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296B1 - 한 손 퍼터 - Google Patents

한 손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296B1
KR100800296B1 KR1020070073210A KR20070073210A KR100800296B1 KR 100800296 B1 KR100800296 B1 KR 100800296B1 KR 1020070073210 A KR1020070073210 A KR 1020070073210A KR 20070073210 A KR20070073210 A KR 20070073210A KR 100800296 B1 KR100800296 B1 KR 10080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er
shaft
hand
main bod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손 퍼터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손잡이(22)를 갖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2)와, 상기 샤프트(2)의 하단에 형성된 헤드(4)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헤드(4)는,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타격면(42)과, 상기 타격면(42)의 후방에 형성되는 끼움부(44)로 구성됨으로써, 퍼팅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한 손으로도 안정적으로 퍼팅할 수 있게 된다.
골프, 퍼팅, 퍼터, 헤드, 타격

Description

한 손 퍼터{ONE HAND PUTTER}
본 발명은 골프에 사용되는 퍼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 그린에서 홀을 향하여 퍼팅시 골프공의 중심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도록 올바른 자세를 위한 한 손 퍼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고급 스포츠로 알려져왔던 골프가 대중 스포츠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다.
현재 골프를 즐기고 있는 골프인들은 실제 경기시 기준 타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필드보다는 골프 연습장에서 드라이버를 치는 연습과 그린에서 홀을 향하여 가볍게 치는 퍼팅 연습을 하고 있으며 많은 수의 골프인들이 시간 관계상 연습장을 찾지 못할 경우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퍼팅을 연습하여 경기력의 향상을 꾀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한편, 퍼팅의 경우 자세만 올바르면 즉, 골프공의 중심을 정확히 치면서 퍼터가 일자로 향하는 자세만 완벽하면 골프 볼이 슬라이스나 훅이 나지 않고 직선으로 진행하여 홀에 볼을 완벽하게 집어넣을 수 있으므로 퍼팅 자세를 완벽하게 유지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퍼터는 손잡이를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공을 직접 타격하는 헤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퍼터는 두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양팔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신경이 차이가 있으므로 흔들림 없이 의도하는 방향과 강도로 퍼터를 움직이는 것은 매우 힘들다.
또한, 퍼터의 그립부를 한 손으로만 잡고 퍼팅하는 것은 안정성이 결여되므로 퍼팅의 정확성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종래 퍼터의 헤드는 골프공과 접촉되는 부위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타격시 골프공이 사실상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오차율이 증가되므로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퍼터 헤드의 타격부위를 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타격시 골프공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차발생을 줄일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퍼팅이 가능하도록 한 한 손 퍼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터의 헤드를 개선함으로써 퍼팅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한 손으로도 안정적으로 퍼팅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에 손잡이를 갖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된 헤드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헤드는,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타격면과, 상기 타격면의 후방에 형성되는 끼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평면의 판재로 된 일정 길이의 샤프트와, 중지는 상기 샤프트와 평행되도록 하고, 손바닥부가 타구 방향을 향상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한 손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에 설치된 고정부와,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타격면과, 상기 타격면의 후방에 형성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퍼터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퍼터의 제 1실시예에 대한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퍼터(A)의 제 1실시예는, 상단에 손잡이(22)를 갖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2)와, 상기 샤프트(2)의 하단에 형성된 헤드(4)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헤드(4)는,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타격면(42)과, 상기 타격면(42)의 후방에 형성되는 끼움부(44)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4)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되, 전면에는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타격면(4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후술될 감지수단(6)이 장착되는 끼움부(44)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4)의 직경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골프공(100)의 지름보다 1.5~1.7배 가량 크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44)의 양측단에 브라켓(442)이 대향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브라켓(442)은 일측이 개구되어 평단면이 "ㄷ"자 형상이며, 내면에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홈(446)이 수직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홈(446)은 4개로 형성되며, 그 간격은 0.5~1.5cm 정도이나, 이러한 상기 갯수 및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다.
상기 끼움부(44)에는 지면과의 이격된 높이를 촉감으로 감지 및 퍼터 전후 상하의 흔들임을 줄이기 위한 감지수단(6)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감지수단(6)은, 상기 끼움부(44)에 삽입되는 장방형의 본체(60)와, 상기 본체(60)의 양측단에 형성된 스토퍼(64)와, 상기 본체(60)의 하단에 장착된 브 러쉬부재(62)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64)는, 상기 브라켓(442)에 형성된 높이조절홈(446)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60) 내에 매립된 스프링(644)과, 상기 스프링(644)에 탄지되는 강구(steel ball)(642)로 구성된다.
따라서, 감지수단(6)을 상기 끼움부의 브라켓의 내측으로 끼워넣으면 상기 강구(642)가 가압되어 스프링(644)이 압축되면서 인입되고, 강구(642)가 높이조절홈(446)에 도달하면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스프링(644)의 복원력에 의해 인출됨으로써 감지수단(6)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쉬부재(62)의 길이는 1~2cm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결합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헤드(4)의 후면에 마련된 끼움부(44)에 감지수단(6)을 끼워넣어 브러쉬부재(62)가 지면을 향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브러쉬부재(62)의 높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지면과 적정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후, 퍼팅을 하게 되면 볼록한 반원형인 타격면(42)과 골프공(100)이 접촉하게 되며, 이때의 타격면(42)과 골프공(100)의 접촉면적은 종래의 평면일때보다 최소화될수 있고, 이로 인해 오차발생의 원인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타격방향과 강도의 왜곡현상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어 정확한 퍼팅 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퍼터의 제 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퍼터(A')의 제 2실시예는,
평면의 판재로 된 일정 길이의 샤프트(2')와, 중지는 상기 샤프트(2')와 평행되도록 하고, 손바닥부가 타구 방향을 향상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한 손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2')에 설치된 고정부(3')와,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타격면(42')과, 상기 타격면(42')의 후방에 형성되는 끼움부(44')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의 하단에 형성된 헤드(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는 중지삽입부 및 손바닥부가 상기 샤프트(2')와 밀착되는 장갑으로써, 사용자의 한 손의 중지는 샤프트(2')와 평행되도록 하고, 손바닥부는 타구 방향을 보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을 샤프트(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의 중지삽입부 및 손바닥부는 샤프트(2)에 밀착시키고, 사용자의 손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손목부에는 손목을 감는 손목 밴드(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한 손이 고정부(3')에 의해 샤프트(2')에 고정되면, 중지와 팔이 샤프트(2')와 평행되게 유지되므로 샤프트(2')는 마치 사용자의 손의 연장부인 것처럼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정감을 가지고 마치 손바닥으로 타구하듯이 퍼팅할 수 있게 되며, 중심부인 중지의 끝에 신경이 집중되므로 정확한 타구가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2')는 단면이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재이며, 상기 고정부(3')는 장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는 장변에 설치됨으로서 사용자의 퍼팅 방향을 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헤드(4')의 윗면에는 타구 방향과 일치되고, 타격면(42')의 반대쪽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방향지시봉(7')이 더 설치됨으로써 퍼팅시 타구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울러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끼움부(44')에는 지면과의 이격된 높이를 촉감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깃털로서 전후 상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6')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감지수단(6')에 대해서는 제 1실시예에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퍼터의 제 3실시예(A")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는 상단을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끼울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어깨만을 움직여서 퍼팅할 수 있으므로 퍼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샤프트(2')의 상단은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편안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체(10')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에는 사용자의 키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7')가 더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부(7')의 일예로는 샤프트(2')를 슬라이딩방식에 의해 다단으로 접철시킬 수 있고, 소정의 고정나사(72')를 구비함으로써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2')에는 사용자의 손의 높이에 맞도록 고정부(3')와 헤드(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의 일예로는 고정부(3')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샤프트(2')의 외면에 벨크로파스너(9')를 설치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퍼터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퍼터의 제 1실시예에 대한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손 퍼터의 제 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샤프트 4 : 헤드
6 : 감지수단 7 : 방향지시봉
42 : 타격면 44 : 끼움부
60 : 본체 62 : 브러쉬부재
64 : 스토퍼 442 : 브라켓
446 : 높이조절홈

