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383B1 - Footwear - Google Patents

Footw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383B1
KR100799383B1 KR1020060083998A KR20060083998A KR100799383B1 KR 100799383 B1 KR100799383 B1 KR 100799383B1 KR 1020060083998 A KR1020060083998 A KR 1020060083998A KR 20060083998 A KR20060083998 A KR 20060083998A KR 100799383 B1 KR100799383 B1 KR 10079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idsole
installation end
outsol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옥태
Original Assignee
김옥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태 filed Critical 김옥태
Priority to KR102006008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3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A footgear is provided to have excellent shock absorbing function by letting a user's heel come into contact only with a cushion, to have a simple structure, to enable air circulation and to reduce user's fatigue. A footgear includes an outsole(100), a midsole(200) and uppers of leather. The midsole includes an installation end(210), a cushion(220), a check valve(230), and an air moving recess(240). The installation end is formed by depressing the entir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oot portion. The cushion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end and is manufactured in an outline of the installation en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s a separation space. The check valv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dsole to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space formed by the cushion. The air moving reces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Description

신발{Footwear}Shoes {Footwear}

도1은 종래기술의 장치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vice of the prior art is mounted on a shoe.

도2는 종래기술을 보여주는 장치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device showing the prior art;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o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o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100 : 아웃솔 200 : 미드솔100: outsole 200: midsole

210 : 설치단 220 : 쿠션210: mounting stage 220: cushion

225 : 이격공간 230 : 체크밸브225: separation space 230: check valve

240 : 공기이동홈240: air moving groove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으로, 특히 충격흡수기능과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having a shock absorbing function and an air circulation function.

생활의 필수품인 신발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욱 향상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보통의 신발(운동화류)은 아웃솔, 미드솔 및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발바닥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는 인솔이 개재된다.Shoes, which are a necessity of life, are class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ir use, and more advanced functions are added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Ordinary shoes (sneakers) include outsoles, midsoles, and uppers, and insoles are inter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s.

일반적으로 아웃솔은 고무로 이루어지며, 미드솔은 우레탄이나 EVA를 발포시켜 성형하게 된다. 상기 아웃솔은 지면과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마모가 많이 발생되어 내마모성을 갖추어야 하고, 미드솔은 충분한 충격흡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미드솔 자체만으로는 충분한 충격흡수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충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신발이 제안되고 있다.In general, the outsole is made of rubber, the midsole is molded by foaming urethane or EVA. Since the outsol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 lot of abrasion is generated and thus abrasion resistance must be provided, and the midsole must have a sufficient shock absorbing function. Since the midsole alone cannot achieve sufficient shock absorption, shoes having various shock absorption functions have been proposed.

한편, 운동화와 같은 신발은 갑피에 의해 발등까지 모두 덮히게 되므로 신발 내부는 외부와 공기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발에는 땀이 많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냄새와 무좀균과 같은 질환이 쉽게 생기기도 한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고자 외부와 공기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 신발이 제공되고 있다.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는 신발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신발 내부로 공급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shoes such as sneakers are covered to the instep by the upper, the inside of the shoe is not smoothly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Because of this, a lot of sweat is generated on the wearer's foot, and odors and diseases such as athlete's foot are easily genera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ir circulation shoes are provided to allow ai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Shoes with air circulation take in the outside air and are supplied into the shoe.

이하, 종래기술로써 알려진 충격흡수 및 공기순환 신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Hereinafter, a shock absorbing and air circulation shoe known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brief.

특허출원번호 1995-11459호의 "운동화용 충격흡수 및 공기순환장치"가 공개된 바 있으며, 도1은 종래기술의 장치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투시도이고, 도2는 평면도를 보여준다. 종래기술에서는 신발창 내부에 공기튜브(1)가 설치되어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고, 동시에 내외부로 공기순환을 위해서 상기 공기튜브(1) 사이에 가요성튜브(2)를 설치하고, 상기 가요성튜브(2)에 배기밸브(3)를 연결하여 공기를 배출하며, 신발 내부공기를 상기 가요성튜브(2)로 보내기 위한 흡입수단(4)을 갖추게 된다.Patent Application No. 1995-11459, "Shock absorption and air circulation device for sports shoes" has been published,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prior art device is mounted on the shoe, Figure 2 shows a plan view. In the prior art, an air tube (1) is installed inside the shoe sole to absorb shock, and at the same time, a flexible tube (2) is installed between the air tubes (1) for air circulation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the flexible tube ( 2) is connected to the exhaust valve (3) to discharge the air, it is provided with a suction means (4) for sending the air inside the shoe to the flexible tube (2).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그 구성요소가 많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튜브 등이 모두 신발창 내부에 설치되므로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따라서 어떠한 시각적 효과를 달성할 수가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순환을 위해서는 가요성튜브와 같은 펌핑수단이 필요하므로 제작비용도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component has many and complicated structures. And since the air tubes and the like are all installed inside the so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thus no visual effect can be achieved. In addition, since the pumping means such as a flexible tube is required for air circulation,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high manufacturing cost.

