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534B1 - 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534B1
KR100816534B1 KR1020060139170A KR20060139170A KR100816534B1 KR 100816534 B1 KR100816534 B1 KR 100816534B1 KR 1020060139170 A KR1020060139170 A KR 1020060139170A KR 20060139170 A KR20060139170 A KR 20060139170A KR 100816534 B1 KR100816534 B1 KR 10081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exchange window
sole
last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91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82849A (en
Inventor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주)지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코일 filed Critical (주)지코일
Priority to KR102006013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534B1/en
Publication of KR2007008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8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5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7Sole and hee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교체가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교환창을 신발밑창에 형성시켜 사용자에게 유익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며, 상면에 함몰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신발밑창과; 바닥면이 상기 삽입홈과 같은 형태로 함몰되어 수용공간을 이루며, 상기 신발밑창과 결합되는 갑피와; 상기 수용공간에 끼워져 교체가 가능하게 되는 교환창과; 상기 교환창 상면에 설치되는 신발안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신발 제조에 적합하도록 제작되는 라스트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that can provide a beneficial advantage to a user by forming a replaceable and easily removable exchange window on a shoe sole, and having one or more inserts recessed i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hoe sole with a groove formed thereon; An upper surface of which the bottom surface is recessed in the same shape as the insertion groove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is coupled to the shoe sole; An exchange window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o enable replacement; It relates to a 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shoe insol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change window, and also relates to a last manufactured to be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shoe having such a structure.

신발, 교환창, 교체, 라스트, 걸음걸이교정 Shoe, exchange window, replacement, last, gait correction

Description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 및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 제조를 위한 라스트{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1은 종래기술1에 대한 부분사시도.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prior art 1;

도2는 종래기술2에 따른 신발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도3은 종래기술3에 따른 구두의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신발의 기본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asic form of a shoe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교환창의 구체적인 실시가능 형태를 보여주는 모식도.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exchange window.

도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구성도.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7은 절개부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incision.

도8은 교환창의 제1선택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election example of the exchange window;

도9는 교환창의 제2선택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selection of an exchange window;

도10은 라스트의 측면도.10 is a side view of the last;

도11은 또 다른 라스트의 측면도.11 is a side view of another last.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100 : 신발밑창 110 : 삽입홈100: sole 110: insert groove

120 : 결합홈 130 : 결합공120: coupling groove 130: coupling hole

200 : 갑피 210 : 바닥면200: upper 210: bottom surface

220 : 수용공간 230 : 절개부220: receiving space 230: incision

300 : 교환창 310 : 결합돌기300: exchange window 310: coupling protrusion

320 : 결합공돌기 400 : 라스트320: combined projection 400: last

410 : 결합면 420 : 바닥형성면410: bonding surface 420: floor forming surface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교체가 가능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교환창을 신발밑창에 형성시켜 사용자에게 유익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신발 제조에 적합하도록 제작되는 라스트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having a replaceable and easy-to-detach exchange window formed on a shoe sole to provide a user with a beneficial advantage, and also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shoe having such a structure. It's also about last built to be.

통상적인 신발은 아웃솔, 미드솔, 인솔 및 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아웃솔은 지면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주로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미끄럼을 방지하며 동시에 너무 쉽게 마모되지 않는다. 상기 아웃솔 상측에 미드솔이 결합되는데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며, 주로 E.V.A와 같은 소재로 제작된다. 미드솔 위에 갑피가 결합되며, 상기 갑피 내부 바닥면에 인솔이 설치된다.Conventional shoes include outsoles, midsoles, insoles and uppers, which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re primarily made of rubber-like material to prevent slipping and at the same time not to wear too easily. The midsole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sole to absorb a shock transmitted to the foot, and is main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E.V.A. An upper is coupled on the midsole, and an insole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upper.

이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는 신발에서도 보다 나은 기능과 착용감의 향상을 위해 다양한 신발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특수한 용도로 제공하기 위한 특수 목적화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Even in shoes having such a basic configuration, various shoe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for better functions and improvement of wearing comfort, and special purpose shoes for providing for special purposes are also widely used.

