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691B1 - 알에프 감지장치를 이용한 알에프 아이디 방법 - Google Patents

알에프 감지장치를 이용한 알에프 아이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691B1
KR100801691B1 KR1020050109419A KR20050109419A KR100801691B1 KR 100801691 B1 KR100801691 B1 KR 100801691B1 KR 1020050109419 A KR1020050109419 A KR 1020050109419A KR 20050109419 A KR20050109419 A KR 20050109419A KR 100801691 B1 KR100801691 B1 KR 100801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reader
sensors
sensor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971A (ko
Inventor
김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센서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센서닷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센서닷컴
Priority to KR102005010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6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의 RF 태그(Radio Frequency tag) 소지여부와 함께 출입방향 그리고 실제 출입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RF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 ID 시스템(RF identification system)과 RF ID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객체의 출입구를 정의하는 RF감지장치로서, 상기 객체의 진행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RF 태그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리더안테나 및 RF 송수신부를 구비한 RF 리더를 포함하는 RF감지장치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RF ID 시스템 및 RF ID 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객체의 RF 태그 소지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객체의 출입방향을 구분해서 감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실제 출입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한층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비용과 장치면적의 별다른 추가 없이도 RF ID의 응용범위를 크게 확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알에프 감지장치를 이용한 알에프 아이디 방법{R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adio frequency detection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RF감지장치를 이용한 RF ID 시스템에 대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감지장치를 이용한 RF ID 시스템에 대한 모식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RF ID 시스템의 RF 태그와 RF 리더에 대한 간략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감지장치의 평면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ID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 : 객체 60 : RF 태그
62 : 태그안테나 64 : 태그송수신기
66 : 메모리 70 : RF감지장치
80 : RF 리더 82 : 리더안테나
84 : 리더송수신기 86 : 콘트롤러
90 : 센서 100 : 서비스제공부
본 발명은 RF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 ID 시스템(RF identification system)과 RF ID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객체(client)의 RF 태그(tag) 소지여부와 함께 출입방향 그리고 실제 출입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RF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 ID 시스템과 RF ID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이란 일정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무선방식으로 데이터(data)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일컫는데, 자기카드(magnetic card)나 바코드(bar code)를 사용하던 기존의 인식 시스템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표식부분의 마찰 내지는 오염 등으로 인해 인식률이 떨어지는 반면, RF ID 시스템은 비접촉식이므로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수정할 수 있으며 위조, 변조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 같은 보안성, 고 신뢰성, 다 기능성, 사용편리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RF ID 시스템은 현재 회사, 주차장, 버스, 지하철의 출입보안 시스템은 물론 멸종 동물 보호를 위해 동물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최근에는 접촉형의 한계를 벗어나 이동체에 적용 가능한 점을 응용해서 스포츠의 기록 측정, 선수 위치 파악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RF ID 시스템에 대한 모식도로서, 사람 또는 물체 등과 같은 객체, 편의상 객체(2)에 부여되는 RF 태그(RF tag 또는 transponder : 10)와, 이러한 RF 태그(1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등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호스트(host) 측의 RF 리더(RF reader : 30)를 포함하며, RF 태그(10)와 RF 리더(30) 사이의 무선통신결과를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interface)해서 목적에 따른 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서비스제공부(40)를 포함한다.
이때 RF 태그(10)는 RF 리더(30)와 무선통신 할 수 있도록 태그안테나(tag antenna)를 구비한 태그송수신기 그리고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며, 통상 카드(card)나 칩(chip)과 같이 소지에 편리한 소형으로 이루어지지만 구체적인 형태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고, 그 외에 전원사용 여부에 따라 액티브(active) 또는 패시브(passive) 방식, 데이터 수정가능 여부에 따라 Read-Only, WORM(write once read many), Read/Write 방식, 사용주파수 대역 등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또한 RF 리더(30)는 RF 태그(10)와 무선통신 할 수 있도록 리더안테나(32)와 리더송수신기(34)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도면에 보인 것과 같이 객체(2)의 출입구를 제공하는 게이트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와 같이 RF 리더(30)가 장착된 게이트는 통상 RF감지장치(20)라 지칭되므로 본 명세서에서도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제공부(40)는 RF 태그(10)와 RF 리더(30) 사이의 무선통신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목적에 따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database)와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RF ID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최초 RF 태그(10)를 소지한 객체(2)가 RF감지장치(20)를 통과한다. 이때 RF 태그(10)의 데이터는 소정의 RF 신호로 변환되어 RF 리더(30)로 전송되고, RF 리더(30)는 RF 태그(10)로부터 입력된 RF 신호의 타당성 여부를 검사한 후, 타당하다고 판단된 신호는 일련의 데이터신호로 변환해서 서비스제공부(4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제공부(40)는 기(旣)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내용과 비교하는 등의 처리과정을 거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서비스의 몇 가지 예로는 객체(2)의 신원이나 출처표시, 계수(計數), 요금징수, 보안확인, 관리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RF감지장치(20)를 이용한 RF ID 시스템은 사용상 몇 가지 불편한 한계를 나타내는데, 그 중 한 가지가 객체(2)의 출입을 구분해서 감지할 수 없다는 점이다.
