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950B1 -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950B1
KR100802950B1 KR1020060122454A KR20060122454A KR100802950B1 KR 100802950 B1 KR100802950 B1 KR 100802950B1 KR 1020060122454 A KR1020060122454 A KR 1020060122454A KR 20060122454 A KR20060122454 A KR 20060122454A KR 100802950 B1 KR100802950 B1 KR 10080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cooler
radiator
frame
shrou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70/00Details
    • F01P2070/52Details mounting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쿨러의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그 전측부가 소정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슈라우드; 상기 슈라우드의 내측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면에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는 흡입 포트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배출 포트가 연결되어 있는 인터쿨러;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인터쿨러의 전면 양 측부를 연결하는 제1실링 판넬; 상기 슈라우드의 구부러진 전측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판넬; 상기 연결 판넬과 상기 인터쿨러의 전면 양 측부를 연결하는 제2실링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슈라우드

Description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RADIATOR OF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라디에이터 130: 인터쿨러
140: 흡입 포트 150: 배출 포트
160: 제1실링 판넬 170: 프레임
180: 슈라우드 200: 연결 판넬
210: 제2실링 판넬
본 발명은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쿨러의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고온 고압하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이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켜 주지 못하면 엔진 소착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엔진 소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냉각수를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에 순환시켜 엔진을 냉각시켜 주고 있다.
한편, 냉각수가 엔진을 순환하면서 실린더 블록 부위를 냉각시켜 주게 되면 열교환에 의하여 냉각수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고온의 냉각수를 식힌 후 다시 엔진에 공급해주어야 한다.
차량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는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는 큰 방열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다량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일종의 탱크이다. 또한, 라디에이터는 냉각수의 냉각 효과를 좋게 하기 위하여 엔진룸의 전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냉각팬을 구동하여 냉각팬에 의한 흡인력과 차량 주행풍에 의해 외부 공기를 끌어들여 이러한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고 있다.
한편, 과급기란 엔진의 출력을 높이기 위하여 배기가스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터빈을 돌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실린더 안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 과급기로 급속히 압축된 공기는 온도가 높아져 팽창하고, 산소 밀도가 떨어져 결과적으로 실린더 안의 충전효율을 떨어뜨린다.
인터쿨러는 상기와 같이 압축된 고온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인터쿨러를 이용하여 압축된 고온의 공기를 냉각하면 공기 밀도가 올라가 실린더의 흡입효율이 높아지고, 엔진의 연소효율이 향상되어 연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이산화탄소 배출도 크게 줄어든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는 프레임(70), 슈라우드(80), 라디에이터(20), 인터쿨러(30), 그리고 실링 판넬(60)을 포함한다.
프레임(70)은 차량을 이루는 골격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있다.
슈라우드(80)는 상기 프레임(7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라디에이터(20)가 설치되도록 골격을 이룬다. 상기 슈라우드(80)의 전측부는 소정 형상으로 구부러져 인터 쿨러(30)의 흡입 포트(40)와 배출 포트(50)가 안착된다.
라디에이터(20)는 상기 슈라우드(8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고온의 냉각수를 식힌다.
상기 라디에이터(20)의 후방에는 냉각팬(10)이 구비되어 있다.
인터쿨러(30)는 상기 라디에이터(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터쿨러(30)의 일측면에는 흡입 포트(40)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배출 포트(50)가 연결되어 있다.
실링 판넬(60)은 상기 프레임(7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링 판넬(60)은 상기 프레임(70)과 인터쿨러(30)를 연결하여 프레임(70)과 슈라우드(80)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종래의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데워진 더운 공기가 실링 판넬(60)과 인터쿨러(30)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90)을 통해 인터쿨러(30)의 전면으로 이동하므로 인터쿨러(30)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어 엔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내부의 더운 공기가 인터쿨러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실링 판넬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인터쿨러의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그 전측부가 소정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슈라우드; 상기 슈라우드의 내측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면에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는 흡입 포트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배출 포트가 연결되어 있는 인터쿨러;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인터쿨러의 전면 양 측부를 연결하는 제1실링 판넬; 상기 슈라우드의 구부러진 전측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판넬; 상기 연결 판넬과 상기 인터쿨러의 전면 양 측부를 연결하는 제2실링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쿨러는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흡입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는 상기 연결 판넬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 판넬의 후면과 상기 제2실링 판넬의 후면은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인터쿨러와 제2실링 판넬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을 통해 흡입되는 찬 공기가 상기 인터쿨러의 후면 양측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는, 프레임(170), 슈라우드(180), 라디에이터(120), 인터쿨러(130), 제1실링 판넬(160), 연결 판넬(200), 그리고 제2실링 판넬(210)을 포함한다.
프레임(170)은 차량을 이루는 골격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있다.
슈라우드(180)는 상기 프레임(17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라디에이터(120)가 설치되도록 골격을 이룬다. 상기 슈라우드(180)의 전측부는 소정 형상으로 구부러져 인터쿨러(130)의 흡입 포트(140)와 배출 포트(150)가 안착된다.
라디에이터(120)는 상기 슈라우드(18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고온의 냉각수를 식힌다.
상기 라디에이터(120)의 후방에는 상기 라디에이터(120)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냉각팬(110)이 구비되어 있다.
인터쿨러(130)는 상기 라디에이터(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되, 설정된 거 리(d)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인터쿨러(130)의 일측면에는 흡입 포트(140)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배출 포트(150)가 연결되어 있다.
제1실링 판넬(160)은 상기 프레임(17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실링 판넬(160)은 상기 프레임(170)과 인터쿨러(130)를 연결하여 프레임(170)과 슈라우드(180)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연결 판넬(200)은 상기 슈라우드(180)의 구부러진 전측부에 연결되어 있다. 인터쿨러(130)의 흡입 포트(140)와 배출 포트(150)는 상기 연결 판넬(200)을 관통한다.
제2실링 판넬(210)은 상기 제1실링 판넬(160)과 흡입 포트(140) 및 제1실링 판넬(160)과 배출 포트(1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실링 판넬(210)은 연결 판넬(200)과 인터쿨러(130)의 전면 양 측부를 연결한다. 따라서, 인터쿨러(130), 제2실링 판넬(210), 연결 판넬(200), 슈라우드(180), 그리고 라디에이터(120)는 차량 내부의 더운 공기가 라디에이터(120) 및 인터쿨러(130)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실링 판넬의 전면은 상기 제1실링 판넬의 후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의 더운 공기가 인터쿨러(130)의 전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인터쿨러(130)와 제2실링 판넬(2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19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외부의 찬 공간은 인터쿨러(130)의 전면으로 흡입되거나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190)을 통해 흡입되어 인터쿨러(130)의 후면 양측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찬 공기가 인터쿨러(130)에 고르게 공급되므로 인터쿨러(130)의 냉각효율이 증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중의 실링 구조를 채택하여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에 차량 내부의 더운 공기가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인터쿨러의 냉각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차량 외부의 찬 공기가 인터쿨러에 고르게 도달하도록 하므로 인터쿨러의 냉각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인터쿨러의 성능을 개선하여 엔진성능향상에 기여한다.

