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840B1 -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 - Google Patents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840B1
KR100800840B1 KR1020010025305A KR20010025305A KR100800840B1 KR 100800840 B1 KR100800840 B1 KR 100800840B1 KR 1020010025305 A KR1020010025305 A KR 1020010025305A KR 20010025305 A KR20010025305 A KR 20010025305A KR 100800840 B1 KR100800840 B1 KR 10080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row
interleaver
turbo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848A (ko
Inventor
최순재
김민구
김병조
서성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8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71Internal interleaver for turbo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02Reduction of hardware complexity or efficient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 코드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행 내 교환(Intra-row Permutation) 시 수행되는 모듈로 연산의 연산 량을 줄일 수 있는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에 있어서, 터보 인터리빙 수행 시 인터리버 인덱스의 행 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 큐(q)값을 감소하여 행 내 교환을 수행하는 행 내 교환부와, 상기 행 내 교환된 인터리버 인덱스를 행간 교환하는 행간 교환부와, 상기 행 내 교환과 행간 교환이 수행된 인터리버 인덱스의 크기와 인터리버의 크기를 비교하여 작은 경우만 출력하는 프루닝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터보 인터리버, Intra-row permutation, inter-raw permutation, modulo calculation, reduced q

Description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TURBO INTERLEAVER AND TURBO INTERLEAVING METHOD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URBO CODE}
도 1a는 일반적인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일반적인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에서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c는 일반적인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에서 읽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에서 교환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터보 인터리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의 감소 q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의 베이스 시퀀스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의 multiplied_PIP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의 선택신호 생성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의 변경모드신호 생성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의 인터리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세싱 지연을 줄일 수 있는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통신시스템에서는 전송 채널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비터비, 터보 코더 등과 같은 채널 코더를 사용한다. 상 기 터보 코더는 두 개의 인코더와 하나의 터보 인터리버로 구성된다. 상기 터보 인터리버는 터보 코딩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부가된 구성이며 인터리버의 크기만큼의 인터리버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터보 인터리버로는 프라임 인터리버(Prime Interleaver: PIL)를 사용한다. 상기 PIL은 2차 매트릭스 교환(2-dimensional matrix permutation) 동작을 기본으로 하고 프루닝(Pruning) 동작을 통해 인터리버 인덱스가 터보 인터리버 크기보다 커지게 되면 펑처링(Puncturing)하는 추가 동작이 있게 된다. 즉 터보 인터리버 크기가 K라고 하면 인터리빙 인덱스가 K보다 크면 그 인덱스는 무시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차 매트릭스 교환은 행 내부 교환(Intra-raw permutation)과 행간 교환(Inter-row permutation)으로 구성된다. 상기 행 내부 교환은 하나의 행에서 각각의 값들을 교환하는 것이고 행간 교환은 행 단위로 교환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행 내부 교환과 행간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파라미터들이 필요하다. 즉 파라미터를 먼저 정해야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행 내 교환 및 행간 교환을 위한 파라미터를 정의하고 동작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첫 번째 단계로 PIL은 2차 매트릭스 구조이므로 터보 인터리버 크기 K에 해당하는 행(Row: 이하 "R"이라 함) 값을 미리 결정된 이하의 표1에 따라 구하며, 교환 패턴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인 p(소수) 값과 칼럼(Column) 값을 이하의 수학식 1에 의해 구한다.
[표 1]
K R
40<=K<159 5
160<=K<200 10
201<=K<480 20
481<=K<530 10
531<=K<5114 20

[수학식 1]
if (481 <=K<530) then p=53 and C=p,
else
find minimum prime p such that (p+1)-K/R >=0,
and determine C such that
if(p-K/R>=0) then
if(p-1-K/R)>=0 then
C = p-1
else
C=p
end if
else
C=p+1
end if
상기 수학식 1에서 p는 K의 값에 따라 7, 19, 23,...251, 257의 74개 중의 하나의 값을 갖는다.
도1은 인터리버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a는 칼럼 값 C와 행 값 R에 의해 인터리버의 크기가 결정됨을 나타내고, 도1b는 상기 인터리버에 인터리버 인덱스를 쓸 경우 상위로부터 좌측에서 우측으로 쓰여짐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1c는 인터리버 인덱스를 읽을 경우에는 좌측으로부터 위에서 아래로 읽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1에서 상기 인터리버의 크기는 R * C로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1과 수학식 1에 의해 R, C 및 p 파라미터가 결정되면 각각의 p값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 루트(Primitive root: 이하 "g0"라 함) 값을 3GPP 표준에 제안된 이하의 표2를 이용해 일 대 일로 값을 알 수 있다.
