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275B1 -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 및 그의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 및 그의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275B1
KR100807275B1 KR1020060133041A KR20060133041A KR100807275B1 KR 100807275 B1 KR100807275 B1 KR 100807275B1 KR 1020060133041 A KR1020060133041 A KR 1020060133041A KR 20060133041 A KR20060133041 A KR 20060133041A KR 100807275 B1 KR100807275 B1 KR 100807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ase
strain
geobacillus
high temperature
hyperthermo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경숙
배상동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3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12N9/50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 C12N9/52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bacteria or Archae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hyperthermophilic protease)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Geobacillus kaustophilus) C-2 균주, 및 그를 이용하여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가 생산하는 단백질분해효소는 90 ℃ 이상의 초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므로, 초고온 발효 퇴비를 제조하거나, 하수처리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생오니 및 잉여오니 등의 생물성 오니나 식품공장, 화학공장 등의 제조공정 또는 배수처리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성 오니 등 각종 유기성 고형물의 가용화나 합성세제의 세정작용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등 고온처리를 필요로 하는 매우 다양한 공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초고온성,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Geobacillus kaustophilus, 단백질분해효소, 초고온 발효 퇴비

Description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 및 그의 이용방법{Hyperthermophilic protease-producing Geobacillus kaustophilus C-2 strain and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C-2 균주의 최적생육온도(O.G.T)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는 C-2 균주의 초고온에서의 생육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3은 C-2 균주의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성능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는 배양 온도에 따른 단백질분해효소 활성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5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온도에 대한 기질 반응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단백질분해효소의 온도 안정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7은 계면활성제에 대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8은 금속이온에 대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9는 C-2 균주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10은 지오바실러스 종 중에서 C-2 균주의 위치를 보여주는 계통수이며;
도 11은 C-2 균주와 지오바실러스 속 관련 종의 DNA-DNA 혼성화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hyperthermophilic protease)를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균주 및 그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Geobacillus kaustophilus) C-2 균주, 및 그를 이용하여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s)는 현재 치즈의 생산, 인공 감미료의 합성 및 피혁제품 제조공정의 일부에 사용되고, 합성세제의 세정작용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되며, 하수처리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생오니 및 잉여오니 등의 생물성 오니나 식품공장, 화학공장 등의 제조공정 또는 배수처리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성 오니 등 각종 유기성 고형물의 가용화에 사용되는 등, 산업적으로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열에 안정한 단백질분해효소는 고온에서 활성이 쉽게 유실되는 중온성 단백질분해효소에 비하여 산업적 응용 면에서 더 큰 사용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까지 생리학적인 온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자라는 고온성 박테리아(thermophilic bacteria)에서 많은 종류의 효소들이 발견되었다. 이들 고온성 미생물로부터 수득한 효소들은 중온성 미생물로부터 수득한 같은 기능을 가진 효소들에 비해 열에 더 안정하기 때문에 고온 처리가 필요한 여러 산업분야에 매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최적 배양온도가 50 내지 65 ℃ 이상인 미생물을 초고온성 미 생물이라 하며, 써머스(Thermus) 속, 예를 들어 T. 아쿠아티커스(T. aquaticus), T. 칼도필러스(T. caldophilus), 바실러스(Bacillus) 속, 예를 들어 B. 써모프로테오리티커스(B. thermoproteolyticus), B. 스테아로써모필러스(B. stearothermophilus), B. 칼도리티커스(B. caldolyticus),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속, 예를 들어 S. 써모니트리피칸스(S. thermonitrificans)의 배양액으로부터 열에 안정한 단백질분해효소들이 분리 정제된 바 있다.
한편, 지오바실러스(Geobacillus) 속은 초고온성 간균으로, 2001년 속명이 '바실러스'에서 '지오바실러스'로 바뀌었다.
