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097B1 -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097B1
KR100804097B1 KR1020080001187A KR20080001187A KR100804097B1 KR 100804097 B1 KR100804097 B1 KR 100804097B1 KR 1020080001187 A KR1020080001187 A KR 1020080001187A KR 20080001187 A KR20080001187 A KR 20080001187A KR 100804097 B1 KR100804097 B1 KR 10080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racket
fixing
guid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연
Original Assignee
김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연 filed Critical 김정연
Priority to KR102008000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 E06B1/6076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of screw-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 하부에 고정되는 창틀고정부와 상기 창틀고정부에서 연직 하방으로 건축물 외벽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벽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을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창틀고정부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고정부와 창틀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브래킷; 상기 수평브래킷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볼트삽입공; 및, 상기 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수평브래킷 하부로 나사산이 돌출되어, 고정브래킷과 수평브래킷을 결합시키는 연결철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창틀 하부에 고정되는 창틀고정부와 상기 창틀고정부에서 연직 하방으로 건축물 외벽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벽고정부 및, 상기 창틀고정부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고정부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결합유도슬릿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 및,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브래킷은 결합유도슬릿을 관통하는 연결철물에 의하여 창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에 대한 것을 포함한다.
창틀, 브래킷, 브래킷 가이드, 물끊기홈

Description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Bracket guide for fixing of window frame and window frame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틀 하부에 고정되는 창틀고정부와 상기 창틀고정부에서 연직 하방으로 건축물 외벽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벽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을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창틀고정부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고정부와 창틀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브래킷; 상기 수평브래킷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볼트삽입공; 및, 상기 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수평브래킷 하부로 나사산이 돌출되어, 고정브래킷과 수평브래킷을 결합시키는 연결철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창틀 하부에 선시공된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의 볼트삽입공과 고정브래킷의 결합유도슬릿을 관통하는 연결철물에 의하여 고정브래킷이 창틀에 결합되며, 특히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는 창틀 하부에 형성되는 물끊기홈에 설치될 수 있다.
베란다 확장 공사가 합법화됨에 따라, 건축물 외벽 상부에 4중창을 시공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확장형 베란다 창틀을 포함하여 건축물 외벽 상부에 설치되는 창틀이 12cm 내외의 건축물 외벽의 너비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창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브래킷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하나의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창틀 하부 및 건축물 외벽의 실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T형 고정브래킷을 선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다(특허 제 10-0705388호, 도1의 (b)). 또한 인접하는 고정브래킷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건축물 외벽의 평탄도와 관계없이 T형 고정브래킷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U-클립가이드를 포함하는 고정브래킷에 대하여 선출원하여 등록받았다(특허 제 10-0690587호, 도1의 (c)).
이러한 창틀 지지용 고정브래킷 중에서 창틀 하부와 건축물 외벽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은 창틀 하부에 위치하는 보강심을 관통하는 연결철물을 통하여 창틀과 긴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보강심이 없는 위치에 연결철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하중으로 인한 창틀의 전도 현상으로 나사못이 파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브래킷 자체의 하중 저항 성능이 향상되더라도 창틀이 붕괴될 수 있다.
한편, 건축물 외벽의 높이가 10cm 내외에 불과한 베란다 등의 경우, 창틀 세우기가 완료된 다음에 창틀 하부와 건축물 외벽의 실내측 벽면에 고정브래킷을 시공할 때에는 작업자의 작업에 필요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 부실 시공의 위험성이 있었다.
