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743B1 -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743B1
KR100804743B1 KR1020070033701A KR20070033701A KR100804743B1 KR 100804743 B1 KR100804743 B1 KR 100804743B1 KR 1020070033701 A KR1020070033701 A KR 1020070033701A KR 20070033701 A KR20070033701 A KR 20070033701A KR 100804743 B1 KR100804743 B1 KR 10080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manhole device
manhole
drain
wireles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산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산이엔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로 도중에 다수 구비되고 수위에 따라 수문을 개폐하며, 자가발전하여 무선 방식에 의해 수문 개폐 여부를 감시하는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매설된 배수관로 상에 간격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며 부력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수문을 개폐하고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맨홀 장치; 및 상기 맨홀 장치마다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출력 신호를 무선 방식에 의해 수신하여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맨홀 장치, 수문, 부표, 발전,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

Description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SURVEILLANCE SYSTEM WHICH THE FLOODGATE OPENING AND SHUTTING OF MANH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상기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수문 및 발전기와의 치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맨홀 장치 120: 수문
122: 부표 130: 발전기
140: 배터리 200: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
본 발명은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로 도중에 다수 구비되고 수위에 따라 수문을 개폐하며, 자가발전하여 무선 방식에 의해 수문의 개폐 여부를 감시하는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Manhole) 장치는 지하의 수도관, 하수관, 배선, 지하통신 케이블, 포장도로 등을 점검하거나 연결, 수리 또는 청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그 위에 맨홀뚜껑이 구비된다.
여기서,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자가 발전식 수문 개폐수단이 구비된 맨홀'(출원번호: 10-2006-0084042)에 의하면, 매설된 배수관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맨홀에 있어서, 입수구와 배수구가 측벽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 상기 배수구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수문의 개폐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에 구동력을 수력에 의해 자가 발전하여 제공하는 자가발전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출원번호: 10-2006-0088330)에 의하면, 매설된 배수관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맨홀에 있어서, 입수구와 배수구가 측벽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몸체; 상기 배수구의 연장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문; 및 상기 몸체 내부의 수위를 부력에 의해 감지하도록 상기 배수구의 일단에 구비되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회전되는 상기 수문을 정지시키는 수위감지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종래의 맨홀은 내부에서 우수가 배출되는 상황을 인지하기 위해선 각각마다 그 내부에 검사자가 들어가서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검사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각의 맨홀 장치에 따른 수문 개폐 여부를 무선 방식에 의해 일률적으로 감시하여 감시에 따른 시간 및 인력 소모가 감소하고 지상에서 감시할 수 있으며, 수문 개폐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출력부를 자가 발전에 의해 작동시켜 전원이 필요하지 않게 한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설된 배수관로 상에 간격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며 부력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수문을 개폐하고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맨홀 장치; 및 상기 맨홀 장치마다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출력 신호를 무선 방식에 의해 수신하여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배수관로 도중에 적정 간격으로 다수 매설되는 맨홀 장치에서 설정된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수문이 개폐되고 상기 수문의 개폐 여부를 데이터 저장/출력 장 치에서 무선 방식에 의해 지상에서 감시하되 다수 맨홀 장치를 일률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소요 인원이 감소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맨홀 장치는, 일단과 타단에 입수구 및 배수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 상기 배수구의 내부에서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수문; 상기 배수구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 수위를 부력에 의해 감지하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문의 회전을 간섭하는 부표; 상기 수문의 회전 운동으로 연동되어 자가 발전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연결되어 발전된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출력부; 로 이루어짐으로써, 소량의 우수는 그대로 배수로를 통해 배출되다가 집중호우 등으로 수위가 급격히 설정된 위치로 도달하면 상기 부표가 수위의 상승에 의해 같이 상승하면서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고 회전되는 수문의 날개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부표가 회전을 간섭하게 되며, 상기 수문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에서 발전되고, 발전된 전원이 배터리에 저장되어 무선 신호 출력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문의 축에 구동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齒合)되는 제1 종동 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종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2 종동 기어가 발전기 축 상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문이 회전되고 구동 기어가 연동하면 상기 제1 종동 기어를 통해 회전력이 발전기 축 상에 구비되는 제2 종동 기어에 전달되되 상대적으로 기어 수가 적은 제2 종동 기어가 상기 제1 종동 기어의 회전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어 발전율이 상승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는, 상기 무선 신호 출력부와 무선 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와 연결되어 출력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의 수신 신호 및 출력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상기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면서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음에 따라 시각적으로 일률적인 감시가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장치(100) 및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로 구성되며,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자가 발전식 수문 개폐수단이 구비된 맨홀'(출원번호: 10-2006-0084042)에서 자가발전수단에 의한 전원으로 수위감지수단과 개폐수단을 작동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배수구를 폐쇄하는 것과,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출원번호: 10-2006-0088330)에서 수위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부표인 수위감지수단이 감지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수문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을 본 발명에 접목시키면서 이를 무선 방식에 의해 일률적으로 감시하는 기술이다.
