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351B1 -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351B1
KR100807351B1 KR1020060038528A KR20060038528A KR100807351B1 KR 100807351 B1 KR100807351 B1 KR 100807351B1 KR 1020060038528 A KR1020060038528 A KR 1020060038528A KR 20060038528 A KR20060038528 A KR 20060038528A KR 100807351 B1 KR100807351 B1 KR 100807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alog
unit
sound source
aud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083A (ko
Inventor
엄태원
박형무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프릴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프릴디자인 filed Critical (주)에이프릴디자인
Priority to KR1020060038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35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3Combination of monophonic or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audio players, e.g. integrated in the head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련되며, 특히 자체적으로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는 아날로그 입력부를 구비하여 통상적인 PC의 스피커로 이용됨과 동시에 USB포트등의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MP3 음원 파일을 자체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입력부를 구비하여 통상적인 PC의 스피커로 이용됨과 동시에 USB포트등의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MP3 음원 파일을 자체적으로 재생함으로써, 하나의 스피커로 컴퓨터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특별한 재생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외부 메모리만 연결하면 그 메모리에 저장된 MP3파일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하나의 스피커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피커, MP3, 오디오 출력, USB, 외장형 메모리

Description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Audio output Apparatus Capable Playing Digital Dat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두개의 스피커 장치가 탑재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함체 내에 제 1스피커 장치와 제 2스피커 장치가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스피커 장치와 제 2스피커 장치가 별도의 함체로 구현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아날로그 입력부 110: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
120: 신호 처리부 130: 제어부
140: 조작부 150: 증폭부
160: 스피커 200: 제 1 스피커 장치
202: 신호 검출부 250: 제 2 스피커 장치
300: 파일 변환부 310: 표시부
400: 회로부 410: 디지털 파트
420:아날로그 파트 430: 유리 섬유
440: 차폐 물질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련되며, 특히 자체적으로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일 품목이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면 족하던 종래와는 달리 간편함과 실용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점점 다기능으로 활용 가능한 전자 기기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일 예로 단순히 통화 기능만을 수행하던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나 MP3(MPEG Audio Layer-3)플레이어 기능이 탑재되는 것은 더 이상 특이 사항이 아니다.
또한 자유롭게 파일을 읽고 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이 휴대용 외장형 메모리를 소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다. 이러한 외장형 메모리는 손쉽게 대용량 파일을 저장할 수 있고, 소경량으로 휴대가 간편하며, 재생 장치만 있다면 저장된 미디어 파일들을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외장형 메모리 장치로는 예를들어 내부에 메모리 소자를 탑재하여 압축된 오디 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USB메모리 스틱, SD/MMC 카드등이 있다.
또한 개인 컴퓨터 장치(PC:Personal Computer)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컴퓨터를 통하여 듣고 싶은 음악을 듣는 것은 물론이고, 홈씨어터 등으로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단지 컴퓨터의 보조장치이던 스피커는 단지 기계음을 내는 차원에서 벗어나, 자연음에 가까운 소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그 성능이 더욱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사용자들은 개인용 컴퓨터를 통하여 더 좋은 음질로 음악을 감상하고자 하며, 개인용 컴퓨터를 통한 영화 관람, 동영상 파일등의 미디어 재생장치로의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실감나게 즐기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PC와 연결되어 통상적인 스피커로 사용됨과 동시에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MP3파일을 고음질로 재생할 수 있는 컴퓨터용 오디오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디지털 음원 재생중에도 자동으로 P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도록 절환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내부적인 회로의 특성을 개선하고, 노이즈를 줄여 음질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아날로그 입력부를 구비하여 통상적인 PC의 스피커로 이용됨과 동시에 USB포트등의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MP3 음원 파일을 자체 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스피커로 개인용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특별한 재생 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에 외부 메모리만 연결하면 그 메모리에 저장된 MP3파일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하나의 스피커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 1 스피커 장치와 제 2 스피커 장치로 구현됨에 따라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오디오 출력장치는 아날로그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로 입력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능동적인 동작이 필요한 PC상의 음원 파일을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스피커로 입력 되는 두 신호중 출력될 신호를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각 소자들을 디지털 파트와 아날로그 파트로 구분하여 차폐된 보드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 처리 중 발생하게 되는 노이즈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회로 특성을 개선함으로써 음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 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40)와,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입력받는 아날로그 입력부(100)와,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입력받는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와,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로 입력된 MP3 음원 파일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120)와, 조작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부(100) 또는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130)와, 아날로그 입력부(100) 또는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150)와, 증폭부(150)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60)를 포함한다.