Claims (5)

  1.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그 전측부가 소정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는 슈라우드;
    상기 슈라우드의 내측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면에 설치되며, 그 일측면에는 흡입 포트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배출 포트가 연결되어 있는 인터쿨러;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인터쿨러의 전면 양 측부를 연결하는 제1실링 판넬;
    상기 슈라우드의 구부러진 전측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판넬;
    상기 연결 판넬과 상기 인터쿨러의 전면 양 측부를 연결하는 제2실링 판넬;
    을 포함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쿨러는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는 상기 연결 판넬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 판넬의 후면과 상기 제2실링 판넬의 후면은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인터쿨러와 제2실링 판넬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을 통해 흡입되는 찬 공기가 상기 인터쿨러의 후면 양측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KR1020060122454A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KR10080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454A KR100802950B1 (ko)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454A KR100802950B1 (ko)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950B1 true KR100802950B1 (ko) 2008-02-13

Family

ID=3934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454A KR100802950B1 (ko) 2006-12-05 2006-12-05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9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514A (ja) 1998-04-22 1999-11-0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514A (ja) 1998-04-22 1999-11-0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926B1 (ko) 자동차 프론트엔드부의 듀얼 에어덕트
US8028523B2 (en) Arrangement for recirculation of exhaust gases of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519176B2 (ja) 車輌の過給式内燃機関の排気ガス再循環構造
KR101439126B1 (ko) 콘덴서-인터쿨러 일체형 쿨링모듈 구조
JP2011190744A (ja) 内燃機関用吸気冷却装置
JP2008500489A (ja) 過給気内燃機関の排気再循環装置
JP2008500490A (ja) 過給気内燃機関の排気再循環装置
EP1886012A1 (en) An arrangement for recirculation of exhaust gases of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90057691A (ko) 배기매니폴드 일체형 실린더헤드 및 이를 포함한 엔진 냉각시스템
KR20110063117A (ko) 차량용 쿨링 장치
KR100802950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설치 구조
KR20120067020A (ko) 차량용 엔진 냉각 시스템
JP2003278608A (ja) Egr装置
KR20080043971A (ko) 자동차 인터쿨러의 모듈화 장착구조
JP4770329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冷却装置
JPH10220305A (ja) インタークーラー付きegr装置
JP5617789B2 (ja) 矩形用ガスケット
CN206781526U (zh) 一种新型汽车散热格栅
JP2550696Y2 (ja) エンジン発電機の冷却装置
CN207829981U (zh) 发动机冷却系统和车辆
KR20100041102A (ko) 인터쿨러
KR100488559B1 (ko) 대형버스에서의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의 마운팅 구조
JP2015151880A (ja) エンジン冷却システム
CN106958493A (zh) 发动机缸盖组件及其缸盖、涡轮增压器
KR100423290B1 (ko) 자동차의 냉각계 배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