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027B1 - 숫자의 이름으로 구성한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숫자의 이름으로 구성한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027B1
KR100804027B1 KR1020060074939A KR20060074939A KR100804027B1 KR 100804027 B1 KR100804027 B1 KR 100804027B1 KR 1020060074939 A KR1020060074939 A KR 1020060074939A KR 20060074939 A KR20060074939 A KR 20060074939A KR 100804027 B1 KR100804027 B1 KR 10080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numeric
assigned
alphabets
numeric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436A (ko
Inventor
김예은
Original Assignee
김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예은 filed Critical 김예은
Priority to KR102006007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0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숫자키를 구비한 통신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기능이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문자의 신속한 입력을 위하여 별도로 자판을 암기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판이 암기 되도록 다수의 숫자키에 숫자의 이름에 해당하는 단어를 배열하여 문자입력시 해당문자를 빨리 찾도록 한 것이다. 대부분 쉽게 알 수 있도록 숫자의 이름을 다수의 키에 배열시키고 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에 배열된 문자를 소정 횟수 눌러서 입력시키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단말기, 휴대폰, 문자입력, 문자메시지, 이동통신

Description

숫자의 이름으로 구성한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장치{ The input system with the number'name }
도1 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숫자키 구성상태
도2 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휴대폰 문자 배열의 일 실시 예
도3 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휴대폰 문자 배열의 일 실시 예
도4 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휴대폰 문자 배열의 일 실시 예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순서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순서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순서도이다.
*도면 5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51 :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
S 52 : "8 eight" 키를 누르는 단계.
S 53 : "1 one" 키를 누르는 단계.
S 54 : "1 one" 키를 누르는 단계.
S 55 : "*abcd" 키를 누르는 단계.
S 56 : 확인키를 누르는 단계.
*도면 6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61 : 문자 모드로 초기화시키는 1단계.
S 62 : 'M' 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0 jklm " 키를 4번 눌러서 입력하는 2단계.
S 63 : 'o'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1 one" 키에서 1회 눌러서 'o'입력시키는 3단계.
S 64 : 't'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3 three" 키에서 1회 눌러서 't'입력시키는 4단계.
S 65 : 'h'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3 three" 키를 2회 눌러 입력시키는 5단계"
S 66 : 'e'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3 three" 키를 4회 눌러 입력시키는 6단계
S 67 : 'r'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3 three" 키를 3회 눌러 입력시키는 7단계.
S 68 : 확인키를 누르는 단계.
*도면 8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71 :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
S 72 : "8 eight" 키를 누르는 단계.
S 73 : "1 one" 키를 누르는 단계.
S 74 : "1 one" 키를 누르는 단계.
S 75 : 역순입력 모드 키 "#"키를 누르는 단계.
S 76 : "*abcd" 키를 누르는 단계.
S 77 : 확인키를 누르는 단계.
*용어의 설명*
축약:단어의 일부분을 줄인 것.
중복: 알파벳이 복수로 배치되는 것.
의미를 부가하는 것: 외우기 쉽도록 알파벳의 배열에 구체적인 뜻을 만들어 주는 것.
정방향 입력 모드:글자가 왼쪽부터 입력되는 일반적인 입력방식
역순 입력모드: 글자가 오른쪽부터 입력되는 입력방식.
본 발명은 문자 입력장치에서 문자 입력에 관한 것으로 문자를 간편하게 입력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입력 장치의 한 예인 전화기, 휴대폰 등은 국민 들의 대표적인 통신 수단으로 이제는 종래의 주요 기능인 음성통화 기능 외에 간단한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이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그러나 문자 숫자키는 키 배열 방법이 어렵게 되어있어 암기한 상태가 아니고는 입력에 시간이 들고 암기가 어려웠다.
