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700B1 - 강판 포장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강판 포장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700B1
KR100806700B1 KR1020070048197A KR20070048197A KR100806700B1 KR 100806700 B1 KR100806700 B1 KR 100806700B1 KR 1020070048197 A KR1020070048197 A KR 1020070048197A KR 20070048197 A KR20070048197 A KR 20070048197A KR 100806700 B1 KR100806700 B1 KR 100806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teel plate
bent
pedestals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3971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067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skelet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된 강판을 운반 및 적재하기 위해 포장할 때 사용하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적재되는 여러 장의 강판들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상단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배열된 복수의 하부 받침대;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상부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상기 각 하부 받침대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수평상태로 배열되어서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의 접촉부분들이 용접으로 고정된 복수의 상부 받침대;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 각 상부 받침대의 일측 시작부분에서 타측 끝부분으로 일정 간격마다 용접으로 상호 연결되어 각 상부 및 하부 받침대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부분적으로 이어주는 복수의 연결띠판; 및
상기 각 하부 받침대 중 양측에 위치한 하부 받침대의 밑변에서 시작하여 각 상부 받침대의 밑변까지 이르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고정되어 각 상부 받침대의 양측부분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는 단부 지지판으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70048197
강판, 강판 포장, 철판 절곡, 받침대

Description

강판 포장용 받침대{SUPPORTER FOR PACKING STEEL PLATE}
도 1은 종래 강판 포장용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강판이 적재되어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강판이 적재되어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강판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강판이 적재되어 포장된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강판이 적재되어 포장된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 받침대 20: 상부 받침대
30: 연결띠판 40: 엠보싱 비드
50: 단부 지지판 60: 철띠
본 발명은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된 강판을 운반 및 적재하기 위해 포장할 때 사용하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적재되는 여러 장의 강판들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냉연강판 또는 열연강판 등은 생산 후 판매를 위해서는 적정한 규격으로 절단되고, 이 절단된 강판을 보관하거나 특정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여러 장을 층으로 쌓은 적재상태로 일단 포장이 되어야 하는데, 이때 적재되는 강판을 받쳐주는 것이 바로 받침대이다.
종래, 목재로 제작된 강판 포장용 받침대는 아비돈(Apitong)과 같은 강성 목재가 사용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수평상태로 배열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하부 받침대와, 아비돈과 같은 강성 목재가 사용되며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부로 교차된 상태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수평상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강판을 적재하기 위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받침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와 상부 받침대는 고정못으로 서로 고정되었다.
이와 같이 목재로 제작된 강판 포장용 받침대는 첫째, 원재료비가 날로 상승 되는 수입 목재를 사용하고 있어서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고, 둘째, 받침대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서 운반비용이 증대되며, 셋째, 하부 받침대와 상부 받침대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고정 못이 쉽게 부식되어 받침대의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이러한 목재 강판 포장용 받침대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와 상부 받침대(2)가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된 기술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를 개발하여 출원(출원번호 20-2006-0012095)한 사실이 있다.
상기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의하면, 상기 하부 받침대(1)는 냉간압연된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형태로 절곡시켜서 사용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수평상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받침대(2)는 냉간압연된 철판을 요철부(4)가 연속되도록 절곡시켜 제작된다. 상기 요철부(4)는 상부돌출부(4a), 하부돌출부(4b) 및 상부돌출부(4a)와 상부돌출부(4a) 사이에 위치된 가운데 돌출부(4c)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돌출부(4a)의 상면과 하부돌출부(4b)의 상면은 가운데 돌출부(4c)의 상면을 기준으로 각각 상부와 하부로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부 받침대(2)는 하부 받침대(1) 위에서 교차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수평상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강판 포장용 받침대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제철소에서 생산된 냉연강판 또는 열연강판이 동일한 규격으로 절단된 후에 이 절단된 강판들이 각 상부 받침대(2)에 접촉된 상태로 올려지고, 이와 같은 상태 로 여러 장의 강판이 층을 이루면서 적재되면 철띠(3)로서 적재된 강판을 여러 곳 밴딩하여서, 서로 한 몸으로 조여서 포장을 완료한다.