[표 2]
Figure 112001010753562-pat00001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상기 첫 번째 단계에서 정해진 g0과 p 값에 의해 행 내 교환을 먼저 수행한다. 상기 행 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를 생성해야 한다. 상기 베이스 시퀀스는 0부터 (p-1)의 값을 이하 수학식 2에 의해 교환하는 결과이다.
[수학식 2]
c(0) = 1
c(i) = [g0 * c(i-1)]mod p (i = 1, 2,..,p-2)
이렇게 생성된 베이스 시퀀스는 R개의 행에 대한 교환의 룩업 테이블로 사용된다. 1번째부터 R 번째 행까지의 행 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p-1)의 값과 각 행에 필요한 q값이 필요하다. 상기 q값은 교환 패턴을 결정하는 값이다. 상기 q값은 {1, 7, 11, 13, 17, 19, 23, 29, 31, 37, 41, 43, 47, 53, 59, 61, 67, 71, 73, 79, 83, 89}의 21개의 엘리먼트를 가진 집합에서 (R-1)개의 수가 중복 없이 선택된다. 선택되는 방법은 이하의 수학식 3에 선택된다.
[수학식 3]
G.C.D{q(j), p-1} = 1, q(j)>6, and q(j)>q(j-1), q(0)=1
상기 G.C.D는 Greatest Common Divisor의 약어로 최대 공약수를 나타낸다.
상기 q(j)는 {1, 7, 11, 13, 17, 19, 23, 29, 31, 37, 41, 43, 47, 53, 59, 61, 67, 71, 73, 79, 83, 89} 중의 19개 또는 9개 또는 5개의 열에 중복 없이 지정된다. 상기 q(j)의 값은 21개의 값 중 어떤 2개의 값이 제외될지는 어떤 조건[G.C.D{q(j), p-1}=1]을 만족하지 않거나 또는 R-1개가 선택되면 나머지는 제외된다. 상기 q(j) 값은 이하의 표 3과 표 4를 이용해 K의 값에 따라 q(j)값이 교환된다.
[표 3]
Figure 112001010753562-pat00002
[표 4]
Figure 112001010753562-pat00003
각각의 행 내 교환은 이하의 수학식 4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학식 4]
C=p-1일 때,
At j-th row, (j=0, 1, 2,..,R-1)
Cj(i) = C([i * q(j)]mod (p-1) (i=1, 2,..., p-2)
C=p일 때,
At j-th row, (j=0, 1, 2,..., R-1)
Cj(i)=C([i * q(j))]mod (p-1) (i=1,2,..., p-2), Cj(p-1)=0
C=p+1일 때,
At j-th row, (j=0, 1, 2,..., R-1)
Cj(i)=C([i * q(j))]mod (p-1) (i=1,2,..., p-2), Cj(p-1)=0, Cj(p)=p
상기 수학식 4는 C가 p-1, p 또는 p+1 각각의 경우에서 j 번째 행에서의 행 내 교환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C가 p-1인 경우는 행 내 교환만을 수행하고, C가 p인 경우는 행 내 교환을 수행한 후 상기 행의 마지막 열에 0을 삽입하고, C가 p+1인 경우에는 행 내 교환을 수행한 후 상기 행의 마지막 두 번째 열에는 0을 삽입하고 마지막 열에는 p값을 삽입함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0 또는/그리고 p를 삽입하는 것은 C값이 p 또는 p+1일 경우 행 내의 남는 열을 채우기 위한 것이다.
