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844B1 -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844B1
KR100804844B1 KR1020010038480A KR20010038480A KR100804844B1 KR 100804844 B1 KR100804844 B1 KR 100804844B1 KR 1020010038480 A KR1020010038480 A KR 1020010038480A KR 20010038480 A KR20010038480 A KR 20010038480A KR 100804844 B1 KR100804844 B1 KR 100804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suction
water pump
filter
filter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793A (ko
Inventor
정종구
Original Assignee
정종구
서영식
정용하
정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구, 서영식, 정용하, 정용준 filed Critical 정종구
Priority to KR102001003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844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4/1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 E04H4/1618Hand-held powered cleaners
    • E04H4/1636Suction cleaners
    • E04H4/1645Connections to the pool water circulat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수동풀청소기의 흡입용 호스에 결합하여 수영장 바닥의 물때, 석회가루, 유산반토 또는 이와 유사한 화학적성질을 갖는 유기/무기 응집제 등과 반응한 고농도의 오물, 또는 헤어핀/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진공흡입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수영장의 물을 정화하기 위한 수동풀청소기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이동용의 핸드카트(10)에 양수기(40)를 탑재하고 이 양수기(40)에 상기와 같은 오염물을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여과하기 위한 제1의 여과수단(20) 및 제2의 여과수단(30)을 장착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되, 이 제1의 여과수단(20)은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타단부는 폐쇄된 중공체의 외통(20a)과, 그 안에 내설된 다공성의 망통(20b)과, 상기 외통(20a)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오염물흡입용의 흡입관(20c)으로 구성하여 이 흡입관(20c)을 통하여 수동풀청소기의 흡입구에 고정연결된 제1의 흡입용 호스(51)를 연결하고 상기 망통(20b)의 개방부를 통하여 제2의 흡입용 호스(52)를 양수기(40)의 흡입구(40a)와 연통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의 흡입용 호스(51)를 통하여 진공흡입된 오염물중, 양수기(40)의 임펠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카락/헤어핀등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여과시키도록 하고, 제2의 여과수단(30)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여과포로 구성하여 양수기(40)의 토출구(40b)에 다층형태로 고정장착함으로써 상기 제2의 흡입용 호스(52)를 통하여 양수기(40)의 토출구(40b)로 토출되는 오염물, 즉 제1의 여과수단(20)에 의하여 여과되지 않은 일부 오염물을 굵은 입자부터 미세한 입자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여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과포, 여과장치, 여과방법, 풀청소

Description

풀청소기용 여과장치{An Apparatus For The Filtration Of Pollutant For Use In A Pool Creaner}
도1은 종래예에 의한 개략적인 여과처리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상태의 일례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부 사시도
도5는 도3의 평면도.
도6은 도3에 도시된 제1의 여과수단의 분해도.
도7은 제1의 여과수단내의 오염물의 흡입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의 여과수단의 장착구성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의 여과수단의 장착구성도.
도10은 제2의 여과수단을 구성하는 여과포의 평면도.
도11은 도10의 A-A선 단면도.
도12는 도11에서의 여과포의 정면과 측면상태의 일부 절결사시도.
본 발명은 수영장 바닥의 물때, 석회가루, 유산반토 또는 이와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갖는 유기/무기 응집제 등과 반응한 고농도의 오물, 또는 헤어핀/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수동풀청소기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상의 수동풀청소기와 연결하여 수영장내의 오염물을 진공흡입하여 여과가능하도록 이동용의 핸드카트에 양수기를 탑재하고 이 양수기에 상기와 같은 오염물을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여과하기 위한 복수개의 여과수단을 장착한 구조를 갖는 수동풀청소기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장은 여러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관계로 수영장내에는 바디오일, 썬탠로션등의 화학물질과 분뇨등의 불순물, 수영자의 머리카락등의 이물질, 또는 유산반토 또는 이와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갖는 유기/무기 응집제 등과 반응한 고농도의 오물이 극소량 누적되어 수질의 청결성을 크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물질의 부폐로 인하여 오염을 일으키게 되므로, 정기적으로 오염물을 여과하여 정화된 물을 수영장에 재공급할 수 있도록 수질관리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수동풀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기에 연결된 호스를 수영장의 벽면에 설치된 흡입용 휘팅(fitting ; 기관실로 통하는 배관에 연결되는 금구로서, 통상 수영장의 벽면 상단에서 10∼30cm의 아래에 위치함)에 연결하고 나서 기관실내에서 흡입용 밸브등을 개방함으로써 수영장내의 물을 배관으로 배출시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수질처리를 하고 있다. 즉, 풀청소기의 호스를 통하여 기관실의 배관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은 먼저 집모기(集毛器)(61)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집모기(61)에 의하여 가압펌프(62)의 임펠러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된 물질, 예를들면 머리카락 등의 섬유류 또는 헤어핀·반지등의 금속류등을 1차적으로 여과시킨 후에 집모기(61)에서 여과되지 않은 나머지 오염물을 가압펌프(62)를 거쳐 여과기(63)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시킨다. 이때, 여과기(63)로서 모래, 자갈, 활성탄등을 이용한 여과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압펌프(62)와 이 여과기(63) 사이에 설치된 응집제투입기(64)로써 일명 "유산반토"로 불리우는 황산알미늄등의 응집제를 투입하여 오염물을 블록화시킨 후에 여과처리하거나, 또는 여과기로서 규조토여과기(다수개를 직렬로 설치한 여과포에 규조토를 흡착시켜 규조토막을 형성시킨 흡착성여과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압펌프(63)를 통과한 오염물이 바로 규조토막에 흡착되도록 하여 여과처리를 한 후에, 최종적으로 pH조절 및 수질살균을 위해 각각 pH조절제투입기(66)와 살균제투입기(67)에 의하여 차염산소다등의 살균제나 기타 화학약품을 투입하고 나서 정수된 물을 수영장으로 재공급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65는 히팅으로서, 수영장의 물을 27∼28℃로 유지하기 위한 가열수단이다.