사람의 보행동작은 지면과 후족부(발꿈치)가 가장 먼저 접촉되어 발가락쪽으로 옮겨지게 된다. 따라서, 후족부 부분에서 충격이 많이 흡수되어야 하고 이런 관계로 신발창의 후족부 부분에 충격흡수체가 보통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알려진 기술들에서는 신발창, 특히 미드솔의 후족부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공기튜브와 같은 충격흡수체를 설치하게 된다. 즉, 기존에는 후족부 내부 영역에 충격흡수체가 설치되는 관계로 발꿈치는 충격흡수체뿐 아니라 미드솔과도 접촉되어 완전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uman walking motion is the first contact with the ground (heel) is moved to the toes. Therefore, a lot of shocks must be absorbed in the rear foot portion, and in this regard, shock absorbers are usually installed in the rear foot portion of the sole. However, in the known art, grooves are formed in the rear of the sole, particularly the midsole, and a shock absorber such as an air tube is installed in the groove. That is, in the past, since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foot, the heel is not only in contact with the shock absorber but also with the midsole, thereby preventing the complete shock absorp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람의 발꿈치가 충격흡수기능을 하는 쿠션에서만 접촉되도록 하여 충격흡수기능이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hoe that allows the heel of the person to be in contact only with the cushion for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is excellen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air circulation is possible. It is don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아웃솔, 미드솔,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shoe comprising an outsole, a midsole, upper, the midsole,

후족부의 상부면 전체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설치단과; 상기 설치단에 결합되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설치단의 아웃라인 형태로 제작되고, 이격공간을 가지는 쿠션과; 상기 쿠션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과 소통되도록 상기 미드솔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을 구비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쿠션의 외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후족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stallation end formed by recess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rear foot portion; A cushion coupled to the installation end and manufactured in an outline form of the installation en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 separation space; A check val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dsol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cushion; an outsole having a rear portion extending upward to partially contact and support an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exposed to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은 아웃솔, 미드솔,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후족부의 하부면 전체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설치단과; 상기 설치단에 결합되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설치단의 아웃라인 형태로 제작되고, 이격공간을 가지는 쿠션과; 상기 쿠션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과 소통되도록 상기 미드솔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을 구비하며, 상기 미드솔과 쿠션의 하부면과 접촉되게 결합되며, 후족부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쿠션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comprising an outsole, a midsole, upper, the midsole, the installation end is formed by recessing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rear foot; A cushion coupled to the installation end and manufactured in an outline form of the installation en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 separation space; And a check val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dsol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cushion. The check valve is coup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the cush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outsole to partially support the.

또한, 본 발명은 아웃솔, 미드솔,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후족부의 측면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연속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설치단과; 상기 설치단에 결합되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설치단의 아웃라인 형태로 제작되고, 이격공간을 가지는 쿠션과; 상기 쿠션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과 소통되도록 상기 미드솔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쿠션의 외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후족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comprising an outsole, midsole, upper, the midsole, the installation end is formed so as to have a continuity to penetrate from side to side around the rear foot; A cushion coupled to the installation end and manufactured in an outline form of the installation en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 separation space; A check val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dsole so as to communicate with a space formed by the cushion; an outsole having a rear portion extending upward to partially contact and support an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exposed to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그리고 상기 미드솔은, 그 상면 혹은 하면에 상기 쿠션의 이격공간과 이어지는 공기이동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id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or lower surface is further formed with an air moving groove and the separation space of the cushion.

그리고 상기 쿠션은, U 자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를 가지며, 상기 쿠션은 다수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shion has a U shape or a doughnut shape, and the cush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또한, 상기 설치단은 쿠션의 위치를 잡아주는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end is another feature that the stopper is provided to hold the position of the cushion.