도2는 일반적인 터보 인터리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터보 인터리버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200단계에서 터보 인터리버의 크기 K가 결정되어 주어지면 터보 인터리버의 파라미터가 210단계에서 초기화된다. 상기 파라미터의 초기화 과정은 상기 주어진 K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찾고 베이스 시퀀스를 생성하는 203단계와 상기 베이스 시퀀스를 생성하는 205단계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화 단계 203은 상기 주어지는 K와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K값에 대응되는 R, C, p를 찾는다. 이때 추가적으로 찾아야 하는 파라미터가 상기 표 2에 의해 구해지는 g0이다. 상기 파라미터들이 찾아지면 205단계에서 상기 구해진 파라미터들을 상기 수학식 2에 적용하여 베이스 시퀀스를 생성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베이스 시퀀스가 생성되면 220단계로 진행하여 행 내 교환을 수행한다. 상기 220단계의 행 내 교환은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는 221단계와 상 기 모듈로 연산되어 생성되는 베이스 시퀀스를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베이스 시퀀스를 룩업 테이블로 사용하여 행 내 교환을 수행하는 22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220단계에서 행 내 교환이 이루어지면 230단계에서 행간 교환을 수행하고 240단계로 진행하여 프루닝(Pruning)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행간 교환이 이루어진 인터리버 인덱스가 인터리버 사이즈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상기 인터리버 인덱스가 인터리버 사이즈보다 작으면 26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보 인터리버 인덱스를 출력하고, 작다면 상기 220단계로 돌아가 행 내 교환 및 행간 교환을 다시 수행한다. 이 동작은 인터리버 인덱스가 모두 출력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보 인터리빙을 수행하기 위해서 행 내 교환과 행간 교환을 위한 계산들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의 프로세싱 지연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지연이 크게 발생하는 원인은 모듈로 연산이다. 상기 수학식 4에서 Cj(i) = C([i*q(j)]mod (p-1))의 [i*q(j)]mod (p-1)을 A(i)라 하면 Cj(i) = C(A(i))가 된다. 그리고 C()는 룩업 테이블이다. 상기 A(i)를 살펴보면 i*q의 값이 0부터 255 * 89의 값의 구간의 수가되고, p-1의 값은 0부터 256구간의 수가된다. 상기 I 값은 터보 인터리버 인덱스 1개를 발생시킬 때마다 1씩 증가한다. 즉 A(i)를 구하기 위해 곱셈이 필요하고 곱셈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모듈로 연산 (a) mod(b)에서 a 및 b 값이 클수록 하드웨어 프로세싱 지연은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보 인터리버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드웨어 프로세싱 지연이 적은 상기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보 인터리버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드웨어 프로세싱 지연을 줄일 수 있도록 행간 교환을 수행하는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에 있어서, 터보 인터리빙 수행 시 인터리버 인덱스의 행 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 큐(q)값을 감소하여 행 내 교환을 수행하는 행 내 교환부와, 상기 행 내 교환된 인터리버 인덱스를 행간 교환하는 행간 교환부와, 상기 행 내 교환과 행간 교환이 수행된 인터리버 인덱스의 크기와 인터리버의 크기를 비교하여 작은 경우만 출력하는 프루닝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빙 방법에 있어서, 터보 인터리빙 수행 시 인터리버 인덱스의 행 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 큐(q)값을 감소하여 행 내 교환을 수행하는 행 내 교환 과정과, 상기 행 내 교환된 인터리버 인덱스를 행간 교환하는 행간 교환 과정과, 상기 행 내 교환과 행간 교환이 수행된 인터리버 인덱스의 크기와 인터리버의 크기를 비교하여 작은 경우만 출력하는 프루닝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터리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행 어드레스는 행의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칼럼 어드레스는 열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카운트 어드레스는 어드레스가 하나씩 증가하는 어드레스로서, 일반적인 어드레스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3에서 참조부호 300은 행 내 교환부이고, 320은 행 간 교환부이며, 330은 프루닝부이다. 상기 행 내 교환부(300)는 초기 값으로 '0'들의 값을 갖고 행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해당 행 어드레스의 값을 출력하고 소정의 값을 입력받아 상기 행 어드레스의 값을 갱신하는 버퍼(301)와, 상기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베이스 시퀀스를 구비하며 상기 버퍼링되었던 행 어드레스를 입력시 상기 베이스 시퀀스에 의한 행 내 교환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베이스 시퀀스부(303)와, 입력되는 행 어드레스들에 대한 Reduce_q 값들을 갖는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행 어드레스를 입력받 고 상기 행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감소 큐(Reduce_q) 값을 출력하는 감소 q 생성부(305)와, 상기 버퍼(301)에서 출력되는 행 어드레스와 상기 감소 q 생성부(305)로부터 출력되는 Reduce_q 값을 입력받아 가산하는 가산기(307)와, 상기 가산기(307)에서 출력되는 A의 값과 p-1의 값을 갖는 B의 값을 입력받아 비교하고 상기 A가 B보다 작거나 같으면 '0'의 값을 출력하고 A가 B보다 크면 '1'의 값을 출력하는 비교기(309)와, p-1의 값과 '0'의 값을 입력받고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값을 선택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p-1 또는 '0'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다중화기(313:M1)와, 상기 가산기(307)에서 입력되는 A의 값을 상기 다중화기(313)에서 출력되는 값으로 감산하여 상기 버퍼(301)로 출력하는 감산기(311)로 구성된다.
상기 q 감소부(3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입력되는 각 어드레스에 대한 Reduce_q 값들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이하의 표5와 같이 q값과 p값들을 정의하는 테이블을 구비하여 이하의 수학식 5에 의해서 직접 계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테이블화 하는 것이 연산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테이블화하여 구성한다.
