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271B1 -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271B1
KR100799271B1 KR1020060130055A KR20060130055A KR100799271B1 KR 100799271 B1 KR100799271 B1 KR 100799271B1 KR 1020060130055 A KR1020060130055 A KR 1020060130055A KR 20060130055 A KR20060130055 A KR 20060130055A KR 100799271 B1 KR100799271 B1 KR 10079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video
digital
imag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홍
Original Assignee
박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홍 filed Critical 박진홍
Priority to KR1020060130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05General purpose rendering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5/2723Insertion of virtual advertisement; Replacing advertisements physical present in the scene by virtual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 처리 기술과 디지털 물고기 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3차원적 움직임을 갖는 가상 물고기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활용 가능성 및 만족도를 높인 가상의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수족관은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본체;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고기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 또는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구성된다.
수족관, 디지털 수족관,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MPEG 플레이어, AI 모듈, 디지털 물고기 모션 생성, 렌더링 파이프 라인, 홀로그램

Description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Digital aquarium and System for creating of digital fish}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구성도
도 2a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구성 및 화면 구성도
도 3a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구성 및 각 방향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또 다른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또 다른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또 다른 구성 블록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을 위한 물고기 모델 및 뼈대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을 위한 물고기 방향 전환 동작을 위한 모션 그래프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서의 스크립트 형태의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 의한 디지털 물고기의 중간 동작 이미지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디지털 수족관 본체 410. MPEG 플레이어
420.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 430. USB 포트
440. 메모리 슬롯 450. 무선 송수신/장치
460. 디스플레이부 470.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
480. 동기 컨트롤러
본 발명은 관상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디지털 화상 처리 기술과 디지털 물고기 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3차원적 움직임을 갖는 가상 물고기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활용 가능성 및 만족도를 높인 가상의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족관은 관상어의 양식뿐만 아니라 공공장소나 일반가정의 장식물로 설치되어 자연을 가깝게 느끼어 정서 생활에 도움을 주고 실내장식적 미감도 높이면서 실내의 습도 공급기능을 겸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과 유사한 시설을 갖추어 정서생활에 도움이 되고 간접조명의 효과도 있는 수족관은 관상어의 배설물과 먹이에 의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정화수단, 수족관에 산소공급 수단 등을 일일이 사람이 해결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수족관을 구입해야 하고, 수족관에서 양식되는 물고기의 환경개선, 수족관의 미적 개선, 장식적인 효과들을 위하여 지속적인 소비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관리 소홀로 인한 물고기의 폐사, 담수어와 해수어를 동시에 기를 수 없고, 해수어의 경우에는 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수족관에 대한 요구가 있으나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일부 컴퓨터 화면보호기 등에 물고기를 이용하는 것이 제시되고 있으나, 특성 및 용량의 제약으로 인해 수족관을 대신 할 정도의 품질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물고기의 사실적 모션의 생성은 개인적인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 수작업에 대부분을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기술적 어려움과 비용의 증가라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수족관 및 이를 이용한 관상어 관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화상 처리 기술과 디지털 물고기 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갖는 가상 물고기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활용 가능성 및 만족도를 높인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서로 천적 관계에 있는 물고기를 한 화면에 표시하여 실제에서는 구현이 어려운 상황의 수족관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수족관 관리의 어려움 없이 담수어종과 해수어종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고, 멸종된 물고기를 영상으로 복원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자극에 의한 반응으로 물고기의 움직임이 변화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 수족관과 같은 느낌을 충분히 갖도록한 디지털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족관 화면의 배경을 달리할 수 있고, 수초, 산호초 등의 장식물 이미지를 원하는 대로 장식할 수 있도록한 디지털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고기의 움직임 및 영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컴 퓨터 그래픽 기반의 독립적인 디지털 물고기 제작 기술을 통하여 사실에 기반한 생동감 있는 모션의 생성으로 실제와 유사한 물고기를 표현, 