또한, 본 발명의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쿠션의 외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도록 후족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미드솔과 일체형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oe in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portion is extended to the upper side to partially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it is integral with the midsole.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실시가능한 형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는 당업자에게 용이한 정도의 변경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one possible embodiment as provided as a means of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that are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첨부되는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단면도에서는 갑피 부분은 도시하지 않았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o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is not shown in this cross section.

통상의 신발과 같이, 아웃솔(100), 미드솔(200) 및 갑피(미도시)를 포함하게 되며, 특히 상기 미드솔(200)의 후족부 상부면에는 함몰된 설치단(210)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단(210)에는 쿠션(220)이 놓이며, 상기 미드솔(200)의 측면에 체크밸브(230)가 구비된다.Like normal shoes, the outsole 100, the midsole 200 and the upper (not shown) will be included, in particular,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200 is formed recessed installation end 210, Cushion 220 is placed on the installation end 210, the check valve 23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idsole 200.

상기 설치단(210)은 미드솔(200)의 후족부 상부면 전체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3과 같이 상기 미드솔(200)의 후족부가 타부위보다 낮게 파여져 있고, 특히 상기 설치단(210)은 후족부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된다. 종래기술들에서는 후족부 내부 영역에 홈을 만들게 되는데 비하여, 본 발명에서의 설치단은 후족부 전체영역에 형성되는 차별점이 있다.The installation end 210 is formed by recess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rear foot of the midsole 200, as shown in Figure 3 the rear end of the midsole 200 is dug lower than the other parts,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end 210 ) Is formed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trailing portion. In the related arts, grooves are form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rear portion, whereas the installation s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tinction formed in the entire region of the rear portion.

상기 설치단(210)에는 쿠션(220)이 설치되며, 상기 쿠션(220)은 설치단(210)의 아웃라인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결합 된다. 즉, 상기 쿠션(220)은 설치단(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 형태와 같이 제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쿠션(220)에는 이격공간(225)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U 자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굴곡진 곡면부가 후방을 향하며 개방된 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설치단(210)에 배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 쿠션(220)의 형상으로 U 자 외에 도우넛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우넛 형상의 경우 중심부에 이격공간(225)이 마련된다. 상기 쿠션(220)은 내부에 기체나 액체가 충진되는 튜브로 함이 적합하다.A cushion 220 is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end 210, and the cushion 220 is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such as an outline of the installation end 210, and is coup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cushion 220 is to be produced in the form along the edge of the installation end 210. In addition, a space 225 is formed in the cushion 2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shion 220 has a U shape. The curved curved portion may be disposed at the installation end 210 such that the curved portion faces rearward and the open portion faces forward.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U shape, the cushion 220 may be manufactured in a donut shape. In the case of a donut shape, the separation space 225 is provided in the center. The cushion 220 is preferably a tube filled with a gas or liquid therein.

한편, 상기 미드솔(200)의 일측면에는 체크밸브(230)를 설치토록 하는데, 함몰된 설치단(210) 보다 전방에 상기 체크밸브(230)를 두도록 한다. 상기 체크밸브(230)는 공기를 한 방향으로만 보내게 하는 것이며, 상기 쿠션(220)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225)과 소통되어 외부공기를 이격공간(225)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상기 이격공간(225)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될 때에 상기 체크밸브(230)는 개방되며, 이후 상기 이격공간(225)에 유입된 공기를 신발 내부로 배출할 시에는 상기 체크밸브(230)는 닫히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230)와 이격공간(225)을 서로 소통되게 함에 있어서는 연결관(235)을 이용함이 적합한데, 상기 연결관(235)의 일단부는 체크밸브(230)와 연결시키고 타단부는 이격공간(225)에 이르도록 배치하면 된다. 본 제1실시예에서는 미드솔(200)의 하부면에 상기 연결관(235)을 배설할 수 있는 홈(미도시)을 두도록 하며, 또한 체크밸브(230)와 연결하기 위한 구멍(미도시)과 이격공간(225)으로 연결관(235)을 설치하기 위한 또 하나의 구멍을 형성시키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midsole 200 to install the check valve 230, so that the check valve 230 in front of the recessed installation step 210 to be placed. The check valve 230 sends air only in one direc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225 formed by the cushion 220 to receive external air as the separation space 225. When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separation space 225, the check valve 230 is opened, and wh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pace 225 is discharged into the shoe, the check valve 230 is It is closed. In order to communicate the check valve 230 and the space 225 to each other, it is suitable to use a connection pipe 235,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235 is connected to the check valve 230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rrange | position so that the space 225 may be reached. In the first embodiment, a groove (not shown) for disposing the connecting pipe 235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200, and a hole (not shown) for connecting with the check valve 230 is provided. Another hole for installing the connection pipe 235 to the space 225 is to be formed.

