가 불편할 수 있다.
지지암이 갖는 또 다른 제한은 지지암이 얼마나 많은 무게를 견디는지에 대한 제한이 있다는 것이다. 즉, 지지암이 벽으로부터 더 멀리 모니터를 지지하도록 신장되는 경우, 모니터의 무게가 지지암에 굽힘하중(bending load)을 가한다. 지지암에 대한 굽힘하중은 모니터와 벽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굽힘하중은 지지암에 큰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암은 일반적으로 더 무거운 모니터에 사용되지 못한다. 오히려, 벽 장착대가 기설정된 방향으로 고정된 모니터를 시야각을 가지며 무거운 모니터를 벽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벽 장착대는 어느 정도 모니터를 기울이게 할 수 있으나, 상기 모니터가 벽으로부터 측면으로 이동되거나 신장되게 하지 못한다. 따라서, 더 크고 무거운 모니터를 벽에 장 착할 수 있고 모니터의 시야각이 더 용이하게 조절되게 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 크고 무거운 모니터를 벽에 장착할 수 있고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이 용이한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장착구조; 상기 제 1 장착구조에 나란한 제 1 가이드 구조; 상기 제 1 장착구조에 나란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구조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 2 가이드 구조; 제 1 빔 및 제 2 빔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제 1 빔 및 제 2 빔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빔과 제 2 빔의 제 1 단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구조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빔은 서로 대각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빔과 제 2 빔의 제 2 단부는 제 2 장착구조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빔 세트; 및 제 3 빔 및 제 4 빔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제 3 빔 및 제 4 빔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3 빔과 제 4 빔의 제 1 단부는 상기 제 2 가이드 구조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빔은 서로 대각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3 빔과 제 4 빔의 제 2 단부는 제 2 장착구조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빔 세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2, 3 및 4 빔의 제 1 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2, 3 및 4 빔의 각각의 제 2 단부가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제 2 장착구조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면 및/또는 제 2 면을 따라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가 실질적으로 벽에 기대 세워진 경우, 상기 모니터의 두께 보다 더 큰 거리로 상기 모니터를 벽으로부터 멀리 신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 1 면 및/또는 제 2 면을 따라 상기 모니터를 기울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에 대해 두께를 갖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1 장착구조에 대한 제 2 장착구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장착 시스템은 제 1 빔 세트와 제 2 빔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빔 세트는 상기 제 1 장착구조와 상기 제 2 장착구조 사이에 있다.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장착구조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장착구조와 동일면에 있을 경우, 상기 제 2 장착구조와 상기 제 1 장착구조는 XY면에 있을 수 있고, 상기 제 2 장착구조가 상기 제 1 장착구조로부터 신장되는 경우, 상기 제 2 장착구조는 양의 Z축으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빔 세트는 상기 제 2 장착구조에 선회식으로 결합된 제 1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빔의 제 2 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장착구조상의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미끄러지듯 움질일 수 있다. 이는 제 2 장착구조가 제 1 장착구조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지향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제 2 장착구조는 양의 Z축을 따라 신장될 수 있고, XY면을 따라 측면으로, 즉, 제 1 장착 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장착구조는 제 1 장착구조에 대해 XZ 면 및 YZ 면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컨대, YZ면은 제 1 면으로 간주될 수 있고 XZ 면은 제 2 면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제 1 장착구조를 따라 형성된 실질적으로는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빔의 제 2 단부를 이동시키게 한다. 장착 시스템은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가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을 따라 빔의 각 단부를 이동하게 한다. 프로세서는 원격제어기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 2 장착구조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원격으로 상기 제 1 장착구조에 대해 상기 제 2 장착구조를 조절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 1 장착구조에 대한 제 2 장착구조의 기설정된 이동이 메모리에 프로그램될 수 있어 상기 제 2 장착구조가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기설정된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 2 장착구조는 모터의 도움없이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은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장착구조는 벽에 부착될 수 있어 시청자가 모니터의 시야각을 원격으로 조절하게 한다. 장착 시스템은 또한 광고판 기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판은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기설정된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착 시스템은 2개의 장착구조 사이의 제어 이동이 필요로 하는 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은 또한 마루 또는 천장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진다. 이와 같이 모든 또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본 명세서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도면과 설명을 참조로 더 자세히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 있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비례할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것에 중점이 두어진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도 1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한 제 2 장착구조(104)를 X, Y, 및 Z 축에 대하여 조절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음의 Y축 방향은 일반적으로 중력을 나타낸다. 장착 시스템(100)은 제 1 세트의 빔(106 및 108)과 제 2 세트의 빔(110 및 112)을 가질 수 있다. 빔(106)은 제 1 단부(106A)와 제 2 단부(106B)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106A)는 실질적으로 Y축으로 상기 제 1 장착구조(102)에 나란한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빔(106)의 제 2 단부(106B)는 제 2 장착구조(104)의 위치(116)에서 상기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빔(108)은 제 1 단부(108A)와 제 2 단부(108B)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108A)는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빔(108)의 제 2 단부(108B)는 제 2 장착구조(104)의 위치(118)에서 상기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위치(116 및 118) 사이에 그려진 라인은 실질적으로 Y축 및 제 2 장착구조(104)의 중심 주위에 있을 수 있다. 2개의 빔(106 및 108)은 제 2 장착구조(104)를 제 1 장착구조(102)에 대각선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어 상기 2개의 빔(106 및 108)이 서로 교차된다. 이와 같이, 제 2 단부(106B)는 제 2 단부(108B)에 대해 양의 Y 위치에 있으나, 제 1 단부(108A)는 제 1 단부(106A)에 대해 양의 Y 위치에 있다.