Figure 112001010753562-pat00004

reduced_q = (q)mod(p-1)
상기 q는 상기 표 4에서 정의되는 값이며, p는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면, p 값이 17이고 q값이 71이면 reduced_q = (71)mod(17) = 7이다. 상기와 같이 수학식 5에서 q 값을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수학식 4에서 Cj(i) = C([i * q(j)]mod (p-1) = c(A(i,j))이라 하면, 이하의 수학식 6과 같이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i,j) = (i*q(j))mod(p-1)
= (q(0) + q(1) +....+q(j))mod(p-1)
=[q(j)mod(p-1) +(q(j))mod(p-1)+...+q(j)mod(p-1)]mod(p-1)
= [A(i-1,j)+(q(j))mod(p-1)]mod(p-1)
= [A(i-1,j)+reduced_q(j)]mod(p-1)
상기 수학식 6에서 reduced_q는 0 ~(p-2)까지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A(i-1, j)는 점화식이므로 0~(p-2)까지의 값을 갖는다. 상기 A(i,j)가 0~(p-2)까지의 값을 갖도록 하려면 상기 수학식 6을 다음과 같이 2가지의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A(i-1,j)+reduced_q(j)가 (p-1)보다 작은 경우이고, 두 번째는 A(i-1,j)+reduced_q(j)가 (p-1)보다 같거나 큰 경우이다.
상기 첫 번째의 경우, 상기 A(i,j)는 모듈로 연산의 특성에 의해 A(i-1,j)+reduced_q(j)가 성립하고, 두 번째 경우도, 상기 A(i,j)는 A(i-1,j)+reduced_q(j)-(p-1)로 하면 상기 수학식 6과 일치한다.
이하의 표 6은 선택신호가 0일 경우 어드레스들과 상기 어드레스들에 각각 대응되는 파라미터들, 즉 p값과 g0값을 정의하고, 상기 어드레스들과 상기 어드레스들 각각에 정의된 파라미터들에 대응되는 Reduced_q값들을 나타낸 것이고 선택신호가 1일 경우는 표 7의 R10을 이용한다.
상기 표 6의 테이블은 상기 감소 q 생성부(305)가 가지고 있다. 도 4는 상기 감소 q 생성부(305)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상기 감소 q 생성부(305)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Figure 112001010753562-pat00005
address p G_0 R10
N/A 53 2 1, 7, 11, 19, 23, 29, 31, 37, 41
상기 감소 q 생성부(305)는 p값 저장부(501)와 비교기(503)와 제1스위치(504)와 제2스위치(506)와 g_0값을 저장부(505)와 Reduced_q 값 저장부(507)와 R10 저장부(509)와 다중화부(511)와 감소 q 레지스터부(513)로 구성된다. 상기 p값 저장부(501)는 어드레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p값들을 갖는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어드레스를 입력받고 상기 어드레스에 대한 p값을 출력한다. 비교기(503)는 상기 p값 저장부(501)로부터 출력되는 p값과 기준값을 입력받아 비교한다. 상기 p값을 X라 하고, 기준값을 Y라 하면 상기 비교기(503)는 상기 X가 상기 Y와 같거나 큰지를 비교한다. 상기 X가 Y보다 같거나 크다면 상기 제1스위치(504)를 상단으로 연결하여 p값을 출력하고 제2스위치(506)를 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어드레스 카운트값을 g_0 저장부(505)와 reduced_q 저장부(507)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X가 Y보다 작다면 어드레스 카운트값을 하나씩 증가한다. 상기 g_0저장부(505)는 어드레스 카운트값들 각각에 대한 g_0값을 갖는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스위치(506)를 통해 어드레스 카운트가 입력되면 상기 어드레스 카운트값에 해당하는 g_0값을 출력한다. 상기 reduced_q 값 저장부(507)는 어드레스 카운트값들 각각에 대응하는 reduced_q 값을 갖는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스위치부(506)를 통해 어드레스 카운트값이 입력되면 상기 어드레스 카운트값에 해당하는 reduced_q 값을 출력한다. 상기 R10 저장부(509)는 고정된 R값을 저장하고 있고 고정된 R값을 출력한다. 상기 R값은 본 발명에서 10을 사용하였고, 인터리버 크기 K가 160<K<200 일 경우이다. 이는 R=10이어도 R10을 사용 못하고 reduced_q 값이 사용되는 K값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중화부(511)는 선택신호(select)를 입력받아 상기 reduced_q 저장부(507)와 R10 저장부(509)로부터 reduced_q 값과 R값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감소 q 레지스터(513)에 저장한다.