제작,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물고기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와,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하고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MPEG 플레이어와,상기 MPEG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를 포함하는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본체;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고기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 또는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각각의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화되고,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제 1,2 본체;상기 제 1,2 본체에 각각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고기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제 1,2 디스플레이부;상기 제1,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 또는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구성되어,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이,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들에 표시되는 물고기 동영상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물고기 영상들이 독립적으로 표시되도록 선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다수개의 디스플레이부들의 뷰포인트(Viewpoint)가 상면을 포함하는 전후좌우의 방향이 되는 형태를 갖고,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본체;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고기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제 1,2,3,4,5 디스플레이부;상기 제1,2,3,4,5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 또는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구성되어,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이,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들에 표시되는 물고기 동영상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물고기 영상들이 독립적으로 표시되도록 선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은 물고기 이미지 및 물고기 움직임 생성을 위하여, 물고기 움직임 스크립트 발생을 위한 물고기 움직임 스크립트 발생부;사실에 가까운 물고기 생성의 연출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을 위한 스크립트 인터페이스;및 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물고기 움직임 정보에 의해 디지털 물고기 모션 생성을 위하여 스크립트 번역을 위한 스크립트 번역부;상기 스크립트 번역 정보를 이용하여 물고기 움직임을 생성하는 움직임 생성부;상기 움직임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움직임 정보를 변환하여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움직임 메타 데이터 생성부;디지털 물고기 움직임 생성 정보에 의해 생성된 모션 정보를 실시간 렌더링을 하여 출력하는 실시간 렌더링 파이프 라인 및 실시간 렌더링 파이프 라인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물고기 영상을 출력하는 리얼 타임 동영상 출력부;디지털 물고기 움직임 생성 정보에 의해 생성된 모션 정보를 렌더링을 하여 출력하는 프리-렌더링부 및 프리-렌더링부에 의해 생성된 물고기 이미지를 합친 디지털 물고기 영상을 출력하는 3D 동영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물고기 이미지 또는 물고기 동영상은 실제 물고기를 촬영한 것이 아니고, 디지털 물고기 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물고기의 이미지 특성 및 움직임 특성을 추출하여 실제와 구별이 어려운 정도로 구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물고기 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한 물고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입체 LCD를 사용한 디지털 수족관의 입체감을 더해 좀 더 사실적인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여 디지털 수족관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입체 영상의 경우에는 인간의 두 눈에 대응되는 2개의 시퀀스 이미지가 필요한데, 실제 촬영으로는 제약이 많으며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컴퓨터 그래픽 기반의 디지털 물고기 제작 기술은 사실적인 디지털 물고기의 모션의 생성, 제작이 가능한 독립적인 소프트웨어로서, 실제 촬영보다 스테레오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많은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기본 구성 및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영상 신호 처리 및 화면 표시 제어에 관한 내용은 도 4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제 1 실시예와, 서로 결합되는 제 1,2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제 2 실시예와, 본체 지지를 위한 바닥면을 제외한 상면, 전후좌우면의 제 1,2,3,4,5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제 3 실시예를 포함한다.
물론, 플렉시블 LCD를 이용한 원기둥 형태 또는 제 3 실시예 이상의 다수개의 디스플레이면을 갖는 디지탈 수족관을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도 1에서와 같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으로, 물고기에 관한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본체(100)와, 본체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경 및 장식물 그리고 물고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300)을 포함하고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고기 이미지, 배경 이미지, 장식물 이미지 또는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이 구비된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4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하나의 화면에 물고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과는 달리 여러 개의 화면을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물고기 이미지의 표시 및 적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구성 및 화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a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구성 및 각 방향에 따른 화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2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것으로, 각각의 제 1,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물고기 영상의 움직임이 연관성을 갖고 제어된다.
