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530B1 - 투시창과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탄난로 - Google Patents

투시창과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탄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530B1
KR100803530B1 KR1020060131544A KR20060131544A KR100803530B1 KR 100803530 B1 KR100803530 B1 KR 100803530B1 KR 1020060131544 A KR1020060131544 A KR 1020060131544A KR 20060131544 A KR20060131544 A KR 20060131544A KR 100803530 B1 KR100803530 B1 KR 100803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
heat
briquette stove
briquettes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은호
Original Assignee
진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은호 filed Critical 진은호
Priority to KR102006013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5Igniting devices; Fire-igni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탄에 불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장치와 연통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연탄의 화력을 조절하는 열 조절장치 및 투시창을 구비하여 연탄의 소화(燒火)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난로 덮개를 경첩(장석)화 열고 닫기에 용이한 연탄난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탄난로는 내부에 연탄이 넣어져 소화되는 공간을 갖는 토관부(2)의 외부 일측 또는 전측에 설치되어 내부를 확인하는 투시창(10)과 ; 상기 토관부(2)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연통(4)의 중간에 설치된 조절장치(7)와 ; 상기 토관부(2) 하부에 설치되어 연탄에 불을 점화하는 점화장치(17)와 ; 몸체부(1)의 최상부에 경첩(3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내부 중앙 부분에는 유리재질의 유리판(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리판(33)의 테두리에는 유리는 철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금속테두리(32)를 설치하였으며, 금속테두리(32)의 일측에는 손잡이(5)가 설치된 연탄난로 덮개(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탄난로, 투시창, 점화장치, 열 조절장치

Description

투시창과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탄난로{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연탄난로 전체도
도2는 본 발명의 연탄난로 위 덮개 평면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점화장치 및 연탄난로 하부구조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점화장치 구조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연통에 연결된 열 조절장치 구조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연탄난로 몸체부(1), 토관부(2), 윗 덮개(3), 연통(4), 손잡이(5), 토관홈(6), 열 조절장치(7), 재회수구(8), 휀(9), 투시창(10), 가열선(11), 돌기(12), 공간부(13), 타이며(14), 전원연결부(15), 공기조절기(16), 점화장치(17), 경첩(31), 금속테두리(32), 유리판(33), 열 조절손잡이(71), 열조절판(72), 열조절축(73)
본 발명은 연탄의 점화장치와 연통에 설치된 열 조절장치와, 몸체 및 뚜껑에 설치된 유리재질의 투시창을 도입한 연탄난로에 관한 것이다.
즉, 연탄에 불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장치와 연통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연탄의 화력을 조절하는 열 조절장치 및 투시창을 구비하여 연탄의 소화(燒火)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화력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점화가 용이한 연탄난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연탄난로 구조를 보면, 내부에는 흙(사토)으로 제작된 원통형 토구물과 이를 감싸고 있는 철판으로 된 외부 형태에 보호 철망이 부착된 구조물의 형태로 난로의 한 쪽 면에 연통을 장착시켜 사용한다.
제품 종류는 연탄난로에 들어가는 연탄수량에 따라 1구 2탄형 연탄난로와, 1구 3탄형 연탄난로와, 6개 연탄을 동시에 발화시킬 수 있게 제작된 2구 6탄형 연탄난로와 같이 크게 3 종류로 나누어지며, 사용방법은 연탄난로에 연탄을 투입. 연탄을 발화시켜 이때 발생된 열에너지를 이용 실내온도를 높여주고, 발화된 연탄이 모두 소모되기 전에 새 연탄을 투입하여 발화를 유지시킨다.
삭제
연통은 연탄이 발화시 발생되는 연기, 가스, 열등이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켜 는 기능을 하며, 연탄의 발화 및 소모 상태에 따른 교체시기 등의 확인 방법은 불투명한 철판 구조물인 뚜껑을 열고 내부의 연탄의 소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다. 뚜껑은 철제 원형 형태로 위 부분에 철선 손잡이를 부착되어 있고, 연탄을 교체할 때에는 뚜껑을 열어 별도의 장소에 보관 처리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은,
첫째 연탄난로의 외형은 외부에서 연탄불의 교체시기를 알 수 없어,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주 연탄난로의 뚜껑을 열어보아 확인 가능한 구조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연탄의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자는 직, 간접으로 연탄이 연소될 때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인체에 해를 입힐 수 있으며, 이때 실내로 방출된 각종 물질과 냄새가 실내를 오염시켜 사용자는 창문을 통해 자주 환기시키는 불편함과 환기에 따른 실내 온도를 저하시키는 원인 유발과 가열된 뚜껑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주의시 화재나 화상을 초래한다.
