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415B1 - 곡물용 색채 선별기 - Google Patents

곡물용 색채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415B1
KR100804415B1 KR1020070067562A KR20070067562A KR100804415B1 KR 100804415 B1 KR100804415 B1 KR 100804415B1 KR 1020070067562 A KR1020070067562 A KR 1020070067562A KR 20070067562 A KR20070067562 A KR 20070067562A KR 100804415 B1 KR100804415 B1 KR 10080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unit
image
discharge unit
color s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07006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5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of granular material, e.g. ore particles, grain

Landscapes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용 색채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선별 대상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 촬상을 위한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곡물 배출부와 평행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상부 및 상기 곡물 배출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곡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기 촬상부로 반사하는 반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의 하부에 거울 또는 홀로그램 장치 등을 설치하여 촬상부에서 거울에 반사된 곡물의 상 또는 홀로그램 장치에 의해 생성된 곡물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함으로써 장치를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곡물, 색채, 선별기, 미러, 홀로그램.

Description

곡물용 색채 선별기{A Color Sorter For Grain}
도 1은 종래 곡물용 색채 선별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물용 색채 선별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곡물용 색채 선별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홀로그램 장치의 일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 곡물 배출부 20 : 형광등
30 : 할로겐 램프 40 : CCD 촬상부
50 : 적외선 찰상부 60 : 반사수단
70 : 홀로그램 장치 71 : 레이저 광원
72 : 빔 스플리터 73, 75 : 미러
74, 76 : 렌즈 77 : 마스터 플레이트
G : 곡물 F : 홀로그램 이미지
본 발명은 곡물용 색채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촬상부를 설치하고, 곡물 배출부의 하부에 거울 또는 홀로그램 장치 등을 설치하여 촬상부에서 거울에 반사된 곡물의 상 또는 홀로그램 장치에 의해 생성된 곡물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함으로써 장치를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용 색채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색채 선별기는 선별 대상 곡물의 색채를 분석하여 선별 대상 곡물에 포함된 불량미나 이물질 등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장치로서, 도 1에는 일반적인 곡물용 색채 선별기 내부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곡물용 색채 선별기는 선별 대상 곡물(G)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100)와 촬상을 위한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제공하기 위한 형광등(200)과 할로겐 램프(300), 곡물(G)을 촬상하는 CCD 촬상부(400) 및 적외선 촬상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CD 촬상부(400) 및 적외선 촬상부(500)에서 촬상된 곡물(G)의 영상 신호는 미도시된 영상 처리장치에 의해 분석되고, 분석 결과 촬상된 곡물(G)이 불량미 또는 이물질로 판단된 경우 에어 노즐(600)을 작동시켜 불량미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 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곡물용 색채 선별기는 곡물(G)을 촬상하기 위해 각 촬상부(400, 500)가 곡물(G) 배출 방향의 양측에 곡물(G)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촬상 시의 충분한 초점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촬상부(400, 500)와 곡물(G) 간에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장치 전체의 부피가 증가되고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곡물용 색채 선별기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장치의 크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의 하부에 거울 또는 홀로그램 장치 등을 설치하여 촬상부에서 거울에 반사된 곡물의 상 또는 홀로그램 장치에 의해 생성된 곡물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함으로써 장치를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선별 대상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 촬상을 위한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곡물 배출부 와 평행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상부 및 상기 곡물 배출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곡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기 