본 발명자들은 지오바실러스 속(Geobacillus sp.) 균주가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해낸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축산농가의 퇴비로부터 분리한 특정의 미생물 균주가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함을 확인하고, 이 균주를 분리 동정한 결과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에 속하는 새로운 균주임을 밝혀내고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를 분리·특성분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의 배양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면은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KACC 91153P)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면은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KACC 91153P) 균주의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면은
1)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KACC 91153P) 균주를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고;
2) 상기 배양물로부터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축산농가의 퇴비로부터 특정의 미생물 균주(C-2 균주)를 분리해내었다. 상기 C-2 균주는 최적생육온도(optimum growth temperature: O.G.T)가 60 ℃로, 90 ℃ 이상의 초고온에서도 생육가능한 초고온균으로 확인되었다. C-2 균주는 탈지유(1%) 배지에서 투명환을 형성하여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도, 기질에 대한 온도별 특성, 온도 안정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특성 및 금속이온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①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도
C-2 균주를 60 ℃, 80 ℃, 90 ℃ 및 100 ℃의 온도에서 배양한 후 조효소를 추출하고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C-2 균주를 90 ℃에서 배양하여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2 균주를 85~95 ℃, 특히 90 ℃의 온도에서 배양하여 조효소를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② 단백질분해효소의 기질에 대한 온도별 특성
90 ℃에서 추출한 조효소가 기질 반응도가 가장 높으며 35~90 ℃에서 일정한 반응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③ 단백질분해효소의 온도 안정성
90 ℃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35~90 ℃ 범위 내에서 매우 안정적인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100 ℃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100 ℃까지 온도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C-2 균주가 생성하는 단백질분해효소는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임이 확인되었다.
④ 단백질분해효소의 계면활성제에 대한 특성
90 ℃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예: EDTA, SDS)의 경우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는 반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예: Triton X-100, Tween 80)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⑤ 단백질분해효소의 금속이온에 대한 특성
90 ℃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는 망간(Mn2+) 존재 하에서 200% 이상의 효소 활성 증가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C-2 균주를 분류·동정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특징 조사, 균체 지방산 조성 및 퀴논종 분석,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및 DNA-DNA 상동성 분석을 실시하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① 형태학적 특징 조사
C-2 균주는 그램 양성, 간상(길이 2.5 ㎛, 두께 0.5 ㎛)의 형태를 나타내며, 포자를 형성하는 유포자 세균이었다. 콜로니는 백색 또는 크림색을 나타내고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② 균체지방산 조성 및 퀴논종 분석
C-2 균주의 주요 지방산은 이소-15:0(54.61%), 이소-16:0(13.37%), 이소-17:0(16.59)으로 총 지방산 중 84.6%를 차지하여 기지의 지오바실러스 종과 공통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퀴논종은 메나퀴논(MK)-7을 나타내어 C-2 균주는 지오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③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C-2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C-2 균주는 지오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균주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지오바실러스 써모레오보란스(Geobacillus thermoleovorans)와 99.05%,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와 98.22%의 상동성을 나 타내었다.
④ DNA-DNA 상동성 분석
C-2 균주와 지오바실러스 속의 여러 종의 DNA-DNA 상동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와 80%의 상동성을, 지오바실러스 써모레오보란스와 5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C-2 균주를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로 동정하고, 2005년 1월 14일자로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에 기탁완료하고 수탁번호 제KACC 91153P호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는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므로, 퇴비 제조, 유기성 고형물 처리 등과 같이 고온처리를 필요로 하는 매우 다양한 공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C-2 균주의 선발
퇴비 시료로는 충청남북도 축산 농가 10개 지역에서 각각 제조한 가축분뇨 퇴비를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각 퇴비 시료를 10 g씩 정량하여 멸균수 90 ㎖에 넣고 균질화기(Ace M-10, Nihonseiki, Japan)로 15,000 rpm에서 2 분간 충분히 분산 시킨 후 9 ㎖ 멸균수가 든 시험관에 넣어 10-5, 10-6, 10-7배로 순차적으로 희석하였다. 순차적으로 희석한 최종 희석수로부터 100 ㎕의 토양시료를 희석한 영양육즙배지(nutrient agar medium)에 각각 분주한 후 평판도말법으로 고르게 도말하였다. 모든 시료는 60 ℃에서 3 일간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를 계수하고 형성된 콜로니로부터 해부현미경(Zoom 2000, Leica)을 이용하여 10개의 퇴비시료에서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세균에 대해 60 ℃에서 단백질 분해능을 조사한 결과,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C-2 균주를 선발하였다.