둘째, 연탄은 연탄을 구성하는 물질의 성분상 최초에 불이 점화되는 시점인 초기엔 인체에 유해한 물질과 각종 연기, 가스가 대량으로 방출되는 반면. 일정시간이 경과된 시간(약 1 -2시간)후에는 연탄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이 현저히 저하되어 방출되고. 이때 연탄불은 최대로 발화되는 양극화 현상이 일어난다.
이때 연탄난로의 주사용 목적인 실내온도를 향상시키는 최대 열에너지가 발생되나, 종래 연탄난로는 구조적으로 내부 열에너지가 난방에 사용되는 것 보다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열량이 많아 실내온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열이 외부로 방출됨에 의해 연탄 소모량이 증가되어 경제적 손실이 발생된다.
셋째, 화석물질인 연탄은 타 유,화학 물질보다 발화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초기 연탄불에 불을 점화시킬 때 나무 또는 착화탄(일명 번개탄)을 이용하여 연탄에 점화를 시킨다.
삭제
이때, 발생되는 유독 가스와 연기는 사용자 인체에 유해하며. 위 특징의 서술과 같이 연탄불이 쉽게 발화되지 않아 착화탄을 다량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가중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음 4개 분야로 구분되는 기술을 도입, 사용상 편리성과 안전성을 추구할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첫째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열 조절장치(기기)와,
둘째 사용자 시각을 통한 연탄 교체시기를 확인하는 투시창과,
세째 연탄불 점화장치(기기)와
넷째 덮게(뚜껑)에 부착된 손잡이를 이용 자유롭게 연탄난로 뚜껑을 열고. 닫기가 용이하도록 경첩(장석)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위에서 지적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 중
1. 열 조절장치는 연탄난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는 외부로 방출되는 열 조절을 통하여. 무작위 방출되는 열을 조절제어 함으로써 실내온도의 향상을 가져와 경제적 효과를 득 할 수 있으며,
이용방법은 기존 연통설치 시 연통과 연통 사이에 본 발명의 조절장치(기기)가 연결되며, 또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제작된 것이 특징으로, 사용자가 연탄불의 발화 상태를 파악, 손잡이로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순수한 열이 외부로 방출됨을 제어하며, 제어된 열에너지는 연탄난로 내부로 순환되어 연탄난로를 가열하는 유발 효과로 실내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투시창은 사용자 시각을 통한 연탄 교체시기를 확인하는 장치로, 사용자가 손쉽게 연탄난로 외형 관찰만으로 연탄의 소모 및 발화상태 등을 손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제작된 것이 특징으로, 이는 불필요하게 연탄 사용량 점검을 이유로 연탄 뚜껑을 자주 열어보는 문제점을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인체의 유해가스 및 내음 등의 흡입, 방출을 막아,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연탄 발화에서 소모시. 연탄외형에 나타나는 형태는 검정색에서 갈색으로 색상이 변화되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해 제작된 연탄난로의 외부 특정 부위에 부착된 투광 창에 색상의 변화가 투시되고, 이는 사용자 육안(눈)으로 확인되어 발열상태 및 연탄 교체시기 확인이 용이하도록 개량된 것이 발명의 특징이다.
확인방법은 연탄난로의 각 각의 측면의 투시창을 통하여 확인하는 방법과 상면 유리로 된 연탄 뚜껑면으로도 확인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계 제작되었다.
