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374B1 -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 Google Patents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374B1
KR100799374B1 KR1020060072106A KR20060072106A KR100799374B1 KR 100799374 B1 KR100799374 B1 KR 100799374B1 KR 1020060072106 A KR1020060072106 A KR 1020060072106A KR 20060072106 A KR20060072106 A KR 20060072106A KR 100799374 B1 KR100799374 B1 KR 10079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guide
ancient
hair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경 채
Original Assignee
한 경 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경 채 filed Critical 한 경 채
Priority to KR102006007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52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adapted for heating by an external heating source, e.g. air strea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 형태의 유도부(112)을 구비한 몸체(111)를 형성하고 몸체(111)의 선단부 저면에 고정빗살(118)을 형성시킨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유도부(112)의 후단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121)을 형성하고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수단(122)을 형성한 드라이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부 저면으로 열전도빗살(131)을 돌출 형성하고, 열전도빗살(131)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132)을 형성한 고대기부(130)와, 상기 고대기부(130)의 가열수단(132)을 지지하고 열전도빗살(131)이 관통된 가이드(143)를 형성하고 고정빗살(118)에 밀착시키는 레버(141)를 형성한 조작부(140)및, 상기 몸체부(110)의 몸체(111) 상면에 히팅수단(122)의 온도를 조절하는 드라이스위치(151), 가열수단(132)의 가열 온도를 조절하는 고대기스위치(152)를 형성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 드라이부, 고대기부, 조작부, 히팅수단, 고정빗살, 열전도빗살,

Description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Hair drier Comb with hair-iron}
도 1 은 일반적인 헤어드라기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2 는 일 반적인 고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이 드라이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의 고대기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의 조작부를 다른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7 는 도 4 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헤어드라이 빗 110: 몸체부
111: 몸체 112: 유도부
113: 가이드돌기 114: 파지면
115: 고대면 116: 흡입공
117: 배출공 118: 고정빗살
119: 경사면 119a: 삽입공
120: 드라이부 121: 송풍수단
122: 히팅수단 130: 고대기부
131: 열전도빗살 132: 가열수단
140: 조작부 141: 레버
142: 힌지축 143: 가이드
144: 가이드홈 145: 밀착구
146: 탄성부재 147: 구동모터
148: 구동캠 149: 조작스위치
150: 제어부 151: 드라이스위치
152: 고대기스위치 153: 표시창
본 발명은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기는 머리를 감은 후 젖은 모발을 신속하게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헤어드라이기 계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헤어드라이기(1)는 앞 부분에 토출구(10a)가 형성되고 뒷부분에 흡입그릴(10b)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며 흡입그릴(10b) 측에 배치된 송풍팬(12)과, 상기 송풍팬(12)의 작동을 위한 구동모터(14)와, 케이스(10)의 토출구(10a) 측에 내장되는 히터코일(1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일단에는 손잡이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01)에는 구동모터(14) 및 히터코일(16)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조작스위치(18)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헤어드라이기에 의하면, 구동모터(14)의 작동으로 회전되는 송풍팬(12)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그릴(10b)을 통해 케이스(10) 내로 흡입되고, 흡입된 외부공기가 히터코일(16)을 거치면서 가열된 다음, 토출구(10a)로 토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어드라이기의 토출구(10a)에서 토출되는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젖은 모발을 자연상태에서보다 신속하게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헤어드라이기(1)를 이용하여 머리를 피거나 롤링을 해야 할 경우 원형 브러시 빗에 머리를 감고 감긴 헤어를 헤어드라이기(1)의 토출구(10a) 측에 대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헤어드라이기(1)을 이용하여 롤링과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브러시 빗이 필요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롤링 모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고대기(2)를 이용하여 헤어를 롤링(rolling) 또는 스트레이트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고대기(2)는 전방에 열선이 내장된 발열판(22)을 구비한 가압부재(21)를 대향 되게 형성하여 발열판(22) 사이에 헤어를 위치시킨 뒤 상기와 같은 롤링 스트레이트 작업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헤어드라이 작업과, 고대기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드라이기와 고대기를 병행하면서 