도3에서 베이스 시퀀스 생성부(303)는 다중화기(401)와 곱셈기(403), 모듈로 연산부(405)와 베이스 시퀀스 레지스터(407)로 구성된다. 상기 다중화기(401)는 1의 값과 소정의 피드백 값을 입력받고, 리셋(reset)신호에 의해 상기 1 또는 피드백 값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셋 신호가 인에이블 신호이면 상기 1의 값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디스에이블 신호이면 피드백 값을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기(401)의 출력은 상기 곱셈기(403)로 입력한다. 상기 곱셈기(403)는 상기 다중화기(401)의 출력과 g_0의 값을 곱하여 모듈로 연산부(405)로 출력한다. 모듈로 연산부(405)는 상기 곱셈기(403)의 출력값과 p값을 입력받고 상기 p값을 인수로 상기 수학식 2에 의한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연산 결과 값이 베이스 시퀀스이다. 상기 베이스 시퀀스는 피드백 하여 상기 다중화기(401)로 입력하고 베이스 시퀀스 레지스터(407)로 입력한다. 상기 베이스 시퀀스 레지스터(407)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를 저장하고, 상기 버퍼(301)로부터 입력되는 값과 상기 카운트 어드레스의 값을 곱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시퀀스와 상기 카운트값을 곱함으로써 행 내 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어드레스 카운트값은 상기 도3의 버퍼로부터 입력되는 값으로, 상기 베이스 시퀀스 값이 저장된 후에 하나씩 증가한다. 상기 베이스 시퀀스 레지스터(407), 즉 상기 도3의 베이스 시퀀스 생성부(303)에서 출력되는 베이스 시퀀스는 행간 교환부(320)로 입력한다.
상기 행간 교환부(320)는 다중화기(321)와 가산기(323)와 multiplied_PIP 생성부(325)로 구성된다. 상기 다중화기(321)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 생성부(303)에서 출력되는 베이스 시퀀스와 0, 1 및 p 값을 입력받고 2비트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베이스 시퀀스, 0, 1 및 p 값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기(321)는 상기 수학식 4의 조건에 따른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값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는 상기 C 값에 따라 상기 베이스 시퀀스가 각 행을 채우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수학식 4에서와 같이 C가 p-1의 값을 가질 때는 행의 첫 번째 열에 1을 선택하게 하고, 이후의 열에서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의 값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C가 p일 경우에 상기 C가 p-1일 경우보다 각 행의 마지막 열이 하나씩 남음으로 상기 각 행들의 마지막 열에서 0의 값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C가 p+1일 경우는 상기 C가 p+1일 경우 보다 각 행의 마지막 열이 남음으로 상기 각 행의 마지막 열을 p값으로 채우기 위해 상기 p값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기(321)에서 출력되는 값은 가산기(323)로 입력한다. multiplied_PIP 생성부(325)는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고 상기 표 3의 선택신호들(A, B, C, D; 이하 "0", "1", "2", "3"으로 표현함)에 의해 multiplied_PIP 값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5는 상기 multiplied_PIP 생성부(325)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multiplied_PIP(325)는 상기 각 선택신호에 대한 PIP값들을 저장하는 PIP 저장부(601)와 곱셈기(603)와 감산기(605)와 multiplied_PIP 레지스터(607)로 구성된다.
상기 PIP 저장부(601)는 선택신호와 리드 어드레스 카운터값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신호에 대한 PIP값을 상기 리드 어드레스 카운터 위치로부터 읽어 출력한다. 곱셈기(603)는 상기 PIP 저장부(601)의 출력값을 입력받고 C값과 곱하여 출력한다. 가산기(605)는 상기 곱셈기(603)의 출력값과 마이너스 모드 값을 입력받고, 상기 출력값을 모드값으로 감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마이너스 모드값은 상기 C값과 p-1값에 의해 출력되는 값으로 상기 C값과 p-1값이 같을 경우 1을 출력하고 다를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상기 감산기(605)의 출력값은 multiplied_PIP 레지스터(607)로 입력하고, 상기 multiplied_PIP(607)은 라이트 어드레스 카운트값과 리드 어드레스 로우 값을 입력받고,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카운트값의 위치에 상기 감산기(605)의 출력값을 저장하고 상기 리드 어드레스 로우 값 입력 시 상기 리드 어드레스 로우 값 위치로부터 PIP 값을 읽어 도3의 가산기(323)로 출력한다.