즉, 일반적인 RF ID 시스템은 RF 태그(10)와 RF 리더(30) 사이의 무선통신 가능범위를 조절함으로써 RF 태그(10)가 인식될 때 비로소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동일원리를 이용한 RF감지장치(20) 역시 객체(2)의 출입사실 여부만 파악할 수 있을 뿐 출입방향을 구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부득이하게 해당 기능이 필요할 경우에 현재로서는 별도의 RF 리더가 각각 내장된 두 개의 RF감지장치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비록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지하철의 개찰구를 예로 들면, 승객이 들어오고 나가는 방향에 각각 별도의 RF 리더가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RF 리더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두 개의 차단바가 구비된 형태이다.
따라서 엄밀하게 살펴보면 각각의 차단바는 해당 RF 리더의 무선통신결과에 따라 개폐되는 것일 뿐 승객의 출입방향을 구분해서 작동되는 것은 아니며, 결국 객체의 출입방향 별로 두 개의 RF감지장치를 일직선상에 배치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RF감지장치(20)를 이용한 RF ID 시스템은 실제로 객체(2)가 RF감지장치(20)를 통과하였지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상의 RF감지장치(20)는 여기에 장착된 RF 리더(30)의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RF 태그(10) 만을 인식해서 객체(2)의 통과를 추측하는데 지나지 않고, 그 결과 객체(2)가 실제로 RF감지장치(20)를 통과하지 않더라도 통과로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써, RF 태그(10)를 소지한 객체(2)가 RF감지장치(20)로 들어오던 중 그 내부에서 방향을 바꾸어 다시 되돌아간 경우에 RF 리더(30)와 RF 태그(10) 사이에서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므로 해당 객체(2)가 RF감지장치(20)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 객체(2)는 출입하지 않았으므로 계수결과 등에서 오차가 나타나는데, 이와 유사하게는 객체(2)인 사람이 RF 태그(10)를 파지한 상태로 RF감지장치(20) 외부에서 그 내부로 팔을 휘두르는 등의 동작에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는바, 이로 인해 RF ID 시스템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객체의 RF 태그 소지여부와 함께 객체의 출입방향을 구분해서 감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실제 출입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RF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 ID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객체의 출입구를 정의하는 RF감지장치로서, 상기 객체의 진행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와;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RF 태그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리더안테나 및 RF 송수신부를 구비한 RF 리더를 포함하는 RF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RF감지장치는 상기 객체가 통과하는 일 측면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상기 객체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일 측면에 상 하단으로 엇갈려 차례로 배치된 3개 이상의 광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RF 안테나는 상기 일 측면에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 외곽을 테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RF감지장치는 상기 객체가 통과하는 바닥면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상기 객체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바닥면에 구비된 3개 이상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 리더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의 작동수량 및 작동순서를 토대로 상기 객체의 통과여부 및 출입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무선통신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객체의 상기 RF 태그 소지여부를 판단하는 콘트롤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RF감지장치를 이용한 RF ID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트롤부의 판단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RF ID 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RF감지장치 또는 RF ID 시스템을 이용한 RF ID 방법으로서, a) 상기 객체가 상기 RF감지장치로 진입하여,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단계와; b) 상기 복수개의 센서의 작동수량과 작동순서를 토대로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상기 객체의 통과여부 및 출입방향이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 ID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콘트롤러는 일정시간 내에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일부만 작동될 경우 상기 객체의 불통과를 판단하고, 일정시간 내에 상기 복수개의 센서가 전부 작동될 경우 상기 객체의 통과를 판단한 후 상기 센서의 작동순서에 따라 상기 객체의 출입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체가 상기 RF 태그를 소지한 경우,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무선통신결과가 상기 콘트롤러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객체의 불통과 판단 시 상기 무선통신결과가 삭제되고, 상기 객체의 통과 판단 시 상기 무선통신결과가 처리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감지장치(70)를 이용한 RF ID 시스템(이하, 간략하게 RF ID 시스템이라 한다.)