상기 맨홀 장치(100)는 매설된 배수관로(10)에서 적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어 내부 수위를 부력으로 감지하여 우수(雨水)를 입수 또는 배수하며, 몸체(102)와, 수문(120)과, 부표(122)와, 발전기(130)와, 배터리(140) 및 무선 신호 출력부(도면에 미도시)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2)는 내부가 중공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배수관로(10)의 도중에서 구비되되 매설된 상태로 일측에 상기 배수관로(10)와 연결된 배수구(104)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배수관로(10)와 연결된 입수구(10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104)에는 상기 수문(12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상기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로 발신하고 이 수문(120)의 개폐 여부를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02)의 배수구(104)에는 내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연장부(10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2)의 상면에는 타공 형성된 맨홀뚜껑(110)이 안착된다.
더욱이, 상기 연장부(106)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돌출된 모서리의 중심부 끝단에서 시작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후술할 부표(12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몸체(102)의 내부에는 상기 수문(120)의 회전 여부와 같은 그 내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감시 카메라(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므로 외부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도면에 미도시)를 설치한 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수문(120)은 상기 배수구(104)에 형성되는 연장부(106) 내부에서 수평 축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 배수구(104) 내에서 회전하면 개방하여 배수되게 하고, 정지하면 폐쇄하여 배수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문(120)은 방사상의 날개가 적어도 1개 구비되며, 대향되는 날개가 상기 연장부(106)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면서 면적이 축소되도록 구비되어 이 연장부(106)와의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을 통해 이 수문(120)이 배수구(104)를 폐쇄하더라도 소량의 우수가 틈 사이로 배출된다.
더욱이, 상기 수문(120)의 축에는 구동 기어(1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문(120)은 수직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그와 다르게 수평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부표(122)는 상기 배수구(104)의 연장부(106)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몸체(102)의 내부 수위를 부력에 의해 감지하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문(120)의 회전을 간섭하여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부표(122)는 내부가 중공 상태로 밀봉되어 수면에 떠오른다.
결국, 상기 몸체(102)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부표(122) 또한 상승하게 되며 상기 배수구(104) 내부에 위치된 이 부표(122)의 일단부가 상기 수문(120) 의 회전을 간섭하게 된다.
상기 발전기(130)는 상기 수문(1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시킬 수 있도록 수력으로 자가 발전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수문(120)의 축에 구비되는 구동 기어(122)와 치합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발전 축에 제 2 종동 기어(13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기어(122)와 제2 종동 기어(132)가 위치상 이격되므로 그 사이에 제1 종동 기어(124)를 치합되도록 구비하여 연동되게 한다. ( 도 3 참조 )
여기서 상기 발전기(130)에 저장된 전원은 무선 신호 출력부 및 회전감지센서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되기 위하여 인가된다.
상기 배터리(140)는 상기 발전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시킨다.
상기 무선 신호 출력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배터리(140)의 충전 여부 즉, 상기 발전기(130)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발전기(130)의 인가 전원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신호 출력부는 출력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후술할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에 구비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는 다수 구비되는 맨홀 장치(100) 각각의 수문(120) 개폐 여부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무선 방식에 의해 검사자가 일률적으로 지상에서 감시하는 기능을 하며, 무선 신호 수신부(도면에 미도시)와, 데이터 저장부(도면에 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도면에 미도시)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는 상기 무선 신호 출력부와 무선 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와 연결되어 출력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의 수신 신호 및 출력 신호가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작동 과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배수관로 상에 간격을 갖도록 매설되는 맨홀 장치(100)에서 상기 몸체(102)의 내부 수위는 낮은 상태로 입수구(108)에서 입수된 우수에 의해 상기 수문(120)을 회전시키고 상기 배수구(104)를 통해 배수관로(10)로 배수된다.