상기 구성요소 중에서도 미드솔은 충격흡수기능을 담당하므로 미드솔의 역할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미드솔의 손상은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미드솔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폴리우레탄 폼 및 이와 유사한 스펀지 폼(Sponge foam)과 같은 것으로 만들어지는데, 신발을 착용함에 따라 점차 미드솔의 기능은 저하되며 사용자의 걸음걸이나 지면의 상태 등에 따라 미드솔의 모양에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신발의 변형, 특히 미드솔의 변형은 사용자의 걸음걸이에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으며, 발, 다리, 무릎 또는 허리에 관련된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Among the above components, since the midsole plays a shock absorbing function, the role of the midsole is most important, and the damage of the midsole can cause many problems. The midsole is made of such as EVA (Ethylene vinyl acetate), polyurethane foam and similar sponge foam (Sponge foam), the function of the midsole gradually decreases as you wear shoes, depending on the user's steps or ground conditions Deformation may occur in the shape of the midsole. Such deformation of shoes, in particular of midsole, may adversely affect the user's gait and may cause diseases related to the feet, legs, knees or wai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종래기술로 미드솔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신발들이 제안된 바 있다.Shoes have been proposed to replace the midsole with the prior art presented as a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이하,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lated arts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미국특허번호 5,799,417호의 "리무블(removal) 인서트를 가지는 신발창"(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으며, 도1은 종래기술1에 대한 부분사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 뒷굽 부분이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되어 갑피와 탈부착되며, 그 사이에 미드솔로서 인서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즉, 이것은 뒷굽 부분에 대해서만 미드솔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고, 밑창을 갑피로 부터 분리하여 신발 외측에서 미드솔을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은 신발 외측으로 미드솔이 노출되게 설치되므로 갑피와 결합되는 아웃솔 뒷굽부분의 연결이 헐거워지면 미드솔이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장기간 사용하게 되 면 필연적으로 아웃솔, 미드솔 및 갑피에 변화가 생기므로 이러한 문제는 큰 결함이 아닐 수 없다.First, US Pat. No. 5,799,417, "Shoe sole with a removable inse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is known, Figure 1 show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prior art 1. As shown, the outsole heel portion is formed to be movable and detachable with the upper, and the technology to install the insert as a midsole therebetween. This means that the midsole can only be replaced for the heel, and the sole is removed from the upper and the midsole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shoe. Since the technology is installed so that the midsol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o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idsole can be separated if the connection of the outsole heel coupled with the upper becomes loose. Long-term use inevitably leads to changes in the outsole, midsole and upper, which is a major drawback.

또 하나의 것으로 미국특허번호 6,345,454호의 "리무블(removal) 솔(sole)을 가지는 신발"(이하, 종래기술2 라 한다)이 있으며, 도2는 종래기술2에 따른 신발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Another one is US Pat. No. 6,345,454, "Shoes with a Removal S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술은 아웃솔과 미드솔이 일체화된 완성창 자체를 신발의 갑피에 대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신발을 착용시 갑피와 완성창이 분리되지 않아야 하므로 그 결합오차가 매우 타이트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것은 제조원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다양하고 저렴하게 사용자의 구체적인 요구에 맞는 완성창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신발 자체의 구조나 형상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미드솔을 교환할 수 있는 신발의 필요성이 있었다.As shown, the technique is to be detachable to the shoe upper of the shoe sole integral with the outsole and the midsole is integrated, the upper and the finished window should not be separated when wearing the shoe so that the coupling error is very tightly managed Should be. This greatly affects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a finished window that meets the specific needs of users in a variety of inexpensively. That is, there was a need for a shoe that allows the user to freely change the midsole as needed without affecting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shoe itself.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421838호의 "구두"(이하, 종래기술3 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3은 종래기술3에 따른 구두의 분해사시도를 보여준다.A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Sho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3)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421838 is disclosed, Figure 3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그 구성을 보면, 바닥에 접하는 바닥면을 갖는 밑창과, 착용자의 발등을 덮도록 상기 밑창에 결합되는 갑피와, 상기 밑창의 상부에 놓이는 깔창을 포함하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밑창과 상기 깔창의 사이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쿠션이 개재되고, 상기 밑창의 상부면에는 상기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쿠션 수용홈이 구비되며, 상기 밑창의 바닥면 테두리 내측에는 상기 쿠션 수용홈 형성에 따른 상기 밑창의 두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융기되는 두께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the shoe comprising a sole having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 upper coupled to the sole so as to cover the foot of the wearer, and an insole placed on top of the sole, between the sole and the insole A cushion for shock absorption is interposed therei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ole is provided with a cushion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cushion, and a thickness reduction of the sole due to the cushion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bottom edge of the s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reinforcement is provi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compensate.