의 모식도로서, 사람이나 동물 또는 물체 등의 객체(52)에 부여되는 RF 태그(60)와, 이들 객체(52)의 출입구를 제공하는 RF감지장치(70)와, 상기 RF감지장치(70)에 장착되어 여기를 통과하는 객체(52)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90)와, 상기 RF감지장치(70)에 장착되어 여기를 통과하는 객체(52)의 RF 태그(6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통해 객체(52)의 RF 태그(60) 소지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센서(90)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객체(52)의 실제 통과여부와 출입방향 판단하는 RF 리더(80)를 포함하며, 그 외 RF 리더(80)의 판단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RF ID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 부분으로서 RF 태그(60)의 간략한 구조를 도 3a에 나타내었는데, 도 2와 함께 참조할 경우, 이는 RF 리더(8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태그안테나(62)를 갖춘 태그송수신기(64) 그리고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66)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태그송수신기(64)는 변조부, 클럭발생부, 인코더, 커맨드 검출기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고, 메모리(66)로는 ROM, RAM, EEPROM 등이 활용될 수 있는바, 후술하는 RF 리더(80)로부터 데이터제공을 요청 받으면 메모리(66) 내의 데이터를 소정의 RF 신호로 변환해서 전송하고, 필요에 따라 RF 리더(도 2의 80 참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메모리(66)에 갱신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RF 태그(60)는 전원사용 여부에 따라 배터리 등의 자체 전원이 내장된 액티브 방식이나 자체 전원이 없는 패시브 방식이 모두 가능하고, 데이터의 수정 가능여부에 따라서 기록된 데이터를 읽기만 할 수 있는 Read-Only 방식, 최초 기록 후 수정이 불가능한 WORM(write once read many) 방식, 읽기와 쓰기가 자유로운 Read/Write 방식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사용주파수 대역 또한 기존의 13.56MHz, 125KHz, 433MHz를 비롯한 그 외의 범위에서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는 RF 리더(8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의 도 2 및 도 3a와 함께 참조할 경우, 이는 RF 태그(60)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리더안테나(82)가 구비된 리더송수신기(84) 그리고 콘트롤러(86)를 포함한다.
이때 리더송수신기(84)는 발진기, 전력 증폭기, 피크 검출기, 필터링, 증폭기, 셰이핑(shaping)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리더안테나(82)를 매개로 RF 태그(60)에서 전송되어온 RF 신호를 적절한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콘트롤러(86)로 전송하며, 반대로 콘트롤러(86)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RF 태그(도 2의 60 참조)로 전송한다.
그리고 콘트롤러(86)는 RF 태그(60)와 리더송수신기(80) 사이에서 진행되는 일체의 무선통신을 통제하기 위한 소정의 논리회로 및 프로토콜(protocol) 등을 포함하며, 아울러 센서(90)들의 감지결과를 처리하는데, 구체적으로는 RF 태그(60)와 리더송수신기(80) 사이의 무선통신 결과를 토대로 객체(52)가 RF 태그(60)를 소지하였는지 판단하고, 또한 센서(90)들의 감지수량과 감지순서를 토대로 객체(52)의 통과여부와 출입방향을 판단한다.
그 다음, 서비스제공부(100)는 RF 리더(80)의 콘트롤러(86)에 의한 각종 판단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기(旣)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해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서비스는 일례로 RF 태그(6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한 객체(52)의 신원이나 출처표시, 계수, 요금징수, 보안확인, 관리 등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제공부(100)는 적절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컴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연동 될 수 있다.
계속해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감지장치(70)의 간략한 평면도로서 앞서의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RF감지장치(70)는 객체(52)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직립된 적어도 일 측면(72)을 포함하며, 이로써 객체(52)의 출입구를 제공한다.
그 결과 객체(52)가 RF감지장치(70)를 통과할 경우에 이의 일 측면(72)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는바, 이러한 RF감지장치(70)의 일 측면(72)으로는 앞서 언급한 RF 리더(80), 엄밀하게는 RF 안테나(82)와 복수개의 센서(90)가 장착된다.