상기 미드솔(200)의 하부면에는 아웃솔(100)을 결합시키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쿠션(220)의 외면을 아웃솔(100)이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웃솔의 후방부분을 상측으로 연장되게 한다. 상기 아웃솔(100)에 의해 상기 쿠션(220)이 지지되므로 최종적인 결합상태로 되면, 상기 쿠션(220)은 설치단(210)을 벗어나지 않게 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200 is coupled to the outsole 100,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portion of the outsole to partially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220 exposed to the outside To extend upwards. Since the cushion 220 is supported by the outsole 100, when the cushion 220 is finally engaged, the cushion 220 does not leave the installation end 210.

한편, 상기 미드솔(200)의 상면에는 상기 이격공간(225)과 이어지는 공기이동홈(240)을 두도록 함이 적합하며, 상기 체크밸브(230)에 의해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공기이동홈(240)을 따라 이동되어 신발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공기이동홈(240)은 설치단(210)으로부터 시작되어 신발의 전족부까지 형성되게 하며, 신발 내부를 향한 최종적인 분출구(미도시)는 여러개가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200 is suitable to have an air moving groove 240 leading to the separation space 225, the outside air sucked by the check valve 230 is the air moving groove 240 It moves along) to supply the outside air into the shoe. The air moving groove 240 is to be formed starting from the installation end 210 to the forefoot of the sho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al ejection opening (not shown) toward the inside of the shoe is formed of several.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신발은 도4의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으며, 기본적으로 아웃솔(100), 미드솔(200) 및 갑피를 포함한다.Sho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basically includes an outsole 100, a midsole 200 and the upper.

특히, 상기 미드솔(200)의 후족부 하부면에 함몰된 설치단(210)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단(210)은 후족부 하부면 전체가 함몰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설치단(210)에는 이격공간(225)을 가지는 U 자형 또는 도우넛 형상의 쿠션(220)이 배치되는데, 상기 쿠션(220)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설치단(210)의 아웃라인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쿠션(220)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225)은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부위이며, 상기 설치단(210)보다 전방으로 미드솔(200)에 형성되는 체크밸브(230)는 상기 이격공간(225)과 소통된다. 체크밸브(230)와 이격공간(225)의 소통은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관(235)을 두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2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설치단(210)과 이어지는 공기이동홈(240)을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공기이동홈(240)을 따라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상기 미드솔(200)의 하부면에는 아웃솔(100)이 더 결합되며, 상기 쿠션(220) 역시 아웃솔(100)에 의해 하부면이 보호되고, 특히 상기 아웃솔(100)의 후족부 부분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쿠션(220)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end 210 recess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oot of the midsole 200 is formed, the installation end 210 is assumed that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rear foot. The installation end 210 is provided with a U-shaped or donut-shaped cushion 220 having a space 225, the cushion 220 is produced in the outline form of the installation end 21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do. The space 225 formed by the cushion 220 is an unfilled empty space, and the check valve 230 formed in the midsole 200 in front of the installation end 210 is the space 225. ) Is communicated wit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eck valve 230 and the separation space 225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pe 235 as mentioned in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an air moving groove 240 leading to the installation end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200, and air flows along the air moving groove 240. The outsole 100 is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200, and the cushion 220 also has a lower surface protected by the outsole 100, and in particular, the rear portion of the outsole 100 extends upward. And is configured to partially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220.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첨부되는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에 해당 되고, 아웃솔(100), 미드솔(200), 갑피를 포함한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n outsole 100, a midsole 200, and an upper.