이 기술은 밑창의 상부면에 쿠션 수용홈을 두고 미드솔에 상응하는 쿠션을 상기 쿠션 수용홈에 내장시키고 갑피를 결합하는 것인데, 한번 결합이 되면 분리하여 교체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This technique is to put a cushion receiv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and to incorporate a cushion corresponding to the midsole in the cushion receiving groove and to combine the upper, which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separated and replaced once combin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성된 신발에 변형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미드솔 개념의 부재를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신체특성에 적합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shoe suitabl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to be able to replace the installation of the various midsole concept without modifying the finished shoe. .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신발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라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last suitable for providing such shoe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신발에 있어서, 상면에 함몰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신발밑창과; 바닥면이 상기 삽입홈과 같은 형태로 함몰되어 수용공간을 이루며, 상기 신발밑창과 결합되는 갑피와; 상기 수용공간에 끼워져 교체가 가능하게 되는 교환창과; 상기 교환창 상면에 설치되는 신발안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shoe, one or more shoe soles are formed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An upper surface of which the bottom surface is recessed in the same shape as the insertion groove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is coupled to the shoe sole; An exchange window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o enable replacement; It relates to a 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shoe insol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change window.

또한, 본 발명은 상면에 함몰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신발밑창과; 편평한 바닥면을 갖추어 신발밑창과 결합되되,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삽 입홈에 이를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는 갑피와; 상기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홈에 설치되는 교환창과; 상기 바닥면 상측으로 설치되는 신발안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sole formed with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An upper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coupled to the sole of the shoe, the upper surface having an incis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reach the insertion groove; An exchange window installed in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the cutout; It also relates to a 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shoe insol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절개부는 지퍼나 끈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cision relates to a 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or a strap.

또한, 상기 교환창은 사용자의 걸음걸이 특성에 따라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다수의 이질영역을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xchange window relates to a 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areas having different hardness according to the user's gait characteristics.

또한, 상기 신발밑창은 삽입홈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교환창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hoe so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provided on the edge of the insertion groove, the edge of the exchange window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will be.

또한, 상기 신발밑창은 삽입홈의 벽면에 외측면까지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교환창의 측면둘레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는 결합공돌기가 마련되어 상호 구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hoe sole has a coupling hole penetrated to the outer surface on the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exchange window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to be constrained mutually. It relates to a 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그리고 본 발명은 신발밑창에 갑피를 결합하여 신발형태로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신발 라스트에 있어서, 중족부 부근에서 결합면을 이루어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며, 하부면에는 돌출된 바닥형성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 제조를 위한 라스트에 관한 것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oe last used to assemble the upper shoe to the shoe sole to assemble in the form of a shoe, which is separated into two parts to form a coupling surface in the vicinity of the midfoot,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bottom forming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t for manufacturing a 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것인 바,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도출된 하나의 실시가능한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 자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단순한 구조적 변경이나 균등적인 요소로의 치환과 같은 수준의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various drawing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protec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one possible form derived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modifications at the same level as simple structural changes or equivalent ele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이하, 신발이라 한다)에 대해 설명하며, 도4는 제1실시예로서 상기 신발의 기본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에 해당된다.First, a sho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ure 4 corresponds to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asic form of the shoe as the first embodiment.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신발은 신발밑창(100), 갑피(200), 교환창(300) 및 신발안창(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발밑창(100)은 저면에 아웃솔(미도시)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면에는 함몰된 삽입홈(110)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홈(110)은 전족부에서 후족부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진 하나의 것일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the shoe comprises a shoe sole 100, an upper 200, an exchange window 300, and a shoe insole 500. The shoe sole 100 has an outsole (not shown)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recessed insertion groove 110. The insertion groove 110 may be one continuously connected from the forefoot to the forefoot, or two or more may be formed in a separated form.