좀더 상세히, 먼저 복수개의 센서(90)는 객체(52)의 진행방향, 다시 말해 RF감지장치(70) 일 측면(72)에 대한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객체(52)의 진행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데, 이를 위해 광센서 내지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객체(10)에 의해 가려지는 높이범위의 상 하단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3개 이상, 가장 알맞게는 5개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개의 센서(90)는 보이는 것과 같이 대략 W자 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RF 리더(80)의 RF 안테나(82)는 이들 복수개의 센서(90)들 외곽을 두 르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RF감지장치(70)에 복수개의 센서(90)와 RF 리더(80)의 RF 안테나(82)가 함께 장착되고, 이들 간의 배열관계가 앞서의 설명에 따르는 이유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콘트롤러(86)는 RF감지장치(70)를 출입하는 객체(52)가 RF 태그(60)를 소지하였는지 여부와 함께 해당 객체(52)의 출입방향 그리고 실제 출입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RF ID 시스템에 있어서 객체(52)의 출입에 의해 센서(90)가 작동될 경우, 콘트롤러(86)는 RF 태그(6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신호의 존재유무를 통해 해당 객체(52)가 RF 태그(60)를 소지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고, 복수개의 센서(9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객체(52)를 감지했는지를 통해서 객체(52)의 실제 출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 센서(90)의 감지순서를 토대로 객체(52)의 출입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 ID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앞서의 도 2와 도 4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RF ID 방법의 순서도인 도 5를 함께 참조해서 살펴본다.
이때 RF감지장치(70)의 일 측면(72)에 배열된 센서(90)들이 5개라는 전제 하에, 각각의 기능은 객체(52)의 진행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동일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객체(52)의 출입방향을 기준으로 최초 객체(52)를 감지하는 두 개를 제 1 센서(90a), 가운데의 하나를 제 2 센서(90b), 마지막으로 객체(52)를 감지하는 두 개를 제 3 센서(90c)로 구분하였다.
이하, 본격적인 설명으로서, 최초 도 4의 점선방향을 따라 객체(52)가 RF감지장치(70)로 진입한다.
이때 객체(52)가 RF 태그(60)를 소지한 경우에는 리더안테나(82)가 객체(52)의 RF 태그(6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RF 신호를 감지하고(st1), 이를 데이터신호로 변환해서 콘트롤러(86)로 전송하며(st2), 콘트롤러(86)는 이를 임시 저장한다.(st3)
이어서 객체(52)는 진행을 계속하고, 이에 따라 제 1 센서(90a)가 감지한다.(st4)
이때 RF 태그(60)를 소지한 객체(52)가 RF감지장치(70)로 진입하던 도중 방향을 바꾸어 되돌아 나간 경우를 예상할 수 있는데,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86)는 최초 리더안테나(82)가 RF 태그(6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 시점과 제 1 센서(90a)의 감지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그 간격이 기준시간을 넘어선 경우에는 해당 객체(52)가 되돌아 나간 것으로 판단해서 임시 저장된 데이터신호를 삭제하고 초기화한다.(st5, st6)
상기 기준시간은 RF감지장치(70)의 사이즈(size) 또는 리더안테나(82)와 제 1 센서(90a) 사이의 거리 내지는 객체(52)의 이동속도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는데, 통상 수초 정도가 될 수 있다.
반면, 앞서의 경우와 달리 객체(52)가 계속해서 진행하면 제 2 센서(90b)가 감지한다.(st7)
이때 예상 가능한 또 다른 상황으로서, 객체(52)가 제 1 센서(90a)와 제 2 센서(90b) 사이에서 방향을 바꾸어 되돌아 나간 경우를 예상할 수 있는데,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86)는 제 1 센서(90a)의 작동시점과 제 2 센서(90b)의 작동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그 간격이 기준시간을 넘어선 경우에는 해당 객체(52)가 되돌아 나간 것으로 판단해서 임시 저장된 데이터신호를 삭제하고 초기화한다.(st8,st9)
이때의 기준시간 역시 수초 정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객체(52)가 계속 진행하여 제 2 센서(90b)를 통해 기준시간 내에 감지된 경우, 콘트롤러(86)는 해당 객체(52)가 RF감지장치(70)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임시 저장된 데이터의 존재유무를 토대로 해당 객체(52)가 RF 태그(60)를 소지하였는지 여부를 최종 확인하는데, 임시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면 RF 태그(60)를 소지한 객체(52)라 판단하여 서비스제공부(100)로 하여금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토록 하고, 객체(52)의 출입방향을 판단한다.(st10,st11)
반면, 임시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RF 태그(60)를 소지하지 않은 객체(52)라 판단하여 서비스제공부(100)로 하여금 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토록 하고, 객체(52)의 출입방향 만을 판단한다.(st10,st12)
이때 객체(52)의 출입방향에 대한 판단은 센서(90)들의 작동순서를 근거로 하는바, 앞서의 예와 같이 제 1, 제 2 센서(90a,90b)가 차례로 작동된 경우에 도 4의 점선방향으로 객체(52)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객체(52)가 반대방향, 다시 말해 도 4의 실선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서, 객체(52)의 RF 태그(60) 소지여부와, 출입방향 그리고 실제 출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바, 이 경우에는 제 3 및 제 2 센서(90c,90b)가 활용될 수 있음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앞서의 설명에 있어서 센서(90)들의 역할은 객체(52)의 진행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것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한 구체적인 위치나 기능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는바, RF감지장치(70) 일 측면(72)에 설치된 복수개의 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대신해서 RF감지장치(70) 바닥면으로 객체(52)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된 3개 이상의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도 있으며, 이들 압력센서는 객체의 진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를 차례로 감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 ID 시스템과 RF ID 방법은 객체의 RF 태그 소지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객체의 