종래의 키 배열방식은 알파벳 순서대로 배열하거나 단순히 빈도순으로 배열하므로서 알파벳 문자 입력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었으나 키 자체를 빠르게 찾게 하거나 쉽게 암기하게는 해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자 입력장치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에 별도 암기가 필요없는 자판을 제공하여 문자입력을 쉽게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자판의 배열을 빨리 외워 키를 찾는 단계를 줄이는 것이 시간 단축에 있어서 최선이라고 보고 연상하지 않아도 숫자와 연관하여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단어를 여러 키에 인쇄 배치하여 암기하지 않고도 해당키를 빠르게 찾아 문자를 쉽게 입력시킬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알고 있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문자입력 고객들이 단어 속에 있는 알파벳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파악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으로는 키에 9-12개의 실제 단어를 배열하므로 실제 단어에서는 많이 쓰는 글자들이 중복될 수밖에 없으므로 키의 알파벳 배열에도 그대로 배열되는 것을 허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중요한 알파벳일수록 문자입력자들의 눈에 많이 노출되어 문자 입력시 해당 키를 보다 쉽게 찾게 되는 것이다.
경험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때 해당키를 찾는 일이 해당키를 찾은 후 키를 조작하여 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일보다 시간이 더 든다고 하는 사실을 생각할 때 의미 있는 기술적 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설명해 보기로하고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숫자의 이름에 해당하는 단어를 숫자키에 직접 인쇄하여 문자입력시 해당문자를 빨리 찾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도1은 모토로라의 자판이다. 그리고 다른 메이커들도 알파벳 배치가 대동소이하다. 단순하게 알파벳순서에 따른 경우가 많다.
도 2 는 휴대폰 숫자키에 숫자의 이름에 해당되는 문자를 직접 배치하여 배치한 본 발명의 표준적인 실시예의 숫자키 구성도이다. 이렇게 배열했을 때 알파벳 배열을 이미 고객들이 외운 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도1의 예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효율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문자로 구성하였으나 대문자의 경우도 동일하며 별 의미는 없는 것이다.
도1의 경우는 모토로라의 자판으로서 알파벳의 순서에 따라 배치하였으므로 자판을 보면서 어느 정도 알파벳이 배열된 위치를 짐작할 수는 있겠지만 암기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배열 자체가 숫자의 이름이므로 정확한 위치를 단번에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인 영어를 기준으로 한 배열의 실시 예이다.
표준 영어에 따른 숫자 이름이므로 영어의 기초 문자 교육을 이수한 정도라면 외울 필요도 없다.
1 one,
2 two,
3 three,
4 four,
5 five,
6 six,
7 seven,
8 eight,
9 nine,
0 zero 또는ten.
이상의 단어로 숫자키에 배치할 경우 전통적으로 문자가 배치되는 1-9까지의 9개 키에 문자를 배치하면 "1 one" "2 two" "3 three" "4 four" "5 five" "6 six " "7 seven " "8 eight" "9 nine" 으로 배치가 되고 이때 배치에서 제외된 abcd jklm pqyz 등 12개의 문자가 미 배치로 남게 된다.
남아있는 12개의 알파벳 문자를 "*"키와 "0" 키 "#" 키 등 남아있던 3개의 숫자키에 나누어 배치하면 "*abcd" "0 jklm " "# pqyz" 완성된다.
이 경우 통상 전화기 자판(세로3열 가로4열)의 맨 아래 줄 (가로 4번째줄) 좌측 부분에 "*abcd" 가 배치되고 "0 jklm " 은 중간부분에 "# pqyz" 은 우측부분에 배치하는 것이된다.
물론 상기 12개의 알파벳을 다른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부분은 알파벳 26자를 한 개씩만 배치한다는 업계의 고정관념을 깨고 알파벳을 중복 배열을 허용한 것이다.
알파벳을 중복 배열했을 때 입력하는 방법도 복수의 방법이 있게 되는데 이점이 긍정적인 부분이다.
예를 들면 'tv'를 입력해야 한다면 't'를 입력하기 위하여 "2 two" 키나 "3 three" 키 "8 eight" 키의 3개 숫자 키 중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이 경우 't'가 맨 앞에 배치되어 1번만 숫자키를 누르면 't'가 입력 되는 "2 two" 키나 "3 three" 키가 사용될 가능성이 많고 't'가 맨 뒤에 배치되어 5번이나 숫자키를 눌러야 입력되는 "8 eight" 숫자 키가 사용될 가능성은 적은 것을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3글자 이상이 단어의 경우 "3 thr" "4 fou" "5fiv" "7 sev " "8 eig" "9 nin" 앞의 3글자만 인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복 배열기능이 있기 때문에 그래도 알파벳을 빠짐없이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3은 알파벳을 3개씩 배열하기 위하여 숫자이름에서 세 글자 이상은 생략하고 세글자 만 배열한 실시예이다.