빔(110)은 제 1 단부(110A) 및 제 2 단부(110B)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110A)는 실질적으로 X축으로 상기 제 1 장착구조(102)에 나란한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빔(110)의 제 2 단부(110B)는 제 2 장착구조(104)의 위치(120)에서 상기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빔(112)은 제 1 단부(112A)와 제 2 단부(112B)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112A)는 가이드 구조(124)를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빔(112)의 제 2 단부(112B)는 제 2 장착구조(104)의 위치(122)에서 상기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상기 위치(120)는 제 2 장착구조(104)의 좌상단 구석에 있을 수 있고, 위치(122)는 상기 제 2 구조(104)의 우상단 구석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위치(120 및 122) 사이에 그려진 라인은 X축에 있을 수 있다. 2개의 빔(110 및 112)은 제 2 장착구조(104)를 제 1 장착구조(102)에 대각선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어 상기 2개의 빔(106 및 108)이 서로 교차된다. 빔(108)이 빔(106)을 교차하여 상기 빔(108)이 상기 빔(106)의 Y축을 따라 양의 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빔(110)은 상기 빔(112)의 Y축을 따라 양의 측에 위치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상술한 바와 같이 또는 그 반대의 방식으로 제 1 세트의 빔(106 및 108)과 제 2 세트의 빔(110 및 112)을 배열함으로써 상기 제 2 장착구 조(104)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 구조(114)는 실질적으로 가이드 구조(124)에 수직할 수 있다. 이 예에서, 2개의 가이드 구조(114 및 124)는 전체적으로 T 형태의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XZ 및 YZ 면의 장착 시스템(100)에 대한 2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양의 Z축을 따라 신장되는 제 2 장착구조(104)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2개의 제 1 단부(106A 및 108A)를 함께 더 가까이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하고, 상기 가이드 구조(124)를 따라 2개의 제 1 단부(110A 및 112A)를 함께 더 가까이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하며, 상기 제 2 단부(106B, 108B, 110B 및 112B)가 상기 제 2 장착구조(104)상의 각 위치(116, 118, 120, 및 122) 주위로 선회하게 함으로써 제 2 장착구조(104)가 제 1 장착구조(102)로부터 더 신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단부(106A 및 108A)는 대칭으로 함께 더 가까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제 1 단부(110A 및 112A)도 대칭으로 함께 더 가까이 움직일 수 있어 상기 제 2 장착구조(104)가 양의 Z축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장착구조(102)에 평행해진다. 제 2 단부(106B, 108B, 110B 및 112B)는 유니버셜 조인트롤 통해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상기 단부(106B, 108B, 110B 및 112B)가 상기 제 2 장착구조(104)상의 각 위치(116, 118, 120, 및 122) 주위로 자유롭게 선회하게 한다. 대안으로, 빔의 제 2 단부는 볼 조인트를 사용하여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각각의 제 2 단부(106B, 108B, 110B 및 112B)에는 볼이 제공될 수 있어고, 상기 제 2 장착구 조(104) 상의 각 위치(116, 118, 120, 및 122)에 상기 볼 단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오목한 소켓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제 2 단부가 각각의 위치 주위로 선회할 수 있다.
제 2 장착구조(104)는 가이드 구조(114 및 124)를 따라 각각 서로 멀어지게 상기 한 쌍의 제 1 단부(106A 및 108A) 및 한 쌍의 제 1 단부(110A 및 112A)를 미끄러지듯 움직임으로써 음의 Z축으로 또는 상기 제 1 장착구조(102)에 더 가까이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 1 단부(106A 및 108A)는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가능한 한 멀리 이격될 수 있고, 한 쌍의 제 1 단부(110A 및 112A)도 또한 가이드 구조(124)를 따라 가능한 한 멀리 이격될 수 있어, 제 2 장착구조(104)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 면에 있게 한다. 또한, 가이드 구조(114)를 따른 제 1 단부(106A 및 108A), 가이드 구조(124)를 따른 제 1 단부(110A 및 112A), 및 상기 가이드 구조(124)와 상기 빔(112) 사이의 각 θ1 또는 상기 가이드 구조(114)와 상기 빔(110) 사이의 각 θ2 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한 상기 제 2 장착구조(104)의 방향이 여러가지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고 소정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모터가 제 1 단부(106A, 108A, 110A 및 112A)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원격으로 상기 제 1 단부를 이동시키게 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제 1 장착구조(102)의 정면도이다. 이 예에서, 가이드 구조(114)는 가이드 구조(124)에 접평면에 있거나 수직할 수 있다. 제 1 단부(106A 및 108A)는 각각의 슬리브(sleeve)(400 및 402)에 결합될 수 있고, 제 1 단부(110A 및 112A)도 각각의 슬리브(404 및 406)에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400 및 402)는 상기 가이드 구조(114) 또는 일반적으로 Y축을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형성되고, 슬리브(404 및 406)는 상기 가이드 구조(124) 또는 일반적으로 X축을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형성된다. 이 예이서, 각각의 슬리브는 전기모터에 결합에 되어 각각의 가이드 구조, 즉, 가이드 구조(114 또는 124)를 따라 별개로 각 슬리브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리브(406)에는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 θ1 을 조절하기 위해 제 2 모터(416)가 제공될 수 있다.