이러한 고정브래킷의 부실 시공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고정브래킷을 용접하는 방법이 있으나, 용접으로 인한 비용 상승 및 공기 증가 문제가 수반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창틀 하부와 건축물 외벽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이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은 창틀 하부에 위치하는 건축물 외벽의 높이와 관계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셋째, 고정브래킷의 위치 및 결합 여부가 확실하여 부실 시공의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추가 보완 작업으로 인한 비용 및 공기 증가의 문제가 없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 하부에 고정되는 창틀고정부와 상기 창틀고정부에서 연직 하방으로 건축물 외벽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벽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을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창틀고정부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고정부와 창틀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브래킷; 상기 수평브래킷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볼트삽입공; 및, 상기 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수평브래킷 하부로 나사산이 돌출되어, 고정브래킷과 수평브래킷을 결합시키는 연결철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내측고정부에 천공되는 결합유도슬릿과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에 천공되는 볼트삽입공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연결철물에 의하여 고정브래킷이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에 긴결되고,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는 이미 나사못 등의 고정철물에 의하여 창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철물의 파단으로 인한 창틀의 사용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가 창틀 하부에 형성되는 물끊기홈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창틀을 건축물 외벽 상부에 밀착 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창틀 하부와 건축물 외벽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이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 수 있으므로 창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둘째, 창틀 하부에 위치하는 건축물 외벽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셋째, 고정브래킷의 위치 및 결합 여부가 확실하므로 부실 시공의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추가 보완 작업으로 인한 비용 상승 및 공기 증가의 문제가 없어 경제적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는 창틀(100) 하부에 고정되는 창틀고정부(210)와 상기 창틀고정부(210)에서 연직 하방으로 건축물 외벽(150)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벽고정부(220)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200)을 창틀(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2a의 좌측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브래킷(310), 볼트삽입공(320), 연결철물(322)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수평브래킷(310)은 창틀고정부(210)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고정부(212)와 창틀(100) 하부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이며, 볼트삽입공(320)은 수평브래킷(31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수평브래킷(310)에 천공되는 홀(hole)로 하나 이상 형성된다. 아울러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는 볼트삽입공(320)을 관통하여 수평브래킷(310) 하부로 나사산이 돌출되는 연결철물(322)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창틀 세우기 공정 이전에 창틀(100) 하부에 미리 결합한다.
이때 창틀(100)과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는 모르타르 등의 특수 케미컬 제품이나 나사못 등의 고정철물(332)을 이용하여 결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창틀(100)의 보강심 위치에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가 고정되어야 한다.
특히 나사못 등의 고정철물(332)을 이용하여 창틀(100)과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는 수평브래킷(310)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나사못삽입공(330)과 나사못삽입공(330)을 관통하여 수평브래킷(310) 상부로 나사산이 돌출되는 고정철물(332)을 포함할 수 있다(도2a의 우측 도면). 이렇게 나사못 등의 고정철물(332)을 이용하여 창틀(100)과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시공할 수 있고, 별도의 경화 시간으로 인한 작업 지연이 없으며,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가 결합된 창틀(100)을 건축물의 외벽(150)에 세운 다음에는, 건축물 외벽(150)을 기준으로 고정브래킷(200)을 이동시켜 고정브래킷(200)의 벽고정부(220)를 건축물 외벽(150)에 고정한다. 그리고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의 연결철물(322)을 따라 고정브래킷(200)의 내측고정부(212) 하부까지 너트(324)를 체결하여 고정브래킷(200)과 수평브래킷(310)을 결합한다. 이때 도1의 (b), (c)와 도3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연결철물(322)이 끼워진 채로 고정브래킷(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브래킷(200)의 내측고정부(212)에는 다수 개의 결합유도슬릿(216)이 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유도슬릿(216)은 건축물 외벽(150)을 기준으로 고정브래킷(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천공되는 홀(hole)로, 하나 이상의 결합유도슬릿(216)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결합유도슬릿(216)의 일단은 브래킷삽입유도공(218)이 확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2a에 도시된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는 수평브래킷(310)의 중앙 부분 및 단부 부분에 볼트삽입공(320)과 나사못삽입공(330)이 각각 2개씩 천공되어 있으나, 볼트삽입공(320)과 나사못삽입공(330)의 위치 및 개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형성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철물(322)로 볼트를 사용할 수 있고, 볼트몸통에 채워지는 너트(324)로는 내주면에 PVC 등 마찰력 있는 소재가 부착된 풀림방지용 너트(324)를 사용할 수 있으며, 너트(324)의 체결 전에 와셔의 체결이 가능하다.
한편, 창틀(100) 하부에는 창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물끊기홈(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물끊기홈(110) 부분에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고정브래킷(200)의 밀착 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의 볼트삽입공(320) 내주면에는 볼트결합용 나사산(326)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결합용 나사산(326)은 도2a 또는 도2d의 실시예와 같이, 볼트머리가 구비되지 않는 볼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고정브래킷(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2a에서 창틀(100)을 전도시키기 위한 하중은 창틀(100), 나사못 등의 고정철물(332),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 볼트 등의 연결철물(322)을 차례대로 거쳐서 고정브래킷(200)과 건축물 외벽(150)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2b와 도2c에서는 각각 창틀(100) 하부와 결합되는 수평브래킷(310)의 상부면이 일부 절취되거나, 수평브래킷(310)을 하부로 돌출시켜 형성되는 볼트머리삽입부(340)에 볼트삽입공(320)이 천공된다.