조작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되는 키의 해당 키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40)는 통상적인 MP3 플레이어, CDP 등의 디지털 음원 재생장치에 장착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에 있어서, 조작부(140)는 음원 데이터의 재생 기능에 따른 전원의 온/오프, 음량 크기, 이전트랙, 다음 트랙, 빠른 재생등의 기능 버튼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음원 재생에 필요한 그 어떠한 기능을 조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버튼 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혹은 조그다이얼 형태로 볼륨조절 및 곡 탐색등의 기 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10)를 통하여 실시간 사용자가 재생 상태와 볼륨 상태 및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와 연결되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들 중 자신이 선택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날로그 입력부(100)는 외부 입력 단자로(AUX:Auxilliary)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날로그 입력부(100)는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입력받는다.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는 외장형 메모리에 엑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압축된 형태의 디지털 파일을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MP3(MPEG Audio Layer-3) 음원 파일을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는 USB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 혹은 SD/MMC카드와 연결 가능한 슬롯(slo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가 USB 포트일 경우는 USB호스트로 구현되며, 외장형 메모리인 USB 메모리로부터 USB 슬레이브가 인식되면 USB메모리에 엑세스 하여 저장된 파일을 읽을 수 있다.
SD카드(Secure Digital Card)는 우표 크기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이다. SD 카드는 높은 저장 능력을 갖고 있어, 개인 휴대 단말기나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디지털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가 빠르고 데이터 보완을 위한 암호 설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MMC(multi-media card)는 멀티미디어 카드라고 하며, 휴대용 기기에 알맞은 초소형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이다. 휴대용 기기가 소형화·경량화되는 추세에 따라 사용 범위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는 상기와 같은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는 자명한 변형예들을 포괄하여 해석되며, 재생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입력받을 수 있는 그 어떠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20)는 통상적인 코덱(Codec)으로 구현될 수 있다. 코덱은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로부터 입력된 압축된 파일을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들은 WMA, MP3, AC3 등의 방식으로 압축된 다양한 형태의 파일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보편화된 음원의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20)는 디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 칩과 그에 탑재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조작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혹은 신호 처리부(120)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조작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MP3파일의 재생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들어 조작부(140)에서 다음 트랙 재생에 대한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130)는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파일들 중 다음 트랙에 해당하는 파일을 입력받아 처리하도록 신호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증폭부(150)는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볼륨 제어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부(150)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를 포함한다. 프리앰프(Pre-Amp)는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증폭시키고 파워앰프(Power Amp)로 보내고, 파워앰프는 그 신호를 또 다시 증폭하여 스피커(160)를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증폭부(150)는 제어부(130)에서 선택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에서 DC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DC서보를 포함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하는 입력 버퍼를 포함한다. 그리고 증폭부(150)는 조작부(140)로부터 입력되는 볼륨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스피커(160)는 증폭부(150)에서 증폭된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스피커(160)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전환시키는 전자 기계적 변환기로 공지된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스피커 장치가 탑재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아날로그 입력부(100) 또는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2 증폭부(252)와, 제 2 증폭부(252)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피 커(254)를 더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120)는 디코딩부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224)를 포함한다. 디코딩부는 공지된 구성으로 통상의 음원 파일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디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코딩부는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로부터 입력된 WMA, MP3, AC3 등의 방식으로 압축된 다양한 형태의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신호 변환부(224)는 디코딩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가청 주파수 대역내로 여과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변환부(224)는 디코딩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를 I2S신호로 변환하고, I2S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가청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2S(Inter-IC Sound)는 오디오 전송 방식 중 하나이다. I2S는 오디오 데이터를 클럭 신호와 분리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지터(Jitter)를 유발하는 시간과 관련된 에러들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20)가 유입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하이파이 처리하는 하이파이 처리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이파이 처리부(222)는 I2S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 내로 여과함에 있어서 신호대 잡음비(SNR)을 100 dB이상의 하이파이(HiFi)급으로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이파이 처리부(222)는 지터를 감쇄하기 위한 지터 감쇄 회로와 주파수 변환 회로를 포함한다. 일예로 주파수 변환 회로는 I2S 신호의 샘플 주파수를 96Kbps 또는 192Kbps로 증가시킨다. 샘플 주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샘플링 간격이 좁아져 아날로그 음원 신호의 연속성이 좋아지고, 그에 따라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하이파이 처리부(222)는 입력되는 I2S신호를 지터 감쇄 회로를 통과시킨 후, 샘플 주파수를 증가시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시킴으로써 고음질의 하이파이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이파이 처리 기술 자체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증폭부(252)와 제 2 스피커(254)는 상술한 증폭부(150)와 스피커(16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에 음원을 출력하는 제 1 스피커 장치(200)와 제 2 스피커 장치(250)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스피커 장치(250)는 제 1 스피커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 1 스피커 장치(200)와 제 2 스피커 장치(250)는 하나의 함체 혹은 두 개의 함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함체 내에 제 1스피커 장치와 제 2스피커 장치가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1스피커 장치와 제 2스피커 장치가 별도의 함체로 구현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스피커 장치를 통해 음원을 출력함에 따라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아날로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202)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30)가 신호 검출부(202)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아날로그 입력부(100)로 입력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호 검출부(202)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 혹은 OP앰프를 이용한 검파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검출부(202)는 아날로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유/무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검출부(202)는 입력되는 신호 중 바람직하지 않은 직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직류 차단 회로부, 증폭 회로, 교류 신호로부터 직류 신호를 얻어내는 정류 회로 및 평활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전압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비교 전압(Vref)에 의해 아날로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전압 비교기를 포함한다. 