상기에서 철띠(3)로서 적재된 강판과 여러 곳 밴딩할 때는, 하부 받침대(1)가 냉간압연된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형태로 절곡시켜 형성한 것이므로 상기 철띠(3)를 하부 받침대(1)의 속이 빈 중공부를 따라서 끼워 넣은 다음 적재된 강판을 감싼 상태로 밴딩처리하면 되고, 상부 받침대(2)를 철띠(3)로서 적재된 강판과 여러 곳 밴딩할 때는 요철부(4) 중 중간 돌출부(4c) 쪽으로 철띠(3)를 끼워 넣은 다음 적재된 철판을 감싼 상태로 밴딩처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는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철판으로 제작되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전반적으로 중량이 감소되므로 운반비용이 절감되고, 하부 받침대(1)의 바닥면 접촉면적이 넓어서 운반하는 차량의 운행시 브레이크의 작동 등으로 인해서도 포장상태의 강판이 쉽게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어 안전운행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도 사용과정에서 아직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종래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는 첫째, 철판을 요철부가 연속되게 절곡하여 제작되는 상부 받침대는 휨 응력이 약하여서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휘는 변형이 발생 되고, 지게차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휘는 굴곡변형이 발생 되며, 둘째,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형태로 절곡하여 제작되는 하부 받침대는 휨 하중을 받을 때에 발생 되는 좌굴 현상으로 인하여 사다리꼴을 형성하기 위하여 철판이 접어져서 서로 만나는 부분에서 한 쪽 끝 부분이 다른 쪽 끝 부분을 타고 올라서는 단면모양변형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2가지의 변형이 누적되어서 장기간 반복하여 사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 받침대의 굴곡변형과 하부 받침대의 단면모양 변형을 방지하여서 장기간 반복하여 사용하여도 그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상단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배열된 복수의 하부 받침대;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상부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상기 각 하부 받침대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수평상태로 배열되어서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의 접촉부분들이 용접으로 고정된 복수의 상부 받침대;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 각 상부 받침대의 일측 시작부분에서 타측 끝부분으로 일정 간격마다 용접으로 상호 연결되어 각 상부 및 하부 받침대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부분적으로 이어주는 복수의 연결띠판; 및 상기 각 하부 받침대 중 양측에 위치한 하부 받침대의 밑변에서 시작하여 각 상부 받침대의 밑변까지 이르도록 외측으로 경사지 게 연장 고정되어 각 상부 받침대의 양측부분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는 단부 지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상단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배열된 복수의 하부 받침대;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하부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상기 각 하부 받침대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수평상태로 배열되어서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의 접촉부분들이 용접으로 고정된 복수의 상부 받침대; 각 하부 받침대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부분적으로 이어주도록 상기 각 하부 받침대의 일측 시작부분에서 타측 끝부분으로 일정 간격마다 용접되고, 상기 각 상부 받침대의 상단 내측에 용접된 복수의 연결띠판; 및 상기 각 하부 받침대 중 양측에 위치한 하부 받침대의 밑변에서 시작하여 각 상부 받침대의 밑변까지 이르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고정되어 각 상부 받침대의 양측부분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는 단부 지지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각 상부 받침대는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부분적으로 이어주도록 각 상부 받침대의 일측 시작부분에서 타측 끝부분으로 일정간격마다 용접된 연결띠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 각 상부 받침대가 가지는 사다리꼴 단면모양의 하부 절곡부분 모서리각도는 80도 내지 87도의 범위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하부 받침대 및 각 상부 받침대의 측벽에는 엠보싱 비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비드는 각 하부 받침대 및 각 상부 받침대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거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강판 포장용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강판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강판이 적재되어 포장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강판 포장용 받침대에 강판이 적재되어 포장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상부 받침대의 형상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각 하부 받침대(10)는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되 시작부분(11)인 일측부분에서부터 끝부분(12)인 타측부분으로 모두 사다리꼴 단면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도록 절곡하여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철판은 냉간압연된 것을 사용하고, 두께는 대략 1.4㎜가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는 지면에 접촉되는 하부면이 상부면보다 넓은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는데, 이는 강판이 포장 완료된 후에 운반 및 보관할 때 지면에 지지된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의 지지면적을 넓게 하여 구조적인 안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상부 받침대(20)가 일정간격을 두고 직각방향으로 수평되게 배열되어서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와의 접촉부분들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기술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의 상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부 받침대(20)가 상호 연결되게 용접으로 고정되어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는 적재되는 강판의 짧은 변과 같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각 상부 받침대(20)는 적재되는 강판의 긴 변과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구성은 최종적인 하중을 전달받는 하부 받침대(10)에 휨 하중이 작게 전달되도록 하여서 전체적으로 구조적인 안정을 가지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상기 각 상부 받침대(20)도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와 마찬가지로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되 절곡된 시작부분(21)과 끝부분(22)이 모두 사다리꼴 단면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도록 절곡하여서 제작된다. 