촬상부로 반사하는 반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용 색채 선별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곡물 배출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선별 대상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 촬상을 위한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곡물 배출부와 평행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상부 및 상기 곡물 배출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곡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에 상응하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 가능한 위치에 상기 생성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표시하는 홀로그램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용 색채 선별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상기 곡물 배출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물용 색채 선별기의 내부 구성을 개 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할 경우 곡물 배출부(10)의 양측에 곡물 배출부(10)와 평행한 방향으로 CCD 촬상부(40) 및 적외선 촬상부(50)가 각각 설치되고, 곡물 배출부(10)의 하부 일측에 곡물 배출부(10)에서 배출되는 곡물(G)로부터 방출된 빛을 각 촬상부(10, 20)로 반사하는 반사수단(6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사수단(60)은 미러인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수단(60)은 곡물 배출부(1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촬상부(10, 20)는 반사수단(60)에 의해 반사된 곡물(G)의 상을 촬상하게 되며, 이격 설치되는 CCD 촬상부(40) 및 적외선 촬상부(50)에서 촬상되는 곡물(G)의 상은 다소 크기 및 형태가 다를 수 있으나 색채 선별기는 형태가 아닌 색채를 선별하는 것이므로 선별 동작에는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촬상부(10, 20)에서 촬상된 곡물(G)의 이미지는 미도시된 영상 처리장치에 의해 분석되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에어 노즐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도 2에는 곡물 배출부(10)의 양측에 2개의 반사수단(60)이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그 외에 반사수단(60)을 90°간격으로 배치하고 곡물 배출부(10)의 상,하부측도 각 촬상부(10, 2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곡물(G)을 여러 각도에서 촬상할 수 있어 색채 선별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곡물용 색채 선별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 2 실시예는 반사수단(60) 대신 곡물 배출부(10)의 하부 측에 홀로그램 장치(70)가 설치되는 것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홀로그램 장치(70)는 곡물 배출부(10)에서 배출되는 곡물(G)에 상응하는 홀로그램 이미지(F)를 생성하여 각 촬상부(10, 20)에서 촬상 가능한 위치에 생성된 홀로그램 이미지(F)를 표시한다.
각 촬상부(10, 20)는 홀로그램 장치(70)에 의해 생성된 곡물(G)의 홀로그램 이미지(F)를 촬상하게 되며, 각 촬상부(10, 20)에서 촬상된 곡물(G)의 이미지는 미도시된 영상 처리장치에 의해 분석되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에어 노즐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도 3에는 곡물 배출부(10)의 양측에 2개의 홀로그램 장치(70)가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그 외에 홀로그램 장치(70)를 90°간격으로 배치하고 곡물 배출부(10)의 상,하부측도 각 촬상부(10, 2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곡물(G)을 여러 각도에서 촬상할 수 있어 색채 선별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홀로그램 장치(70)의 일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홀로그램은 2개의 레이저 광선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사진용 필름과 유사한 표면에 3차원 이미지를 기록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원(71)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은 빔 스플리터(72)에 의해 2개의 광선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광선 중에서 물체로 투영되는 광선을 오브젝트 빔(Object Beam)이라 하고 나머지 하나의 광선을 레퍼런스 빔(Reference Beam)이라고 한다. 레퍼런스 빔은 렌즈(74)를 통과한 후 미러(75)에 반사되어 마스터 플레이트(77)에 투사되고 오브젝트 빔은 미러(73)에 의해 굴절되어 렌즈(76)를 통과한 후 곡물(G)에 직접 투사되는데 곡물(G)은 그 빛의 일부를 마스터 플레이트(77)에 반사시킨다.
곡물(G)로부터 반사된 빛과 레퍼런스 빔으로부터 나온 빛은 상호 작용을 통해 간섭 패턴이라고 불리는 명암을 가진 복잡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간섭 패턴은 빛에 민감한 소재에 의해 마스터 플레이트(77)에 기록된다.
제작된 홀로그램 이미지는 사용된 레이저 광선과 똑같은 각도에서 비쳐졌을 때 실물과 동일한 이미지가 생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의 하부에 거울 또는 홀로그램 장치 등을 설치하여 촬상부에서 거울에 반사된 곡물의 상 또는 홀로그램 장치에 의해 생성된 곡물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함으로써 장치를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 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4)