출입방향을 구분해서 감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실제 출입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한층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비용과 장치면적의 별다른 추가 없이도 RF ID의 응용범위를 크게 확대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RF태그를 구비한 객체의 통과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객체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센서; 상기 RF 태그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리더안테나를 구비하는 리더 송수신부; 상기 RF태그와 상기 리더 송수신부 사이의 무선통신 결과와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RF태그 소지여부, 통과여부 또는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RF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출입을 감지하는 RF ID 방법으로서,
    상기 객체가 상기 RF 감지장치로 접근하는 제1 단계;
    상기 콘트롤부가, 상기 RF태그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리더 송수신부에서 획득한 데이터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콘트롤부가 상기 복수개 센서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통과여부를 판단하고, 통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처리하는 한편 상기 센서의 감지 순서에 따라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RF ID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리더 송수신부와 상기 RF태그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센서에서 상기 객체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객체가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ID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복수개 센서 중에서 제1 센서가 상기 객체를 감지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다른 제2 센서에서 상기 객체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객체가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ID 방법
KR1020050109419A 2005-11-16 2005-11-16 알에프 감지장치를 이용한 알에프 아이디 방법 KR100801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419A KR100801691B1 (ko) 2005-11-16 2005-11-16 알에프 감지장치를 이용한 알에프 아이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419A KR100801691B1 (ko) 2005-11-16 2005-11-16 알에프 감지장치를 이용한 알에프 아이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971A KR20070051971A (ko) 2007-05-21
KR100801691B1 true KR100801691B1 (ko) 2008-02-11

Family

ID=3827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419A KR100801691B1 (ko) 2005-11-16 2005-11-16 알에프 감지장치를 이용한 알에프 아이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6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738A (ko) * 1998-08-31 2000-03-15 전주범 알에프 카드 판독장치
US6556126B1 (en) 1999-03-11 2003-04-29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recording medium, gate system & transac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738A (ko) * 1998-08-31 2000-03-15 전주범 알에프 카드 판독장치
US6556126B1 (en) 1999-03-11 2003-04-29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recording medium, gate system & transac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971A (ko) 200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367B1 (ko) Rfid 태그로부터의 정보 리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방법 및 그 시스템
US6958676B1 (en) Vehicle passenger authorization system
US5204675A (en) Toll collecting system for a vehicle
US200702419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tracking via tag readings
US20090101709A1 (en) Entrance control system and entrance control device
JPWO2018181968A1 (ja) 顔認証システム、装置、方法、プログラム
US20120086558A1 (en) Lane Position Detection Arrangement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O2006039468A9 (en) Enhanced rfid vehicle presence detection system
WO2020006943A1 (zh) 基于距离传感器的rfid无感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2009527804A (ja) 複数の顔認識システム(frs)に適合する分散スタンドオフid照合
US2017037254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in an access control system for persons or vehicles comprising at least one access control device
KR100801691B1 (ko) 알에프 감지장치를 이용한 알에프 아이디 방법
KR20100137260A (ko) Rfid와 손혈관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출역관리 시스템
JP2003213998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室管理方法
JP2001307287A (ja) 交通量測定システム及び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
US20100060430A1 (en) Enhanced RFID Output Control
KR101950466B1 (ko) 부정 승차자 검출 시스템, 부정 승차자 검출 서버와 그 방법
KR100810898B1 (ko) Rfid 태그 및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차량속도감지장치
CN112216000A (zh) 闸机
JP6665574B2 (ja) ゲート装置、通行管理システム、端末、通行管理方法、および通行管理プログラム
JP6983607B2 (ja) 自動改札機、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31182B1 (ko) 경비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3335B1 (ko) 관성센서를 이용한 지하철 게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
US10565406B2 (en) Item management system using tag information
KR20070073168A (ko)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