이와같이, 종전에는 오염물의 여과처리를 위하여는 풀청소기의 호스를 수영장내의 휘팅에 연결하여 오염물을 흡입하기 위한 배관조작을 함과 함께 수영장의 아래층에 위치한 기관실을 자주 드나들면서 각 장치의 밸브조작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특히 응집제로 인하여 수영장 폐장이후에는 수영장 바닥에 고농도의 물질이 침강되어 점착되기 때문에 이를 풀청소기로 제거하여 호스로 흡입할 경우, 호스를 통하여 흡입되는 블록화된 입자들이 기관실의 여과기에 걸려지게 되면서 여과기에 대략 50mm정도의 응고막을 형성하게 되어 여과기의 기능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역세척을 자주 실시(통상적으로 1일에 1회∼2회정도)하여야 함은 물론, 역세척을 위하여 세척수로서 수위조절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야 하는 등 비경제적인 면이 있었다.
더우기, 다수개의 여과포에 규조토막을 형성시킨 규조토여과기의 경우에는 직격수압을 계속적으로 받게되면 규조토막이 벌어지게 되어 입자가 작은 규조토는 여과포를 통과하여 바로 수영장으로 유입되거나, 또한 역세척을 하더라도 바로 탈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속에 의하여 여과포에 점착되어 있던 미세한 부유물질은 역세척후 공급되는 역수에 의하여 바로 수영장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고, 그로 인하여 수영장이 뿌옇게 혼탁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모래, 자갈, 활성탄 여과기의 경우에는, 잦은 역세척으로 인하여 그 입자가 분쇄되기 때문에 결국 그 수명이 단축되어 여과기능이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풀청소기의 호스를 수영장내의 휘팅에 연결하는 배관조작과 기관실의 밸브조작을 필요로 함이 없이 수영장내에서 직접 머리카락, 블록화된 입자, 및 미세입자등의 오염물을 순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영장 물의 청명도를 증대시킴은 물론, 오염물의 여과후 기관실의 여과기가 오염으로 인하여 압력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여과기의 역세척회수를 단축시킴과 동시에 그 여과기에 사용되는 여과제 또는 활성탄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여과기의 기능저하를 방지하면서 여과작업 효율을 극대화한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는 적정장소로 자유자재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부에 구동바퀴가 장착된 핸드카트의 기판상에 양수기를 탑재하고, 핸드카트의 이동손잡이 부분에 외부전원장치에 연결되는 전선의 권선릴과 콘트롤박스를 설치하고, 상기 양수기의 일측편에 섬유류, 금속류, 또는 플라스틱류등의 오염물을 여과하는 집모기로서의 기능과 함께 흡상고의 향상기능을 하는 수단으로서,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타단부는 폐쇄된 중공체(中空 )의 외통과 그 내부에 다공성의 망통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통의 상단부에 오염물흡입용의 흡입관을 일체로 형성한 제1의 여과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흡입관과 수동풀청소기에 고정연결된 제1의 흡입용 호스를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고, 상기 외통과 망통의 각각의 선단부를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한 후에 이 체결부재와 양수기의 흡입구사이에 제2의 흡입용 호스를 연결하고, 제1의 여과수단에 의하여 여과되지 않은 일부 오염물을 다단계로 순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여과포로 된 제2의 여과수단을 최내층, 중간층, 및 최외층의 순으로 양수기의 토출구에 다층형태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여과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최내층으로서의 제1의 여과포와, 제1의 여과포를 에워싸도록 제1의 여과포의 길이보다 긴 중간층으로서의 제2의 여과포, 및 제2의 여과포를 에워싸도록 제2의 여과포의 길이보다 긴 최외층으로서의 제3의 여과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여과포의 각 선단부는 말단부보다 폭이 좁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은 양수기(40)에 인접하여 설치시, 제1의 여과수단(20)의 외통(20a)의 중심선이 양수기(40)의 임펠러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의 여과수단은 양수기의 토출구에 장착시, 그 토출구에 연설된 엘보우관에 체결된 이음관에 제1의 커플링수단을 체결하고 이 제1의 커플링수단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의 흡입용 호스와 동일치수를 갖는 제3의 흡입용 호스를 연결하고 이 제3의 흡입용 호스에 호스연결용관을 체결하고나서 이에 제2의 커플링수단을 체결한후에 이 제2의 커플링수단의 일단부에 제2의 여과수단을 다층으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의 여과수단은 양수기의 토출구에 장착시, 그 토출구에 연설된 엘보우관에 체결된 이음관에 상기 제2의 커플링수단을 직접 체결한 후에 이 제2의 커플링수단의 일단부에 다층으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의 커플링수단의 일단부에 제2의 여과수단의 다층장착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의 여과포의 선단부를 상기 제2의 커플링수단의 일단부에 삽입하고 나서, 제1의 여과포를 