이때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에는 볼트머리삽입부(340)가 다수 개 형성되거나, 하나의 볼트머리삽입부(340)에 다수 개의 볼트삽입공(320)이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볼트삽입공(320)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2d와 같이 수평브래킷(310)은 수평브래킷(310)의 단부를 연직 하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수직절곡부(350) 및, 상기 수직절곡부(350)의 일단을 수평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수평절곡부(3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삽입공(320)은 수평절곡부(352) 부분에 천공 가능하다.
여기에서 수직절곡부(350)와 수평절곡부(352)는 수평브래킷(3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브래킷(200)의 벽고정부(220)는 수평절곡부(352)를 통과하여 건축물 외벽(150)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가 일부 절취되어야 한다.
도2d의 실시예에서 연결철물(322)은 수평절곡부(352)까지 또는 창틀(100) 하부에 결합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 부분까지 연장 결합될 수 있고, 볼트삽입공(320)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는 창틀(100) 하부에 고정되는 창틀고정부(210)와 상기 창틀고정부(210)에서 연직 하방으로 건축물 외벽(150)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벽고정부(220) 및, 상기 창틀고정부(210)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고정부(212)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결합유도슬릿(216)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200) 및,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결합유도슬릿(216)을 관통하는 연결철물(322)에 의하여 창틀(100)에 결합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고정브래킷(200)의 내측고정부(212)는 결합유도슬릿(216)이 천공될 수 있고, 결합유도슬릿(216)의 일단은 브래킷삽입유도공(218)이 확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에서는 내측고정부(212)의 일단에서 건축물의 외벽(150) 상부로 연장되는 외측고정부(214)가 포함되는 고정브래킷(200)이 포함된다. 아울러 수평판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 상방으로 절곡된 다음,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창틀(100) 하부에 결합되는 U-클립가이드(230)를 포함하는 고정브래킷(200)도 포함된다. U-클립가이드(230)를 포함하는 고정브래킷(200)은 외측고정부(214)가 U-클립가이드(230)의 수평판 상부에 슬라이딩되어 안착된다.
즉, 본 발명의 고정브래킷(200)은 기존의 ㄱ자형 브래킷(도1의 (a)), T자형 브래킷(도1의 (b)) 및, U-클립가이드(230)가 포함되는 고정브래킷(도1의 (c))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ㄱ자형 브래킷과 T자형 브래킷은 하나의 철판을 절곡하거나, 여러 개의 철판을 용접 결합하여 형성한다. 물론 고정브래킷(200)의 벽고정부(220)와 창틀고정부(210)에는 외벽(150)과 창틀(100)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의 시공 과정을 도3에 의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3의 (a)와 같이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창틀(100) 하부에 고정시킨다.
이때 U-클립가이드(230)를 포함하는 고정브래킷(도1의 (c))의 경우에는, 창틀(100) 하부에 U-클립가이드(230)도 미리 결합한다.
다음으로 도3의 (b)와 같이, 창틀(100) 하부에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가 결합된 창틀(100)을 건축물 외벽(150) 상부에 세워 놓는다.
그리고 도3의 (c)와 같이, 고정브래킷(200)을 건축물 외벽(150)과 창틀(100) 하부에 결합한다. 이때 고정브래킷(200)의 브래킷삽입유도공(218)으로 연결철물(322)이 삽입되고, 결합유도슬릿(216)을 통하여 고정브래킷(200)이 이동할 수 있다. 물론 U-클립가이드(230)가 미리 창틀(100) 하부에 결합된 경우에는 고정브래킷(200)의 외측고정부(214)가 U-클립가이드(230)의 수평판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3의 (d)와 같이 다수 개의 고정브래킷(200)을 건축물 외벽(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정시켜 창틀(100) 설치를 완료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1은 종래 고정브래킷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의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의 시공 과정을 도시하는 저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창틀 110: 물끊기홈
150: 외벽 200: 고정브래킷
210: 창틀고정부 212: 내측고정부
214: 외측고정부 216: 결합유도슬릿
218: 브래킷삽입유도공 220: 벽고정부
230: U-클립가이드 300: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310: 수평브래킷 320: 볼트삽입공
322: 연결철물 324: 너트
326: 볼트결합용 나사산 330: 나사못삽입공
332: 고정철물 340: 볼트머리삽입부
350: 수직절곡부 352: 수평절곡부

Claims (10)

  1. 창틀(100) 하부에 고정되는 창틀고정부(210)와 상기 창틀고정부(210)에서 연직 하방으로 건축물 외벽(150)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벽고정부(220)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200)을 창틀(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창틀고정부(210)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고정부(212)와 창틀(100)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브래킷(310);
    상기 수평브래킷(310)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볼트삽입공(320); 및,
    상기 볼트삽입공(320)을 관통하여 수평브래킷(310) 하부로 나사산이 돌출되어, 고정브래킷(200)과 수평브래킷(310)을 결합시키는 연결철물(32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2. 제1항에서,
    상기 수평브래킷(310)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나사못삽입공(330); 및,
    상기 나사못삽입공(330)을 관통하여 수평브래킷(310) 상부로 나사산이 돌출되어, 창틀(100)과 수평브래킷(310)을 결합시키는 고정철물(332); 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3. 제1항에서,