모터는 원격제어기(420)에 의해 제공된 입력신호를 기초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418)에 연결될 수 있다. 원격제어기(420)에는 하나 이상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원격제어기(420)는 입력신호를 수신기(422)로 전송할 수 있고 그런 후 상기 수신기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418)로 보내어 모터를 제어한다.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슬리브가 가이드 구조의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차례로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제 2 장착구조(104)의 방향을 조절한다. 모터는 동력을 기어에 공급하기 위해 각각의 슬리브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전송라인(419)이 모터와 대응하는 슬리브 사이에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슬리브에 있는 기어에 전달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모터가 제 1 장착구조(102)에 부착될 수 있고 슬리브가 각각의 가이드 구조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원격제어기(420)에는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하기의 제어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양의 Y축, 양의 X축, 음의 Y축 및 음의 X축으로 각각 제 2 장착구조(104)를 측면으로 이동하게 하는 버튼(421,424,426 및 428); 제 1 평면으로 간주될 수 있는 YZ 평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제 2 평면으로 간주될 수 있는 XZ 평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YZ 평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고 XZ 평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각각 제 2 장착구조(104)를 기울이게 하는 버튼(430,432,434, 및 436); 양의 Z축으로 제 2 장착구조(104)를 이동시키거나 제 1 장착구조(102)로부터 제 2 장착구조(104)를 신장시키게 하는 버튼(438); 음의 Z축 방향으로 제 2 장착구조를 이동시키거나 제 2 장착구조(104)를 제 1 장착구조(102)로 수축시키게 하는 버튼(440); 장착 시스템(100)을 온 시키는 버튼(442); 및 장착 시스템(100)을 오프 시키는 버튼(444). 원격제어기(420)가 제공된 버튼을 작동시킴으로써 해당 입력신호 번호가 수신기(422)에 전송될 수 있고, 그런 후, 상기 신호가 프로세서(418)로 전해져 상기 원격제어기(420)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버튼(432)을 작동시키면, 원격제어기(420)는 입력신호(432)를 수신기(422)로 전송할 수 있거나, 버튼(428)이 작동되면, 상기 원격제어기는 입력신호(428)를 수신기(422)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18)는 또한 메모리(448)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에 기설정된 소정의 시야각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기(420)는 또한 입력신호(446)를 프로세서(418)에 제공하여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을 소정의 저장된 시야각으로 조절하게 하는 사전설정 버튼(preset button)(446)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 자는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을 소정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는 사전설정 버튼(446)을 작동시켜 상기 사전설정 버트(446)을 제 2 장착구조(104)의 소정의 시야각과 연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각도는 메모리(448)에 저장될 수 있다. 일단 사전설정 버트(446)이 프로그램된 후, 상기 사전설정 버트(446)의 연이은 작동이 프로세서(418)에 지시되어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을 메모리(448)에 저장된 소정의 시야각으로 조절하게 한다. 프로세서(418)로의 입력신호는 인터넷, 하드 와이어, 컴퓨터 네트워크 등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또한, 원격제어기(420)는 소정의 시야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기설정된 증가로 이동할 수 있는 슬리브(402)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가이드 구조(114)는 나사로서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114)는 단부마개(126)(end cap)를 갖는 제 1 장착구조(102)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나사(114)가 실질적으로 스핀되는 것이 방지된다. 슬리브(402)는 하우징(502)내에 너트(500)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500)는 나사(114)에 대하여 스핀 또는 회전될 수 있어 슬리브(402)가 Y축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상기 나사(114) 주위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쪽인 너트(500)의 스핀방향은 슬리브(402)가 Y축을 따라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너트(500)의 스핀 회수 또는 스핀 중 일부가 Y축을 따른 슬리브 이동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508)이 너트(500)와 하우징(50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어 그 둘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한다.
