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255B1 -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255B1
KR100807255B1 KR1020070011865A KR20070011865A KR100807255B1 KR 100807255 B1 KR100807255 B1 KR 100807255B1 KR 1020070011865 A KR1020070011865 A KR 1020070011865A KR 20070011865 A KR20070011865 A KR 20070011865A KR 100807255 B1 KR100807255 B1 KR 100807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ing
guide grooves
air guide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은
권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와 탈취부재의 접촉을 높여 탈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를 개시한다. 개시한 탈취필터는 각각의 일면에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되며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다수의 공기안내홈들을 구비하고 이 공기안내홈들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탈취부재, 공기안내홈들로 자외선 조사를 위해 제1탈취부재와 제2탈취부재 사이에 배치된 자외선램프,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공기안내홈들을 각각 덮도록 자외선램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투명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DEODORIZING FILTER AND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가 적용된 공기정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탈취필터, 20: 필터케이스,
30: 제1탈취부재, 31,41: 공기안내홈,
40: 제2탈취부재, 50: 자외선램프,
61: 제1투명판, 62: 제2투명판,
100: 공기정화장치, 110: 본체,
111: 흡입구, 112: 토출구,
120: 송풍팬, 131: 제1송풍경로,
132: 제2송풍경로, 141: 항균프리필터,
142: 정전필터, 143: 미세집진필터.
본 발명은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와 탈취부재의 접촉을 증대시켜 탈취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정화장치나 냉장고의 저장실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가 설치되고 있다. 실내공기에 포함된 악취나 냉장고 내부의 김치냄새 등을 탈취필터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종래의 탈취필터로는 광 반응을 통하여 탈취기능을 발휘하는 필터가 알려져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754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탈취필터는 표면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탈취부재와, 탈취부재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를 갖추고 있다. 탈취부재는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양면이 관통하는 벌집형태의 격자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탈취필터는 탈취부재에 도포된 광촉매물질이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과 반응하면서 공기 중의 냄새성분을 제거한다. 공기 중 냄새는 탈취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탈취필터와 접촉하게 되면서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탈취필터는 공기가 탈취부재를 통과하는 경로가 짧아 공기가 탈취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와 탈취부재의 접촉이 적기 때문에 공기의 탈취효율이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물론 공기를 반복적으로 순환시켜 탈취필터를 통 과시킬 경우 어느 정도 탈취효과를 높일 수 있겠으나 이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와 탈취부재의 접촉을 높여 탈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는 각각의 일면에 공기의 유동방향 형성되며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다수의 공기안내홈들을 구비하고 이 공기안내홈들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탈취부재, 상기 공기안내홈들로 자외선 조사를 위해 상기 제1탈취부재와 상기 제2탈취부재 사이에 배치된 자외선램프,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공기안내홈들을 각각 덮도록 상기 자외선램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투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취필터는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필터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공기안내홈들의 양단과 연통을 위해 양쪽 측면에 각각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안내홈들은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안내홈들은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공기안내홈들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송풍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송풍장치와, 공기의 탈취를 위해 상기 본체 내부의 송풍경로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탈취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필터는 각각의 일면에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되며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다수의 공기안내홈들을 구비하고 이 공기안내홈들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탈취부재, 상기 공기안내홈들로 자외선 조사를 위해 상기 제1탈취부재와 상기 제2탈취부재 사이에 배치된 자외선램프,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공기안내홈들을 각각 덮도록 상기 자외선램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투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각각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필터(10)는 필터케이스(20)의 내부에 적층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대체로 평판형으로 마련된 제1탈취부재(30)와 제2탈취부재(40), 제1탈취부재(30)와 제2탈취부재(40) 사이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50)를 구비한다.
제1탈취부재(30)는 양단이 연통하는 공기유로의 형성을 위해 하면에 공기의 유동방향(폭 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공기안내홈(31)을 구비한다.
공기안내홈들(31)은 제1탈취부재(30) 하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이고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된 형태로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한 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공기안내홈들(31)의 간격을 넓게 나타낸 것이나, 실제로는 이들의 간격이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탈취부재(40)에도 제1탈취부재(30)와 동일한 형태의 공기안내홈들(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탈취부재(30)와 제2탈취부재(40)는 각각의 공기안내홈들(31,41)이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제1 및 제2탈취부재(30,40)는 종이나 수지재질로 마련된다. 또 제1 및 제2탈취부재(30,40)의 공기안내홈들(31,41) 내면에는 자외선과 반응하여 강한 산화력을 발생시키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냄새를 분해하는 산화티타늄(TiO₂) 등의 광촉매물질이 도포된다.