상기 신발밑창(100)의 상측으로 갑피(200)가 위치되어 상호 접착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갑피(200)를 구성하는 바닥면(210)이 상기 삽입홈(110)에 대응되는 형태로 함몰되어 수용공간(220)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신발밑창(100)에 마련되는 삽입홈(110)에 갑피(200)의 바닥면(21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20)이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upper 200 is positioned and bo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shoe sole 100,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210 constituting the upper 200 i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10. Thus, the receiving space 220 is formed. That is, the coupling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receiving space 22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upper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provided in the shoe sole 100.

한편, 상기 갑피(20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20)에는 교환창(300)이 설치되며, 상기 교환창(300)은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용공간(220)은 갑피(200)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교환창(300)을 끼웠다 뺄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Meanwhile, the exchange window 300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20 formed in the upper 200, and the exchange window 300 may be freely replaced. The accommodation space 22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upper 200,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hereby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eplacement window 30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상기 수용공간(220)에 교환창(300)을 설치한 후에는 신발안창(500)을 교환창(300) 상면에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안창은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에 사용되는 인솔(insole) 개념의 것을 의미한다.After installing the exchange window 300 in the accommodation space 220, it is preferable to place the shoe insole 5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change window (300). The shoe insole generally means that of an insole concept used in sneakers and the like.

교체가 가능한 교환창(300)이 갑피(200)의 수용공간(220)에 설치되어 신발밑창(100)과 결합되면 미드솔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교환창(300)을 다양한 재질 및 부분적으로 경도가 다르게 제작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된 소재를 연결하여 교환창(300)을 만들 수 있으며, 발포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이종 재질을 발포하여 일체를 이루는 교환창을 성형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가능한 방법으로는 교환창(300)을 내부가 빈 튜브형으로 제작하고, 독립된 각 방마다 상이한 물질을 넣어 경도가 달리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Replaceable exchange window 30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220 of the upper 200 and when combined with the shoe sole 100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midsole, the exchange window 300 in a variety of materials and partial As the hardness can be made differently provided to the consumer. That is, the exchange window 300 can be made by connecting a material made of a material such as sponge having different hardness, and when foaming is produc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 exchange window to form an integral body by foaming different materials at the same time. As another possible method, the exchange window 300 may be manufactur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may have different hardness by putting different materials in separate rooms.

첨부되는 도5는 상기 교환창의 구체적인 실시가능형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에 해당된다. 도5의 교환창은 걸음걸이가 잘못된 사람의 걸음걸이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된 교환창이며, (a)는 회내형 걸음걸이의 경우에 해당되고, (b)는 회외형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exchange window. 5 is an exchange window configured to assist in correcting the gait of the wrong person by walking, (a) corresponds to the case of the internal gait, and (b) has the external gait It can be applied to people.

회내형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의 경우에는 신발 착용시 상대적으로 내측쪽으 로 힘이 많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환창(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 쪽에 경도가 높은 재질의 소재를 배치하고 외측쪽에 경도가 낮은 재질을 배치하도록 한다. 크게 3종의 이질 경도를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S 는 경도가 가장 낮은 것이고, M 은 중간정도, H 는 경도가 가장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전족부 전방측에는 M 소재를 사용하였고, 그 이후에는 S 와 H 를 주 소재로 하고 M 소재를 후족부 외측 말단부에 배치하였다. 즉, 전체적으로 힘이 많이 분포되는 내측방향에 H 소재를 주로 배치하였고 S 와 M 소재는 적절히 혼합하여 배치한 구조를 갖도록 하면 된다.In the case of a person with an inner gait, a lot of force acts inward when the shoe is worn. Therefore, the exchange window 300 is to place a material of a high hardness material in the inner direction as shown and to place a material of low hardness on the outer side. Largely three kinds of materials having heterogeneous hardness were used, S is the lowest hardness, M is the middle, H means the highest hardness. M material was used for the forefoot anterior side, after which S and H were the main material and M material was placed at the outer end of the forefoot. That is, the H material is mainly disposed in the inner direction where the force is widely distributed as a whole, and the S and M materials may be properly mixed and arranged.