도3의 가산기(323)는 도3의 다중화기(321)의 출력값과 상기 multiplied_PIP 값을 가산하여 출력한다. 프루닝부(331)는 상기 가산기(323)의 출력값과 인터리버 크기 K와 비교하여 작으면 상기 가산기의 출력값을 출력하고, 크면 출력하지 않는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인터리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술한 도3의 행 내 교환부(300)의 구성만 다르게 구성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비교기(703)와 다중화기(705) 그리고 감산기(707)의 위치만을 변경되었다.
도8은 상기 도3의 다중화기(321) 및 도7의 다중화기(713)로 입력되는 선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선택신호 생성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의 로우(low)와 칼럼(Column)은 2차원 매트릭스의 행과 열의 값이다. 변경모드(exchange_mode)는 상기 수학식 4의 변경을 위해 필요한 신호이다.
비교기(801)는 칼럼과 0이 같은지를 비교하고 같으면 1의 값을, 다르면 0의 값을 출력한다. 비교기(305)는 로우값과 0의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여 같으면 1의 값을 출력하고 다르면 0의 값을 출력한다. 비교기(809)는 칼럼 값과 p의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고, 같으면 1의 값을, 다르면 0의 값을 출력한다. 비교기(813)는 칼럼 값과 p-1의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고 같으면 1의 값을 출력하고 다르면 0의 값을 출력한다. 앤드 게이트(803)는 상기 비교기(801)와 비교기(805)의 출력값과 변경모드 값을 입력받아 앤드 게이팅하여 출력한다. 앤드 게이트(807)는 상기 비교기(805)와 비교기(809)의 출력값과 변경 모드 값을 입력받아 앤드 게이팅하여 출력한다. 앤드 게이트(811)는 상기 앤드 게이트(807)의 출력값과 비교기(809)의 출력값을 앤드 게이팅하여 출력한다. 상기 앤드 게이트(803)의 출력, 상기 앤드 게이트(807)의 출력, 상기 앤드 게이트(811)의 출력 및 비교기(813)의 출력값이 선택신호가 된다. 예를 들면, 칼럼과 로우가 0이고 변경 모드이면, p값을 출력한다. 그리고 칼럼이 p이고 로우가 0이고 변경모드이면 1값을 출력한다. 칼럼이 p이고 변경모드가 아니거나 로우 값이 0이 아니면 p의 값을 출력한다. 그리고 칼럼이 p-1이면 0의 값을 출력한다. 이를 이하의 표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elect(abcd) output
0000 베이스 시퀀스
1000 p
0100 1
0010 p
0001 0
도9는 상기 선택신호 생성기(327)로 입력되는 변경모드값을 생성하기 위한 변경모드 신호 생성기(329)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변경 모드 신호 생성기(329)는 상기 R값과 C값을 곱하여 출력하는 곱셈기(901)와, 상기 곱셈기(901)의 출력값과 인터리버 크기 K를 비교하고 같을 경우 1을 출력하고 다른 경우 0을 출력하는 비교기(903)와, 상기 C와 p+1의 값을 입력받아 같은지를 비교하고 같으면 1의 값을, 다르면 0의 값을 출력하는 비교기(905)와 상기 비교기(903)와 비교기(905)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앤드 게이팅하여 변경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907)로 구성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구성들에 의해 수행되는 인터리빙 방법을 나타내 흐름도이다.
도 10에서 1001, 1003, 1005는 상기 도2의 200단계와 203단계에 해당하는 과정이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파라미터를 찾는 과정이다. 상기 1001, 1003 및 1005단계에서 파라미터들이 결정되면 1005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C값과 p-1값에 의해 현재 모드가 마이너스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C값이 p-1값과 같을 경우 마이너스 모드로 결정된다. 상기 마이너스 모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면 1009단계에서 multiplied_PIP를 생성한다. 상기 multiplied_PIP가 생성되면 1013단계로 진행하여 파라미터 p값과 g_0값에 의해 reduced_q값을 구하고 1015단계에서 베이스 시퀀스를 생성한다. 상기 베이스 시퀀스가 생성되면 10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reduced_q값에 의해 행 내 교환을 수행하고, 상기 베이스 시퀀스에 의해 행간 교환을 수행한다. 상기 교환이 수행된 후에 프루닝을 수행하고 종료한다.
상술한 과정을 다음과 같은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첫 번째로, 인터리버 크기 K가 321이고, 상기 수학식 1과 표 1에 의해 R=20, C=17, p=17이 결정된다.