실시예 2: C-2 균주의 최적생육온도 측정
상기 분리된 C-2 균주의 최적생육온도(O.G.T)를 알아보기 위해 45 ℃~80 ℃ 온도 범위 내에서 생육도(OD595 ㎚)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C-2 균주의 최적생육온도는 60 ℃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C-2 균주의 초고온에서의 생육능 확인
90 ℃ 이상의 초고온에서 평판배지를 이용하여 생균수를 측정할 경우 고온에서 한천배지가 건조되어 콜로니 형성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Kogure(문헌 [1984, An improved direct viable count method for aquatic bacteria, Arch . Hydrobiol. 102, 117-122])가 제안한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직접생균수측정법(direct viable count: DVC)으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직접생균수 측 정에 사용되는 아크리딘 오렌지(AO) 형광색소보다 DNA에 친화성이 높은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B)를 이용하였다. DVC법에 사용되는 DNA 합성저해제로는 날리딕산(nalidixic acid)(100 ㎍/㎖), 피페미드산(pipemidic acid)(50 ㎍/㎖), 피로미드산(piromidic acid)(50 ㎍/㎖)의 혼합액을 사용하였으며, 영양기질로는 희석육즙배지(10-1 NB)를 첨가하였다.
최적생육온도 60 ℃에서 48 시간 동안 전배양한 C-2 균주 배양액을 90 ℃, 100 ℃ 및 120 ℃에서 2 시간씩 열처리한 후 상기 영양기질과 DNA 합성저해제를 첨가한 후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B)로 염색하여 형광현미경(DMLS, Leica) 하에서 관찰하였다. 이때, 90 ℃, 100 ℃ 및 120 ℃의 열처리 후 생존한 생세포는 유기영양물을 기질로 이용하여 세포합성을 하지만 DNA 합성저해제로 인해 세포분열이 억제되어 신장·비대화되나 열에 의해 사멸한 세포는 신장·비대화되지 않는 차이점으로 생균수와 사균을 판별하여 측정하였다. 생균수는 20개 이상의 화상에서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60 ℃에서 생균수는 4.0×106 세포/㎖이었는데 90 ℃에서 2 시간 열처리 후에는 5.8×105 세포/㎖의 생존력을 나타내었고, 100 ℃의 열처리 후 생균수는 2.3×105 세포/㎖, 120 ℃ 열처리 후 1.8×105 세포/㎖의 생존력을 나타내어, C-2 균주는 초고온성 세균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C-2 균주의 단백질분해효소 생성능 조사
탈지유 1%를 기질로 첨가한 영양배지에 C-2 균주를 접종하고 최적생육온도 60 ℃에서 48 시간 배양하면서 단백질분해효소 생성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2 균주는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성하여 5 ㎜ 이상의 커다란 투명환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5: C-2 균주의 단백질분해효소 활성도 측정
C-2 균주를 60 ℃, 80 ℃, 90 ℃ 및 100 ℃의 각 온도에서 배양한 후 조효소를 추출하고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도를 Anson의 방법(문헌 [1983, The estimation of pepsin, trypsin, papain, and cathepsin with hemoglobin, The Journal of General Physiology, 79-89])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으며, C-2 균주를 90 ℃에서 배양하여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역가가 105 유닛/㎖로 효소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6: 단백질분해효소의 기질에 대한 온도별 특징 조사
단백질분해효소의 기질(Na-카제인)에 대한 온도별 반응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60 ℃, 80 ℃, 90 ℃ 및 100 ℃에서 추출한 조효소를 35 ℃~100 ℃ 범위에서 활성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90 ℃에서 추출한 조효소가 기질 반응도가 가장 높고 35 ℃~90 ℃에서 일정한 반응도를 나타내며, 100 ℃에 서 추출한 조효소는 90 ℃에서 추출한 조효소 보다 비교적 낮은 기질 반응도를 나타내지만 100 ℃의 고온에서도 기질반응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실시예 7: 단백질분해효소의 온도 안정성 조사
단백질분해효소의 온도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60 ℃, 80 ℃, 90 ℃ 및 100 ℃에서 추출한 조효소를 35 ℃~100 ℃ 범위에서 온도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 ℃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35 ℃~90 ℃ 범위 내에서 매우 안정적인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0 ℃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100 ℃까지 온도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C-2 균주가 생성하는 단백질분해효소는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단백질분해효소의 계면활성제에 대한 특징 조사
단백질분해효소의 계면활성제(EDTA, SDS, Triton X-100, Tween 80)에 대한 활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90 ℃에서 추출한 조효소를 대상으로 계면활성제에 대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성 계면활성제(EDTA, SDS)의 경우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는 반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Triton X-100, Tween 80)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단백질분해효소의 금속이온에 대한 특징 조사
단백질분해효소의 금속이온(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구리, 아연, 철 및 망간)에 대한 활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90 ℃에서 추출한 조효소를 대상으로 금속이온에 대한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간 존재 하에서 200% 이상의 효소 활성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C-2 균주의 분류 · 동정
1) 형태학적 특징
C-2 균주의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SEM)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C-2 균주는 그램 양성, 간상(길이 2.5 ㎛, 두께 0.5 ㎛)의 형태를 나타냈으며 포자를 형성하는 유포자 세균이었다. 콜로니는 백색 또는 크림색을 나타내고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었다(표 1 참조).