여기에서, 상기 철판은 냉간압연된 것을 사용하고, 두께는 대략 1.4㎜가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띠판(30)은 상기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상부 받침대(20)들의 시작부분(21)인 일측단에서 부터 끝부분(22)인 타측단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용접을 통해 상호 연결 고정된다. 이는 각 상부 받침대(20)의 상부 절곡부가 모두 이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이어져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과정에서 각 상부 받침대(20) 위로 강판을 적재하였을 때 상기 각 상부 받침대가 수직 하중에 의해 벌어지지 않 도록 하면서도 강판의 자체 무게 및 운반과정에서 휨이 발생하려 할 때 이를 적절히 흡수하여 변형성이 심하게 일어나는 일도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띠판(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하부 받침대(10)와 상기 각 상부 받침대(20)의 양단부와 중간부의 적절한 위치마다 배치되어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연결띠판(30)의 위치는 철띠로 적재된 강판들과 상부 받침대(20) 및 하부 받침대(10)를 동시에 감싸서 밴딩할 때 구조적인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받침대(2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각 상부 받침대(20)는 절곡된 시작부분(21)과 끝부분(22)이 사다리꼴 단면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각 상부 받침대(20)의 절곡된 시작부분(21)과 끝부분(22)의 상호 간격이 커지도록 하여 전체적인 철판 사용량을 크게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부 받침대(20)는 각 하부 받침대(10)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수평상태로 배열되어서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의 접촉부분들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띠판(30)은 상기 각 상부 받침대(30)의 상단 내측에 용접된다. 이는, 철띠로 적재된 강판들과 상부 받침대(20) 및 하부 받침대(10)를 동시에 감싸서 밴딩할 때, 구조적인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게 하는 것은 물론 철띠가 밴딩되는 부분인 상부 받침대(30)의 상단부분의 강도가 취약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연결띠판(30)은 각 상부 받침대(30)의 상단 내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용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상부 받침대(20)는 절곡된 시작부분(21)과 끝부분(22)을 부분적으로 이어주도록 상기 각 상부 받침대(20)의 일측 시작부분에서 타측 끝부분으로 일정간격마다 용접된 연결띠판(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띠판(30)은 각 상부 받침대(20)의 상단 내측뿐만 아니라 절곡된 시작부분(21)과 끝부분(22)이 위치된 상부 받침대(20)의 하단에도 용접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부 받침대(20)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더욱 우수해짐은 물론, 양단부에 배치된 하부 받침대(10)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받침대(20)의 양단부에서 강도가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와 각 상부 받침대(20)가 가지는 사다리꼴 단면모양의 하부모서리각도(α)는 80도 내지 87도의 범위가 적당하다. 이는 하부모서리각도(α)가 너무 작으면 적은 하중에도 쉽게 찌그러지고, 하부모서리각도(α)가 90도에 가까워지면 휨 하중시에 발생하는 좌굴 변형으로 인하여 단면의 원형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각 하부 받침대(10) 및 각 상부 받침대(20)의 측벽에는 엠보싱 비드(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엠보싱 비드(40)는 각 하부 받침대(10)와 상부 받침대(20)의 측벽부분 강성을 증대시켜서 휨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싱 비드(40)는 하부 받침대(10)와 상부 받침대(20)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싱 비드(40)는 하부 받침대(10)와 상부 받침대(20)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 다. 이 경우, 상기 엠보싱 비드(40)는 하부 받침대(10)와 상부 받침대(20)의 양단을 가로지르는 단일의 비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로 분할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물론 이와 같은 엠보싱 비드(40)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하부 받침대(10) 중에서 양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의 양측부분 밑변에서 시작하여 상기 각 상부 받침대(20)의 밑변까지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단부 지지판(50)들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상부 받침대(20)의 자유단부가 가급적 짧은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서 중량이 양단부에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각 상부 받침대의 양측부분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함에 있다.
한편, 상기 단부지지판들(50)은 하부 받침대(10)의 전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받침대(20)가 설치된 구간마다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 강판 포장용 받침대를 이용하여 적재된 강판을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철소에서 생산된 냉연강판 또는 열연강판이 동일한 규격으로 절단되면, 이 절단된 강판들은 운송수단으로 각 상부 받침대(20)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올려지고, 이와 같은 상태로 여러 장의 강판이 층을 이루면서 적재되면, 철띠(60)로서 적재된 강판을 여러 곳 밴딩하여 주는데, 이때 각 하부 받침대(10)와 각 상부 받침 대(20) 및 적재된 강판들이 서로 한 몸이 되도록 조여져서 여러 장의 강판이 한꺼번에 포장 완료된다.