3. 본 발명의 연탄난로의 뚜껑은 유리로 난로 몸체에 부착된 경첩(장석) 형태로 이는 연탄 교체시 사용자가 가열된 연탄난로 덮개(뚜껑)를 손쉽게 처리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된 것으로, 덮게(뚜껑)에 부착된 손잡이를 이용 자유로이 열고 닫기가 용이하도록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유리로 제작되어 상부를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열에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였고, 연탄불 확인이 용이하도록 투명하게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사용 방법은 본 발명의 덮게(뚜껑) 자체에 손잡이가 달려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 열고 닫을 수 있게 되었으며 손잡이 또한 꺽쇠형 제작되어 손잡이가 외부 물체와의 걸림을 사전예방 할 수도 있다.
4. 연탄불 점화장치(기기)는 손쉽게 연탄불을 점화(발화)시키는 기기장치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연탄불을 발화시키는 방법으로. 기존 연탄난로 사용 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독립 이동용과, 연탄난로에 부착된 일체형의 형태로 구분된다.
원리는 일반 상용전원을 시스템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면 가열선이 가열, 발화되고 이때 발생된 열에너지를 이용 연탄불을 발화시키는 원리로, 이 원리를 이용한 제품은 전기히타, 전기난로등과 같이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사용방법은 간단히 전원 콘센트에 전원을 연결하고 타이머 스위치을 동작시킨다. 본 발명 점화장치(기기)는 평상시 사용되지 않는 점을 감안, 필요시 만 전원공급이 용이하도록 콘센트화 탈. 부착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전기 줄로 인한 불편함을 사전에 제거한 특징과. 불필요한 과전류 공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머 스위치를 부착, 연탄점화(발화)시 자동전원이 차단되어 전기로 인한 사고를 사전 예방하며, 연탄점화(발화)을 촉진시키기 위해 휀이 가동된다.
본 발명은 연탄난로에 장착한 일체형과, 독립 이동용으로 설계 제작되고. 그 작동원리 및 사용방법은 위와 동일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일체형은 연탄난로의 하단부에 점화장치가 설치되고, 전원 공급시 일정시간 휀을 가동시켜 연탄불이 쉽게 점화되도록 산소를 공급하고, 연탄 발화시 발생하는 연기 및 가스가 연통으로 원활히 배출된다.
독립 휴대용은 기존 연탄난로를 사용하는 고객이 연탄불을 발화시키기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 이는 연탄불 발화시 각종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점을 감안, 외부사용이 필수조건인 점을 감안, 이동상 편리성을 추구하였다.
상기에서 명시된, 전원 콘서트, 히터코일, 유리, 토관, 연통부분 등의 성분 및 재질은 이미 공지되어 상용화된 기술로써 도시하지 않음.
본 발명 중, 연탄난로 외형은 기술의 발전을 위해 그 형태는 변경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연탄난로 전체도, 도2는 본 발명의 연탄난로 덮개 평면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점화장치 및 연탄난로 하부 구조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점화장치 구조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연통에 연결된 열 조절장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탄난로는 몸체부(1), 토관부(2), 덮개(3), 연통(4), 손잡이(5), 토관홈(6), 열 조절장치(7), 재회수구(8), 휀(9), 투시창(10), 가열선(11), 돌기(12), 공간부(13), 타이며(14), 전원연결부(15), 공기조절부(16), 점화장치(17), 경첩(31), 금속테두리(32), 유리판(33), 열 조절손잡이(71), 열조절판(72), 열조절축(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탄난로는 몸체부(1)의 투시창(10)을 형성하고, 상기 토관부(2) 부분에는 내부의 확인이 가능하게 토관홈(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덮개(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연통(4)의 중간에는 연통내부 공기흐름의 개폐량을 조절하기 위한 열 조절장치(7)가 구비되어 있고, 몸체부(1) 내부 즉, 토관부(2)의 하단에는 토관부(2)에 넣어진 연탄에 불꽃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장치(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점화장치(17)의 하부에는 휀(9)과 전원콘센트(15)와 타이머(14) 및 공기 조절기(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1)의 최 하단에는 토관부(2)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탄재를 꺼내기 위한 재 회수구(8)가 더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탄난로 덮개(3)는 철판재질로, 상부 일측엔 경첩(3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구조는 유리재질의 유리판(33)과, 이 유리판(33)의 테두리에 형성된 금속테두리(32)와, 이 금속테두리(32)의 일측에 고정된 손잡이(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 내부 토관부(2) 하부에 형성된 점화장치(17)의 내부구조는 연탄재 방출이 용이하도록 일정간격 이격이 형성된 공간부(13)과, 이 공간부(13)의 사이에 설치된 돌기(12)와, 이 돌기(12)에 나선형으로 설치된 가열선(11)으로 구성되며, 돌기 형태구조는 점화발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공학적 설계를 따른 것이며, 상기 몸체부(1) 하단에는 가열선(11)의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14)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15)로 구성되고 발화의 촉진을 위해 휀(9)을 가동, 발화에 필요한 공기를 주입한다.