C-2 균주의 형태학적 특징
특징 C-2 균주
그람 염색성 양성
세포 형태 간상형
세포 크기 2.5 ㎛×0.5 ㎛
콜로니 색 백색, 크림색
콜로니 형태 불규칙한 형태
포자 양성
2) 균체 지방산 조성 및 퀴논종 분석
균체 지방산 조성과 퀴논종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C-2 균주의 세포 지방산 조성 및 퀴논종
지방산 총 세포 지방산의 %
이소 14:0 1.14
14:0 0.58
이소 15:0 54.61
안트이소 15:0 3.19
15:0 2.21
이소 14:0 3OH 0.32
이소 16:0 13.37
이소 15:0 2OH/16:1w7c 0.31
16:0 1.94
이소 17:1w5c 0.73
이소 17:0 16.59
안트이소 17:0 5.02
16:1 w7c/ 이소 15 2OH 0.31
퀴논종 MK-7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요 지방산은 이소-15:0(54.61%), 이소-16:0(13.37%), 이소-17:0(16.59)으로 총 지방산 중 84.6%를 차지하여 기지의 지오바실러스 종과 공통의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퀴논종은 메나퀴논(MK)-7을 나타내어 C-2 균주는 지오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3)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C-2 균주로부터 염색체 DNA를 추출하여 16S rDNA-PCR 증폭산물에 대해 염기서열(1500 bp)을 해석한 후 DDBJ/EMBL/GenBank의 데이터베이스와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C-2 균주는 지오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균주임을 확인되었다. 특히 지오바실러스 써모레오보란스와 99.05%,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와 98.2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도 10은 지오바실러스 종 중에서 C-2 균주의 위치를 보여주는 계통수이다.
4) DNA-DNA 상동성 분석
C-2 균주와 지오바실러스 속의 여러 종의 DNA-DNA 상동성 분석을 Seldin & Dubnau(1985)(문헌 [Deoxyribonucleic acid homology among Bacillus polymyxa, Bacillus macerans, Bacillus azotofixans, and other nitrogen-fixing Bacillus strains. Int . J. Syst . Bacteriol . 35, 151-154])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즉, 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의 지오바실러스 속 표준균주(G. stearothermophilus KACC10843, G. thermocatenulatus KACC11364, G. vulcani KACC11367, G. uzenensis KACC11368, G. subterraneus KACC11369, G. kaustophilus KACC11373, G. thermoleovorans KACC11374, G. lituanicus KACC11510)와 C-2 균주의 DNA-DNA 상동성 분석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1: Geobacillus sp. C-2, 2: G. stearothermophilus KACC10843, 3: G. thermocatenulatus KACC11364, 4: G. vulcani KACC11367, 5: G. uzenensis KACC11368, 6: G. subterraneus KACC11369, 7: G. kaustophilus KACC11373, 8: G. thermoleovorans KACC11374, 9: G. lituanicus KACC11510).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C-2 균주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와 80%의 상동성을 나타내고, 지오바실러스 써모레오보란스와 5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C-2 균주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로 동정되었다.
5) C-2 균주의 기탁
본 발명에 따른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는 2005년 1월 14일자로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에 기탁완료하고 수탁번호 제KACC 91153P호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는 90 ℃ 이상의 초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므로, 초고온 발효 퇴비를 제조하거나, 하수처리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생오니 및 잉여오니 등의 생물성 오니나 식품공장, 화학공장 등의 제조공정 또는 배수처리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성 오니 등 각종 유기성 고형물의 가용화나 합성세제의 세정작용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등 고온처리를 필요로 하는 매우 다양한 공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Geobacillus kaustophilus) C-2(KACC 91153P) 균주.
  2.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KACC 91153P) 균주의 배양물.
  3. 1)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KACC 91153P) 균주를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고;
    2) 상기 배양물로부터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지오바실러스 카우스토필러스 C-2(KACC 91153P) 균주를 85~95 ℃의 온도에서 배양하는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방법.