언급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미드솔(200)에는 설치단(210)이 마련된다. 제3실시예에서의 상기 설치단(210)은 후족부의 측면둘레에 좌우로 관통되며 연속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설치단(210)은 도5에 보이는 것처럼 단면형상이 ㄷ 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단(210)에 쿠션(22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설치단(210)의 아웃라인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고, U 자 형상 또는 도우넛 형상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미드솔(200)에는 체크밸브(230)가 구비되며, 상기 체크밸브(230)는 쿠션(220)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225)과 소통된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설치단(210)과 연결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이동홈(240)이 갖추어진다.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tallation end 210 is provided in the midsole 200. The installation end 210 in the third embodiment penetrates from side to side around the rear foot and is formed to have continuity. That is, the installation end 210 has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The cushion 22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tallation end 210 as described above, and is manufactur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 of the installation end 21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s a U shape or a donut shape. Also in this embodiment, the midsole 200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230, the check valve 2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paration space 225 formed by the cushion 220. And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200 is provided with an air moving groove 240 that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end 210 and the air can flow.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첨부되는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200)의 후족부에 함몰된 설치단(210)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단(210)에는 쿠션(220)이 결합된다. 특히, 본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단(210)의 아웃라인을 따라 상기 쿠션(220)이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되, 상기 쿠션(220)은 여러개로 분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an installation end 210 recess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midsole 200 is provided, and the installation end 210 is provided with a cushion 220. ) Is combined. In particular,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cushion 220 is disposed along the outline of the installation end 21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ushion 220 is divided into several pieces.

여기에서는 미드솔(200)의 상부면 후족부에 설치단(210)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으나, 미드솔(200)의 하면부 혹은 측면부에 설치단이 마련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대략 U 자 형상의 제1쿠션(220a)이 가장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쿠션(220a)과 분리된 일직선, 도우넛형 혹은 U 자 형의 제2쿠션(220b)이 더 설치단(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쿠션과 제2쿠션의 사이 공간은 외부와 차단되게 밀폐시킨다. 그 외의 구성은 타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 the case where the installation end 21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200 is taken as an example. However,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installation end is provided at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idsole 200. An approximately U-shaped first cushion 220a is positioned at the rearmost portion, and a straight, donut-shaped or U-shaped second cushion 220b separated from the first cushion 220a is further installed. It is formed along the edge of. Of cours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ushion and the second cushion is sealed to block the outside.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other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도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상기 미드솔(200)의 설치단(210)에 설치되는 쿠션(2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단(210)에 스톱퍼(21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215 on the mounting end 210 to accurately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cushion 220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end 210 of the midsole 200. ) Is further provided.