슬리브(402)의 하우징(502)은 피벗 포인트(pivot point)(506) 주위로 빔(108)의 제 1 단부(108A)를 결합시키도록 형성된 플랜지(504)를 가질 수 있어 상기 빔(108)이 상기 피벗 포인트(506) 주위로 선회하게 한다. 상기 슬리브(402)에 대응하는 모터(412)가 기어(504)에 결합될 수 있어 너트(500)가 나사(114) 주위로 회전하게 한다.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412)에 제공된 동력을 제어할 수 있어 상기 기어(504)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슬리브(402)를 나사(114)를 따라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모터(412)가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 슬리브(402)는 실질적으로 나사(114)의 Y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할 수 있으나, 상기 슬리브(402)는 상기 나사(114) 또는 Y축 주위로 스핀 또는 회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나사(11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리브(40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나사(114)를 따라 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모터(412) 또는 너트(500)에서 코일의 회전 또는 턴 회수는 일반적으로 나사(114)상에서 슬리브(402)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감시될 수 있다. 슬리브(400, 404 및 406)는 위에서 예시된 슬리브(402)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c는 X축을 따라 이동하고 소정의 각도 θ3로 빔(112)을 선회시킬 수 있는 슬리브(406)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슬리브(406)는 하우징(510)내에 너트(500)를 포함한다. 너트(500)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구조(124)를 나타내는 나사(124)에 대해 스핀 또는 회전될 수 있다. 슬리브(406)는 너트(500)와 치합되는 웜 기어(512)를 포함할 수 있다. 웜 기어(512)는 모터(414)와 결합되어 상기 웜 기어(512)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너트(500)가 턴되고 이에 의해 슬리브(406)가 소정 방향으로 나사(12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하우징(510)에는 또한 제 1 기어(514) 및 제 2 기어(5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기어(514)는 빔(112)의 제 1 단부(112A)에 결합되어 상기 빔(112)이 피벗축(518) 주위로 선회하게 한다. 제 1 기어(514)는 제 2 기어(516)보다 더 작을 수 있어 상기 빔(112)을 상기 피벗축(518) 주위로 선회시키도록 형성된 기설정된 기어비를 제공한다. 제 2 기어(516)는 (도 4에 도시된) 모터(416)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모터(416)가 상기 제 2 기어(516)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 1 기어(514)는 상기 제 2 기어(516)의 반대방향으로 스핀되고, 이에 의해 나사(124)와 빔(112)의 길이방향 축 사이의 각도 θ3를 조절하게 된다. 슬리브(404 및 406)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제 1 기어(516) 및 제 2 기어(518)가 제공될 수 있어 상기 나사(124)와 상기 빔(110 및/또는 11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게 함을 유의하라.
도 5a 및 도 5b를 다시 참조하면, 모터는 너트(500)에 직접 결합되고 하우징(502)내에 포함될 수 있어, 전송라인(419)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가 가이드 구조를 따라 축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빔(106)의 제 2 단부(106B)를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식으로 결합시키도록 형성된 유니버셜 조인트(600)를 도시한 것이다. 유니버셜 조인트(600)는 제 2 장착판(104)의 위치(116)에 결합될 수 있다. 유니버셜 조인트(600)는 제 2 단 부(106B)가 제 2 장착구조(104)의 위치(116)에서 여러 방향으로 선회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유니버셜 조인트(600)는 제 2 단부(108B, 110B 및 112B)를 각각의 위치에서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식으로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기(42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기초로, 프로세서(418)는 나사(114)를 따른 슬리브(400 및 402)의 위치, 나사(124)를 따른 슬리브(404 및 406)의 위치, 및 가이드 구조(124)와 빔(112)의 길이방향 축 사이의 각도 θ3를 제어할 수 있다. 슬리브와 각도 θ3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차례로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이 조절된다. 일단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이 조절되고 나면, 프로세서(418)가 모터(408 에서 416)로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슬리브의 위치와 각도 θ3가 고정되어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이 실질적으로 소정 방향으로 유지되어 진다.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이 고정되는 경우, 제 2 장착구조(104)에 결합된 모터의 무게가 실질적으로 압축하중(compression load) 또는 인장하중(tension load)으로서 빔(106 에서 112)에 의해 지탱된다. 빔은 굽힘하중에 비하여 압축하중 및 인장하중을 더 잘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장착 시스템(100)은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 2 장착구조(104)에 부착된 모니터(300)의 중력 중심이 위치(302)에 있을 수 있다. 모니터(300)와 장착 시스템(100)의 결합된 무게 "W"가 빔(106 에서 112)을 통해 제 1 장착구조(102)에 전달된다. 이 예에서, 빔(108, 110 및 112)은 일반적으로 인장하중을 받는 반면에, 빔(106)은 일반적으로 압축하중을 받게 된다. 즉, 선회 단부(pivotable ends)를 갖는 빔을 사용함으로써, 설령 있다하더라도, 빔에 대한 굽힘하중이 최소화된다. 이는 장착 시스템(100)이 빔에 과응력(overstress)을 가하게 함이 없이 Z축을 따라 제 1 장착구조(102)로부터 더 멀리 이동하게 한다.
도 7은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700)를 도시한 것이다. 흐름도(700)에 예시된 과정은 프로세서(418)에 의해 모터를 제어하여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한 제 2 장차구조(104)의 시야각을 조절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판단블록(702)에서, 프로세서(418)는 온 신호(442)가 원격제어기(420)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장착 시스템(100)이 사용자에 의해 온 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판단블록(704)에서, 상기 프로세서(418)가 상기 온 신호(442)를 검출하고 나면, 상기 프로세서(418)는 상기 원격제어기(420)로부터의 오프 신호(44)에 대해 검출할 수 있다. 오프 신호(444)가 검출되면, 블록(706)에서, 프로세서(418)는 제 2 장착구조(104)를 완전히 수축시킬 수 있어 상기 제 2 장착구조가 실질적으로 제 1 장착구조(102)와 동일면에 있게 된다. 일단 제 2 장착구조(104)가 수축된 후에, 장착 시스템(100)은 오프될 수 있다. 판단블록(708)에서, 프로세서(418)가 원격제어기(420)로부터 어느 한 측 신호(lateral signals)(422, 424 및 428)를 검출하면, 판단블록(710)에서, 프로세서는 제 2 장착구조(104)가 Z축을 따라 제 1 장착구조(102)으로부터 신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2 장착구조(104)가 실질적으로 제 1 장착구조(102)와 동일면에 있는 경우, 블록(712)에서, 프로세서는 Z축을 따라 제 1 장착구조(102)로부터의 제 2 장착구조(104)를 신장시킬 수 있어 상기 제 2 장착구조(104)가 실질적으로 XY면을 따라 측면 이동하게 한다. 즉, 제 2 장착구조(104)가 제 1 장착구조(102)로부터 신장되어 빔(106 및 108)이 가이드 구조(114) 주위로 선회하게 하도록 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 2 장착구조(104)는 XY면을 따라 측면 이동할 수 없다.