이 경우 모음은 'e'는 3회, 'o'는 3회, 'i'는 4회나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고 자음은 t 가 2회, n 은 3회, f 는 2회, s가 2회, h 가 1회 사용되고 있다.
도1의 실시 예에서 숫자이름을 다 쓸 때보다 'e'의 배치가 7개에서 3개로 줄어들고 r,n,h,t의 배치가 각 1개씩 줄어드는 외에는 큰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앞의 세 글자 만으로도 자판을 구성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4는 중복되는 알파벳이 포함된 숫자 이름을 뺀 경우의 실시예이다.
알파벳이 중복되다 보니 어느 하나의 숫자의 이름의 경우는 빼도 26자의 전체 알파벳을 배열하기에 상관이 없는 경우가 생기는데 (예를 들면 "9 nine" 을 빼고 그 위치에 "*abcd" "0 jklm " "# pqyz" 중에서 하나를 넣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것은 실시 예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정할 수 있는것이다.
"1 one"의 위치에 "*abcd" 를 넣을 수 있는 회사의 경우는 "1 one"을 빼고 대신 "*abcd" 를 넣어도 알파벳은 26개 중에서 빠진 것이 없고 암기용 자판으로서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상기 12개의 글자를 이용하여 암기용 자판의 특징을 살리기 위하여 의미를 부가할수도 있을 것이다, my, lazy, back, jack, lay, cad, cab, dab, map,jacal,bed,bad,queen 등의 조합이 가능한 여러 단어를 만들어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이미 사용된 중요 자음, 모음을 중복 배치할 수도 있다. 의미 있는 단어 구성이 어려운 경우는 q(queen), k(king), l(love)등의 축약 형태로 배열할 수도 있다.
도4는 암기가 쉽도록 의미를 부가한 일 실시예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9번 키에 숫자 이름을 배정한 표준적인 실시예에서 "1숫자키" 에서'one'를 빼고 "9숫자키" 키에서 'nine'를 빼내는 1단계;
숫자이름에 포함되지않은 ,b,c,d,j,k,l,m,p,q,y,z," 의 12개의 문자를 중심으로 의미가 통하도록 알파벳을 조합하는 2단계;
'1'숫자 키에 "1인칭 소유격"의 의미를 부가하여 조합한 "my"를 배치하고 ;
'9'숫자 키에 "잠자는 여왕" 이라는 의미를 부가하여 조합한 "bed q(queen)" 을 배치하고;
'*'키에는 "횡재" 라는 뜻의 의미를 부가하여 조합한 "jack p(pot)" 을 배치하고;
'0'키에 "게으른"의 뜻의 의미를 부가하여 조합한 "lazy"를 배치하는 3단계;
비어 있는 "#"키를 역순 입력 키로 배정하는 4단계.
이렇게 하면 본 발명에서 "my phon"이라고 부르기로 한 실시예가 완성된다.
입력방식의 이름을 "my phon"이라고 부르게 되면 일단 1번 키는 쉽게 암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특징 중의 하나는 "#키"에 알파벳을 배열하지 않으므로 키 한개가 남아 '역순 입력 모드 키' 등으로 사용이 가능 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알파벳 배열에 있어서 "3 three" "4 four" "5five" "7 seven " "8 eight" "9 nine" 등은 알파벳이 4-5 개나 배치되어 많은 듯하나 공지의 기술인 문자가 인쇄된 순서대로 소정의 횟수만큼 눌러 입력시키는 방식이고 뒷부분은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큰 의미가 없으므로 결국 3개씩만 인쇄된 것이나 다름이 없다. 뒤에 설명하는 역순 입력방식을 사용하면 오히려 편리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도2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 " Good " 를 입력 하려면 " 문자 모드로 초기화시키는 단계 (S51),, '
첫 글자 'G' 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여는 "8 eight" 키를 3번 눌러서 입 력하는 1단계(S52).