    상기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는 창틀(100) 하부에 형성되는 물끊기홈(1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4. 제1항에서,
    상기 볼트삽입공(320)은
    창틀(100) 하부와 결합되는 수평브래킷(310)의 상부면이 일부 절취되거나, 수평브래킷(310)을 하부로 돌출시켜 형성되는 볼트머리삽입부(340); 에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5. 제1항에서,
    상기 수평브래킷(310)은
    상기 수평브래킷(310)의 단부를 연직 하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수직절곡부(350); 및,
    상기 수직절곡부(350)의 일단을 수평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수평절곡부(352); 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삽입공(320)은 수평절곡부(352)에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6. 제1항에서,
    상기 볼트삽입공(320)은 내주면에 볼트결합용 나사산(3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7. 창틀(100) 하부에 고정되는 창틀고정부(210)와 상기 창틀고정부(210)에서 연직 하방으로 건축물 외벽(150)의 실내측 벽면에 결합되는 벽고정부(220) 및, 상기 창틀고정부(210)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고정부(212)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결합유도슬릿(216)으로 구성되는 고정브래킷(200); 및,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결합유도슬릿(216)을 관통하는 연결철물(322)에 의하여 창틀(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8. 제7항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결합유도슬릿(216)의 일단이 확장되어 형성되는 브래킷삽입유도공(218);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9. 제7항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내측고정부(212)의 일단에서 건축물의 외벽(150) 상부로 연장되는 외측고정부(214);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10. 제9항에서,
    상기 고정브래킷(200)은
    수평판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 상방으로 절곡된 다음,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창틀(100) 하부에 결합되는 U-클립가이드(230); 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고정부(214)는 U-클립가이드(230)의 수평판 상부에 슬라이딩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300)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KR1020080001187A 2008-01-04 2008-01-04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KR10080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87A KR100804097B1 (ko) 2008-01-04 2008-01-04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87A KR100804097B1 (ko) 2008-01-04 2008-01-04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097B1 true KR100804097B1 (ko) 2008-02-18

Family

ID=3938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187A KR100804097B1 (ko) 2008-01-04 2008-01-04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0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732Y1 (ko) 2006-06-01 2006-08-25 한 기 김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0690587B1 (ko) 2007-02-05 2007-03-12 김정연 고정브랫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732Y1 (ko) 2006-06-01 2006-08-25 한 기 김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0690587B1 (ko) 2007-02-05 2007-03-12 김정연 고정브랫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7786A (en) Interior wall system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KR101315025B1 (ko) 커튼월용 앵커장치
US8733044B2 (en) Sectional rail system as base for a plate covering
KR101663373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101689152B1 (ko) 인발브라켓이 구비된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시공공법
KR20180032433A (ko)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150101855A (ko) 천정 마감용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천정 마감장치
KR100895381B1 (ko) 폼 안전 난간대
JP5732950B2 (ja) 吊り天井の耐震構造
JP4108092B2 (ja) 作業足場支持装置および作業足場設置方法
EP1314833B1 (en) Bar system
KR100804097B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창틀고정구조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20180016697A (ko) 패널 고정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패널 고정 방법
JP2010095868A (ja) 天井用補強ブレースの固定金具、および固定構造
KR101412086B1 (ko) 레벨 조절이 가능한, 커튼월 고정 장치
KR101925578B1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KR101770393B1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JP3139913U (ja) 建築用バー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天井下地材
JP4979441B2 (ja) 壁パネル
KR200398640Y1 (ko) 전기배선박스 설치지지장치
JP6473433B2 (ja) 外壁の構造
AU2009100758A4 (en) Bracket and mounting arrangement
JP2009275418A (ja) 縦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ベース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