회외형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의 경우에는 (b)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힘이 많이 분포되므로 외측에 H 소재를 주로 사용하고 내측에는 S 소재를 주로 사용하는 조합을 갖도록 한다.In the case of a person having an external gait, as shown in (b), since a lot of force is distribut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H material is mainly used on the outside and the S material is mainly used on the inside.

상술한 교환창의 구체적 예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것이며, 이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교환창을 제공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exchange window has been proposed for the purpose of gait correction, as well as it can provide various types of exchange window suitable for the user's body characteristics.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은 도6에 도시된 신발의 구성도와 같다.The shoe provided with the exchange windo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shown in FIG.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신발밑창(100), 갑피(200), 교환창(300) 및 신발안창(500)을 포함하게 되며, 상기 신발밑창(100)의 상면에는 함몰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삽입홈(110)이 마련된다. 상기 신발밑창(100)의 상부에 갑피(200)가 결합되 어 신발의 형태를 갖추게 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갑피(200)의 바닥면(210)이 편평하게 이루어지고, 편평한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230)가 마련된다. 상기 신발밑창(100)에 갑피(200)가 결합되면 상기 바닥면(210)이 삽입홈(110)의 상부를 덮게 되며, 따라서 갑피(200)와 신발밑창(100)의 결합면 사이의 삽입홈(110)은 빈 공간부를 이루게 된다.The main components include a shoe sole 100, upper 200, exchange window 300 and the shoe insole 500, one or two or more insertion grooves 110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100. ) Is provided. The upper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sole 100 to form a sho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upper 200 is flat. It is made, the incision 230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lat bottom surface. When the upper 200 is coupled to the shoe sole 100, the bottom surface 210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thus an insertion groove between the upper surface 200 an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hoe sole 100 is provided. 110 forms an empty space part.

신발밑창(100)과 갑피(20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빈 공간부에는 교환창(3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절개부(230)를 통해서 교환창(300)을 삽입홈(110)에 끼워 넣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밑창(100)에 분리된 2개의 삽입홈(110)을 두도록 하였고, 그 각각의 삽입홈(110)에 교환창(300)을 하나씩 설치하도록 하였다.An exchange window 300 is installed in the empty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hoe sole 100 and the upper 200, and the exchange window 3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through the cutout 230. To do that. In this embodiment, two insertion grooves 110 separated from the shoe sole 100 are to be placed, and each of the insertion grooves 110 is provided with one replacement window 300.

그리고 상기 갑피(200)의 바닥면 상측에는 통상적인 신발안창(500)을 두어 완성된 신발을 구성하도록 한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00 to place a conventional shoe insole 500 to configure the finished shoe.

상기 갑피(200)의 바닥면(210)에 마련되는 절개부(23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7과 같이 절개부를 지퍼로 하거나 끈으로 묶어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교환창을 설치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퍼를 열어 절개부를 오픈 후 교환창을 설치하고, 다시 지퍼를 닫도록 한다.In configuring the cutout 23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upper 200,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7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cutout with a zipper or a strap. If you want to install or replace the exchange window, open the incision by opening the zipper, install the exchange window, and close the zipper again.

한편, 도8은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교환창의 제1선택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에 해당된다.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election example of the exchange window applicable to this embodiment.

기본적으로 상기 교환창(300)은 신발밑창(100) 상면에 형성되는 삽입홈(110)에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교환창(300)을 보다 견고히 설치하기 위해서 신발밑창(100)에 마련되는 삽입홈(110)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홈(120)을 두도록 하며, 상기 삽입홈(110)에 결합될 교환창(30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홈(120)에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돌기(310)를 두어 결합시키도록 한다.Basically, the exchange window 300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100, the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shoe sole 100 in order to install the exchange window 300 more firmly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0 to be placed at the edge of the 110,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120 at the edge of the exchange window 300 to be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110). To be combined.

도9는 상기 교환창의 제2선택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10)의 벽면에 신발밑창(100) 외측면까지 관통되는 다수개의 결합공(130)을 형성시키도록 하며, 이에 대응하여 교환창(300)의 가장자리 측면 둘레에는 결합공돌기(320)를 두어 상호간에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replacement window, as shown, to form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30 through the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11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100 Correspondingly, a coupling protrusion 320 is placed around the edge side of the exchange window 300 to be constrained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결합홈과 결합돌기 그리고 결합공과 결합공돌기의 조합에 의한 교환창과 신발밑창의 결합구조는 손쉽게 교환창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의 신체특성에 알맞는 다양한 교환창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xchange window and the shoe sole by the combination of the coupling groove,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replacement of the replacement window easily, and the selection of various exchange windows suitabl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do.