에워싸도록 제2의 커플링수단의 일단부에 삽입된 제1의 여과포의 선단부 위에 제2의 여과포의 선단부를 겹치게 배치하고, 다시 제2의 여과포를 에워싸도록 제2의 여과포의 선단부 위에 제3의 여과포의 선단부를 겹치게 배치하고, 제1, 제2, 및 제3의 여과포가 상기 제2의 커플링수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3의 여과포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스크류밴드로써 벤딩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의 커플링수단의 일단부에 제2의 여과수단의 다층장착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의 여과포의 선단부를 상기 제2의 커플링수단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제1의 소케트를 체결하고 이 제1의 소케트에 제1의 니플을 체결하며 이 제1의 니플에 제2의 소케트를 체결하고 나서 제2의 소케트에 제2의 니플을 체결한 상태에서, 이 제2의 니플의 외주면에 제1의 여과포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제1의 스크류밴드로써 벤딩체결하고, 제1의 여과포를 에워싸도록 제1의 니플의 외주면에 제2의 여과포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제2의 스크류밴드로써 벤딩체결하고, 다시 제2의 여과포를 에워싸도록 제3의 여과포의 선단부를 제2의 커플링수단의 일단부에 삽입하여 제3의 스크류밴드로써 벤딩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여과포의 각 말단부는 각각 그 여과포안에 포집된 오염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금속제의 클램프에 의하여 기밀하게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여과포는 미세한 다공성을 갖는 주머니형의 부직포이고, 일자형으로 편평하게 접혀지도록 양측면에 각각 복수개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에 있어서, 제1의 여과포의 그물눈의 크기는 30∼50μ이고, 상기 제2의 여과포의 그물눈의 크기는5∼10μ이며, 상기 제3의 여과포의 그물눈의 크기는 2∼3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상태도이고, 도3과 도4는 본 발명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5는 도3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수영장내의 적정장소로 자유자재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부에 구동바퀴가 장착된 핸드카트(10)의 기 판(10a)상에 양수기(40)를 탑재하고, 이 양수기(40)의 일측편에 제1의 여과수단(20)을 장착하여 양수기(40)의 흡입구(40a)와 제1의 여과수단(20)를 흡입용 호스(52)에 의하여 연결장착하고, 그 토출구(40b)에는 제2의 여과수단(30)을 다층형태로 장착하며,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에 풀청소기에 연결된 흡입용 호스(51)를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풀청소기로서 종래의 어떠한 종류의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자에 의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97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의 하부 및 양측면에 물때 나 이물질등의 세척용의 브러쉬가 취부된 구조를 갖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상기 양수기(40)로서는 엔진 또는 전동용 모두 사용할 수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정격출력 2HP, 전압 220V, 최대양수량 26,000ℓ/h, 흡입경과 토출경 2 inch의 사양을 갖는 통상의 전동용 양수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40a)와 토출구(40b)가 구비된 케이싱(40c)과, 이 케이싱(40c) 내부에 흡입되는 물의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가능케 설치된 임펠러(미도시)와, 이 임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0d)로 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40d)에 외부전원장치 연결용의 전선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외부전원장치에 연결되는 전선은 수영장의 규모에 따라 핸드카트(10)를 적재적소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으나, 전선이 길게 늘어져 있으면 청소작업등을 하는 데 있어 걸리적 거릴 수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핸드카트(10)의 이동손잡이부(10b)의 상부에 소정 길이의 전선을 감기 위한 전선권선릴(11)을 장착하여, 핸드카트(10)의 이동에 따라 전선권선릴(11)이 회전하면서 전선이 감기거나 풀리게끔 하였다. 이 전선권선릴(11)의 장착은 도5와 같이 상기 이동손잡이부(10b)의 일내측에 형성된 통공에 전선권선릴(11)의 지지부(11a)를 삽통한 후,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수영장의 규모는 소형풀의 경우에는 약 15×6m이고, 상용풀의 경우에는 약 25×10∼50m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전선의 길이는 최대 50m까지 길게 할 수 있으나, 전압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최단길이의 전선만을 권선하는 것이 유효하다.