자외선램프(50)는 제1탈취부재(30)와 제2탈취부재(4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공기안내홈들(31,4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자외선램프(5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제1 및 제2탈취부재(31,40)의 각 공기안내홈(31,41)으로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탈취부재(30)의 공기안내홈(31) 쪽과 제2탈취부재(40)의 공기안내홈(41) 쪽에는 자외선램프(50)가 설치된 공간(51)과 공기안내홈들(31,41)을 구획하도록 공기안내홈들(31,41)을 덮는 제1투명판(61)과 제2투명판(62)이 각각 설치된다. 이는 공기안내홈들(31,41)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이 자외선램프(50)가 존재하는 공간(51)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자외선램프(50)의 자외선이 각 공기안내홈(31,41)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제1 및 제2투명판(61,62)은 각 공기안내홈(31,41)을 덮어 좁고 긴 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안내홈(31,41)을 통과하는 공기와 공기안내홈(31,41) 내면의 접촉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투명판(61,62)은 두께가 얇은 유리, 아크릴, 수지재 투명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투명판(61,62)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자외선램프(50)가 설치되는 공간(51) 양측에는 자외선램프(50)의 양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투명판(61,62)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들(63,64)이 설치된다.
필터케이스(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제2탈취부재(40), 제2투명판(62), 자외선램프(50), 제1투명판(61), 제1탈취부재(30)가 차례로 적층된 상태의 내장부품들을 그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필터케이스(20)는 금속판재나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케이스(20) 양쪽 측면에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탈취부재(30,40)의 공기안내홈들(31,41) 양단과 외부가 연통하도록 개구들(21,22)이 형성된다. 이는 한 쪽 개구(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 및 제2탈취부재(30,40)의 공기안내홈들(31,41)을 통과한 후 반대편 개구(2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필터케이스(20)의 양쪽 측면에는 자외선램프(50)가 설치되는 공간(51)으로 공기기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부(23,24)가 각각 마련된다. 필터케이스(20)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탈취부재(30,40) 등을 그 내부로 진입시킨 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들(25)이 마련된다.
이러한 탈취필터(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개구(2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각 공기안내홈(31,41)을 통과하여 반대편의 개구(22)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는 길이가 긴 터널형태의 각 공기안내홈(31,4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안내홈(31,41)의 내면과 충분한 면접촉을 한다. 이 과정에서 자외선램프(50)로부 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제1 및 제2투명판(61,62)을 통과하여 각 공기안내홈(31,41)을 고르게 조사한다. 특히 각 공기안내홈(31,41)은 단면이 반원형태이기 때문에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내면으로 자외선이 원활히 도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탈취필터(10)는 공기가 통과하는 동안 공기와 공기안내홈(31,41) 내면의 광촉매물질과 많은 면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종래보다 탈취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탈취필터(10)가 공기정화장치, 냉장고, 공기조화기 등에 적용되면 종래보다 공기의 탈취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10)가 적용된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공기정화장치(100)는 전면에 흡입구(111)가 마련되고 상부에 토출구(112)가 마련된 본체(110)를 구비한다.