그 다음 글자 'o'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1 one" 키에서 1회 눌러서 'o'입력시키는 3단계(S53).
그 다음 글자 'o'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1 one" 키에서 1회 눌러서 'o'입력시키는 3단계(S54).
(글자 'o'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1 one" 키에서 1회 눌러서 입력시키거나 "2 two" 키에서 3번 눌러서 입력시키거나 "4 four" 키에서 3번 눌러서 입력시키거나 'o'의 입력 방법을 마음대로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d'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abcd" 키를 5회 눌러 입력시키는 4단계(S55),
확인키 'OK' 를 누르는 5단계(S56).그러면 'Good' 입력이 완료된다.
이 경우는 '*' 키의 고유 기능을 유지(전화의 경우 통상적으로 전화기를 열었을때의 상태인 전화 걸기 모드의 경우)하도록 하고 문자입력시는 '*'가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1회를 누를 때는 '*'가 입력 되도록 할 것이고 2회 누를 때부터는 알파벳이 입력이 되도록 구성하도록 한다.
비슷한 기능이 있는 '#' 또한 마찬가지다. 물론 특수문자는 따로 입력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영어의 숫자의 이름을 그대로 이용하여 문자 판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외에도 알파벳을 쓰는 언어인 스페인어, 불어, 독일어 이태리어,러시아어 등 알파벳 사용언어에서도 해당 언어의 숫자이름을 이용하여 키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중요한 알파벳은 자연스럽게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입력 하고자 하는 알파벳을 그만큼 빨리 발견하고 쉽게 입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억지로 빈도순으로 배치한다며 영어 알파벳을 골라내서 뒤죽박죽 배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단순한 빈도순 배치의 경우 알파벳을 찾는 데는 오히려 더 시간이 걸리므로 전체적인 입력 시간을 줄이는 효과는 적은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순서도이다.
"mother"을 입력시키는 경우
본 발명의 방식으로 문자 'mother' 를 입력 하려면
문자 모드로 초기화시키는 1단계 (S61),, '
첫 글자 'M' 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0 jklm " 키를 4번 눌러서 입력하는 2단계(S62).
그 다음 글자 'o'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1 one" 키에서 1회 눌러서 'o'입력시키는 3단계(S63).
그 다음 글자 't'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3 three" 키에서 1회 눌러서 't'입력시키는 4단계(S64).
(글자 't'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2 two" 키에서 1회 눌러서 입력시키거나 "3 three" 키에서 1회 눌러서 입력시키거나 "8 eight" 키에서 5회 눌러서 입력시키거나 't'의 입력 방법을 마음대로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h'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3 three" 키를 2회 눌러 입력시키는 5단계(S65),
'e'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3 three" 키를 4회 눌러 입력시키는 6단계(S66),
'r'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3 three" 키를 3회 눌러 입력시키는 7단계(S67),
확인키'OK'를 누르는 단계(S68)
그러면 'mother'의 입력이 완료된다.
상기 'mother'의 입력 예에서는 중복 배치된 알파벳이 한 개의 키 안에 있는 경우인데 굳이 키를 누르는 횟수가 적다 하여 다른 숫자 키를 다시 찾아 입력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누르는 횟수에 소요되는 시간 보다는 새로운 키를 찾는데 드는 시간이 더 들고 번거롭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자연스럽게 중복 배치된 알파벳이 1-9의 숫자의 이름에 해당되는 단어에서 모음은 'e'는 7회, 'o'는 3회, 'i'는 4회나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고 자음은 't' 가 3회, 'n' 은 4회, 'f' 는 2회, 's'가 2회, 'h' 도 2회 나 사용되고 있다.