상기 이동손잡이부(10b)의 하부에는 지지판(10c)을 고정설치하여, 이 지지판(10c)의 일면에 양수기 제어용의 콘트롤박스(12)를 장착하고 있다.
한편, 핸드카트(10)의 기판(10a)상에는 양수기(40)와 인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여과수단(2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1의 여과수단(20)은 종래와 같이 임펠러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머리카락, 헤어핀, 반지등의 섬유류, 금속류, 또는 플라스틱류를 여과하는 통상의 집모기로서의 기능과, 양수기(40)에 의하여 수영장의 물을 양수함에 있어서 흡입수면에서 임펠러축까지의 거리인 흡입양정, 즉 흡상고를 향상시키는 기능과 함께 수밀보충용의 물탱크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에 대하여는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은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반면, 타단부는 폐쇄된 중공체(中空 의) 외통(20a)과 그 내부에 수납설치되는 다공 성의 망통(20b)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폐쇄된 타단부에 근접한 외통(20a)의 상단부에는 오염물 흡입용의 흡입관(20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20a)의 하단부에는 핸트카(10)의 기판(10a)상에 고정장착하기 위한 2개의 지지대(20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망통(20b)의 외경치수는 상기 외통(20a)의 내경치수보다 작고, 특히 그 망통(20b)의 길이 또한 외통(20a)의 길이보다 작고, 그 길이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통(20b)이 외통(20a)에 내설시 망통(20b)의 말단부가 외통(20a)의 흡입관(20c)을 막지 않는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통(20a)의 말단부와 망통(20b)의 말단부 사이에는 빈공간(S)이 생기게 됨으로써 이 공간(S)은 저압상태로 되어 외통(20a)의 흡입관(20c)을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을 강한 진공력에 의하여 외통(20a)내부측으로 강하게 흡입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같은 제1의 여과수단(20)은 그 상단부에 형성된 흡입관(20c)에 니플(21)과 T자관(22)을 수직으로 연설하되, 그 T자관(22)의 상단부에 밀폐용의 캡(23)을 장착하고, 그 중앙부에 제1의 이음관(24)을 연설하고 이에 체크밸브(25)를 체결함과 동시에 이 체크밸브(25)에 제2의 이음관(26a)을 연설하되, 이 제2의 이음관(26a)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커플링수단(27a)를 고정체결한 후, 이 커플링수단(27a)의 일단부에 수동풀청소기의 흡입구에 고정장착된 제1의 흡입용 호스(51)를 고정연결한다. 또한, 제1의 여과수단(20)의 외통(20a)과 망통(20b)의 각 선단부를 하나의 체결캡(28)으로 함께 체결하고 이 체결캡(28)에 상기 제2의 이음관(26a)의 구조와 동일한 제3의 이음관(26b)를 연설한 후, 이 제3의 이음관(26b)의 일단부에 커플링수단(27b)를 체결하여 이 일단부와 양수기(40)의 흡입구(40a)를 연통시키기 위한 제2의 흡입용 호스(52)를 연결하되, 상기 흡입구(40a)에 연결되는 제2의 흡입용 호스(52)의 일단부는 상기와 같이 커플링수단(27c)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3 참조). 상기 체결캡(28)은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내경폭이 좁아지는 3단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에는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의 외통(20a)의 수나사부와, 망통(20b)의 수나사부, 및 제3의 이음관(26b)의 수나사부를 각각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수기(40)는 그 안에 약 2500cc정도의 물이 충진되고, 임펠러의 회전시 그 수밀수량은 약 800∼1000cc로서, 최대 흡상고가 8m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의 흡입관(20c)과 수동풀청소기의 흡입구(40a)와 연결되는 제1의 흡입용 호스(51)의 길이는 상기 최대흡상고에 부합되도록 8m이어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용풀의 규모를 감안하여 대략 25m의 호스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흡입용의 호스가 양수기(40)의 흡상고를 초과하게 되면, 양수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흡상고를 증대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부설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해결수단으로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1의 여과수단(20)을 채택한 것이다. 즉, 양수기에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양수기에 충진된 물이 일부 빠져나감으로써 그 안에 진공흡입을 위한 수밀수량이 부족하게 되나, 본 발명에 의한 제1의 여과수단(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제1의 여과수단(20)내에 대략 4500cc정도의 물이 충진되어 있으므로, 양수기내에 부족한 수밀수량을 여기서 보충함으로써 진공흡입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1의 여과수단(20)에 형성된 빈공간(S)에 의하여 진공력이 더 커지게 되고, 이에 의하여 흡입력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25m 길이의 제1의 흡입용 호스(51)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외통(20a)내로 강하게 흡입하여 수밀수량의 증가와 함께 양수능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흡상고를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제1의 여과수단(20)을 핸드카트(10)의 기판(10a)상에 고정장착할 때 제1의 여과수단(20)의 중심선이 양수기(40)의 임펠러의 중심선과 거의 일치하도록 제1의 여과수단(20)을 배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배치하는 이유는 일종의 기관실내의 수위조절탱크의 기능과 같이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기포발생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며, 