블록(712)에 대해, 도 8은 제 1 위치(800)로부터 제 2 위치(802)로 제 2 장착구조(104)를 이동시키도록 취해질 수 있는 가능한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위치(800)에서, 제 2 장착구조(104)는 실질적으로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하여 동일면에 있다. 제 2 위치(802)에서, 제 2 장착구조(104)는 제 1 위치(800)에 대하여 Z축을 따라 양의 거리 Z2 및 X축을 따라 양의 거리 X2에 있다. 제 1 위치(800)로부터 제 2 위치(802)로 제 2 장착구조(104)를 이동하는 한가기 방법은 2단계를 취하는 것이다: 블록(71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 장착구조(104)는 방향 화살표(804)로 표시된 바와 같이 거리 Z2 만큼 양의 Z축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양의 Z축으로 제 2 장착구조(104)를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일단 제 2 장착구조(104)가 블록(71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Z축으로 신장된 후에, 프로세서(418)는 방향 화살표(80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 2 위치로 XY 면을 따라 제 2 장착구조(104)를 거리 X2 만큼 양의 X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제 2 위치에 있는 제 2 장착구조(104)를 도시한 것이다.
대안으로, 블록(712 및 714)에서 취한 단계는 도 8에서 방향 화살표(808)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제 2 장착구조(104)를 이 동시킴으로써 한단계로 행해질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로세서(418)는 모터(408 및 4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리브(400 및 402)가 함께 더 가까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 2 장착구조(104)가 양의 Z축을 따라 신장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모터(414)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리브(406)가 양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모터(416)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도 θ3를 조절할 수 있어 제 2 장착구조(104)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판단블록(710)에서, 제 2 장착구조(104)가 Z축을 따라 제 1 장착구조(102)로부터 신장되면, 블록(714)에서, 프로세서(418)는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제어기(420)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측 신호(422,424,426 및 428) 중 하나 이상을 각각 기초로 하여 XY면으로 상기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상기 제 2 장착구조(104)를 양의 Y축, 양의 X축, 음의 Y축 및 음의 X축으로 측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는 제 1 위치에 있는 제 2 장착구조(104)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2 장착구조(104)는 Z축을 따라 제 1 장착구조(102)로부터 거리 Z1 만큼 신장되어 있다. 블록(714)에서, 원격제어기(420)가 측 신호(424)를 전송하여 제 2 장착구조(104)를 양의 X축으로 측면 이동시키게 하는 경우, 프로세서(418)는 모터를 제어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위치로 제 2 장착구조(104)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2 장착구조(104)는 Z축을 따라 상기 제 1 장착구조(102)로부터 거리 Z2 만큼 신장되고 양의 X축을 따라 또는 상기 제 1 장착구조(102)의 오른쪽으로 측면 이동된다.
제 2 장착구조(104)는 슬리브(404 및 406) 간에 동일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슬리브(404 및 406)를 양의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418)는 가이드 구조(124)를 따라 슬리브(404 및 406)를 양의 X 방향으로 별개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상기 2개의 슬리브(404 및 406) 간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2개의 슬리브(404 및 406) 간의 거리는 제 1 및 제 2 위치에서 대략 같다. 실질적으로 상기 2개의 슬리브(404 및 406) 간의 일정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제 2 장착구조(104)는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실질적으로 측면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 2 장착구조(104)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실질적으로 측면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리브(404 및 406)가 양의 X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리브(410 및 408)는 프로세서(418)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지만 가이드 구조(114) 주위로 회전되어 제 2 장착구조(104)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이 예에서, 프로세서가 전원을 2개의 슬리브(400 및 402)에 공급하지 못하여 상기 슬리브가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Y축으로 이동하지 못하면, Z2 < Z1 이 된다. 대안으로, 프로세서(418)가 2개의 슬리브(400 및 402)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2개의 슬리브를 함께 더 가까이 이동시켜 양의 Z축으로 제 2 장착구조를 신장시킬 수 있으므로 Z2는 실질적으로 Z1과 같을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모터(408 및 4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양의 Y축으로 슬리브(400)를 이동시키고 음의 Y축으로 슬리브(402)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다.