어느 언어이든지 인간의 발성기관 구조상 쉽게 낼 수 있는 '아', '에', '이', '오', '우' 등을 발음하는 모음은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중요한 모음인 'e'는 7회 나 중복 배치되어 자판의 절반 가량에서 발견할 수 있다. 'o'는 3회, 'i'는 4회나 된다, 게다가 사용 횟수를 인위적으로 분석하여 배치한 것이 아니고 가장 많이 활용되는 살아있는 숫자의 이름에 해당하는 단어를 나열하면서 자연스럽게 해당 언어에서 몇몇 알파벳이 차지하는 중요도를 자판에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언어가 생성될 때 어느 언어이든지 1-9까지의 숫자의 이름은 가장 쉽고 많이 쓰는 글자 (특히 모음의 경우 )로 구성되지 않겠는가. 이는 어떤 과학적인 중요도 분석에 못지 않다고 하는 증거로 삼을 수 있다.(수 만의 영어단어를 데이터화 하여 인위적으로 분석한 것은 실제로 휴대폰 등의 문자 멧세지에서 사용되는 생활중심의 어휘들을 잘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인위적인 분석보다는 가장 기초적인 언어를 통하여 자판을 구성하고자 하였고 숫자의 이름과 순서와 일치시켜 암기의 효과까지 더한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하고자하는 글자가 단어의 뒷 쪽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 키 누르는 횟수를 줄여 보다 빠른 입력을 위하여 역순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역순 입력모드를 정의하기 전에 지금까지 일반화된 방식인 왼쪽부터 입력되는 입력방식을 '정방향 입력 모드'로 부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도 역순 입력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는 정방향 입력 모드로 자동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역순입력의 개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자를 입력할 때 키에 배열된 오른쪽 글자 즉 마지막 철자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방식"
예를 들면 "3 three" 키에서 'e'를 입력하는 경우 통상의 경우 왼쪽에서 4회를 눌러야 입력이 가능하지만 오른쪽에서 보면 1회만 누르면 입력이 가능하게 되는것이다.
역순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키는 '*'키, 또는 '#'키로 정할 수도 있고 별도 전용 키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실 시예에 따라 알파벳이 중복되는 숫자이름을 하나 줄인 경우 '*'키, 또는 '#'키로 키에 배치된 알파벳을 줄인 곳으로 옮긴후 알파벳은 배열하지 않은 상태의 '*'키, 또는 '#'키중 하나를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역순입력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숫자키에 눌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역순 입력 모드로 정한 일정한 키를 눌러 역순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역순입력 모드에서는 키를 1회 누를 때 키에 배열된 알파벳 글자 중 오른쪽 마지막 글자부터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역순입력 모드에서는 키를 2회 누를 때 키에 배열된 알파벳 글자 중 오른쪽에서 두번째 글자가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역순입력 모드에서는 키를 3회 누를 때 키에 배열된 알파벳 글자 중 오른쪽에서 3번째 글자가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역순입력 모드에서는 해당 키에 3글자 이상이 배열되어 있을 때 키를 누르는 횟수만큼 키에 배열된 알파벳 글자 중 오른쪽에서 소정의 횟수 번째 글자가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역순입력 모드는 해당글자에 입력시 한번 만 작동하고 다음 글자 입력부터는 입력순서가 원래 글자 배열 순으로 환원되어 왼쪽부터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역순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good'을 입력할 때의 순서도이다.
역순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키가 '#'키로 정해진 경우 다음과 같이 입력이 이루어진다.
문자 모드로 초기화시키는 단계 (S71),
첫 글자 'G' 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8 eight" 키를 3번 눌러서 입력하는 1단계(S72).
그 다음 글자 'o'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1 one" 키에서 1회 눌러서 'o'입력시키는 3단계(S73).
그 다음 글자 'o'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1 one" 키에서 1회 눌러서 'o'입력시키는 3단계(S74).
'd'를 오른 쪽에서 부터 입력하기 위하여는 '#'키를 눌러 역순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4단계(S75).
"*abcd" 키를 1회 눌러 'd'를 입력시키는 5단계(S76),
확인키 'OK' 를 누르는 5단계(S77). 그러면 'Good' 입력이 완료된다.
상기 예시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조금 구성을 달리하여 변형시킨 경우도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 입력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문자를 숫자의 이름에 따라 배열하였으므로 누구나 즉석에서 외울 수 있어 깜깜한 밤이나 작은 글자가 보이지 않는 흐린 조명하에서도 흔히 평소에 감각으로 숫자키를 다이얼 하는 것처럼 문자도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메일이 휴대폰의 문자 메세지 기능 때문에 젊은이들 사이에 사용이 줄어들고 있으며 각 휴대폰 메이커들도 기술이나 디자인은 이제 상향 평준화되어 큰 차이가 없어지고 있다.