만일 서로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게 제1의 여과수단(20)을 배치할 경우에는 기포가 발생하게 되어 흡입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원활한 여과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제2의 여과수단(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 및 도9는 양수기의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오염물이 각각 포집된 상태에서의 복수개의 여과포로 된 제2의 여과수단의 장착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복수개의 여과포(31)(32)(33)는 모두 미세한 그물눈을 갖는 주머니형의 부직포이며, 그 길이와 그물눈의 크기만 약간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포(31)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1개의 여과포만 도시하였음), 일자형의 구조로서, 그 선단부(31a)는 개방된 구조를 갖고, 말단부(31b)에 비하여 폭이 좁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더욱이,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여과포(31)는 접어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양측 면에 선단부(31a)에서 말단부(31b)까지 이어지는 복수개의 주름부(31c1∼31c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름부(31c1∼31c6)에 의하여 강제로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도8와 도9에서는 양수기(40)의 토출구(40b)를 통하여 토출된 오염물이 포집된 경우, 제2의 여과수단을 구성하는 각 여과포(31)(32)(33)의 주름부(31c1∼31c6)가 펴지면서 페리컨의 형상처럼 부풀어 오르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제2의 여과수단(30)은 도2의 본 발명의 사용상태 일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장착을 위하여는 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수기(40)의 토출구(40b)에 니플(41), 엘보우관(42), 및 이음관(43)을 순차 연설하고 이 이음관(43)에 체결된 제1의 커플링수단(44a)의 일단부에 제3의 흡입용 호스(53)를 고정연결하고 이 제3의 흡입용 호스(53)의 일단부에 고정연결된 호스연결관(45)에 제2의 커플링수단(44b)을 체결한 후, 이 제2의 커플링수단(44b)의 일단부에 복수개의 여과포(31)(32)(33)로 된 제2의 여과수단(30)을 최내층, 중간층, 및 최외층의 순으로 다층으로 장착하며, 그 장착은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실시형태로 행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장착방법으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의 여과포(31)를 최내층으로 하여 그의 선단부(31a)를 상기 제2의 커플링수단(44b)의 일단부에 삽입하고 나서, 제1의 여과포(31)를 에워싸도록 제2의 커플링수단(44b)의 일단부에 삽입된 제1의 여과포(31)의 선단부(31a) 위에 제1의 여과포(31)의 길이보다 긴 중간층의 제2의 여과포(32)의 선단부(32a)를 겹치게 배치하고, 다시 제2의 여과포(32)를 에워싸도록 제2의 여과포(32)의 선단부(32a) 위에 제2 의 여과포(32)의 길이보다 긴 최외층의 제3의 여과포(33)의 선단부(33a)를 겹치게 배치하고, 제1, 제2, 및 제3의 여과포(31)(32)(33)가 상기 제2의 커플링수단(44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3의 여과포(33)의 선단부(33a)의 외주면에 스크류밴드(34)로써 벤딩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장착방법으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의 커플링수단(44b)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제1의 소케트(45a)를 체결하고 이 제1의 소케트(45a)에 제1의 니플(46a)을 체결하며 이 제1의 니플(46a)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2의 소케트(45b) 및 제2의 니플(46b)을 체결한 후에, 이 제2의 니플(46b)의 외주면에 최내층의 제1의 여과포(31)의 선단부(31a)를 삽입하여 제1의 스크류밴드(35a)로써 벤딩체결하고, 제1의 여과포(31)를 에워싸도록 제1의 니플(46a)의 외주면에 중간층의 제2의 여과포(32)의 선단부(32a)를 삽입하여 제2의 스크류밴드(35b)로써 벤딩체결하고, 다시 제2의 여과포(32)를 에워싸도록 최외층의 제3의 여과포(33)의 선단부(33a)를 제2의 커플링수단(44b)의 일단부에 삽입하여 제3의 스크류밴드(35c)로써 벤딩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여과포(31)(32)(33)의 각 말단부는 각각 그 안에 포집된 오염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금속제의 클램프(36)(37)(38)에 의하여 기밀하게 폐쇄된다. 상기 각각의 클램프(36)(37)(38)는 그 외부에 충격보호를 위하여 합성수지, 예를들면, 고무호스가 삽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제1, 제2, 및 제3의 여과포(31)(32)(33)는 각각 양측면에 길게 형성된 주름부(31c1∼31c6)에 의하여 선단부에서 말단부까지 접혀진 상태로 있으므로 그 선단부가 커플링수단 또는 니플을 감싸는 것은 물론, 말단부에 클램프를 체결하기가 편리한 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최내층의 제1의 여과포(31)는 그물눈의 크기가 대략 30∼50μ로서, 모래, 고형물등의 굵은 입자의 오염물을 여과시키는 기능을 하고, 중간층의 제2의 여과포(32)의 것은 대략 5∼10μ로서, 상기 제1의 여과포(31)에 의하여 여과되지 않은 석회가루등의 미세한 입자의 오염물을 여과시키는 기능을 하며, 최외층의 제3의 여과포(33)의 것은 대략 2∼3μ정도로서, 제2의 여과포(32)에 의하여 여과되지 않은 규조토 또는 진흙등의 초미세입자의 오염물을 여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원발명에서는 제2의 여과수단으로서 3개의 여과포를 장착한 예를 들었으나, 여과목적에 따라 그물눈의 크기를 더 세분하여 3개 이상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3의 여과포(33)의 그물눈의 크기보다 작게 하고 그 길이 보다 긴 제4의 여과포를 상기한 방식과 같이 제3의 여과포(33)를 에워싸도록 장착할 경우에는, 오염물중 바디오일, 썬탠로션등이 응집된 반고형물질까지 여과할 수가 있다.