상기에서 각 하부 받침대(10)를 철띠(60)로서 적재된 강판들과 여러 곳 밴딩할 때는,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가 냉간압연된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형태로 절곡시켜 형성한 것이므로 상기 철띠(60)를 상기 각 하부 받침대(10)의 속이 빈 중공부를 따라서 끼워 넣은 다음 적재된 강판을 감싼 상태로 밴딩처리하면 되고, 각 상부 받침대(20)를 철띠(60)로서 적재된 강판과 여러 곳 밴딩할 때에도 상기 각 상부 받침대(20)가 냉간압연된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형태로 절곡시켜 형성한 것이므로 상기 각 철띠(60)를 상기 각 상부 받침대(20)의 속이 빈 중공부를 따라서 끼워 넣은 다음 적재된 강판을 감싼 상태로 밴딩처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는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철판으로 제작되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전반적으로 중량이 감소되므로 운반비용이 절감되고, 하부 받침대의 바닥면 접촉면적이 넓어서 운반하는 차량의 운행시 브레이크의 작동 등으로 인해서도 포장상태의 강판이 쉽게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어 안전운행이 가능한 종래 강판 포장용 받침대의 장점을 그대로 가진다.
상기 본 발명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는 각 상부 받침대(20)도 각 하부 받침대(10)와 동일하게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으로 절곡하여 제작되므로 단면의 높이가 커져서 휨 응력이 크게 증대되어서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휘는 굴곡변형을 억제하고, 지게차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중앙부가 오목하게 휘는 굴곡변형을 억제하는 장점이 더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는 각 하부 받침대(10)가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의 상면을 형성하는 일측 시작부분(11)과 타측 끝부분(12)이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도록 제작되므로, 휨 하중을 받을 때에 발생 되는 좌굴 현상으로 인하여 철판이 접어져서 서로 만나는 부분에서 한 쪽 끝 부분이 다른 쪽 끝 부분을 타고 올라서는 단면모양변형이 발생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더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 포장용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철판으로 제작되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둘째, 전반적으로 중량이 감소되므로 운반비용이 절감된다.
셋째, 각 하부 받침대의 바닥면 접촉면적이 넓어서 운반하는 차량의 운행시 브레이크의 작동 등으로 인해서도 포장상태의 강판이 쉽게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어 안전운행이 가능하다.
넷째, 각 상부 받침대의 휨 응력이 크게 증대되어서 크레인이나 지게차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발생되는 굴곡변형을 억제된다.
다섯째, 각 하부 받침대들이 철판을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의 상면을 형성하는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도록 제작되므로 휨 하중을 받을 때에 발생 되는 좌굴 현상으로 인하여 철판이 접어져서 서로 만나는 부분에서 한 쪽 끝 부분이 다른 쪽 끝 부분을 타고 올라서는 단면모양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철판을 하부면이 상부면보다 넓은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상단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배열된 복수의 하부 받침대;
    철판을 하부면이 상부면보다 넓은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상부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그 하부면이 상기 각 하부 받침대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수평상태로 배열되어서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의 접촉부분들이 용접으로 고정된 복수의 상부 받침대;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 각 상부 받침대의 일측 시작부분에서 타측 끝부분으로 일정 간격마다 용접으로 상호 연결되어 각 상부 및 하부 받침대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부분적으로 이어주는 복수의 연결띠판; 및
    상기 각 하부 받침대 중 양측에 위치한 하부 받침대의 밑변에서 시작하여 각 상부 받침대의 밑변까지 이르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고정되어 각 상부 받침대의 양측부분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는 단부 지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
  2. 철판을 하부면이 상부면보다 넓은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상단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배열된 복수의 하부 받침대;
    철판을 하부면이 상부면보다 넓은 속이 빈 사다리꼴의 단면모양을 가지도록 절곡하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단면의 하부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제작되며, 상기 각 하부 받침대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수평상태로 배열되어서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의 접촉부분들이 용접으로 고정된 복수의 상부 받침대;
    각 하부 받침대의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부분적으로 이어주도록 상기 각 하부 받침대의 일측 시작부분에서 타측 끝부분으로 일정 간격마다 용접되고, 상기 각 상부 받침대의 상단 내측에 용접된 복수의 연결띠판; 및
    상기 각 하부 받침대 중 양측에 위치한 하부 받침대의 밑변에서 시작하여 각 상부 받침대의 밑변까지 이르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고정되어 각 상부 받침대의 양측부분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는 단부 지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 받침대와 각 상부 받침대가 가지는 사다리꼴 단면모양의 하부 절곡부분 모서리각도는 80도 내지 87도의 범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 받침대 및 각 상부 받침대의 측벽에는 엠보싱 비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비드는 각 하부 받침대 및 각 상부 받침대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비드는 각 하부 받침대 및 각 상부 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 받침대는 절곡된 시작부분과 끝부분을 부분적으로 이어주도록 각 상부 받침대의 일측 시작부분에서 타측 끝부분으로 일정간격마다 용접된 연결띠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포장용 받침대.