본 제2실시예에서도 상기 교환창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종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도를 가지는 교환창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exchange window may be configured as an exchange window having various hardness using materials of different material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은 교환창(300)이 구비되는 신발은 미드솔 개념에 상당하는 교환창(300)을 신발밑창(100)과 갑피(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발에 있어서 상기 교환창(300)은 소비자의 신체특성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제작하여 쉽게 교체가 가능하므로 특수한 기능을 갖춘 신발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한다.The shoe provided with the exchange window 300 as described above, the exchange window 300 corresponding to the midsole concept can be easily installed or replac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hoe sole 100 and the upper 200 are coupled. And in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hange window 300 is made in the form most suitabl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can be easily replac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high value added shoes with a special function.

이하에서는 상술한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라스트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라스트라 함은 신발 조립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발 모양을 갖춘 삽입물을 의미하며,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된다.Hereinafter, the last suitable for manufacturing the shoe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exchange window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the last term refers to an insert having a foot shape, which is essential for shoe assembly, and is manufactured using synthetic resin.

일반적인 라스트는 하나의 단체가 한쪽 발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특히 라스 트의 하면부는 편평한 면을 이루게 된다. 라스트의 모양이 편평한 것은 일반적인 신발 조립에서는 신발밑창의 상면이 대체로 편평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상기 라스트를 갑피에 삽입한 후 신발밑창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키면 하나의 완성된 신발이 만들어진다.In general last, a single body has a shape of one foot, and in particular, the lower surface of the last has a flat surface. The last shape is flat because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is generally flat in general shoe assembly. The last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then bond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to the sole of the shoe to create a finished shoe.

첨부되는 도10은 상술한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라스트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에 해당된다.10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last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hoe provided with the exchange window described above.

상기 라스트(400)는 기본적으로 중족부 부근에서 2개로 분리되며, 결합면(410)을 이용하여 분리된 2개가 상호 긴밀하게 맞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환창(300)이 구비되는 신발은 신발밑창(100)에 함몰된 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갑피(200) 바닥면에도 상기 삽입홈(110)과 같은 형태로 함몰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발밑창(100)과 갑피(200)를 접착하기 위해서 상기 라스트(400)의 하부면에 상기 삽입홈(110)과 같은 형태로 돌출되는 바닥형성면(420)을 두도록 한다.The last 400 is basically separated into two in the vicinity of the middle foot portion, the two separated using the coupling surface 41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shoe provided with the exchange window 300 has an insertion groove 110 recessed in the shoe sole 100, and correspon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200 is recessed in the same shape as the insertion groove 110. It is done. Therefore, in order to bond the shoe sole 100 and the upper 200, the bottom forming surface 420 protruding in the same shape as the insertion groove 110 is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ast 400.

상기와 같은 라스트(400)를 이용하여 교환창(300)이 구비되는 신발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신발을 이루는 구성요소인 신발밑창(100), 갑피(200), 교환창(300) 등을 제작하며, 갑피(200) 내부로 라스트(400)를 삽입시켜 상기 바닥형성면(420)이 갑피(200)의 바닥면(210)에 밀착되게 한다. 이때 분리된 라스트는 전방측 라스트를 먼저 갑피 내부로 밀어넣고 이어서 후방측 라스트를 넣어 결합면이 일치되게 하면 된다. 갑피(200)에 라스트(400)를 설치한 후에는 신발밑창(100) 상면에 라스트(400)가 결합된 갑피(200)를 맞추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 시키도록 한다. 신발밑창(100)과 갑피(200)가 완전히 결합되면 라스트(400)를 제거하면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되는 라스트는 갑피로부터 라스트를 분리할 시에 적은 힘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신발밑창과 갑피의 결합상태를 해치지 않게 되는 장점을 부여한다.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hoe provided with the exchange window 300 using the last 400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A shoe sole 100, an upper 200, an exchange window 300, etc., which constitutes a shoe, is manufactured, and the bottom forming surface 420 is upper by inserting a last 400 into the upper 20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200. In this case, the separated last may push the front last into the upper first and then put the rear last to match the mating surface. After the last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200, the upper 200 is fitted to the upper surface 200 of the shoe sole 100 so as to be fixed by using an adhesive. When the shoe sole 100 and the upper 200 are completely coupled, the last 400 may be removed. In particular, the last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eparated with a small force when separating the last from the upper gives the advantage that does not harm the state of the shoe sole and upper.