이렇게 장착된 제2의 여과수단(30)은 풀장안이나 풀장밖에 배치할 수가 있으나, 본 발명자에 의하면, 풀장안에 배치하였을 경우에 최적의 효과를 거둘 수가 있었다. 이 제2의 여과수단(30)을 풀장안에 배치할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 이 각 여과포(31)(32)(33)의 말단부에 체결된 금속제의 클램프(36)(37)(38)의 자중에 의하여 수영장에 침수되게 된다. 이때, 제2의 여과수단(30)내에 각각 포집되는 오염물은 계속적인 유입에 의하여 여과포(31)(32)(33)의 하부에 가라앉게 되고, 여과포(31)(32)(33)의 상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면서 페리컨의 형상처럼 부풀어 오르게 된다. 만일 풀장밖에 배치할 경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수기(40)의 토출구(40b)와 제2의 여과수단(30)사이에 제2의 흡입용의 호스(53)를 연결할 필요없이 이음관(43)에 직접 제2의 커플링수단(44b)을 체결하고 이 제2의 커플링수단(44b)에 바로 제2의 여과수단(2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제2의 여과수단(20)내에 오염물이 포집된 경우 페리컨의 형상처럼 부풀어오르는 것을 구속하기 위하여 제2의 여과수단(20)을 통상의 광주리안에 넣고 사용하면좋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여과수단을 사용하면 여러개의 여과포를 다층으로 분리하여 장착함에 의하여 여과면적이 증대되고, 그에 수반하여 양수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수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여과효율을 증대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관실의 여과기를 역세척하는 회수를 단축시킬 수 있음으로써 여과제 또는 활성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특히 규조토여과기를 사용하는 경우, 역세척으로 인하여 수영장으로 유입된 규조토까지 포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에 따라 여과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여과수단이 장착된 핸드카트(10)을 적정장소에 배치한 후에, 양수기(40)의 기동을 위하여 제1의 여과수단(20)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관(20c)에 연설되는 T자관(22)에 밀폐된 캡(23)을 열고 양수기(40)의 케이싱(40c)까지 충진되도록 물을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를 구동시키면, 양수기(40)의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원심력을 가짐으로써 수영장의 오염물을 강하게 흡입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같이 양수기(4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중에 침수된 수동풀청소기(50)의 본체에 고정연결된 이동손잡이부(대략 6m)(50a)를 잡고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청소기(50)가 이동하면서 바닥에 침적된 물때, 머리카락 또는 고형물질등의 오염물이 청소기의 흡입구를 통하여 진공흡입되고, 이렇게 진공흡입된 오염물은 청소기의 흡입구와 제1의 여과수단(20)에 연결된 제1의 흡입용 호스(51)를 통하여 제1의 여과수단(20)의 흡입관(20c)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청소기(50)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때는 경우에 따라 수영장밖에 배치된 여과장치의 핸드카트(10)를 같이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의 여과수단(20)의 흡입관(20c)으로 흡입된 오염물은 제1의 여과수단(20)의 외통(20a)으로 유입될 때 외통(20a)내에 형성된 저압공간(S)에 의하여 강하게 진공흡입되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통(20b)과 외통(20a)사이의 공간과 망통(20b)내의 공간을 통과한다. 이에 의하여 오염물중 머리카락, 헤어핀, 반지등의 섬유류, 금속류 또는 플라스틱류등이 망통(20b)에 걸려지게 된다. 그 후 제1의 여과수단(20)에서 여과되지 않은 오염물은 제1의 여과수단(20)과 양수기(40)의 흡입구(40a)에 기밀성 있게 연결된 제2의 흡입용 호스(52)를 통하여 양수기(40) 의 토출구(40b)측으로 통과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이 토출구(40b)로 부터 제2의 여과수단(30)으로 오염물이 토출된다.