그 구성은 도 2a에서와 같이, 각각의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화되고, 물고기에 관한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제 1,2 본체(100a)(100b)와, 상기 제 1,2 본체(100a)(100b)에 각각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경 및 장식물 그리고 물고기 영상을 표시하는 제 1,2 디스플레이부(200a)(200b)와, 상기 제1,2 디스플레이부(200a)(200b)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해 각각의 제 1,2 본체(100a)(100b)에 구성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300)을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제 1,2 본체(100a)(100b)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도 2b에서와 같이 액자 형태로 일정 각도를 갖도록 하는 경우에는 제 1,2 디스플레이부(200a)(200b)의 화면이 동일 지점에서 모두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2 디스플레이부(200a)(200b)에 표시되는 물고기 영상이 각 각의 움직임을 갖는 서로 독립적인 영상이 표시되거나, 서로 연관되는 영상으로 제 1 디스플레이부(200a)에서 움직인 물고기 영상이 제 2 디스플레이부(200b)로 연결되어 표시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만약, 제 1,2 본체(100a)(100b)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1,2 디스플레이부(200a)(200b)의 화면 방향이 완전 반대가 되는 경우에는 도 2a에서와 같은 구조가 된다.
이 경우에는 제 1,2 디스플레이부(200a)(200b)에 표시되는 물고기 영상이 각각의 움직임을 갖거나, 물고기 움직임이 서로 연관을 갖는 영상이 표시되어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물고기가 앞 모양이라면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물고기는 뒷 모양이 표시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도 2c에서와 같이, 액자 형태로 일정 각도를 갖도록 펼친 경우에는 제 1,2 디스플레이부(200a)(200b)의 어느 하나의 화면에는 물고기 영상을 표시하여 수족관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에는 광고, 스케줄 정보, 간단한 뉴스(온라인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다섯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것이다.
바닥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물고기 영상을 볼 수 있도록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수족관이 유리창 또는 사람들이 다니는 통로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도 3a의 수족관은 실내의 책상, 탁자 등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한 구조이다.
그 구조는 도 3a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들의 뷰포인트(Viewpoint)가 상면을 포함하는 전후좌우의 방향(도 3a의 A,B,C,D,E 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디스플레이부들을 위치시키는 육면체 형태를 갖고, 물고기에 관한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경 및 장식물 그리고 물고기 영상을 표시하는 제 1,2,3,4,5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2,3,4,5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해 본체에 구성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바닥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물고기 영상을 볼 수 있도록한 것으로 각각의 제 1,2,3,4,5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물고기 영상의 움직임이 연관성을 갖고 제어된다.
예를 들어, 도 3a의 B 방향을 정면이라 한다면, A 방향(좌측 화면)에서의 물고기 영상은 도 3b에서와 같다.
그리고 B 방향(정면)에서의 물고기 영상은 도 3c에서와 같고, C 방향(상면)에서의 물고기 영상은 도 3d에서와 같다.
그리고 D 방향(우측 화면)에서의 물고기 영상은 도 3e에서와 같고, E 방향(뒷면)에서의 물고기 영상은 도 3f에서와 같다.
물론, 이와 같이 제 1,2,3,4,5 디스플레이부의 모든 화면에 물고기 영상을 연관성을 갖도록 표시할 수도 있지만, 특정 방향의 디스플레이부에는 광고 등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서로 다른 움직임을 갖도록 독립 적인 물고기 영상이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디스플레이부는 LCD를 사용하여 구현하거나, 3D 입체 LCD 모듈을 적용하여 구현한다.
물론,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영상 신호 처리 및 화면 표시 제어에 관한 내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오프라인에서 USB 메모리, CF 메모리, SD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구매한 물고기 영상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교체할 수 있고, 온라인 상에서 물고기 영상을 구입하여 물고기를 교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장형 메모리를 이용한 오프 라인상의 물고기 교체에 의해 특정 물고기를 가지고 다닐 수 있고, 자유롭게 선물할 수도 있다.