Claims (16)

  1. 상단에 손잡이를 갖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된 헤드로 구성된 퍼터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타격면과, 상기 타격면의 후방에 형성되는 끼움부와 지면과의 이격높이를 촉감으로 감지 및 퍼터 전후 상하의 흔들림을 줄이기 위한 감지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양측단에 브라켓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일측이 개구되어 평단면이 "ㄷ"자 형상이며, 내면에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홈이 수직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에는 지면과의 이격된 높이를 촉감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수단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끼움부에 삽입되는 장방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장착된 브러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한 손 퍼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 내에 매립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탄지되는 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6. 평면의 판재로 된 샤프트와,
    중지는 상기 샤프트와 평행되도록 하고, 손바닥부가 타구 방향을 향상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한 손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에 설치된 고정부와,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타격면과, 상기 타격면의 후방에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된 헤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중지삽입부 및 손바닥부가 상기 샤프트와 밀착되는 장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단면이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재이며, 상기 고정 부는 장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단을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끼울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윗면에는 타구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지시봉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에는 지면과의 이격된 높이를 촉감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수 단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끼움부에 삽입되는 장방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장착된 브러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 내에 매립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탄지되는 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1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구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퍼터.
KR1020070073210A 2007-01-30 2007-07-23 한 손 퍼터 KR100800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9211 2007-01-30
KR1020070009211 2007-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296B1 true KR100800296B1 (ko) 2008-02-05

Family

ID=3934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210A KR100800296B1 (ko) 2007-01-30 2007-07-23 한 손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2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633A (ko) * 2002-08-16 2005-08-26 데빌레이 에이에스 골프클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633A (ko) * 2002-08-16 2005-08-26 데빌레이 에이에스 골프클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5481A (ko) 숏퍼팅과 미들 및 롱퍼팅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퍼터
US20090203459A1 (en) Golf Training Aid for Pendulum Putting Motion and Accepted Chipping Motion
JP2018531650A (ja) ゴルフ用クラブのグリップ
US20070238544A1 (en) Golf Putter with Alignment Head
KR20150102779A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
KR100800296B1 (ko) 한 손 퍼터
US5733204A (en) Flex top putter grip
KR200397928Y1 (ko)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KR101426932B1 (ko) 골프 퍼터
KR100815650B1 (ko) 골프 퍼터
KR20200124565A (ko) 퍼터
KR200429092Y1 (ko) 골프 클럽용 그립
KR101835959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KR20070011682A (ko)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KR100861662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JP2015085005A (ja) 球技用の棒状体
US6793589B1 (en) Flexible golf putter
JP2001087439A (ja) ゴルフグリップ練習具
KR102120980B1 (ko) 퍼터용 방향 지시 고정장치
KR200442667Y1 (ko) 퍼팅 연습 보조구
KR102299646B1 (ko) 골프 퍼터
JP3137033U (ja) パッティング練習具
KR200231888Y1 (ko) 스윙 연습용 골프장갑
KR200311966Y1 (ko) 골프 타점 확인장치
JP3136148U (ja) ゴルフクラブパター、手袋およびパッティ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