상기 제2의 여과수단(30)으로 토출된 오염물은 그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여과되게 되는데, 먼저 오염물은 최내층의 제1의 여과포(31)를 통과하면서 모래 또는 고형물등 굵은 입자의 오염물이 1차적으로 여과되고, 여기서 미쳐 여과되지 않은 일부 오염물, 즉 석회가루와 같이 미세한 입자의 오염물이 중간층의 제2의 여과포(32)로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여과되고 나서, 최종적으로 중간층의 제2의 여과포(32)에 의하여 여과되지 않은 나머지 오염물, 예를들면 규조토나 진흙등의 초미세입자의 오염물이 최외층의 제3의 여과포(33)에 의하여 여과된 후에, 최외층의 제3의 여과포(33)를 통하여 청정된 물이 수영장으로 방출된다.
한편, 수동풀청소기(50)와 제1의 여과수단(20)의 흡입구(40a)에 길게 연결된 제1의 흡입용 호스(51)가 수중바닥에 내려앉아 있으면 바닥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할 수도 있으므로 호스(51)가 수면위에 부상되도록 호스(51)의 중간부분에 헬파(부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1)종래와 같이 수동풀청소기의 호스를 수영장내의 휘팅에 연결하는 배관조작과 기관실의 밸브조작을 필요로 함이 없이 수영장내에서 직접 머리카락, 블록화된 입자, 및 미세입자등의 오염물을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여과함으로써, 여과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킴과 함께 수영장 물의 청명도를 증대시킬 수가 있고, (2)수동풀청소기의 호스를 수영장내의 휘팅에 연결하여 사용시 기관실내의 흡입으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3)여과기의 역세척회수를 단축시킴과 동시에 그 여과기에 사용되는 여과제 또는 활성탄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실내·실외수영장 모두에 적용될 수가 있고, 특히 실외수영장의 경우는 실내수영장에 비하여 불순물이 많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실외수영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그 청소기능이 매우 우수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5)

  1. 적정장소로 자유자재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부에 구동바퀴가 장착된 핸드카트(10)의 기판(10a)상에 양수기(40)를 탑재하고,
    핸드카트(10)의 이동손잡이 부(10b)에 외부전원장치에 연결되는 전선 권선용의 전선권선릴(12)과 콘트롤박스(13)를 설치하고,
    상기 양수기(40)의 일측편에, 섬유류, 금속류등의 오염물을 여과하는 수단으로서,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타단부는 폐쇄된 중공체의 외통(20a)과 그 내부에 내설된 다공성의 망통(20b)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20a)의 상단부에 오염물흡입용의 흡입관(20c)을 일체로 형성한 제1의 여과수단(20)을 설치하되,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의 흡입관(20c)과 수동풀청소기에 고정연결된 오염물흡입용의 제1의 흡입용 호스(51)를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고, 상기 외통(20a)과 망통(20b)의 각각의 선단부를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한 후에 이 체결부재와 양수기(40)의 흡입구(40a)를 제2의 흡입용 호스(52)로써 서로 연결하고,
    양수기(40)의 토출구(40b)에는 제1의 여과수단(20)에 의하여 여과되지 않은 일부 오염물을 다단계로 순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동일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여과포로 된 제2의 여과수단(30)이 다층형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과 제1의 흡입용 호스(51)와의 연 결은 제1의 여과수단(20)의 흡입관(20c)에 니플(21)과 T자관(22)을 수직으로 연설하되, 그 T자관(22)의 상단부에 밀폐용의 캡(23)을 장착하고, 그 중앙부에 제1의 이음관(24)을 연설하고 이에 체크밸브(25)를 체결함과 동시에 이 체크밸브에 제2의 이음관(26a)을 연설하여, 이 제2의 이음관(26a)에 커플링수단(27a)를 고정체결한 후, 이 커플링수단(27a)의 일단부에 제1의 흡입용 호스(51)를 고정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과 제2의 흡입용 호스(52)와의 연결은 제1의 여과수단(20)의 외통(20a)과 망통(20b)의 각 선단부를 체결캡(28)으로 함께 체결하고 이 체결캡(28)에 상기 제2의 이음관(26a)의 구조와 동일한 제3의 이음관(26b)를 연설한 후, 이 제3의 이음관(26b)의 일단부에 커플링수단(27b)를 체결하여 이 일단부와 양수기(40)의 흡입구(40a)를 연통시키기 위한 제2의 흡입용 호스(52)를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은 양수기(40)에 인접하여 설치시, 제1의 여과수단(20)의 외통(20a)의 중심선이 양수기(40)의 임펠러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여과수단(20)을 구성하는 외통(20a)과 망통(20b)의 각 말단부사이에는 진공흡입력이 증대되도록 저압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여과수단(30)은 그물눈의 크기가 30∼50μ인 제1의 여과포(31)와, 제1의 여과포(31)를 에워싸도록 제1의 여과포(31)의 길이보다 길고 그물눈의 크기가 5∼10μ인 제2의 여과포(32), 및 제2의 여과포(32)를 에워싸도록 제2의 여과포(32)의 길이보다 길고 그물눈의 크기가 2∼3μ인 제3의 여과포(3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여과포(31)(32)(33)의 각 선단부(31a)(32a)(33a)는 말단부보다 폭이 좁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여과수단(30)은 