블록(714)에서, 원격제어기(420)가 측 신호(428)를 전송하여 제 2 장착구조(104)를 음의 X축으로 측면 이동하게 하는 경우, 도 10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음의 X축 방향으로 상기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도 10은 제 2 위치에 있는 제 2 장착구조(104)를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418)는 모터(412 및 414)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리브(404 및 406)를 각각 음의 X축 방향으로 가이드 구조(124)를 따라 이동하게 하여 상기 제 2 장착구조(104)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블록(714)에서, 원격제어기(418)는 측 신호(424)를 전송하여 제 2 장착구조(104)를 양의 Y축으로 측면 이동하게 하는 경우, 도 11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양의 Y축 방향으로 상기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도 3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한 제 2 장착구조(104)의 제 1 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한 제 2 장착구조(104)의 제 2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제 2 장착구조(104)를 이동시키기 위해, 프로세서(418)는 모터(408 및 4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리브(400 및 402)를 각각 양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418)는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상기 슬리브(400 및 402)를 양의 Y축 방향으로 별개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2개의 슬리브(404 및 406) 간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제 2 장착구조(104)를 실질적으로 측면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제 2 장착구조(104)는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실질적으로 측면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슬리 브(400 및 402)가 양의 Y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빔(110 및 112)은 가이드 구조(124)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2는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음의 Y축 방향으로서 제 2 장착구조(104)의 제 2 위치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프로세서(418)는 모터(408 및 41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슬리브(400 및 402)를 각각 음의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판단블록(716)에서, 프로세서(418)가 원격제어기(420)로부터 임의의 경사 신호(430,432,434 및 436)를 검출하는 경우, 블록(718)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제어기(42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 2 장착구조를 기울일 수 있다. 블록(718)에서, 원격제어기는 경사신호(432)를 전송하여 제 2 장착구조(104)를 XZ면으로 또는 제 2 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이게 하는 경우, 도 13은 경사신호(432)에 따라 제 2 장착구조(104)를 기울일 수 있는 장착 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도 2는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제 2 장착구조(104)의 제 1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제 2 장착구조(104)의 제 2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c에 대해 논의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418)는 모터(416)에 전원을 공급하여 빔(11)과 가이드 구조(124) 사이의 각도 θ3를 줄임으로써 제 2 장착구조(104)를 반시계 방향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기울이게 할 수 있다. 각도 θ3가 조절됨에 따라, 슬리브(410 및 408)는 프로세서(418)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지만 가이드 구조(114) 주위로 회전되어 제 2 장착구조(104)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블록(718)에서, 원격제어기(420)가 경사신호(436)을 전송하여 제 2 장착구조(104)를 XZ면으로 또는 제 2 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경우, 도 14는 경사신호(436)에 따라 제 2 장착구조(104)를 기울일 수 있는 장착 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도 2는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제 1 위치에서의 제 2 장착구조(104)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제 2 위치에서의 제 1 평면(102)을 나타낸 것이다. 프로세서(418)는 모터(416)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도 θ3를 증가시킴으로써 제 2 장착구조(104)를 XZ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이는 차례로 제 2 장착구조(104)를 제 2 위치로 기울어지게 한다.
블록(718)에서, 장착 시스템(100)은 제 2 장착구조(104)가 양의 X축 또는 제 1 장착구조(102)의 오른쪽에 있을 때 제 2 장착구조(104)를 기울일 수 있다. 이 예이서, 도 9는 제 1 위치에 있는 제 2 장착구조(104)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제 2 위치에 있는 제 2 장착구조(104)를 도시한 것이다. 도 5c에 대해 논의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418)는 모터(416)에 전원을 공급하여 빔(112)과 가이드 구조(124) 사이의 각도 θ3를 줄임으로써 제 2 장착구조(104)를 XZ면으로 또는 제 2 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418)는 모터(416)를 제어하여 제 2 장착구조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기울이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6은 제 2 장착구조(104)가 XZ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블록(718)에서, 원격제어기가 경사신호(430)를 전송하여 XZ면으로 또는 제 1 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제 2 장착구조(104)를 기울어지게 하는 경우, 도 17은 장착 시스템(100)이 경사신호(430)에 따라 제 2 장착구조(104)를 기울일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도 3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제 1 위치에 있는 제 2 장착구조(104)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제 2 위치에 있는 제 2 평면(102)을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418)는 (1)모터(408)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슬리브(400)를 이동시키는 한편 다른 슬리브(402,404 및 406)에 해당하는 모터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하여 적소에 상기 다른 슬리브를 유지하게 하는 방식; (2) 모터(41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슬리브(402)를 이동시키는 한편 다른 슬리브(400, 404 및 406)에 해당하는 모터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하여 적소에 상기 이 슬리브를 유지하게 하는 방식; (3) 모터(408 및 4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슬리브(400 및 402)를 이동시키는 한편 2개의 슬리브(404 및 406)에 해당하는 모터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하는 방식; (4) 모터(412 및 414)에 전원을 공급하여 2개의 슬리브(404 및 406)를 이동시키는 한편 슬리브(400 및 402)에 해당하는 모터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하는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제 2 장착구조(104)를 기울일 수 있다. 예컨대, 선택(1)으로는, 슬리브(400)가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음의 Y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2 장착구조(104)는 YZ 면으로 또는 제 1 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반대로, 슬리브(400)가 양의 Y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2 장착구조(104)는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 택(2)로는, 슬리브(402)가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음의 Y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2 장착구조(104)는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반대로, 슬리브(402)가 양의 Y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2 장착구조(104)는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선택(3)으로는, 2개의 슬리브(400 및 402)가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제 2 장착구조(104)를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반대로, 2개의 슬리브(400 및 402)가 함께 더 가까이 이동되어 제 2 장착구조(104)를 시계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선택(4)로는, 2개의 슬리브(404 및 406)가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제 2 장착구조(104)를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반대로, 2개의 슬리브(404 및 406)가 함께 더 가까이 이동되어 제 2 장착구조(104)를 시계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블록(718)에서, 원격제어기가 경사신호(434)를 전송하여 제 2 장착구조(120)를 YZ 면으로 또는 제 1 면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도 18은 장착 시스템(100)이 도 17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방식으로 경사신호(434)에 따라 제 2 장착구조(104)를 기울일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장착 시스템(100)은 유니버셜 조인트 처럼 수행될 수 있어 제 2 장착구조(104)가 제 1 장착구조(102)에 대해 여러 방식으로 조절되게 한다.