또한, 물고기뿐만 아니라 배경, 수초 등의 장식품 이미지를 온 라인 또는 오프 라인상에서 구입하여 사용자만의 수족관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조건에 의해 물고기가 반응하는 디지털 수족관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에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은 영상 처리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도 4에서와 같이, 디지털 수족관 본체(400) 에 물고기 종류(동영상의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와,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고기 동영상을 설치하거나, 컴퓨터와 연결되어 온라인 상에서 물고기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USB 포트(430)와, 외장형 메모리를 통하여 이미지, 물고기 동영상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슬롯(440)과, USB 포트(430),메모리 슬롯(440)을 통하여 설치되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MPEG 플레이어(410)와, MPEG 플레이어(410)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60)와, 외부의 컴퓨터(500)와 무선 송/수신을 하여 사용자의 스케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450)와, 물고기의 움직임에 따른 배경 음악(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또는 알람 메시지에 따른 음향 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MPEG 플레이어(410)는 USB 포트(430)와, 외장형 메모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케쥴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스케쥴 소프트웨어는 번들로 제공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가 버전 업 될때 마다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스케쥴 작성을 해두면 미리 설정 해둔 알람 시각에 따 라 무선(bluetooth) 송/수신 장치를 통해 디지털 수족관에 스케쥴 관련 데이터가 보내진다. 그 데이터는 디지털 수족관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는데, 표시 영역은 화면 상단 또는 하단의 일측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영상 신호 처리 블록들에 의해 오프라인에서 플래시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 형태의 물고기를 구입해서 반복 플레이 할 수 있으며, 동영상 단위로 물고기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에서 구입한 동영상 형태의 물고기를 다운로드 받아 반복 플레이 할 수 있으며, 동영상 단위의 물고기를 교체할 수 있다.
물론, 외장형 메모리를 이용하여 죽지않는 물고기를 가지고 다닐 수 있으며, 오프라인과 온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선물할 수 있다.
그리고 물고기 동영상에 인간의 심리적 상태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음악을 포함시켜 사용자의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물고기 동영상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물고기 동영상을 순차적으로 반복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메뉴에서 메모리에 있는 반복 재생할 동영상을 리스트를 선택하고 반복 횟수 지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른 형태로 물고기 동영상과 홍보/광고 동영상을 번갈아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 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에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미 만들어진 물고기 동영상이 아니고,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물고기들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만들어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도 5에서와 같이, 디지털 수족관 본체(400)에 물고기 종류(동영상의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또는 물고기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와,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고기 동영상을 설치하거나, 컴퓨터와 연결되어 온라인 상에서 물고기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USB 포트(430)와, 외장형 메모리를 통하여 이미지, 물고기 동영상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슬롯(440)과, USB 포트(430),메모리 슬롯(440)을 통하여 설치되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MPEG 플레이어(410)와, MPEG 플레이어(410)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470)와, 상기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470)에서 지정된 배경 이미지를 갖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60)와, 외부의 컴퓨터(500)와 무선 송/수신을 하여 사용자의 스케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450)와, 물고기의 움직임에 따른 배경 음악(또는 사용자 가 선택한 음악) 또는 알람 메시지에 따른 음향 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MPEG 플레이어(410)는 USB 포트(430)와, 외장형 메모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지정한 배경 이미지에 광고 내용을 삽입할 수 있는데, 물고기가 움직이는 배경 이미지에 광고 내용이 표시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물고기들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만드는 과정은 도 6에서와 같다.
사용자가 디지털 수족관을 구성할 물고기의 조합은 별도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에서 이루어진다. 디지털 수족관을 구입하면 소프트웨어는 번들로 제공된다.
물론,소프트웨어가 버전 업 될 때마다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500)에서 구동되고, 사용자는 온라인에서 구입하여 다운로드 받은 동영상 물고기, 오프라인에서 USB 메모리 형태로 구입한 동영상 물고기에 관계없이 제공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각 물고기 동영상을 지정한 순서대로 하나의 물고기 동영상으로 만들어준다.
사용자는 이렇게 만들어진 동영상을 USB 포트(430)를 통해 디지털 수족관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하여 플레이 하면 된다.