상기 연통(4)에 구비되는 열 조절장치(7)는 기존 연통과 연통사이에 설치, 사용이 용이하도록 제작된 독립형태로 설치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외부에 설치된 열 조절손잡이(71)와, 손잡이에 연결된 열조절축(73)과, 열 조절손잡이(7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열조절판(72)으로 구성된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외부에서 연탄 교체시기 확인 실시 예
연탄은 토관부(2)에서 발화되어, 발화된 연탄불은 붉은색을 띈다. 이 불꽃은 토관에 일정크기로 홈이 파져있는 토관홈(6)을 통해 1차 노출되면서, 2차 유리로 된 투시창(10)에 불꽃이 투시되고, 또한 덮개(3)의 유리판(33)으로도 그 형상이 도시되어. 사용자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연탄특성상 소모과정은 검정색에서 갈색탄으로 색상이 변화되어 위 현상을 각각의 측면 투시창(10)과, 유리판(33)을 통해 확인되어. 사용자 육안으로 연탄 교체시기를 가름 할 수 있다.
2) 외부 전원 공급 시, 점화 작동 실시 예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전원연결부(15)와 타이머(14)를 통해 가열선(11)에 전달되며 이 때, 가열선의 필라멘트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의해 발열(방화)되며 이때 발생되는 에너지 즉 열과 방화 불꽃으로 연탄불이 붙여지게 된다.
이 때, 연탄발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휀(9)이 구동되어 발화(점화)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단, 발화된 연탄은 자생력으로 그 발화를 유지하므로, 스위치 타이머를 통해 일정시간(발화시간) 경과 후,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초기 연탄불을 지피는 데에는 한 개의 연탄만 발화시켜도 사용 가능하므로 전력소실. 기타 자재 등의 경제성을 고려. 2구6탄형 연탄난로에는 한 곳에 점화장치만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점화장치로 상기 서술과 같은 원리로 작동되며, 기존 연탄난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독립형 형태로 이동이 쉽도록 제작된다.
3) 연탄난로 뚜껑 작동 실시 예
연탄난로 상부에 설치 된, 연탄난로 덮개(3)에 장착된 연탄난로 뚜껑(33)은 연탄불 확인이 용이하도록 유리로 된 원형형태로 연탄난로 사용상 연탄교체 주기에 따른 잦은 사용 특성을 고려해, 유리 외곽에는 철로 된 보호 장치로 금속테두리(32)가 부착된다.
또 한 연탄난로 뚜껑(33)은 난로 특성상 항상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손잡이(5)를 부착 사용자 안전성을 고려하였고, 경첩(31)은 윗 몸체부 상측 덥개부(3)와 연결되어 연탄 교체에 따른 열고 닫는데 편리성을 추구하였다.