이때, 상기 수문(120)에는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 기어(122)가 연동되고 상기 구동 기어(122)와 치합된 상기 제1 종동 기어(124) 및 제2 종동 기어(132)가 연동되면서 결국 상기 제2 종동 기어(132)가 상기 발전기(130)의 축을 회전시켜 기계적 회전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게 되고 발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종동 기어(132)의 기어이가 상기 제1 종동 기어(124)의 기어이보다 수가 현저하게 적어 상기 구동 기어(122)를 거쳐 제1 종동 기어(124)가 1 회전하면 상기 제2 종동 기어(132)는 기어 비(gear ratio)에 의해 고속으로 다수 회전되게 하고 상기 발전기(130)의 축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상기 발전기(130)의 발 전율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130)와 연결된 상기 배터리(140)에 전원이 저장되고 저장된 전원에 의해 무선 신호 출력부의 작동이 가능하여 자가 발전에 의해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집중호우 등으로 상기 몸체(102) 내부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면 상기 부표(122)가 수위만큼 상승하게 되고 이 부표(122)의 일단이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문(120)의 날개 궤적 내부에 위치되고 회전을 간섭하게 되며 이 수문(120)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 후, 상기 수문(120)이 정지하면서 상기 배수구(104)를 폐쇄하여 우수가 배수구(104)와 연결된 배수관로(10)로 배수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몸체(102) 내부에 수용되는 우수는 맨홀뚜껑(110)을 몸체(102)로부터 이탈시킨 후 펌프(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배수시킨다.
결국, 다수 중 특정 맨홀 장치(100)의 수문(120)이 회전되면 상기 발전기(130)에서 발전을 하게 되고 상기 배터리(140)에 저장된 전원에 의해 무선 신호 출력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무선 신호 출력부에서 이 수문(120)이 회전되어 개방한 것으로 인식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며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의 무선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출력 신호를 데이터 저장부에서 데이터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게 되므로 검사자가 특정 맨홀 장치(100)의 수문(120)이 개방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반면, 다수 중 특정 맨홀 장치(100)의 수문(120)이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발 전기(130)에서 발전되지 않으므로 무선 신호 출력부에서 이 수문(120)이 정지하여 폐쇄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의 무선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출력 신호를 데이터 저장부에서 데이터로 저장하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함으로써, 검사자가 특정 맨홀 장치(100)의 수문(120)이 폐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장치(100) 및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는 앞선 실시 예에서의 그것과 유사하고 상기 맨홀 장치(100)는 풍력 발전에 의해 발전시키는 것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102)의 외부인 지상에 기둥이 구비되고 이 기둥 상단에 발전기(130) 및 팬(150)을 구비하여 풍력에 의해 상기 팬(150)이 회전되면 이 회전 운동 에너지를 상기 발전기(130)에서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팬(150)에 의해서만 발전할 수도 있고, 이와 함께 수문(120)의 회전으로 인한 발전과 동시에 수행하도록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설명하지 않은 부호는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설명하지 않은 부호는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장치(100) 및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200)는 앞선 실시 예에서의 그것과 유사하고 상기 맨홀 장치(100)는 태양 에너지에 의해 발전시키는 것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102)의 외부인 지상에 기둥이 구비되고 이 기둥 상단에 발전기(130) 및 태양에너지 발전수단(152)을 구비하여 태양열 또는 태양빛에 의해 상기 발전기(130)에서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하는 것이다.
한편, 태양광 발전은 태양빛을 직접 전류로 전환하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직접 전기를 얻는 방법으로 시계나 계산기 등 주로 소량의 전기를 얻는데 주로 적용되고, 태양열 발전은 대용량 태양열 발전에는 탑 집광 방식과 포물면 집광 방식이 있으며, 반사경이나 포물면경을 이용하여 빛을 초점에 모으고 초점에 물이 지나가는 파이프를 위치하여 열을 모으는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에너지 발전수단(152)에 의해서만 발전할 수도 있고, 이와 함께 수문(120)의 회전으로 인한 발전과 동시에 수행하도록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설명하지 않은 부호는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각각의 맨홀 장치에 따른 수문 개폐 여부를 무선 방식에 의해 일률적으로 감시하여 감시에 따른 시간 및 인력 소모가 감소하고 지상에서 감시할 수 있으며, 수문 개폐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출력부를 자가 발전에 의해 작동시켜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매설된 배수관로 상에 간격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며 부력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날개가 적어도 1개 구비되는 회전식 수문을 개폐하고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맨홀 장치; 및
    상기 맨홀 장치마다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출력 신호를 무선 방식에 의해 수신하여 데이터화하는 데이터 저장/출력 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장치는,
    일단과 타단에 입수구 및 배수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
    상기 배수구에서 유입되는 우수(雨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수문;
    상기 배수구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 수위를 부력에 의해 감지하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문의 회전을 간섭하는 부표;