상기 라스트의 경우 신발밑창에 하나의 삽입홈이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신발밑창에 삽입홈이 분리된 상태로 2개 구비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즉, 라스트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바닥형성면을 삽입홈의 위치에 맞게 돌출시키면 된다.In the case of the las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one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in the shoe sole, it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case in which two insertion grooves in the shoe sole are separated. That is, the bottom forming surfac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ast may be proj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다음으로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조립에 사용되는 라스트에 관해 설명하며, 도11은 이에 따른 라스트의 측면도에 해당된다.Next, the last used for assembling the sho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hoe provided with the exchange window will be described, and FIG. 11 corresponds to the side view of the last.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신발은 갑피(200)의 바닥면(210)이 편평하여 신발밑창(100)과의 결합시에 신발밑창의 삽입홈(110)은 갑피(200) 바닥면(21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의 조립을 위해서 라스트(400)를 중족부 부근에서 결합면(410)을 이용하여 2개로 분리되는 것으로 하되, 라스트의 하부면은 편평한 형태를 가진다. 한편, 상기 삽입홈(110)을 채우기 위해서 별도의 보조라스트(430)를 이용하며, 상기 보조라스트는 삽입홈의 형상과 동일하여 삽입홈을 채울 수 있는 것이면 된다.The sho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hoe provided with the exchange window is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upper 200 is flat when the insertion groove 110 of the shoe sole when combined with the shoe sole 100 is upper 200 It is blocked by the bottom surface (210). In order to assemble the sho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last 400 is to be separated into two using the coupling surface 410 near the midfoot, but the lower surface of the last has a flat shape. Meanwhile, a separate auxiliary last 430 is used to fill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the auxiliary last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so as to fill the insertion groove.

구체적인 과정을 보면, 삽입홈(100)이 두개 형성된 신발밑창(100)을 준비하고 상기 삽입홈(100)에는 보조 라스트(430)를 하나씩 결합시킨다. 이어서 분리된 라스트(400)를 갑피(200)에 삽입시키며, 이때 갑피(200) 바닥면(210)은 편평한 형 태를 이룬다. 라스트(400)가 삽입된 갑피(200)를 신발밑창(100) 상면에 맞추어 적당한 부위에 접착제를 발라 고정시키게 된다. 완전하게 고정이 이루어지면 라스트(400)를 갑피(200)로부터 분리해내고, 갑피 바닥면(210)에 형성된 절개부(지퍼)(230)를 열어 삽입홈(110)에 끼워진 보조 라스트를 제거한 후 교환창(300)을 설치하면 된다.Looking at the specific process, preparing the shoe sole 100 is formed with two insertion grooves 100 and combine the auxiliary last 430 to the insertion groove 100 one by one. Then, the separated last 4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200, wherein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upper 200 forms a flat shape. The upper 200 to which the last 400 is inserted is fixed to the appropriate area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100. After the fixing is completely completed, the last 40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200, and the incision (zipper) 230 formed at the upper bottom 210 is opened to remove the auxiliary last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10. The exchange window 300 may be install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미드솔에 상당하는 교환창을 자유롭고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교환창의 수명이 다 된 경우에 상기 교환창만을 교체하여 착용이 가능하므로 자원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와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exchange window corresponding to the midsole freely and simply freely when the life of the replacement window can be replaced by replacing only the replacement window can minimize the waste of resources The effect and the economic burden on the consumer can also be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의 교환창은 소비자의 신체특성에 맞게 제작이 가능하므로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특수 신발이나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특수화에 적용될 수 있어 기능성이 높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진다.And since the exchange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onsumer's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special shoes for the purpose of gait correction or disease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shoe with high functionality and high added value It also has the effect.