함께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드라이기와 고대기를 병행하면서 사용해야하므로 드라이 및 고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드라이기 와 고대기를 구입해야하므로 구입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목적은 몸체에 빗살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빗질을 하면서 내부에서 외부로 온풍 바람이 배출되도록 하여 헤어를 건조 시킬 수 있는 드라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등간격으로 형성된 빗살중 일측의 빗살에서 열을 발산하고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여 타측의 고정빗살에 밀착되도록 하여 헤어를 롤링, 스트레이트를 하는 고대기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헤어 손질을 할 수 있는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을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은 내부에 공간 형태의 유도부을 구비한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의 선단부 저면에 고정빗살을 형성시킨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유도부 후단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을 형성하고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수단을 형성한 드라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 저면에 열전도빗살을 돌출 형성하고, 열전도빗살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을 형성한 고대기부와, 상기 고대기부의 열전도빗살을 고정빗살에 밀착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몸체부의 몸체 상면에 히팅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드라이스위치, 가열수단의 가열 온도를 조절하는 고대기스위치를 형성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이 드라이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의 고대기 사용상태를 나 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의 조작부를 다른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는 도 4 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100)은 공간 형태의 유도부(112)을 내부에 구비한 몸체(111)를 형성하고, 몸체(111)의 선단부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빗살(118)을 복수 형성하며, 고정빗살(118)과 근접되어 유도부(112)로 복수 관통시킨 장공형태의 배출공(117)을 형성하고, 몸체(111)의 후단부에 흡입공(116)을 복수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유도부(112) 후단부의 흡입공(116)에 근접되어 외부 공기를 유도부(112) 측으로 흡입하는 송풍수단(121)을 형성하고, 흡입된 공기를 히팅하는 히팅수단(122)을 복수 형성한 드라이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유도부(112) 선단부에 가열수단(132)을 형성하고, 가열수단(132)에 결합되어 배출공(117)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시킨 열전도빗살(131)을 형성한 고대기부(130)와; 상기 고대기부(130)의 가열수단(132)을 지지하면서 열전도빗살(131)이 관통된 가이드(143)를 형성하고, 가이드(143)의 후단부에 외향으로 돌출시킨 밀착구(145)를 형성하며, 몸체부(110)의 유도부(112)로 일측이 삽입되어 밀착구(145)에 선단부가 밀착되어 힌지축(142)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레버(141)를 형성한 조작부(140)및;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측으로 히팅수단(122)의 히팅온도를 제어하는 드라이스위치(151)를 형성하고, 드라이스위치(151)와 근접되어 가열수단(132)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고대기스위치(152)를 형성하며 히팅온도와 가열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창(153)을 형성한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에 공간형태의 유도부(112)을 구비한 몸체(111)를 구성한다.
여기서, 몸체(111)의 후단부에 몸체(111)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면(114)을 형성하고 선단부를 파지면(114) 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시켜 헤어를 롤링, 스트레이트를 할 수 있는 고대면(115)을 형성하며, 고대면(115)의 내부 유도부(112)의 내주면에 중앙을 향해 대향되게 돌출된 가이드돌기(113)을 형성한다.
나아가, 몸체(111)의 파지면(114) 일측면에는 유도부(112)로 관통되어 외부공가 유도부(112)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공형태의 흡입공(116)을 복수 형성하며, 몸체(111)의 고대면(115)에 유도부(112)로 관통되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장방형 형태의 배출공(117)을 복수 형성한다.
더불어, 고대면(115)에는 고정빗살(118)을 하측방으로 돌출되게 복수 형성하며, 고정빗살(118)은 대략 얇은 두께로 형성된 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파지면(114)과 고대면(115)을 경사면(119)으로 연결하되, 경사면(119)의 중앙에는 유도부(112)로 관통시킨 삽입공(119a)을 형성한다.
상기, 드라이부(120)는 유도부(112)로 공기를 흡입 시키는 송풍수단(121)과, 유입된 공기를 히팅하는 히팅수단(122)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송풍수단(121)은 파지면(114)의 유도부(112)에 삽입 형성되며 송풍수단(121)을 흡입공(116)과 근접되게 하여 송풍수단(121)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공(116)을 통하여 흡입되면서 유도부(112)로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송풍수단(121)의 전방으로 히팅수단(122)을 복수 형성하여 유도부(112)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헤어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히팅수단(122)의 히팅온도를 단계별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대기부(130)는 열이 발생되는 가열수단(132)과, 상기 가열수단(132)의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빗살(131)로 구성한다.