    상기 수문의 회전 운동으로 연동되어 자가 발전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연결되어 발전된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출력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장치는,
    일단과 타단에 입수구 및 배수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
    상기 배수구에서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수문;
    상기 몸체를 통해 지상에 구비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팬(Fan);
    상기 배수구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 수위를 부력에 의해 감지하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문의 회전을 간섭하는 부표;
    상기 팬의 회전 운동으로 연동되어 자가 발전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연결되어 발전된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출력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장치는,
    일단과 타단에 입수구 및 배수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
    상기 배수구에서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수문;
    상기 몸체를 통해 지상에 구비되어 태양열 또는 태양빛에 의해 발전되는 태양에너지 발전수단;
    상기 배수구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 수위를 부력에 의해 감지하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수문의 회전을 간섭하는 부표;
    상기 태양에너지 발전수단과 연결되어 발전된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신호 출력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축에 구동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齒合)되는 제1 종동 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종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2 종동 기어가 발전기 축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수문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9. 삭제
KR1020070033701A 2007-01-31 2007-04-05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KR100804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888 2007-01-31
KR20070009888 2007-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743B1 true KR100804743B1 (ko) 2008-02-19

Family

ID=3938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701A KR100804743B1 (ko) 2007-01-31 2007-04-05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7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1847A (zh) * 2010-11-23 2011-05-04 镇江市高等专科学校 多功能截流井
CN104563159A (zh) * 2014-12-25 2015-04-29 永亨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防溢水的检查井
CN106840065A (zh) * 2017-01-03 2017-06-13 南水北调东线山东干线有限责任公司 一种远距离调水闸门开度监测系统
CN109403386A (zh) * 2018-09-10 2019-03-01 蔡永宾 下水道有限空间清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160A (ja) 1997-03-21 1998-10-06 Omote Tekkosho:Kk 樋門監視システム
KR200420165Y1 (ko) 2006-04-17 2006-06-2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160A (ja) 1997-03-21 1998-10-06 Omote Tekkosho:Kk 樋門監視システム
KR200420165Y1 (ko) 2006-04-17 2006-06-2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1847A (zh) * 2010-11-23 2011-05-04 镇江市高等专科学校 多功能截流井
CN102041847B (zh) * 2010-11-23 2012-08-29 镇江市高等专科学校 多功能截流井
CN104563159A (zh) * 2014-12-25 2015-04-29 永亨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防溢水的检查井
CN104563159B (zh) * 2014-12-25 2015-11-25 永亨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防溢水的检查井
CN106840065A (zh) * 2017-01-03 2017-06-13 南水北调东线山东干线有限责任公司 一种远距离调水闸门开度监测系统
CN109403386A (zh) * 2018-09-10 2019-03-01 蔡永宾 下水道有限空间清理装置
CN109403386B (zh) * 2018-09-10 2021-09-28 蔡永宾 下水道有限空间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285B1 (ko) 해상용 태양광발전장치
KR100804743B1 (ko) 맨홀 장치의 수문 개폐 여부에 따른 감시 시스템
KR101261033B1 (ko) 고층건물의 낙수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100128766A (ko) 유조선형 조력발전장치
WO2016065733A1 (zh) 一种水流发电装置
KR101046317B1 (ko) 조력발전 방법 및 그 장치
KR101262579B1 (ko) 가변속 수차런너 및 발전기 일체형 구조를 갖는 유속형 소수력발전장치
KR20070087778A (ko) 수문의 권양장치
KR100691529B1 (ko) 소수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CN110965520A (zh) 一种海洋工程用新能源警示装置
KR200466669Y1 (ko) 자가발전장치
KR100642333B1 (ko) 소수력을 이용한 발전시설
KR101341860B1 (ko) 하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100812252B1 (ko)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
JP2013053503A (ja) 潮位差海水流発電装置
KR101728687B1 (ko) 개폐창문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JP4758515B1 (ja) 電力回収水力発電システム
CN110700323A (zh) 一种窨井盖
KR101576360B1 (ko) 유체 순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기
KR102527939B1 (ko) 유속 가속기
KR200173059Y1 (ko)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100812251B1 (ko) 자가 발전식 수문 개폐수단이 구비된 맨홀
WO2015015325A1 (en) Hydropower generation mechanism using reciprocating machine having the capability of obtaining maximum energy of the water
JP3103364U (ja) 海水水圧発電装置
KR100662055B1 (ko) 파에너지를 이용한 흐름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