Claims (7)

삭제delete 신발에 있어서,In shoes, 상면에 함몰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신발밑창과;A shoe sole formed with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recessed in an upper surface thereof; 편평한 바닥면을 갖추어 신발밑창과 결합되되,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이를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는 갑피와;An upper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coupled to the sole of the shoe, wherein the upper surface has an incis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reach the insertion groove; 상기 절개부를 통해서 삽입홈에 설치되는 교환창과;An exchange window installed in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the cutout; 상기 바닥면 상측으로 설치되는 신발안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절개부는,The cut portion, 지퍼나 끈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a zipper or strap.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상기 교환창은,The exchange window, 사용자의 걸음걸이 특성에 따라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다수의 이질영역을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Shoes having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areas having different hardness according to the user's gait characteristics.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신발밑창은,The shoe sole, 삽입홈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교환창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Shoes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insertion groove, the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exchange window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신발밑창은,The shoe sole, 삽입홈의 벽면에 외측면까지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교환창의 측면둘레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는 결합공돌기가 마련되어 상호 구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Shoe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penetrat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exchange window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to be constrained to each other. 신발밑창에 갑피를 결합하여 신발형태로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신발 라스트에 있어서,In the shoe last used to assemble the shoe form by combining the upper to the shoe sole, 중족부 부근에서 결합면을 이루어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며, 하부면에는 돌출된 바닥형성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 제조를 위한 라스트.Last for the shoe manufacturing is provided with an exchang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surfac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midfoot portion is separated into two parts,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bottom forming surface.
KR1020060139170A 2006-02-18 2006-12-30 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16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170A KR100816534B1 (en) 2006-02-18 2006-12-30 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564 2006-02-18
WOPCT/KR2006/000564 2006-02-18
KR1020060139170A KR100816534B1 (en) 2006-02-18 2006-12-30 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849A KR20070082849A (en) 2007-08-22
KR100816534B1 true KR100816534B1 (en) 2008-03-25

Family

ID=3861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9170A KR100816534B1 (en) 2006-02-18 2006-12-30 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53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09B1 (en) 2008-09-24 2009-07-31 주식회사 월드프리모 The men's shoe sole relieving shock during walking
KR101216763B1 (en) 2010-09-30 2012-12-28 장명계 Shoes for heal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58B1 (en) * 2008-08-08 2009-03-19 (주)티오엠 Funtional sole of shoe
KR101230631B1 (en) * 2010-12-06 2013-02-06 주식회사위너테크 Slipper for forming footprints
KR101442162B1 (en) * 2014-06-16 2014-09-18 주식회사 엘에프 Shoe sole with multiple hardn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6127U (en) * 1971-05-18 1978-08-25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6127U (en) * 1971-05-18 1978-08-2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09B1 (en) 2008-09-24 2009-07-31 주식회사 월드프리모 The men's shoe sole relieving shock during walking
KR101216763B1 (en) 2010-09-30 2012-12-28 장명계 Shoes for heal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849A (en)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3715C (en)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US6023857A (en) Shoe with removable midsole
CA2569894C (en) Footwear with multi-piece midsole
US10681955B2 (en) Interchangeable sole system
US20070240333A1 (en) Chassis for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footwear
US20140317960A1 (en) Footwear with separable upper and sole structure
BR112015006329B1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item
WO2006125182A2 (en) Footwear with a shank system
CN112075720A (en) Shock-absorbing sole assembly for footwear
JP2008178687A (en) Modular shoe construction
US20100186263A1 (en) Structure of shoes uppers, a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and a structure of shoes
JP2000296002A (en) Shoes and their production method
KR100816534B1 (en) Shoe with a replaceble sole and the la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018891A (en) Shoe construction
KR20150000306U (en) With improved breathability and waterproof footwear
WO2022271460A1 (en) Footbeds with improved cushioning, stability and comfort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140104210A (en) Shoe sole for shock absorp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2079646A1 (en) Multi-layered sole for heeled footwear
US6408544B1 (en) Flex sole
KR102173221B1 (en) Insole integrated shoe manufacturing method
US761416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KR100799383B1 (en) Footwear
KR101099708B1 (en) Shoes of inserting the insert
KR20090006030U (en) Shoe insole
WO2020010462A1 (en) Cushioned sole for heeled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