여기서, 가열수단(132)은 몸체부(110)의 고대면(115) 내부 유도부(112)에 형성되며, 가열수단(132)에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된 열전도빗살(131)을 결합 형성한다.
나아가, 열전도빗살(131)이 몸체부(110)의 배출공(117)으로 돌출 되어 고정빗살(118)에 대향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조작부(140)는 고대기부(130)를 안착시켜 전, 후 이송하는 가이드(143)와, 가이드(143)를 조작하는 레버(141)로 구성한다.
여기서, 가이드(143)의 양측에는 유도부(112)의 가이드돌기(113)에 삽입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44)를 형성하고, 가이드(143)의 상단부에 가열수단(132)을 안착시켜 열전도빗살(131)을 관통시켜 배출공(117)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나아가, 가이드(143)의 후단부 끝단에 외향 되게 돌출된 밀착구(145)를 경사면(119)에 근접되도록 형성한다.
더불어, 가이드(143)의 선단부에는 유도부(1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가이드(143)를 경사면(119) 측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46)를 더 형성한다.
아울러, 가이드(143)를 조작하는 레버(141)의 선단부를 삽입공(119a)으로 삽입시켜 가이드(143)의 밀착구(145)에 밀착되도록 하며 레버(141)의 후단부를 몸체(111)의 파지면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레버(141)는 삽입공(119a)에 힌지축(142)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밀착구(145)와 근접되게 편심된 구동캠(148)을 구비한 구동모터(147)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구동캠(148)의 외주면이 밀착구(145)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111)의 파지면(114) 저면에는 구동모터(147)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149)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47)는 조작스위치(147)의 조작으로 반 회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50)는 드라이부(120)의 히팅온도를 조절하는 드라이스위치(151)와, 고대기부(130)의 가열 온도를 조절하는 고대기스위치(152)로 구성한다.
여기서, 드라이스위치(151)는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121)에 연결되어 공기 흡입량을 조절하면서, 히팅수단(122)에 연결되어 히팅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대기스위치(152)는 고대기부(130)의 가열수단(132)에 연결되어 가열수단(132)의 발열온도를 제어 한다.
아울러, 드라이스위치(151)와, 고대기스위치(152)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어를 건조하는 드라이로 사용할 경우 가이드(143)의 선단부에 형성된 탄성부재(146)에 의해 고정빗살(118)과 열전도빗살(131)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레버(141)의 후단부는 몸체(111)의 파지면(114)과 이격되어 힌지축(142)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50)의 드라이스위치(151)를 조작하게 되면 히팅수단(122)에서 드라이스위치(151)의 설정에 따라 히팅온도가 변화되며 이와 동시에 송풍수단(121)이 작동하여 흡입공(116)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도부(112)로 유입된다.
이렇게, 외부 공기가 유도부(112)로 유입되면서 히팅수단(122)을 통과하면서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공기는 고대면(115)의 유도부(112)로 유도되면서 배출공(11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50)의 표시창(153)을 통하여 히팅수단(122)의 발열 온도를 확인 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배출공(117)으로 히팅된 바람이 배출되어 헤어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고정빗살(118)과 열전도빗살(131)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빗질 또한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헤어를 롤링하거나 스트레이트를 하는 고대기로 사용할 경우 제어 부(150)의 고대기스위치(152)를 조작하여 가열수단(132)을 가열하며, 이때 가열수단(132)이 가열되면 가열된 열이 열전도빗살(131)에 전도되어 가열된다.
이때, 제어부(150)의 표시창(153)을 통하여 가열수단(132)의 발열 온도를 확인 할 수 있게된다.
이렇게 열전도빗살(131)이 가열되면 몸체부(110)의 고정빗살(118)과 열전도빗살(131)의 사이에 헤어를 위치시킨다음 레버(141)의 후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파지면(114)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141)를 가압하게 되면 힌지축(142)을 중심으로 레버(141)가 회동되면서 레버(141)의 선단부가 하측방으로 회동되면서 가이드의 밀착구(145)에 밀착되어 가이드(143)가 가이드돌기(1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탄성부재(146)가 압축된다.