두 번째로, 상기 p가 17임으로 상기 표 2의 테이블로부터 g_0은 3이다. 그러므로 상기 g_0과 p값을 상기 수학식 2에 대입하면 이하의 수학식 7로 나타내어지므로 베이스 시퀀스는 표 9로 나타내어진다.
c(0)= 1
c(i)=[3*c(i-1)]mod 17
i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i) 1 3 9 10 13 5 15 11 16 14 8 7 4 12 2 6
그리고 베이스 시퀀스 qj는 상기 수학식 3의 조건에 의해 이하 표10과 같이 결정된다.
j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q(j) 1 7 11 13 17 19 23 29 31 37 41 43 47 53 59 61 67 71 73 79
상기 표 10과 같이 베이스 시퀀스 q(j)를 상기 수학식 5를 사용하여 reduced_q를 생성하면, 이하의 표 11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j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Reduced_q(j) 1 7 11 13 1 3 7 13 15 5 9 11 15 5 11 13 3 7 9 15
C=p인 경우 Intra-row permutation을 상기 reduced_q(j)인 base sequence를 상기 수학식 4에 대입하면, 즉 cj(i) = c ([i x q(j)]mod (16) ) (i=1,2, 15), cj(16) = 0이면, 이하의 표12와 같이 행 내 교환을 수행한다.
Figure 112001010753562-pat00006
세 번째로, K=321이므로 교환 패턴이 A형인 경우 행간 교환(inter-row permutation=row-address offset permutation)을 수행하면 이하의 표13과 같이 interleaver index가 생성된다(생성 된 interleaver의 index값은 각 row에 offset값을 더한 후의 값을 표시하였다. 예를 들면 C=17이므로 첫째 줄의 경우 A의 첫 번 째 값이 19이므로 19*17=323값을 위의 값에 더하고, 둘 째줄의 경우 A의 둘째값이 9이므로 9*17=153을 더하면 아래와 같다). 다음 table을column by column 으로 읽으면서 K-1(0부터 index가 생성되므로)보다 큰 숫자가 나오면 무시하고 다음을 읽으면 된다.
즉 154,239,69,?,164,245,?.,255,187
A={19,9,14,4,0,2,5,7,12,18,10,8,13,17,3,1,16,6,15,11}
Figure 112001010753562-pat00007
Case By Case 비교
아래는 R,p값이 동일할 때 C=p+1인 경우(Case-A)와 C=p인 경우(Case-B)와 C=p-1인 경우(Case-C)로 나누어서 하는 경우를 비교한 것이다.
Figure 112001010753562-pat0000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버 인터리빙을 수행 시 모듈로 연산 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써 프로세싱 지연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에 있어서,
    터보 인터리빙 수행 시 인터리버 인덱스의 행 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 큐(q)값을 감소하여 행 내 교환을 수행하는 행 내 교환부와,
    상기 행 내 교환된 인터리버 인덱스를 행간 교환하는 행간 교환부와,
    상기 행 내 교환과 행간 교환이 수행된 인터리버 인덱스의 크기와 인터리버의 크기를 비교하여 작은 경우만 출력하는 프루닝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인터리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 내 교환부가,
    초기값을 가지고 있고,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상기 로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초기값을 출력하고 소정의 값을 입력받아 상기 초기값을 갱신하는 상기 로우 어드레스에 저장하는 버퍼와,
    베이스 시퀀스를 생성하며, 상기 버퍼의 출력값을 어드레스로 하는 상기 베이스 시퀀스의 값을 곱하여 상기 행 내 교환된 인터리버 인덱스를 출력하는 베이스 시퀀스 생성부와,
    하기의 수학식8에 의해 큐(q) 값들을 적용하여 상기 감소 큐값들을 생성하며, 상기 로우 어드레스에 입력시 상기 로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감소 큐값을 출력하는 감소 큐 생성부와,
    상기 감소 큐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감소 큐값과 상기 버퍼의 출력값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와,
    상기 가산된 값과 교환을 위해 요구되는 파라미터 p-1을 비교하여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0과 상기 p-1의 값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0값 또는 p-1값을 선택 출력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가산된 값을 상기 다중화기의 출력값으로 감산하여 상기 버퍼로 출력하여 상기 로우 어드레스의 값을 갱신시키는 감산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인터리버.
    reduced_q = (q)mod(p-1)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 큐 생성부가,
    상기 어드레스별로 p값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로우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어드레스의 p값을 출력하는 p값 저장부와,
    상기 p값 저장부로부터 출력된 p값과 기준값을 입력받고, 상기 p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값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p값을 출력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값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로우 어드레스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2스위치와,
    어드레스별로 상기 p값과 일대일 대응하는 상기 p값의 프리미티브 루트값인 g_0값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스위칭되어 입력되는 로우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g_0값을 출력하는 g_0값 저장부와,
    어드레스별로 감소 큐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로우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감소 큐값을 출력하는 감소 큐값 저장부와,
    고정된 R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R10 저장부와,
    상기 R10 저장부의 출력값과 감소 큐값 저장부로 출력되는 출력값을 입력받고, 소정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다중화기의 출력값을 저장하는 감소 큐 레지스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인터리버.