이와 같은 물고기 조합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저작권 관련 당사자들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 주는 DRM(Digital Rights Manegement) 기술을 이용하여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5에 나타낸 영상 처리 구성에 의해 디지털 수족관에 디스플레이되는 물고기 교체, 조합, 배경 이미지 변경 등의 선택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만족하는 물고기 동영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또 다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에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미 만들어진 물고기 동영상 또는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물고기들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만들어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2개의 디지털 수족관을 접어서 앞뒤의 서로 반대 방향의 표시 방향을 갖도록하거나, 펼쳐서 서로 교차되는 표시 방향을 갖는 디지털 수족관의 제어 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디지털 수족관 본체(400)에 물고기 종류(동영상의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또는 물고기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와, 각각의 제 1,2 디스플레이부(460a)(460b)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기 제어를 위한 동기 컨트롤러(Sync controller)(480)와, 각각의 제 1,2 디 스플레이부(460a)(460b)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고기 동영상을 설치하거나, 컴퓨터와 연결되어 온라인 상에서 물고기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2 USB 포트(430a)(430b)와, 외장형 메모리를 통하여 이미지, 물고기 동영상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슬롯(440)과, 상기 제 1,2 USB 포트(430a)(430b),메모리 슬롯(440)을 통하여 입력되는 각각의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제 1,2 MPEG 플레이어(410a)(410b)와, 상기 제 1,2 MPEG 플레이어(410a)(410b)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제 1,2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470a)(470b)와, 상기 제1,2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470a)(470b)에서 지정된 배경 이미지를 갖는 물고기 동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제 1,2 디스플레이부(460a)(460b)와, 물고기의 움직임에 따른 배경 음악(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또는 알람 메시지에 따른 음향 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제1,2 MPEG 플레이어(410a)(410b)는 제 1,2 USB 포트(430a)(430b)와, 외장형 메모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지정한 배경 이미지에 광고 내용을 삽입할 수 있는데, 물고기가 움직이는 배경 이미지에 광고 내용이 표시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물고기들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만드는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도 6에서와 같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2개의 디지털 수족관을 펴거나 접을 수 있다. 펼 경우에는 각각의 화면에 물고기 동영상을 플레이 하거나, 하나는 물고기, 다른 하나는 광고/홍보 동영상을 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을 경우에는 하나의 물고기 움직임이 각각 앞/뒤에서 보는 방향에 따른 각 동영상이 플레이 된다. 마치, 보는 이는 실제 수족관의 앞/뒤에서는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또 다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에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미 만들어진 물고기 동영상 또는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물고기들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만들어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5개의 디지털 수족관을 구비하는 것으로, 본체 지지를 위한 바닥면을 제외한 상면, 전후좌우면의 제 1,2,3,4,5 디스플레이부를 갖는다.
도 8에서와 같이, 디지털 수족관 본체(400)에 물고기 종류(동영상의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또는 물고기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와, 각각의 제 1,2,3,4,5 디스플레이부(460a)(460b)(460c)(460d)(460e)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의 동기 제어를 위한 동기 컨트롤러(Sync controller)(480)와, 제 1,2,3,4,5 디스플레이부(460a)(460b)(460c)(460d)(460e)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고기 동영상을 설치하거나, 컴퓨터와 연결되어 온라인 상에서 물고기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2,3,4,5 USB 포트(430a)(430b)(430c)(430d)(430e)와, 외장형 메모리를 통하여 이미지, 물고기 동영상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슬롯(440)과, 상기 제 1,2,3,4,5 USB 포트(430a)(430b)(430c)(430d)(430e), 메모리 슬롯(440)을 통하여 입력되는 각각의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제 1,2,3,4,5 MPEG 플레이어(410a)(410b)(410c)(410d)(410e)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제 1,2,3,4,5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470a)(470b)(470c)(470d)(470e)와, 상기 제 1,2,3,4,5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470a)(470b)(470c)(470d)(470e)에서 지정된 배경 이미지를 갖는 물고기 동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제 1,2,3,4,5 디스플레이부(460a)(460b)(460c)(460d) (460e)와, 물고기의 움직임에 따른 배경 음악(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또는 알람 메시지에 따른 음향 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제 1,2,3,4,5 MPEG 플레이어(410a)(410b)(410c)(410d)(410e)는 제 1,2,3,4,5 USB 포트(430a)(430b)(430c)(430d)(430e)와, 외장형 메모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지정한 배경 이미지에 광고 내용을 삽입할 수 있는데, 물고기가 움직이는 배경 이미지에 광고 내용이 표시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물고기들을 조합하여 동영상을 만드는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도 6에서와 같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바닥면을 제외한 상면, 전후좌우면의 제 1,2,3,4,5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것에 의해 실제 수족관과 동일하게 각각의 방향에서 물고기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다른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의 영상 처리를 위한 또 다른 구성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디지털 수족관은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Interactive Interface)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한 물고기 동작 정보가 입력되면 이 정보에 의해 물고기의 움직임이 제어되도록 하여 실제 수족관에서의 느낌이 그대로 구현되도록한 것이다.