  1. 선별 대상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
    촬상을 위한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곡물 배출부와 평행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상부; 및
    상기 곡물 배출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곡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기 촬상부로 반사하는 반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용 색채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곡물 배출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용 색채 선별기.
  3. 선별 대상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
    촬상을 위한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곡물 배출부와 평행한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상부; 및
    상기 곡물 배출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곡물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에 상응하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 가능한 위치에 상기 생성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표시하는 홀로그램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용 색채 선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상기 곡물 배출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용 색채 선별기.
KR1020070067562A 2007-07-05 2007-07-05 곡물용 색채 선별기 KR10080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562A KR100804415B1 (ko) 2007-07-05 2007-07-05 곡물용 색채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562A KR100804415B1 (ko) 2007-07-05 2007-07-05 곡물용 색채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415B1 true KR100804415B1 (ko) 2008-02-20

Family

ID=3938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562A KR100804415B1 (ko) 2007-07-05 2007-07-05 곡물용 색채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4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09B1 (ko) 2009-07-08 2009-11-0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곡물 색채선별기의 매니폴드
KR101108275B1 (ko) * 2011-08-12 2012-02-29 주식회사에이멕스 색채 선별기용 촬영 유니트, 이를 구비한 색채 선별기 및 불량품 선별 방법
KR101194776B1 (ko) * 2012-01-19 2012-10-25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3단 색채 선별장치
KR20210093477A (ko) 2020-01-20 2021-07-28 홍영표 입형 선별기
KR20220055593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껍질 내부 이미지 정보를 활용한 곡물 씨앗의 고효율 선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855A (ja) 1998-11-04 2000-07-18 Satake Eng Co Ltd 粒状物色彩選別方法及び粒状物色彩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855A (ja) 1998-11-04 2000-07-18 Satake Eng Co Ltd 粒状物色彩選別方法及び粒状物色彩選別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09B1 (ko) 2009-07-08 2009-11-06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곡물 색채선별기의 매니폴드
KR101108275B1 (ko) * 2011-08-12 2012-02-29 주식회사에이멕스 색채 선별기용 촬영 유니트, 이를 구비한 색채 선별기 및 불량품 선별 방법
KR101194776B1 (ko) * 2012-01-19 2012-10-25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3단 색채 선별장치
WO2013108962A1 (ko) * 2012-01-19 2013-07-25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3단 색채 선별 시스템
KR20210093477A (ko) 2020-01-20 2021-07-28 홍영표 입형 선별기
KR20220055593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껍질 내부 이미지 정보를 활용한 곡물 씨앗의 고효율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335B1 (ko) 복합 구조의 불일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6346966B1 (en) Image acquisition system for machine vision applications
JP3692685B2 (ja) 欠陥検査装置
US20070008538A1 (en) Illumination system for material inspection
US74713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mp inspection
JP2738300B2 (ja) 塊状青果物のカメラ選別機に用いる間接照明型多面撮影装置
JPWO2016121878A1 (ja) 光学式外観検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式外観検査システム
KR100804415B1 (ko) 곡물용 색채 선별기
JP6387416B2 (ja) ウェーハ映像検査装置
TW201807406A (zh) 用於樣本檢驗及查核之系統及方法
KR101203210B1 (ko) 결함 검사장치
JP2004037248A (ja) 検査装置および貫通孔の検査方法
JPH08210990A (ja) 対象物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101523336B1 (ko) 웨이퍼 영상 검사 장치
TW508984B (en) An inspection device for components
US9553034B1 (en) Combined semiconductor metrology system
KR20020093507A (ko) 부품 검사 장치
JP2002221496A (ja) 光回折パターン検査装置
KR101745764B1 (ko) 광학식 판재 표면검사장치 및 판재 표면검사방법
KR101358429B1 (ko) 4면 광학계
EP0692714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reconnaissance de particularités géométriques de pièces parallélépipédiques de section polygonale
KR101507950B1 (ko) 웨이퍼 영상 검사 장치
KR101379448B1 (ko) 다중 조명 장치를 이용한 웨이퍼 영상 검사 장치
JP2000338049A5 (ko)
WO2014005085A1 (en) Systems for capturing images of a doc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