  5.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빙 방법에 있어서,
    터보 인터리빙 수행 시 인터리버 인덱스의 행 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 큐(q)값을 감소하여 행 내 교환을 수행하는 행 내 교환 과정과,
    상기 행 내 교환된 인터리버 인덱스를 행간 교환하는 행간 교환 과정과,
    상기 행 내 교환과 행간 교환이 수행된 인터리버 인덱스의 크기와 인터리버의 크기를 비교하여 작은 경우만 출력하는 프루닝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인터리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행 내 교환 과정이,
    행 내 교환 시 요구되는 파라미터 p값과 g_0을 찾는 과정과,
    상기 파라미터 p값과 상기 p값과 일대일 대응하는 상기 p값의 프리미티브 루트값인 g_0값과 이하의 수학식 9에 의해 감소 큐(Reduced_q)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감소 큐에 의해 베이스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베이스 시퀀스에 의해 행 내 교환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인터리빙 방법.
    reduced_q = (q)mod(p-1)
KR1020010025305A 2001-05-09 2001-05-09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 KR10080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305A KR100800840B1 (ko) 2001-05-09 2001-05-09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305A KR100800840B1 (ko) 2001-05-09 2001-05-09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848A KR20020091848A (ko) 2002-12-11
KR100800840B1 true KR100800840B1 (ko) 2008-02-04

Family

ID=2770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305A KR100800840B1 (ko) 2001-05-09 2001-05-09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8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566B1 (ko) * 1996-09-30 1999-08-16 전주범 정적 램을 이용한 길쌈 인터리버/디인터리버 및정적 램의 주소 생성 방법
WO2000062426A1 (en) * 1999-04-14 2000-10-19 Nortel Networks Limited Intra-row permutation for turbocode
JP2000353964A (ja) * 1999-06-10 2000-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リーブ装置及びインタリーブ方法
KR100554072B1 (ko) * 1999-08-24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벡터양자화, 분류벡터양자화를 위한 코드북의 인덱스배정방법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566B1 (ko) * 1996-09-30 1999-08-16 전주범 정적 램을 이용한 길쌈 인터리버/디인터리버 및정적 램의 주소 생성 방법
WO2000062426A1 (en) * 1999-04-14 2000-10-19 Nortel Networks Limited Intra-row permutation for turbocode
JP2000353964A (ja) * 1999-06-10 2000-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リーブ装置及びインタリーブ方法
KR100554072B1 (ko) * 1999-08-24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벡터양자화, 분류벡터양자화를 위한 코드북의 인덱스배정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848A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6684B2 (ja) Umtsにおけるターボ符号化器のインターリーバ及びインターリービングを遂行するための方法
US7210076B2 (en) Interleaving order generator, interleaver, turbo encoder, and turbo decoder
JP4383672B2 (ja) 第3世代の符号分割多重アクセスのためのターボコード・インターリーバ
US7590917B2 (en) Parameter generation for interleavers
KR101121185B1 (ko) 터보 인코더 및 디코더에서 인터리버용 어드레스 발생장치 및 방법
EP1203452B1 (en) Address generating device for use in multi-stage channel interleaver/deinterleaver
US7734989B2 (en) Multi-standard turbo interleaver using tables
KR20010113801A (ko) 터보 코드를 위한 행내 치환
JP4064894B2 (ja) インタリーブド・アドレス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051261B1 (en) Turbo encoder with reduced processing delay
US7394412B2 (en) Unified interleaver/de-interleaver
US7552377B1 (en) Method of and circuit for interleaving data in a data coder
KR100800840B1 (ko)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 및 터보 인터리빙 방법
JP4909498B2 (ja) インターリーブパラメータ演算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装置、携帯電話機
KR100416569B1 (ko) 터보 치환기 및 이를 이용한 터보 복호기
KR100943612B1 (ko) 터보코드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터보 인터리버장치 및 방법
KR101614482B1 (ko) 터보 인터리버의 인터리빙 주소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030022602A (ko) 메모리 어드레스 생성기
KR20050088182A (ko) 터보 인코더 및 디코더에서 인터리버용 어드레스 발생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