그 구성은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사용자의 외부 자극에 따른 동작 정보를 받는 제 1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a) ~ 제 n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n)와, 제 1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a) ~ 제 n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n)를 갖고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460a) ~ 제 n 디스플레이부(460n)와, 상기 제 1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a) ~ 제 n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n)를 통한 외부 자극에 따른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물고기 동작을 제어하고 물고기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또는 물고기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와, USB 메모리를 이용한 물고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USB 포트(430)와,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실시간 렌더링(real time rendering) 제어를 위한 실시간 렌더링 파이프 라인(840a) 및 디지털 물고기의 움직임 생성을 위한 디지털 물고기 모션 생성 모듈(840b) 그리고 상기 물고기 데이터 그리고 제 1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a) ~ 제 n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n)를 통한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AI 모듈(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830)과,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실시간 렌더링(real time rendering)을 하여 물고기 영상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한 그래픽 보드(820), 실시간 렌더링된 영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변환기(810)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처리 출력부(800a)와, 외부의 컴퓨터(500)와 무선 송/수신을 하여 사용자의 스케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450)와, 물고기의 움직임에 따른 배경 음악(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또는 알람 메시지에 따른 음향 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420)는 제 1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a) ~ 제 n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850n)를 통한 외부 자극에 따른 동작 정보를 수신되는 경우의 물고기 움직임 제어와, 동작 정보의 수신이 없는 경우의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구분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USB 포트(430)를 통하여 입력되는 물고기 데이터(860)는 물고기 모델 에 관한 데이터(860a), 물고기 움직임 형태에 관한 데이터(fish motion library)(860b), 움직임에 따른 명령 리스트, 물고기 정보 데이터(fish command list & fish information library)(860c)를 포함한다.
그리고 AI 모듈(830)은 물고기 움직임에 따른 명령을 발생하고 디스플레이되는 물고기와 물고기 또는 물고기와 수족관 장식물과의 충돌 방지 제어 및 물고기 움직임 영역 인식을 수행한다.
도 9에서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오프라인에서 플래시 메모리 등에 있는 오브젝트(3차원 모델,색상,텍스춰,투명 및 빛의 반사 값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물고기를 구입해서 디지털 수족관을 꾸밀 수 있으며, 오브젝트 단위의 물고기를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에서 구입한 오브젝트 형태의 물고기를 다운로드 받아 디지털 수족관을 꾸밀 수 있으며, 오브젝트 단위의 물고기를 교체할 수 있다.