신호 검출부(202)에 포함된 상기 회로들은 공지된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검출부(202)는 아날로그 입력부(100)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있으면 하이값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없으면 로우값을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신호 검출부(202)에서 신호 검출 결과에 따라 스피커(160)로 출력할 아날로그 신호를 선택한다. 제어부(130)는 신호 검출부(202)로부터 입력되 는 아날로그 신호의 유/무에 따라 아날로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와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110)로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중이라도 PC와 연결된 아날로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검출되면 아날로그 입력부(1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된다.
실제로 사용자가 PC를 사용하는 경우에 음악 파일이나 그 외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 시킬 경우에는 '클릭'과 같은 능동적인 동작을 필요로 한다. 즉, PC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이미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경우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가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던 중에 듣고 싶은 음악이나, 오디오 파일을 재생 시키면 그 신호가 우선적으로 출력된다. 이러한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출력신호를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장치는 조작부(140)가 녹음 기능 신호를 입력 받는 녹음 기능 버튼을 포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가 녹음 기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MP3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MP3 파일을 상기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에 장착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파일 변환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일 변환부(300)는 인코더를 포함한 코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 변환부(300)는 아날로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압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장치가 단지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 뿐 아니라, PC혹은 외부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그 내부가 스피커(160, 254)와 스피커 이외의 회로부(400)로 구분되되, 회로부(400)의 내벽에 차폐 물질(440)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로부(400)가 각 소자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파트와 디지털 파트가 구분되어 장착되고, 차폐된 회로부(400) 내부에 유리섬유(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의 내부는 공진을 통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160, 254)와 그 공진 효과로 발생하는 노이즈 효과를 차단하기 위하여 나머지 회로부(400)가 나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이외에 주변의 전자 기기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노이즈는 전력선을 타고 오디오 출력 장치에 들어올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 예를들어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와 같은 전자파간섭 또는 전자파 장해는 디지털 회로에서 발생하게 된다. 디지털 노이즈는 프리앰프에 유입될 수 있고, 이중 일부는 파워 앰프 전원부 내의 커패시터에 누설되어 음악적인 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와 같은 전자 환경 문제에서의 전자기적 양립성 혹은 전자 적합성에 의하여 오디오 장치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내부에 유리섬유(430)로 공간을 채우고, 내벽에 차폐 물질(440)을 도포하여 상기와 같은 간섭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회로 내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디지털 소자와 아날로그 소자를 분리하여 디지털 파트(410)와 아날로그 파트(420)의 보드를 따로 설정함으로써, 회로간의 전기적인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는 기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노이즈 영향에 민감한 증폭부(150)와 제 2 증폭부(252)는 별도의 보드로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 처리 중 발생하게 되는 노이즈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회로 특성을 개선함으로써 음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입력부를 구비하여 통상적인 PC의 스피커로 이용됨과 동시에 USB포트등의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MP3 음원 파일을 자체적으로 재생함으로 써, 하나의 스피커로 컴퓨터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특별한 재생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외부 메모리만 연결하면 그 메모리에 저장된 MP3파일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하나의 스피커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스피커 장치와 제 2 스피커 장치로 구현됨에 따라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고, 재생할 디지털 음원 데이터에 대하여 샘플링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지터 감쇄 회로를 통과시킨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재생 음질을 개선하여 고음질의 하이파이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로 입력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스피커로 입력 되는 두개의 신호중 출력될 신호를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각 소자들을 디지털 파트와 아날로그 파트로 구분하여 차폐된 보드에 탑재함으로써 아날로그 신호 처리중 발생하게 되는 노이즈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회로 특성을 개선함으로써 음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가 능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되, 녹음 기능 신호를 입력받는 녹음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와;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입력받는 아날로그 입력부와;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입력받는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로 입력된 MP3 음원 파일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 또는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되,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로 입력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조작부로 녹음 기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MP3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MP3 파일을 상기 외부 메모리 엑세스부에 장착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파일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 또는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아날로그 입력부 또는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2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 2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스피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원의 재생 기능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가:
    유입되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하이파이 처리하는 하이파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그 내부가 스피커와 스피커 이외의 회로부로 구분되되,
    상기 회로부의 내벽에 차폐 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가:
    각 소자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파트와 디지털 파트로 구분되어 장착되고,
    차폐된 상기 회로부 내부 공간에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장치.