본체(110) 내부의 후방에는 흡입구(111)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12) 쪽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20)이 설치된다. 송풍팬(120)은 통상의 횡류팬으로 구성된다. 또 본체(110)의 내부는 구획판(114)에 의하여 하부의 제1송풍경로(131)와 상부의 제2송풍경로(132)로 구획된다. 이는 송풍팬(120)이 동작할 때 전면의 흡입구(11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제1송풍경로(131)를 통하여 후방으로 유입된 후 상부의 제2송풍경로(132)를 통하여 토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송풍경로(131) 내에는 흡입구(111) 쪽으로부터 항균프리필터(141), 전기집진식 정전필터(142), 탈취필터(10), 미세집진필터(143)가 차례로 설치된다. 탈취필터(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긴 평판형태이므로 제1송풍경로(131) 내에 복수개가 겹층으로 설치된다. 또 탈취필터(10)의 전방과 후방 에는 탈취필터(10)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탈취필터(10)를 거친 공기가 미세집진필터(143) 쪽으로 흐르기 용이하도록 각각 이격공간들(151,15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100)는 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제1송풍경로(131) 내에 마련된 항균프리필터(141), 전기집진식 정전필터(142), 탈취필터(10), 미세집진필터(143)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제2송풍경로(132)를 거쳐 토출구(112)로 배출되므로 실내공기의 정화 및 탈취를 수행할 수 있다. 또 탈취필터(10)를 통과하는 공기가 긴 터널형태의 공기안내홈들(31,41)을 통과하면서 공기안내홈(31,41) 내면의 광촉매물질과 충분히 접촉하게 되므로 통상의 공기정화장치에 비하여 높은 탈취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는 공기가 좁고 긴 터널형태의 공기안내홈을 통과하면서 공기안내홈 내면의 광촉매물질과 많은 접촉을 하기 때문에 공기와 탈취부재의 접촉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탈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각각의 일면에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되며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다수의 공기안내홈들을 구비하고 이 공기안내홈들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탈취부재,
    상기 공기안내홈들로 자외선 조사를 위해 상기 제1탈취부재와 상기 제2탈취부재 사이에 배치된 자외선램프,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공기안내홈들을 각각 덮도록 상기 자외선램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투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필터는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배의 외측에 설치되는 필터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공기안내홈들의 양단과 연통을 위해 양쪽 측면에 각각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홈들은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홈들은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공기안내홈들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필터.
  6.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송풍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송풍장치와, 공기의 탈취를 위해 상기 본체 내부의 송풍경로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탈취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필터는 각각의 일면에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되며 광촉매물질이 도포된 다수의 공기안내홈들을 구비하고 이 공기안내홈들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탈취부재,
    상기 공기안내홈들로 자외선 조사를 위해 상기 제1탈취부재와 상기 제2탈취부재 사이에 배치된 자외선램프,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공기안내홈들을 각각 덮도록 상기 자외선램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투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필터는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필터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공기안내홈들의 양단과 연통을 위해 양쪽 측면에 각각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홈들은 상기 제1 및 제2탈취부재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홈들은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공기안내홈들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070011865A 2007-02-05 2007-02-05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 KR10080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865A KR100807255B1 (ko) 2007-02-05 2007-02-05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865A KR100807255B1 (ko) 2007-02-05 2007-02-05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255B1 true KR100807255B1 (ko) 2008-02-28

Family

ID=3938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865A KR100807255B1 (ko) 2007-02-05 2007-02-05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665B1 (ko) * 2019-08-22 2020-03-03 (주)제이엔텍 유해공기 살균 및 탈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461A (ja) 1999-05-19 2000-11-28 Tobishima Corp 空間内の気体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029721A (ja) 1999-07-16 2001-02-06 Equos Research Co Ltd 空気清浄機
KR20040075457A (ko) * 2003-02-21 2004-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20050066353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461A (ja) 1999-05-19 2000-11-28 Tobishima Corp 空間内の気体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029721A (ja) 1999-07-16 2001-02-06 Equos Research Co Ltd 空気清浄機
KR20040075457A (ko) * 2003-02-21 2004-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20050066353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665B1 (ko) * 2019-08-22 2020-03-03 (주)제이엔텍 유해공기 살균 및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66037A1 (en) Air filtration and treatment apparatus
CA2566220C (en) Air purifying device
KR20140003240A (ko) 유체 정화 장치
JP2021511161A (ja) 流体処理装置
KR102311002B1 (ko)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211753935U (zh) 流体处理模块以及包括流体处理模块的保管装置
KR20220048338A (ko)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광촉매판 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KR101516765B1 (ko) 광촉매 공기 살균정화장치
KR20190062720A (ko) 적층된 다공판을 구비하는 광촉매 모듈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0807255B1 (ko) 탈취필터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장치
KR100598320B1 (ko) 광촉매 필터 모듈과 이를 장착한 공기청정기
KR200340227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살균기
KR102554054B1 (ko) Uv-led 모듈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2462066B1 (ko) 유체 처리 장치
KR200330036Y1 (ko) 공기청정기
KR102603940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1682291B1 (ko) 타워형 광촉매 정화장치
KR100492322B1 (ko)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102527042B1 (ko) 화학기상증착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청정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패널
KR102399684B1 (ko) 공기 정화기
KR102481601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02527912B1 (ko) 고효율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살균 정화장치
KR102487242B1 (ko) 에어컨 탈부착용 공기정화살균기
KR102447989B1 (ko) 피드백 공기 흐름을 갖는 공기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