3차원 형태의 배경과 장식 할 수 있는 소품(수초,수석,산호초,장식물 및 구조물)들을 온/오프라인에서 구입하여 디지털 수족관을 꾸밀 수 있다. 그리고 제공하는 디지털 수족관과 어울리는 기능성 음악을 구입하여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쥴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스케쥴 소프트웨어는 번들로 제공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가 버전 업 될 때 마다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스케쥴 작성을 해두면 미리 설정 해둔 알람 시각에 따라 무선(bluetooth) 송/수신 장치를 통해 디지털 수족관에 스케쥴 관련 데이터가 보내진다. 그 데이터는 디지털 수족관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는데, 표시 영역은 화면 상단 또는 하단의 일측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을 위한 물고기 모델 및 뼈대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을 위한 물고기 방향 전환 동작을 위한 모션 그래프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서의 스크립트 형태의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 의한 디지털 물고기의 중간 동작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기술은 사실에 가까운 물고기 동작 생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스크립트(script)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는 움직임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하여 물고기 모델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10개의 뼈대(skeleton)를 갖고 전체 구조의 일예는 도 10a에서와 같다.
도 10b의 모션 그래프는 디지털 물고기의 사실에 가까운 움직임의 표현/생성을 위한 것으로, 물고기의 방향 전환 동작시의 도 10a의 물고기 뼈대의 모션 그래프이다.
즉, 물고기 모션의 자유로운 수정과 생성을 위해 사실적인 물고기의 동작을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한 것으로, 물고기 동작의 변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다양한 동작의 생성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 10b의 모션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 의한 물고기 움직임 생성시에 구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사실적인 물고기 동작의 시뮬레이션 및 구현이 어려운 경우에는 사실감 있는 물고기를 생성하지 못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은 도 11에서와 같이, 물고기 움직임 스크립트 발생을 위한 물고기 움직임 스크립트 발생부(900)와, 사실에 가까운 물고기 생성의 연출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을 위한 스크립트 인터페이스(901)와, 스크립트 인터페이스(901)를 통하여 입력되는 물고기 움직임 정보에 의해 디지털 물고기 모션 생성을 위하여 스크립트 번역을 위한 스크립트 번역부(902)와, 스크립트 번역 정보를 이용하여 물고기 움직임을 생성하는 움직임 생성부(903)와, 움직임 생성부(903)에 의해 생성된 움직임 정보를 변환하여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움직임 메타 데이터 생성부(904)와, 물고기 모델 라이브러리의 물고기 모델 정보 및 디지털 물고기 움직임 생성 정보에 의해 생성된 모션 정보를 실시간 렌더링을 하여 출력하는 실시간 렌더링 파이프 라인(905)과, 실시간 렌더링 파이프 라인(905)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물고기 영상을 출력하는 리얼 타임 동영상 출력부(907)와, 물고기 모델 라이브러리의 물고기 모델 정보 및 디지털 물고기 움직임 생성 정보에 의해 생성된 모션 정보를 렌더링을 하여 출력하는 프리 렌더링부(906) 와, 프리 렌더링부(906)에 의해 출력되는 물고기 영상을 출력하는 3D 동영상 출력부(908)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스크립트 번역부(902), 움직임 생성부(903), 움직임 메타 데이터 생성부(904)로 이루어진 디지털 물고기 모션 생성 시스템은 움직임 발생 시스템(Motion Creation System)에 의한 움직임 라이브러리(Motion Library)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물고기의 움직임을 생성한다.
그리고 리얼 타임 동영상 출력부(907)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은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Interactive Interface)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자극에 의한 물고기 동작 정보가 입력되면 이 정보에 의해 물고기의 움직임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3D 동영상 출력부(908)에 의한 출력 영상은 외부의 자극에 관계없이 디지털 물고기의 이미지 생성 및 움직임을 갖는 영상의 출력에 사용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관찰자의 반응에 동기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관찰자의 반응에 동기 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둘의 경우 영상을 만들기 위한 렌더러의 형태는 다르다.
하나는 관찰자의 반응에 동기 하는 것은 리얼타임 렌더러가 필요하고, 관찰자의 반응에 동기 하지 않는 것은 프리 렌더러라고하는 고화질(high-quality)의 이미지를 지향하는 렌더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물고기 및 물고기 동영상은 디지털 수족관 이외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영상 매 체에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12는 사실에 가까운 물고기 동작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싱을 위한 스크립트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물고기의 예를 위해 물고기의 연속 동작에서 일정 간격을 갖고(프레임 002, 프레임 091, 프레임 216, 프레임 274, 프레임 374) 발췌한 것이다.