판단블록(720)에서, 프로세서(418)가 신장신호(438)를 검출하는 경우, 판단블록(722)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장착구조(104)가 이미 완전히 신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블록(724)에서, 제 2 장착구조(104)가 완전히 신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의 나사를 따라 슬리브를 함께 더 가까이 이동시킴 으로써 제 2 장착구조(104)를 신장시킬 수 있다. 반대로, 판단블록(726)에서, 프로세서(418)가 수축신호(440)를 검출하면, 판단블록(728)에서, 프로세서는 제 2 장착구조(104)가 이미 완전히 수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블록(730)에서, 제 2 장착구조(104)가 완전히 수축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슬리브를 각각의 나사를 따라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킴으로써 제 2 장착구조(104)를 수축시킬 수 있다.
도 19는 장착 시스템(10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빔(110 및 112)은 빔(106 및 108)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장착 시스템(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장착구조(104)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었으나, 더 많은 실시예들과 수단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함을 당업자는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와 그 균등물을 고려한 이외에는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은 기계적 지지암 또는 브래킷을 사용하여 벽에 장착되고 그런 후 모니터의 시야각을 최대화하기 위해 소정 방향으로 고정된 기존의 모니터 장착 시스템과는 달리 더 크고 무거운 모니터를 벽에 장착할 수 있고 어느 위치에서도 시청자가 보기 편하게 모니터를 상하좌우로 이동하거나 기울일 수 있어 모니터의 시야각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제 1 장착구조(102)와,
    상기 제 1 장착구조(102)에 나란한 제 1 가이드 구조(114)와,
    상기 제 1 장착구조(102)에 나란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구조(114)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 2 가이드 구조(124))와,
    제 1 빔(106) 및 제 2 빔(108)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제 1 빔(106) 및 제 2 빔(108)은 제 1 단부(106A,108A) 및 제 2 단부(106B,108B)를 가지며, 상기 제 1 빔(106)과 제 2 빔(108)의 제 1 단부(106A,108A)는 상기 제 1 가이드 구조(114)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빔(106,108)은 서로 대각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빔(106)과 제 2 빔(108)의 제 2 단부(106B,108B)는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빔 세트(106,108)와,
    제 3 빔(110) 및 제 4 빔(112)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제 3 빔(110) 및 제 4 빔(112)은 제 1 단부(110A,112A) 및 제 2 단부(110B,112B)를 가지며, 상기 제 3 빔(110)과 제 4 빔(112)의 제 1 단부(110A,112A)는 상기 제 2 가이드 구조(124)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및(110) 제 4 빔(112)은 서로 대각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3 빔(110)과 제 4 빔(112)의 제 2 단부(110B,112B)는 제 2 장착구조(104)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빔 세트(110,11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2, 3 및 4 빔(106,108,110,112)의 제 1 단부(106A,108A,110A,112A)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2, 3 및 4 빔(106,108,110,112)의 각각의 제 2 단부(106B,108B,110B,112B)가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제 2 장착구조(104)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2, 3 및 4 빔의 제 1 단부(106A,108A,110A,112A)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구조(1114,124)를 따라 상기 제 1 단부(106A,108A,110A,112A)를 별개로 이동시키기게 하는 모터에 결합되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구조(114,124)는 나사이고 상기 각각의 제 1, 2, 3 및 4 빔의 제 1 단부(106A,108A,110A,112A)는 상기 각각의 나사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슬리브에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슬리브는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나사를 따라 상기 각각의 제 1, 2, 3 및 4 빔의 제 1 단부(106A,108A,110A,112A)에 대하여 슬리브를 이동시키게 하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시스템은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나사를 따라 대응하는 슬리브(400,402,404,406)를 이동시키도록 각각의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418)와,
    상기 프로세서(418)에 결합된 수신기(422)와,
    상기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422)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420)를 구비하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구조(102)는 벽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착구조(104)는 모니터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7. 제 1 면 또는 제 2 면을 따라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가 실질적으로 벽에 기대 세워진 경우, 상기 모니터의 두께 보다 더 먼 거리로 상기 모니터를 벽으로부터 멀리 신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 1 면 또는 제 2 면을 따라 상기 모니터를 기울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에 대해 두께를 갖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벽에 평행하게 모니터를 신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를 상기 벽에 대해 측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를 상기 벽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은 실질적으로 수평면을 따르고, 상기 제 2 면은 실질적으로 수직면을 따르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방법.
KR1020060058627A 2006-02-13 2006-06-28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8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53,741 2006-02-13
US11/353,741 US20060238661A1 (en) 2005-02-14 2006-02-13 Mounting system capable of adjusting viewing angle of a mon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731A KR20070081731A (ko) 2007-08-17
KR100808141B1 true KR100808141B1 (ko) 2008-02-29

Family

ID=3861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627A KR100808141B1 (ko) 2006-02-13 2006-06-28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38661A1 (ko)
KR (1) KR100808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6774B2 (en) * 2004-01-02 2007-11-20 Clo Systems, Llc Viewing angle adjustment system for a monitor
US20070053151A1 (en) * 2005-08-11 2007-03-08 Richard Capoferri Display mounting system
KR100836966B1 (ko) * 2006-03-24 2008-06-10 계양전기 주식회사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조절장치
MX2010007910A (es) * 2007-01-05 2011-03-17 Sca Hygiene Prod Ab Bomba desechable con mecanismo de retrosuccion.