4) 열 조절 장치 작동 실시 예
발화 된 연탄에서 발생된 열은 연통(4)을 통해 외부로 무작위 배출된다. 사용자는 열 조절장치 손잡이(71)를 이용. 연통으로 배출되는 열 흐름을 조절하여 외부 배출을 제어, 열을 연탄난로에 보관하는 효과를 통해 많은 열이 실내로 전달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단, 연탄에서 발생되는 유독 가스 및, 연기 등에 따른 사용자 안전성을 위해 일정량은 외부로 항상 배출되게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전원이 전원연결부(15)에 전원을 공급하면, 타이머(14)를 통해 점화장치(17)가 발화되고, 이 에너지를 이용, 연탄이 점화(발화)되어 실내온도를 상승시키고 연탄발화로 발생된 개스 및 연기는 연통(4)과 열 조절장치(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연탄불의 발화상태 및 소모 상태는 연탄난로 각 각의 측면 투시창(10)과, 상부 덮개의 유리판(33)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필요시 열 조절장치(7)는 열 조절손잡이(71)를 회전시키면, 열 조절손잡이(71)에 연결된 열조절축(73)이 회전되고 열조절축(73)에 연결된 열조절판(72)이 회전되어 연통내의 가스 배출을 조절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연탄의 발화 및 소모 상태를 연탄난로 외부 투시창에 나타내어, 연탄 교체시기를 사용자 육안(눈)으로 확인 가능케 하고, 열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연통을 통해 외부로 무작위 방출되는 열을 제어함으로써. 연탄 소모량과 대비하였을 때 열효율 높일 수 있어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전기를 이용한 연탄 점화장치는 연탄난로에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일체형과 기 연탄난로 보유 사용자를 위해 독립 휴대용 점화장치 개발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연탄난로에 있어서,
    내부에 연탄이 넣어져 소화되는 공간을 갖는 토관부(2)의 토관면 일측에 홈이 파인 형태의 토관과
    상기 토관 홈 일측되는 외부철판 위치면에 투명유리를 붙여 연탄불을 확인하는 투시창(10)과 ;
    상기 토관부(2)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연통(4)과 연통 사이에 설치된 열 조절장치(7)와 ;
    상기 토관부(2) 하부에 설치되어 연탄에 불을 점화하는 점화장치(17)와 ;
    상기 몸체부(1)의 상부에 경첩(31)에 의해 연결되어 열고 닫는 손잡이(5)가 설치된 연탄난로 덮개(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난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관부(2)의 하부에 형성된 점화장치(17)는
    점화장치내 돌기(12)에 나선형으로 가열선(11)을 감고 상기 가열선(11)의 양단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연결부(15)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가열선(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는 가열선의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14)가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난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4)에 장착되는 열 조절장치(7)는
    열 조절손잡이(71)의 회전과 함께 연통(4) 내부 통로로 이동하는 열 개폐량을 조절하는 열 조절판(7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난로.
  4. 삭제
KR1020060131544A 2006-12-21 2006-12-21 투시창과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탄난로 KR100803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544A KR100803530B1 (ko) 2006-12-21 2006-12-21 투시창과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탄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544A KR100803530B1 (ko) 2006-12-21 2006-12-21 투시창과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탄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530B1 true KR100803530B1 (ko) 2008-02-13

Family

ID=3934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544A KR100803530B1 (ko) 2006-12-21 2006-12-21 투시창과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탄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45B1 (ko) 2013-07-01 2015-04-22 김응환 연탄 보일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74Y1 (ko) * 1992-04-21 1995-08-04 최상규 연탄 보일러를 개량한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74Y1 (ko) * 1992-04-21 1995-08-04 최상규 연탄 보일러를 개량한 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45B1 (ko) 2013-07-01 2015-04-22 김응환 연탄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9864C (en) Gas-fired portable unvented infrared heater
KR101271748B1 (ko) 펠렛난로
US20140238282A1 (en) Bonfire oven
CN205037369U (zh) 一种具有自动熄火功能的集成灶
KR100803530B1 (ko) 투시창과 점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탄난로
CN204901873U (zh) 带有风箱的导气帽式炉芯的节能型炉具
CN205641052U (zh) 一种智能环保取暖炉
CN205579649U (zh) 一种带引风装置的烤火炉
CN204730259U (zh) 一种智能自动控制燃气灶点火装置
CN206755161U (zh) 一种燃气加热器
CN102670087B (zh) 烧烤生火机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1103417B1 (ko) 벽난로 점화장치
CN205641020U (zh) 一种燃气炒菜灶
CN205137556U (zh) 自动控制点火熄火保护装置
US20140251299A1 (en) Oven having an enclosed heat exchange zone
CN208588089U (zh) 一种防烫伤壁挂炉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CN216010921U (zh) 环保式带电磁安全制炒炉
CN209512163U (zh) 一种新型燃气取暖器
CN213687267U (zh) 一种户外燃气热水器
CN108180505A (zh) 一种户外取暖炉
CN208382256U (zh) 全自动醇基燃料炊事采暖炉
JP2005172253A (ja) こんろ
CN205090429U (zh) 一种多功能取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