상기 스톱퍼(215)에 대응하여 상기 쿠션(220)에도 고정돌기(221)를 두도록 하는데, 도7와 같이 상기 설치단(210)에 상기 쿠션(220)의 하부면이 접촉되는 영역에 함몰된 스톱퍼(215)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이런 구조로 하면 상기 설치단(210)에 쿠션(220)을 결합할 시에 스톱퍼(215)에 쿠션(220)에 형성된 고정돌 기(221)를 맞추어 쉽게 결합이 가능하고 쿠션이 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xing protrusion 221 is also placed on the cushion 220 in response to the stopper 215. A stopper recessed in an area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220 contacts the installation end 210 as shown in FIG. To form 215. With this structure, the fixing protrusion 221 formed on the cushion 220 can be easily fitted to the stopper 215 when the cushion 220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end 210, and the cushion is out of position. Can be prevented.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본 제6실시예에서는 언급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그 기본 구성을 동일하게 하되, 상기 아웃솔(100)이 미드솔(2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언급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경우에 아웃솔과 미드솔은 독립된 개체로 제공되어 상호간에 접착시켜 결합하도록 하고 있는데, 본 제6실시예에서는 미드솔(200)과 아웃솔(100)이 일체로 제작되어 미드솔(200)에 형성되는 설치단(210)에 쿠션(220)이 설치되고, 또한 체크밸브(230)도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In the sixth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but the outsole 1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idsole 200. In the ca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mentioned, the outsole and the midsole are provided as separate entities to be bonded to each other and bonded to each other. In the sixth embodiment, the midsole 200 and the outsole 100 are integrally manufactured to form a midsole. The cushion 220 is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end 210 formed in the 200, and the check valve 230 is also provided.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미드솔(200)과 아웃솔(100)은 그 재질이 동일한 것일 수도 있으며, 이종 재질로써 성형이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마모가 심한 아웃솔 부분은 미드솔에 비교하여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일체형 미드솔아웃솔 성형체를 제조한 후 미드솔(200) 후족부에 마련되는 설치단(210)에 이격공간을 가지는 쿠션(22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쿠션은 설치단의 아웃라인과 같은 형태를 유지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200)의 일측에는 체크밸브(230)가 형성되어 상기 쿠션(220)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225)과 소통되어 외기를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유입되는 외기는 미드솔에 구비되는 공기이동홈(240)을 따라 유동되며 최종적으로는 신발내부로 공급된다.The midsole 200 and the outsole 100 provided integrally may have the same material, or may be molded as different materials. Preferably, the abrasion outsole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abrasion resistance compared to the midsole. After manufacturing an integrated midsole outsole molded body, the cushion 220 having a spaced space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end 21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idsole 200. The cushion is coupled to maintain the same shape as the outline of the installation end and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a check valve 2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idsole 200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225 formed by the cushion 220 so that outside air flows into the space.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 this way flows along the air moving groove 240 provided in the midsole and is finally supplied into the shoe.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미드솔(200)의 후족부 전체가 연속적으로 함몰되어 설치단(210)을 이루며,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설치단(210)의 아웃라인 형상으로 제작되고, 이격공간(225)을 이루게 된다. 상기 쿠션(220)은 후족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됨으로써 착용자의 발꿈치는 쿠션 영역에서만 접촉되므로 충격흡수가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쿠션(220)에 의해 이격공간(225)이 만들어지므로 상기 이격공간(225)이 펌핑실로 작용하게 된다. 미드솔(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체크밸브(230)는 상기 이격공간(225)과 소통되어 외부공기를 이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이격공간(225)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이동홈(240)을 따라 신발 내부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펌핑실을 마련하지 않고도 쿠션의 형상에 의해 신발 내부로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Shoes according to a number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outline shape of the installation end 210 so that the entire rear end of the midsole 200 is continuously recessed to form the installation end 210,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space 225 is achieved. The cushion 220 i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rear foot portion, so that the wearer's heel contacts only the cushion area so that the shock absorber can be better absor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 225 is made by the cushion 220, the space 225 acts as a pumping chamber. The check valve 2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dsole 200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225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separation space,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pace 225 is an air moving groove ( 240) is discharged into the sho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irculate air into the shoe by the shape of the cushion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pumping chamber.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쿠션은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쿠션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쿠션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는 시각적 효과의 예로는 상기 쿠션 내부에 형광물질을 투입하여 야광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sh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upling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give various visual effects by utilizing the cushion. As an example of the visual effect that can be achieved using the cushion, a luminous effect can be obtained by injecting a fluorescent material into the cush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신발은 미드솔에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에 결합되는 쿠션의 결합형태로 후족부에서의 충격흡수가 보다 원활하게되며, 착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ore smoothly absorbing shock at the rear portion of the shoe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n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the midsole and a cushion coupl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reducing fatigue of the wearer. .

그리고 본 발명의 신발의 경우 별도의 펌핑실이 없어도 상기 쿠션의 구조적 특성과 미드솔과의 결합관계로 인해 공기순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신발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부품수가 감소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ithout a separate pumping chamber, it is possible to circulate air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ushion and the midsole,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shoe is simple an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thereby achieving cost savings in terms of economy. It also has the effect.

Claims (8)