KR1020060133041A 2006-12-22 2006-12-22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 및 그의 이용방법 KR100807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041A KR100807275B1 (ko) 2006-12-22 2006-12-22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 및 그의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041A KR100807275B1 (ko) 2006-12-22 2006-12-22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 및 그의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275B1 true KR100807275B1 (ko) 2008-02-28

Family

ID=3938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041A KR100807275B1 (ko) 2006-12-22 2006-12-22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 및 그의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2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544B1 (ko) 2019-06-11 2019-12-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75728B1 (ko) * 2019-12-06 2020-11-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용 미생물 제제
WO2021112349A1 (ko) * 2019-12-06 2021-06-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용 미생물 제제
KR20210071550A (ko) 2019-12-06 2021-06-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균주인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식물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용 미생물 제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014A (ko) * 2003-08-27 2005-08-30 가부시키가이샤 신꼬간꾜우솔루션 신규 미생물 및 그 미생물을 사용한 유기성 고형물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014A (ko) * 2003-08-27 2005-08-30 가부시키가이샤 신꼬간꾜우솔루션 신규 미생물 및 그 미생물을 사용한 유기성 고형물의 처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xtremophiles, Vol. 8(5), pp. 351-356 (2004)
Nucleic Acids Res., Vol. 32(21), pp. 6292-6303 (2004)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544B1 (ko) 2019-06-11 2019-12-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0251113A1 (ko) * 2019-06-11 2020-12-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75728B1 (ko) * 2019-12-06 2020-11-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용 미생물 제제
WO2021112349A1 (ko) * 2019-12-06 2021-06-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용 미생물 제제
KR20210071550A (ko) 2019-12-06 2021-06-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균주인 지오바실러스속 균주 및 식물 혼합제제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용 미생물 제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seekaran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bacterial strain producing thermostable α-amylase
KR100807275B1 (ko) 초고온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지오바실러스카우스토필러스 c-2 균주 및 그의 이용방법
KR102494770B1 (ko) 신규 페니바실러스 속 Daeji-L2 균주
Gudeta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arch degrading rhizobacteria from soil of Jimma University Main Campus, Ethiopia
KR100702258B1 (ko) 신규미생물
KR101156161B1 (ko) 메밀 속성장으로부터 유래된 저영양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에이치제이18-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Narihiro et al. Activity and phylogenetic composition of proteolytic bacteria in mesophilic fed-batch garbage composters
Vazquez et al. Effect of isolation temperature on the characteristics of extracellular proteases produced by Antarctic bacteria
Chaudhary et al. Acidovorax monticola sp. nov., isolated from soil
KR20220162899A (ko) 식물 생장 촉진 및 식물병 방제 활성을 갖는 마이크로박테리움 테스타세움 ddp398 균주 및 이의 용도
JP4086235B2 (ja) 新規微生物
Nataraja et al. Effect of temperature on cellulose enzyme activity in crude extracts isolated from solid wastes microbes
Nashima et al. Production and optimization of lipase from wild and mutant strains of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CN109609399A (zh) 一种苏云金芽孢杆菌DavⅣ及其应用
Nabagye et al.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species’ distribution patterns of extremophilic bacteria in Kitagata and Ihimbo hot springs in South Western Uganda
Abdelaziz et al.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Putative Oligotrophic Bacteria in Fayoum Soils, Egypt
JP2022070116A (ja) 芽胞菌の栄養細胞検出方法
EP1692296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n alkaline protease from a deep-sea fungus
Fitri et al. Isolation and Celulolytic Activity Assay of Actinobacteria Isolated from Palm Oil Wastewater
Yassin et al. Research Article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stable Amylase-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Soil Samples of Afdera, Afar Region, and Molecular Detection of Amylase-Coding Gene
Sudha et al. Studies on industrially significant haloalkaline protease from Bacillus sp. JSGT isolated from decaying skin of tannery
Kim et al. Influence of Chinese Milkvetch (Astragalus sinicus L.) with no-tillage on soil biotic factors and rice yield
Shalehudin et al. Screening of presumptive amylase-producing bacillus bacteria isolated from soil containing dairy food waste
Obi et al. Isolation and Enzymatic Activity of Thermophilic Bacteria from Waste Dump Sites in Umudike Town
US20050101002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low temperature active alkaline protease from a deep-sea fung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