이때, 열전도빗살(131)이 고정빗살(118)에 밀착되면서 헤어를 롤링하거나 스트레이트를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레버(141)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46)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가이드(143)의 밀착구(145)가 레버(141)의 선단부를 가압하게되고, 레버(141)는 힌지축(14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레버(141)의 후단부가 파지면(114)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레버(141) 조작하면서 헤어를 건조하는 드라이 작업과, 롤링, 스트레이트를 할 수있는 고대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작부(140)의 조작스위치(149)를 조작할 경우 구동모터(147)가 반회 전을 하게되면서 이와동시에 구동캠(148)이 반 회전되고, 이때 구동캠(148)의 편심면이 밀착구(145)를 가압하여 가이드(143)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143)가 전방으로 슬라이되면 탄성부재(146)가 압축되면서 열전도빗살이(131)이 고정빗살(118)에 밀착되어 고대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조작스위치(149)를 다시 조작하게되면 구동모터(147)가 반 회전되면서 구동캠(148)의 편심면이 밀착구(145)를 벗어나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146)가 복원되면서 가이드(143)가 후퇴되어 열전도빗살(131)이 고정빗살(118)에서 이격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147)를 회전시키게 되면 간편하게 헤어를 건조하는 드라이 작업과, 롤링, 스트레이트를 할 수있는 고대기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은, 고정빗살과 열전도빗살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빗질을 할 수 있으며 배출공으로 히팅수단에서 히팅된 바람이 배출되어 빗질과 더불어 머리를 건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은, 드라이 작업과 함께 레버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가이드가 가이드돌기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열전도빗살이 고정빗살에 밀착되면서 헤어를 롤링하거나 스트레이트를 할 수 있는 고대기 작업을 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은, 헤어를 건조하는 드라이작업과, 롤링(rolling) 또는 스트레이트를 할 수 있는 고대기 작업을 동시에 함으로서 사용자가 헤어드라이기와 고대기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게되어 헤어도구의 구입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은, 드라이 작업시 별도의 빗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빗살과 열전도빗살을 이용하여 빗질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공간 형태의 유도부(112)을 내부에 구비한 몸체(111)를 형성하고, 몸체(111)의 선단부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빗살(118)을 복수 형성하며, 고정빗살(118)과 근접되어 유도부(112)로 복수 관통시킨 장공형태의 배출공(117)을 형성하고, 몸체(111)의 후단부에 흡입공(116)을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유도부(112) 후단에 흡입공(116)에 근접되어 공기를 유도부(112)로 흡입하는 송풍수단(121)을 형성하고, 흡입된 공기를 히팅하는 히팅수단(122)을 복수 형성한 드라이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유도부(112) 선단부에 가열수단(132)을 형성하고, 가열수단(132)에 결합되어 배출공(117)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시킨 열전도빗살(131)을 형성한 고대기부(130)와;
    상기 고대기부(130)의 가열수단(132)을 지지하면서 열전도빗살(131)이 관통된 가이드(143)를 형성하고, 가이드(143)의 후단부에 외향으로 돌출시킨 밀착구(145)를 형성하며, 몸체부(110)의 유도부(112)로 일측이 삽입되어 밀착구(145)에 선단부가 밀착되어 힌지축(142)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레버(141)를 형성한 조작부(140)및;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측으로 히팅수단(122)의 히팅온도를 제어하는 드라이스위치(151)를 형성하고, 드라이스위치(151)와 근접되어 가열수단(132)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고대기스위치(152)를 형성하며 히팅온도와 가열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창(153)을 형성한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유도부(112) 선단부 내주면에 가이드돌기(113)을 대향되게 형성하고, 가이드돌기(113)에 가이드(143)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44)를 결합하며, 가이드(143)의 선단부에 유도부(1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부재(146)를 형성하여, 조작부(140)의 레버(141)를 상측으로 가압시 탄성부재(146)가 압축되면서 가이드(143)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열전도빗살(131)이 고정빗살(118)에 밀착되어 고대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레버(141)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46)의 완충력에 의해 가이드(143)가 후퇴하여 고정빗살(118)과 열전도빗살(131)이 이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몸체(111) 선단부를 후단부보다 하측으로 돌출시켜 후단부의 유도부(112)에 드라이부(120)가 수용되는 파지면(114)을 형성하고, 선단부에 고정빗살(118)이 돌출된 고대면(115)을 형성하며, 고대면(115)과 파지면(114)을 장방형 형태의 삽입공(119a)이 유도부(112)로 관통된 경사면(119)을 형성하여, 삽입공(119a)으로 레버(141)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143)의 밀착구(145)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4. 제 1 항에있어서,
    상기 조작부(140)는 밀착구(145)와 근접되게 구동캠(148)을 구비한 구동모터(147)를 형성하고, 몸체(110)의 파지면(114) 저면에 구동모터(114)를 구동시키는 조작스위치(149)를 더 구성하여, 조작스위치(149) 조작으로 구동모터(114)가 반 회전되면서 구동캠(148)이 가이드(143)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면서 탄성부재(146)가 압축되고 열전도빗살이(131)이 고정빗살(118)에 밀착되어 고대기 작업이 이루어지며, 조작스위치(149)를 다시 조작하면 구동모터(147)가 반 회전되면서 구동캠(148)이 회전되어 압축된 탄성부재(146)가 복원되면서 가이드(143)를 후퇴시켜 열전도빗살(131)이 고정빗살(118)에서 이격되어 고대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빗.