아웃솔, 미드솔,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In the shoes comprising the outsole, midsole, upper, 상기 미드솔은,The midsole, 후족부의 상부면 전체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설치단과;An installation end formed by recess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rear foot portion; 상기 설치단에 결합되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설치단의 아웃라인 형태로 제작되고, 이격공간을 가지는 쿠션과;A cushion coupled to the installation end and manufactured in an outline form of the installation en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 separation space; 상기 쿠션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과 소통되도록 상기 미드솔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와;A check val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dsole to communicate with a space formed by the cushion; 상기 쿠션이 설치단에 위치함에 따라 형성되는 이격공간과 이어지도록 상기 미드솔 상부면에 형성되는 공기이동홈;을 구비하며,And an air mov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space formed as the cushion is positioned at the installation end.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쿠션의 외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후족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outsole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partial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exposed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아웃솔, 미드솔,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In the shoes comprising the outsole, midsole, upper, 상기 미드솔은,The midsole, 후족부의 측면둘레에 좌우로 관통되게 연속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설치단과;An installation end formed to have a continuity so as to penetrate from side to side around the rear foot portion; 상기 설치단에 결합되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설치단의 아웃라인 형태로 제작되고, 이격공간을 가지는 쿠션과;A cushion coupled to the installation end and manufactured in an outline form of the installation en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 separation space; 상기 쿠션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과 소통되도록 상기 미드솔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와;A check val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dsole to communicate with a space formed by the cushion; 상기 쿠션이 설치단에 위치함에 따라 형성되는 이격공간과 이어지도록 상기 미드솔 상부면에 형성되는 공기이동홈;을 구비하며,And an air mov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space formed as the cushion is positioned at the installation end.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쿠션의 외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후족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And an outsole having a rear portion extending upward to partially contact and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exposed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쿠션은,The cushion is, U 자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Shoes characterized by having a U-shaped or doughnut form.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쿠션은,The cushion is,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Shoes characteriz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설치단은,The installation stage, 쿠션의 위치를 잡아주는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Sho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provided to hold the position of the cushion.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아웃솔은,The outsole is, 쿠션의 외면과 부분적으로 접촉되도록 후족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미드솔과 일체형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Foot is extended to the upper side so as to partiall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 with the midsole.
KR1020060083998A 2006-09-01 2006-09-01 Footwear KR100799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998A KR100799383B1 (en) 2006-09-01 2006-09-01 Footw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998A KR100799383B1 (en) 2006-09-01 2006-09-01 Footw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383B1 true KR100799383B1 (en) 2008-01-30

Family

ID=3921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998A KR100799383B1 (en) 2006-09-01 2006-09-01 Footw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38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139B1 (en) 2011-06-24 2011-12-05 배효용 Footwear sole
KR101251586B1 (en) 2011-01-18 2013-04-08 (주)알와이엔코리아 a sole having shock absorbing and distributing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992U (en) * 1988-02-23 1989-09-06 주식회사 동양고무 Shoe midsole
KR960036970A (en) * 1995-04-11 1996-11-19 임성조 Shoe Buffer / Air Circulator
JPH09299103A (en) * 1996-03-12 1997-11-25 Achilles Corp Air pump and check valve for ventilation in shoe
KR20050018906A (en) * 2005-01-27 2005-02-28 임성조 shoe for shock absorption and air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6992U (en) * 1988-02-23 1989-09-06 주식회사 동양고무 Shoe midsole
KR960036970A (en) * 1995-04-11 1996-11-19 임성조 Shoe Buffer / Air Circulator
JPH09299103A (en) * 1996-03-12 1997-11-25 Achilles Corp Air pump and check valve for ventilation in shoe
KR20050018906A (en) * 2005-01-27 2005-02-28 임성조 shoe for shock absorption and airing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86B1 (en) 2011-01-18 2013-04-08 (주)알와이엔코리아 a sole having shock absorbing and distributing function
KR101089139B1 (en) 2011-06-24 2011-12-05 배효용 Footwear s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1614B2 (en)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CN103025189B (en) There is the article of footwear of the footwear sole construction arranged with framework-chamber
US7627961B2 (en) Enhanced sole assembly with offset hole
US7200955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20180153264A1 (en) Ground-Engaging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US20070119076A1 (en) Enhanced unitary sole assembly
US20070240333A1 (en) Chassis for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footwear
US20070017123A1 (en) Insert for footwear midsole
US20190343227A1 (en) Sole structure and an article of footwear
KR100816534B1 (en) 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99383B1 (en) Footwear
US20120285048A1 (en) Breathing shoe
KR100902029B1 (en) Cushioning shoes and cushioning shoe insole
KR101099708B1 (en) Shoes of inserting the insert
KR20190013192A (en) Shoes
KR102398587B1 (en) Midsole for prefabricated shoes with vibrating means and air circulation structure
KR200440638Y1 (en) Shoes using midsole
WO2007089122A1 (en) A sole structure of footwear
KR200268101Y1 (en) An insertion for footwear
KR200404106Y1 (en) Footwear air a pump for a bad smell and a cushion combine
KR101539919B1 (en) Air ball for shoes
KR200365768Y1 (en) Air-circulation type foot comfort for shoes
KR20230149453A (en) Outsole with pressure distribution structure
KR200441763Y1 (en) Midsole of shoe for active walking
KR200401233Y1 (en) ventilation shoe-sol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b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