이런 시기에 새롭고 편리한 입력방식의 출현은 시장의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복수의 키로 이루어져 있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키는 하나 이상의 열과 행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키에는 A 에서 Z 까지 문자입력에 필요한 알파벳 이 배열되며, 축약은 키에 배열된 단어의 일부분을 줄인 것이고 , 중복은 알파벳이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고,의미를 부가하는 것은 외우기 쉽도록 알파벳의 배열에 구체적인 뜻을 만들어 주는 것인데, 상기키에 알파벳들을 배열한 문자입력 장치에 있어서;
    아라비아 숫자 ,1,2,3,4,5,6,7,8,9,가 배치될 키에 상기 아라비아 숫자의 이름이나 상기 숫자 이름의 축약 형태에 해당하는 단어를 해당 숫자가 배치된 키에 함께 배열하며;
    상기 숫자의 이름에 해당하지않는 알파벳은 임의 조합하되 다른 알파벳과의 중복을 허용하여 별도의 숫자키 에 배열하여;
    문자의 정방향 입력 모드에서는 키를 누른 횟수만큼 알파벳의 왼쪽에서부터 글자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지만;
    문자의 역순 입력 모드에서는 키를 1회 누르면 키에 배치된 알파벳의 오른쪽에서 첫번째 글자가 입력되고;
    문자의 역순 입력 모드에서 키를 2회 누르면 키에 배치된 알파벳의 오른쪽에서 두번째 글자가 입력되고;
    문자의 역순 입력 모드에서 키를 3회 누르면 키에 배치된 알파벳의 오른쪽에서 세`번째 글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아라비아 숫자의 이름이나 상기 숫자 이름에 해당하는 단어를 해당 숫자가 배치된 키에 배열하는 형태는
    숫자키 1에는 " one" 을 배치하며;
    숫자키 2에는 " two" 을 배치하며;
    숫자키 3에는 " three" 을 배치하며;
    숫자키 4에는 " four"을 배치하며;
    숫자키 5에는 " five" 을 배치하며;
    숫자키 6에는 " six" 을 배치하며;
    숫자키 7에는 " seven " 을 배치하며;
    숫자키 8에는 "eight" 을 배치하며;
    숫자키 9에는 "nine" 을 배치하며;
    이때 배치에서 제외된 abcd 는 *키에 배치하며;
    jklm 는 0키에 배치하며;
    pqyz 는 # 키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숫자 이름의 축약 형태에 해당하는 단어를 해당 숫자가 배치된 키에 배열하는 형태는
    숫자키 1에는 " one" 을 배치하며;
    숫자키 2에는 " two" 을 배치하며;
    숫자키 3에는 " thr" 을 배치하며;
    숫자키 4에는 " fou"을 배치하며;
    숫자키 5에는 " fiv" 을 배치하며;
    숫자키 6에는 " six" 을 배치하며;
    숫자키 7에는 " sev " 을 배치하며;
    숫자키 8에는 "eig" 을 배치하며;
    숫자키 9에는 "nin" 을 배치하며;
    이때 배치에서 제외된 abcd jklm pqyz 는 의미 별로 조합하여 *키, 0키, # 키에 나누어 배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9. 제6항에서
    중복을 허용하는 알파벳은
    인간이 발음하기 쉬운 기본 모음인 a,e,i,o,u 와
    숫자이름에 사용된 o,n,e,t,w,h,u,r,f,s,i,x,v,n 14자중 자연스럽게
    숫자이름에 복수로 포함되어 중복되어 배치된 n,t,h,r,f,s,와
    숫자의 이름에 사용되지않은 a,b,c,d, j,k,l,m, p,q,y,z 12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10. 복수의 키로 이루어져 있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상기 키는 하나 이상의 열과 행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키에는 A 에서 Z 까지 문자입력에 필요한 알파벳이 배열되며, 축약은 키에 배열된 단어의 일부분을 줄인 것이고 , 중복은 알파벳이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고,의미를 부가하는 것은 외우기 쉽도록 알파벳의 배열에 구체적인 뜻을 만들어 주는 것인데, 상기키에 알파벳들을 배열한 문자입력 장치에 있어서;
    1에서 9의 숫자의 이름이 있는 키에 알파벳으로 된 숫자이름을 할당하는 과정에서 알파벳의 구성이 중복되는 "one" " two" "three" " four" " five" "six " "seven " "eight" " nine" 의 단어 중에서 적어도 한 개를 빼는 경우;
    뺀 자리에 숫자의 이름에 해당하지 않는 알파벳 abcd jklm pqyz 12개에 중에서 의미를 부가하여 조합하거나 임의 조합하여 알파벳을 배치하고;
    숫자키 '#' 키는 역순입력모드 키로 배정하여 문자의 역순입력 모드에서는 키를 누른 횟수만큼 알파벳의 오른쪽에서부터 글자가 역순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11. 제10항에서
    알파벳의 배치는
    숫자키 1에는 " my" 를 배치하며;
    숫자키 2에는 " two" 를 배치하며;
    숫자키 3에는 " three" 을 배치하며;
    숫자키 4에는 " four"을 배치하며;
    숫자키 5에는 " five" 를 배치하며;
    숫자키 6에는 " six" 를 배치하며;
    숫자키 7에는 " seven " 을 배치하며;
    숫자키 8에는 "eight" 을 배치하며;
    숫자키 9에는 "bed q" 를 배치하며;
    '*' 키에는 "jack p" 를 배치하며;