양수기(40)의 토출구(40b)에 장착시, 그 토출구(40b)에 연설된 엘보우관(42)에 체결된 이음관(43)에 제1의 커플링수단(44a)을 체결하고 이 제1의 커플링수단(44a)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의 흡입용 호스와 동일치수를 갖는 제3의 흡입용 호스(53)를 연결하고 이 제3의 흡입용 호스(53)에 호스연결용관(45)을 체결하고나서 이에 제2의 커플링수단(44b)을 체결한후에 이 제2의 커플링수단(44b)의 일단부에 제2의 여과수단(30)을 다층으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10038480A 2001-06-29 2001-06-29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KR100804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480A KR100804844B1 (ko) 2001-06-29 2001-06-29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480A KR100804844B1 (ko) 2001-06-29 2001-06-29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793A KR20010083793A (ko) 2001-09-03
KR100804844B1 true KR100804844B1 (ko) 2008-02-20

Family

ID=1971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480A KR100804844B1 (ko) 2001-06-29 2001-06-29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4602B1 (nl) * 2016-09-26 2018-04-25 Deseco Naamloze Vennootschap Stofzuiger voor zwemvij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1868A (en) * 1977-11-17 1979-06-08 Shin Meiwa Ind Co Ltd Pool cleaner
US4615802A (en) * 1984-10-31 1986-10-07 Harbaugh Theodore L Pool vacuum cleaning system
JPH07255663A (ja) * 1994-03-17 1995-10-09 Tadao Ushiki 大浴場、プール等の水槽用掃除機、掃除ヘッド、及び大浴場、プール等の水槽の掃除方法
EP0989257A2 (en) * 1998-09-21 2000-03-29 José Luis Galvez Campos System for cleaning bottoms of swimming poo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1868A (en) * 1977-11-17 1979-06-08 Shin Meiwa Ind Co Ltd Pool cleaner
US4615802A (en) * 1984-10-31 1986-10-07 Harbaugh Theodore L Pool vacuum cleaning system
JPH07255663A (ja) * 1994-03-17 1995-10-09 Tadao Ushiki 大浴場、プール等の水槽用掃除機、掃除ヘッド、及び大浴場、プール等の水槽の掃除方法
EP0989257A2 (en) * 1998-09-21 2000-03-29 José Luis Galvez Campos System for cleaning bottoms of swimming poo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4602B1 (nl) * 2016-09-26 2018-04-25 Deseco Naamloze Vennootschap Stofzuiger voor zwemvij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793A (ko) 200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5843A (en) Pool vacuum system
US5338446A (en) Filter unit for in-line use in a pool vacuum hose
US6939463B2 (en) Spa and pool filter
ES2200901T3 (es) Aparato para el filtrado continuo de liquidos, con elemento de filtro sinterizado de varias capas provisto de un sistema electromecanico de autolimpieza.
US6685843B2 (en) Internal spa filter
US6797164B2 (en) Filtering system for a pool or spa
US9091093B2 (en) Internal backwash system for robotic swimming pool cleaner
US5976385A (en) Pool cleaning and sanitizing apparatus
US20070251032A1 (en) Immersed Surface Cleaning Device Provided with a Nonreturn Inlet Conduit
US7384544B2 (en) Canister filter for swimming pool
CN107185288A (zh) 一种净水器滤芯的清洗件
KR100804844B1 (ko) 풀청소기용 여과장치
US7163620B2 (en) Retro filter bag
US5557819A (en) Pool cleaner with weighted hose
JPS63107714A (ja) 液槽内の浄化装置
JP4969071B2 (ja) 浄水装置
DE10347235B4 (de) Wassersauger
CN1324214C (zh) 用于蓄液池的真空吸尘器
US20040060853A1 (en) Pond fountain cartridge filter
US20080169247A1 (en) Spa Cleaner With Pump
KR101130918B1 (ko) 맥반석을 이용한 무방류 자중수압여과식 수처리시스템
JPH02233111A (ja) 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KR200484809Y1 (ko)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KR920001598Y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CN209411915U (zh) 一种碳化硅饮用水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