KR1020060038528A 2006-04-28 2006-04-28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KR100807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28A KR100807351B1 (ko) 2006-04-28 2006-04-28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28A KR100807351B1 (ko) 2006-04-28 2006-04-28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083A KR20070106083A (ko) 2007-11-01
KR100807351B1 true KR100807351B1 (ko) 2008-02-28

Family

ID=3906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528A KR100807351B1 (ko) 2006-04-28 2006-04-28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498B1 (ko) 2022-05-03 2022-09-30 주식회사 데스코 스피커 임피던스에 따라 자동으로 이득을 조절하여 snr을 개선하는 앰프 시스템 및 그에 관한 개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491A (ja) 1998-03-17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
KR20050103020A (ko) * 2004-04-23 2005-10-27 하나 마이크론(주) 유에스비 디바이스에 기록된 오디오/비디오 컨텐츠의 실행및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다기능 플레이어시스템
JP2005311859A (ja) 2004-04-23 2005-11-04 Foster Electric Co Ltd 音響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KR20060028189A (ko) * 2004-09-24 2006-03-29 (주)하은 유니트 유에스비를 이용한 디지털 스테레오 음향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491A (ja) 1998-03-17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
KR20050103020A (ko) * 2004-04-23 2005-10-27 하나 마이크론(주) 유에스비 디바이스에 기록된 오디오/비디오 컨텐츠의 실행및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다기능 플레이어시스템
JP2005311859A (ja) 2004-04-23 2005-11-04 Foster Electric Co Ltd 音響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KR20060028189A (ko) * 2004-09-24 2006-03-29 (주)하은 유니트 유에스비를 이용한 디지털 스테레오 음향 재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498B1 (ko) 2022-05-03 2022-09-30 주식회사 데스코 스피커 임피던스에 따라 자동으로 이득을 조절하여 snr을 개선하는 앰프 시스템 및 그에 관한 개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083A (ko)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6300B2 (en) User profile based audio adjustment techniques
JP2002524996A5 (ko)
CN204559866U (zh) 音频设备
TWI390991B (zh) 音訊裝置與音訊處理方法
US7856109B2 (en) Audio signal switching apparatus
KR100807351B1 (ko) 디지털 음원의 재생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KR101085919B1 (ko) 아날로그 스위치를 이용한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헤드폰신호의 선택적 출력장치 및 방법
CN106293607B (zh) 自动切换音频输出模式的方法及系统
KR20010028354A (ko) 카 오디오용 엠피3 플레이어
JP2001290498A (ja) 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ユニット
KR100678020B1 (ko) 개선된 음원 재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009131A1 (en) Portable audio system
US7778428B2 (en) Sound-source signal processing module
CN101505333A (zh) 具有直录功能的移动终端及其直录方法
JP4747697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並びにリムーバブルメモリ用電子機器
EP1696313A2 (en) An Audio Signal Switching Apparatus
Farkas et al. Home Theater PC Audio Cards
US20050107900A1 (en) Portable computer adapted for use with a loudspeaker unit to reproduce audio playback information with surround sound effects
CN206341381U (zh) 一种卡拉ok无线音响
CN2492991Y (zh) 可独立播放数字语音的喇叭
KR101323949B1 (ko) 디지털 앰프모듈이 구비된 퍼스널컴퓨터 및 그 디지털앰프모듈의 5.1채널 제어방법
JPH0575366A (ja) オーデイオ装置における信号処理回路
KR200182619Y1 (ko) Mp3 기능을 구비한 마우스
US20040131341A1 (en) Portable digital audio/video device
JP2004206752A (ja) デジタル音楽再生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