KR100812643B1 (ko) 2007-03-13 2008-03-13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L384694A1 (pl) * 2008-03-14 2009-09-28 Furniture In Motion, Inc. Głowica ekranu wyświetlającego, zwłaszcza płaskiego ekranu telewizyjnego
US20090032656A1 (en) * 2007-07-31 2009-02-05 Oh Sung I Actuator with a safety cover
WO2010025199A1 (en) * 2008-09-01 2010-03-0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television viewing
US8279357B2 (en) * 2008-09-02 2012-10-02 Mitsubishi Electric Visual Solutions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s for television with integrated sound projection system
IT1400466B1 (it) * 2010-05-03 2013-06-11 Euromet Srl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ed il controllo del posizionamento di un piano di supporto per apparecchi di riproduzione video.
US8724037B1 (en) 2010-06-04 2014-05-13 Kurt William Massey Mounting system
US10281080B1 (en) 2010-06-04 2019-05-07 Kurt William Massey Adjustable mounting systems for televisions
JP2013088626A (ja) * 2011-10-18 2013-05-13 Sony Corp 表示装置
EP3129287A1 (en) * 2014-04-07 2017-02-15 Zodiac Seats France Deployable panel assembly
US9906728B2 (en) * 2015-09-14 2018-02-27 Ricoh Imaging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and support mechanism for movable member
US10070020B2 (en) * 2015-09-14 2018-09-04 Ricoh Imaging Company,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having multi-position movable display
US9743769B2 (en) * 2015-10-09 2017-08-29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Entertainment display mount
US10139046B2 (en) * 2016-06-21 2018-11-27 Folding Enterprises, LLC Biased-axis rotational frame mounting system
EP3396226B1 (en) * 2017-04-27 2023-08-23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method and a device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display screen
US10859201B2 (en) 2018-04-10 2020-12-08 Manehu Product Alliance, Llc Display mount assembly
KR102122645B1 (ko) * 2018-07-04 2020-06-26 서일용 디스플레이 거치장치
WO2021127552A1 (en) 2019-12-19 2021-06-24 Manehu Product Alliance, Llc, D/B/A Adjustable display mounting system
WO2021163214A1 (en) * 2020-02-10 2021-08-19 MANEHU PRODUCT ALLIANCE, LLC, d/b/a MANTELMOUNT Multidirectional display mou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054A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마운팅장치
KR20030091476A (ko) * 2002-05-28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365699Y1 (ko) 2004-08-03 2004-10-22 목대관 벽걸이형 tv 또는 모니터의 좌우 각도와 시청거리의 조절기능을 가진 벽면고정장치
KR20050058738A (ko) * 2003-12-12 2005-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KR20060001445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시야각 조절장치
KR20070062984A (ko) * 2007-03-23 2007-06-18 (주)세아메카닉스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054A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마운팅장치
KR20030091476A (ko) * 2002-05-28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50058738A (ko) * 2003-12-12 2005-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KR20060001445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시야각 조절장치
KR200365699Y1 (ko) 2004-08-03 2004-10-22 목대관 벽걸이형 tv 또는 모니터의 좌우 각도와 시청거리의 조절기능을 가진 벽면고정장치
KR20070062984A (ko) * 2007-03-23 2007-06-18 (주)세아메카닉스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8661A1 (en) 2006-10-26
KR20070081731A (ko) 200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141B1 (ko)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
US7780131B2 (en) Mounting system capable of repositioning an apparatus relative to a reference plane
US20090159768A1 (en) Mount System Utilizing One Motor to Extend/Retract and Tilt a Monitor
US20090057514A1 (en) Mounting system adapted to extend and retract in a straight line
US7296774B2 (en) Viewing angle adjustment system for a monitor
US7490804B2 (en) Mount system for a monitor having a motorized tilt
US7878470B2 (en) Motorized mount system for repositioning a monitor
US20060071141A1 (en) Location controller for tv receiver
US20070023603A1 (en) Mounting system capable of adjusting viewing angle of a monitor
US20110248128A1 (en) Low Profile Motorize Tilt Mount
US20070181755A1 (en) Stand system for adjusting viewing angle of monitor
US20090050757A1 (en) Mount System Adapted to Rotate and Extend a Monitor
KR100443990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100038501A1 (en) Low Profile Tilt Mount
US7661643B2 (en) Swivel mount system for a monitor
CN116697240A (zh) 多方向显示器安装件
US20080296452A1 (en) Suppor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20158187A1 (en) Mounting apparatus for adjusting swivelling angle of display device
CN101657669A (zh) 支架装置
KR100838592B1 (ko) 디스플레이 틸팅장치 및 디스플레이 회동장치
KR100867964B1 (ko) 스피커 지향각 조절장치
JP2005329760A (ja) 開閉式モニタ装置
KR20070105819A (ko) 평판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 시스템
US20070279851A1 (en) Flexible enclosure for a motorized mount
KR20100072878A (ko) 평판형 모니터 벽걸이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