    숫자키 '0'키에는 "lazy" 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KR1020060074939A 2006-08-08 2006-08-08 숫자의 이름으로 구성한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장치 KR10080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939A KR100804027B1 (ko) 2006-08-08 2006-08-08 숫자의 이름으로 구성한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939A KR100804027B1 (ko) 2006-08-08 2006-08-08 숫자의 이름으로 구성한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36A KR20080013436A (ko) 2008-02-13
KR100804027B1 true KR100804027B1 (ko) 2008-02-18

Family

ID=3934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939A KR100804027B1 (ko) 2006-08-08 2006-08-08 숫자의 이름으로 구성한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0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855U (ko) * 1998-09-01 2000-04-06 양기호 한글자모배열 전화기자판
KR20020018689A (ko) * 2000-08-07 2002-03-09 황재엽 모드가 통합된 전화기문자코드발생장치
KR20030043532A (ko) * 2001-11-28 2003-06-02 박성환 소형 기기에서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32228A (ko) * 2002-10-08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KR20040099241A (ko) * 2004-10-01 2004-11-26 김예은 알파벳의 간편 입력방법과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855U (ko) * 1998-09-01 2000-04-06 양기호 한글자모배열 전화기자판
KR20020018689A (ko) * 2000-08-07 2002-03-09 황재엽 모드가 통합된 전화기문자코드발생장치
KR20030043532A (ko) * 2001-11-28 2003-06-02 박성환 소형 기기에서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32228A (ko) * 2002-10-08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KR20040099241A (ko) * 2004-10-01 2004-11-26 김예은 알파벳의 간편 입력방법과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36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3638A1 (en) World's fastest multi-tap phone and control means
JP2004133915A (ja) ハングル文字入力方法,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ハングル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0804027B1 (ko) 숫자의 이름으로 구성한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장치
KR100348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470698B1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CN101098357A (zh) 支持盲文输入的通信终端及在该终端上发送盲文的方法
KR20010106807A (ko)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20021182A (ko) 성조 표현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0837B1 (ko) 디스플레이 변환형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0154150B1 (ko) 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열 입력방법
KR20080013806A (ko)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 장치
KR100667237B1 (ko) 알파벳의 간편 입력방법과 단말기
KR100804024B1 (ko)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 장치
KR20090045904A (ko) 사물의 이름을 배열하는 시스템
KR20090045902A (ko) 문자 전부 입력 시스템
KR20090045903A (ko) 알파벳의 중복 배열 시스템
KR20110088311A (ko) 전자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90045909A (ko)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 장치
KR20060010626A (ko) 축소형 글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축소형 한글 글자판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20080023068A (ko)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90040401A (ko)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 장치
KR20050013921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