KR1020070048197A 2007-02-20 2007-05-17 강판 포장용 받침대 KR100806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2926 2007-02-20
KR2020070002926 2007-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700B1 true KR100806700B1 (ko) 2008-03-03

Family

ID=3939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197A KR100806700B1 (ko) 2007-02-20 2007-05-17 강판 포장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713B1 (ko) 2010-08-30 2011-01-17 남선철강공업주식회사 조립식 철재 파레트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0703U (ko) * 1987-11-02 1989-07-11 신영명 강판 하치대
KR950008806U (ko) * 1993-09-08 1995-04-17 전상구 빠렛드
JP2000053133A (ja) 1998-08-10 2000-02-22 Toho Sheet & Frame Co Ltd 平らな荷受け用パレット
KR200261408Y1 (ko) 2001-10-18 2002-01-23 (주)대영에스피 화물 운송 적치대
JP2002337872A (ja) * 1999-09-10 2002-11-27 Naohiko Yokoshima スキッド及びスキッド載置台
KR200336053Y1 (ko) 2003-09-17 2003-12-11 (주)에이엘팔레트 팔레트
JP2004011129A (ja) * 2002-06-03 2004-01-15 Toho Sheet & Frame Co Ltd 格子状構造体組立用みぞ形鋼の接続構造
KR20040016959A (ko) * 2004-02-04 2004-02-25 주식회사 삼정산업 철재 파렛트용 채널형 다리부와 그 제작 방법.
KR200421675Y1 (ko) 2006-05-04 2006-07-19 주식회사 엘디 강판 포장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0703U (ko) * 1987-11-02 1989-07-11 신영명 강판 하치대
KR950008806U (ko) * 1993-09-08 1995-04-17 전상구 빠렛드
JP2000053133A (ja) 1998-08-10 2000-02-22 Toho Sheet & Frame Co Ltd 平らな荷受け用パレット
JP2002337872A (ja) * 1999-09-10 2002-11-27 Naohiko Yokoshima スキッド及びスキッド載置台
KR200261408Y1 (ko) 2001-10-18 2002-01-23 (주)대영에스피 화물 운송 적치대
JP2004011129A (ja) * 2002-06-03 2004-01-15 Toho Sheet & Frame Co Ltd 格子状構造体組立用みぞ形鋼の接続構造
KR200336053Y1 (ko) 2003-09-17 2003-12-11 (주)에이엘팔레트 팔레트
KR20040016959A (ko) * 2004-02-04 2004-02-25 주식회사 삼정산업 철재 파렛트용 채널형 다리부와 그 제작 방법.
KR200421675Y1 (ko) 2006-05-04 2006-07-19 주식회사 엘디 강판 포장용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713B1 (ko) 2010-08-30 2011-01-17 남선철강공업주식회사 조립식 철재 파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81269A (ja) コルゲーテッドパレット
US9751657B2 (en) Material handling pallet
RU2019112074A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US2311280A (en) Reversible pallet
US10351297B2 (en) Light weight folded corrugated pallet
KR101933661B1 (ko) 격자 러너용 인텍스 탭
JP2022540644A (ja) 輸送に便利な輸送用パレットやデッキ
KR100806700B1 (ko) 강판 포장용 받침대
EP0187834B1 (en) Material handling pallet
EP2792617A1 (en) Holder and arrangement for holding a coil during transport
CA2894440C (en) A transport unit and a method for lifting such a transport unit
US2196470A (en) Loading spacer for sheet steel and concentrated loads
AU2012201019A1 (en) Pallet-like underframe for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s for liquids
US2616361A (en) Form for use in making brick packs
WO2014155597A1 (ja) 金属製丸棒の梱包体
US2064383A (en) Method and means for preparing sheet metal for shipment
US1875104A (en) Skid
JP2005096804A (ja) 金属製パレット及び金属製保護パレット
CN206202916U (zh) 金属托盘
KR20150053875A (ko) 빗물 저류 적층 구조체에 사용하는 구조 부재
KR200421675Y1 (ko) 강판 포장용 받침대
CN216835349U (zh) 一种用于铝卷装箱的集装箱结构
CN216547447U (zh) 一种钢卷运输保护装置
KR20140045082A (ko) 구조적으로 안정한 강판 포장용 받침대
JP7287702B1 (ja) 建方用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426

Effective date: 201310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118

Effective date: 201404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87;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300000638;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501

Effective date: 201704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8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516

Effective date: 201707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