KR1020060072106A 2006-07-31 2006-07-31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KR10079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106A KR100799374B1 (ko) 2006-07-31 2006-07-31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106A KR100799374B1 (ko) 2006-07-31 2006-07-31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614U Division KR200428971Y1 (ko) 2006-07-31 2006-07-31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374B1 true KR100799374B1 (ko) 2008-01-31

Family

ID=3921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106A KR100799374B1 (ko) 2006-07-31 2006-07-31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3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26B1 (ko) 2013-10-15 2014-07-04 최성오 헤어드라이어
KR101982476B1 (ko) * 2017-11-25 2019-05-27 이용길 빗살 고대기
KR20210050069A (ko) 2019-10-28 2021-05-07 이혜은 머리손질용 기능성 헤어 드라이기
KR102267546B1 (ko) * 2019-12-27 2021-06-21 이상두 빗형 고데기
KR20210073775A (ko) * 2019-12-11 2021-06-21 정주영 속눈썹 고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3105U (ja) 1984-01-30 1985-08-20 林 良和
US5553632A (en) 1995-03-03 1996-09-10 Burkhardt; Charles W. Hair styl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3105U (ja) 1984-01-30 1985-08-20 林 良和
US5553632A (en) 1995-03-03 1996-09-10 Burkhardt; Charles W. Hair styl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26B1 (ko) 2013-10-15 2014-07-04 최성오 헤어드라이어
KR101982476B1 (ko) * 2017-11-25 2019-05-27 이용길 빗살 고대기
KR20210050069A (ko) 2019-10-28 2021-05-07 이혜은 머리손질용 기능성 헤어 드라이기
KR20210073775A (ko) * 2019-12-11 2021-06-21 정주영 속눈썹 고데기
KR102272073B1 (ko) * 2019-12-11 2021-07-01 정주영 속눈썹 고데기
KR102267546B1 (ko) * 2019-12-27 2021-06-21 이상두 빗형 고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441B1 (ko) 회전식 실린더를 갖는 헤어 스타일링 기구
KR101223709B1 (ko) 열풍과 동시에 토출되는 자연풍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헤어 드라이기
KR100799374B1 (ko)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US20160100664A1 (en)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JP6199990B2 (ja) ドライヤー
KR200428971Y1 (ko)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JPH0130483B2 (ko)
AU20163220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air
JP2009505699A (ja) ヘアスタイリングデバイス
KR101932158B1 (ko) 헤어 드라이기
US20170095050A1 (en) Multiple Purpose Hair Dryer
JP7486710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KR20110094774A (ko) 고데기 겸용 헤어드라이기
KR101358844B1 (ko) 두피 및 모발 동시 건조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러시유닛
KR200441040Y1 (ko) 미용용 드라이기
JP5192594B2 (ja) ヘアーカールドライヤー
KR200455793Y1 (ko)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KR20200114848A (ko) 다용도 헤어 스타일러
JP2000333719A (ja) ヘアーアイロン
KR102433454B1 (ko) 빗형 헤어 드라이기
JP5110330B2 (ja) 隆起フィンを有するヘアスタイリングアイロン
KR20100130573A (ko) 회전형 헤어 아이론
JP7278655B2 (ja) 多機能ヘアー演出用美容電熱機器
US10485318B1 (en) Hot brush and comb
KR200318913Y1 (ko) 모발 건조와 스타일링 기능이 구비된 회전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