일정 간격으로 발췌하지 않고 제작된 전체 물고기 영상에서는 실제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움직임을 갖고 물고기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실제 물고기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고, 물고기의 이미지 특성 및 움직임 특성을 고려하여 컴퓨터 그래픽 기반의 독립적인 디지털 물고기 생성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물고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의 자극에 의해 반응하도록 구성된 물고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의해 실제 수족관 느낌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디스플레이면을 갖는 디지털 수족관과, 앞뒤면의 물고기 움직임을 표시할 수 있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된 디지털 수족관과, 바닥면을 제외한 상면, 전후좌우면의 화면을 갖는 디지털 수족관을 구현하여 상황에 적합한 실제 느낌의 디지털 수족관 그리고 이들 디지털 수족관에 표시되는 물고기 및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 수족관을 LCD 또는 입체 LCD뿐만 아니라 3차원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오프라인에서 USB 메모리, CF 메모리, SD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구매한 물고기 영상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교체할 수 있고, 온라인 상에서 물고기 영상을 구입하여 물고기를 교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장형 메모리를 이용한 오프 라인상의 물고기 교체에 의해 특정 물고기를 가지고 다닐 수 있고, 자유롭게 선물할 수도 있다.
둘째, 물고기뿐만 아니라 배경, 수초 등의 장식품 이미지를 온 라인 또는 오프 라인상에서 구입하여 사용자만의 수족관을 만들 수 있다.
셋째,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조건에 의해 물고기가 반응하는 디지털 수족관의 구현이 가능하여 특별한 관리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실제 느낌의 수족관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실제 수족관에서는 물고기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환경 유지를 위한 관리 시간 및 비용의 투입이 필요하고 환경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물고기의 폐사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족관은 환경 관리를 위한 노력이 요구 되지 않고 물고기 폐사 문제가 없다.
다섯째, 실제 수족관에서는 물고기 크기나 천적 관계 때문에 다양한 물고기를 넣을 수 없으나 디지털 물고기는 다양한 조합으로 디지털 수족관을 만들 수 있다.
여섯째, 디지털 수족관은 해수어와 담수어를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고, 멸종된 어류를 복원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곱째, 사용자 스케쥴 관리 및 광고 영상의 삽입이 가능하여 다용도로 수족관을 운용할 수 있다.
여덟째,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에 의해 사실적인 물고기를 생성할 수 있어 좌/우 눈에 대응되는 이미지 및 영상을 필요로 하는 입체 LCD 및 홀로그램을 통해 실제와 유사한 물고기의 재현이 가능하다.

Claims (24)

  1. 물고기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와,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하고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MPEG 플레이어와,상기 MPEG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를 포함하는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고기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 또는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2. 각각의 일측이 서로 결합되어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화되고,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제 1,2 본체;
    상기 제 1,2 본체에 각각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고기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제 1,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 또는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구성되어,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이,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들에 표시되는 물고기 동영상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물고기 영상들이 독립적으로 표시되도록 선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3. 다수개의 디스플레이부들의 뷰포인트(Viewpoint)가 상면을 포함하는 전후좌우의 방향이 되는 형태를 갖고,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고기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제 1,2,3,4,5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2,3,4,5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 또는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구성되어,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이,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들에 표시되는 물고기 동영상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물고기 영상들이 독립적으로 표시되도록 선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은,
    물고기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와,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하고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MPEG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은,
    물고기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와,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하고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MPEG 플레이어와,
    상기 MPEG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은,
    물고기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시계 화면의 선택, 동영상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와,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들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기 제어를 위한 동기 컨트롤러와,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프로그램 저장부를 포함하고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MPEG 플레이어와,
    상기 MPEG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은,
    디스플레이부들에 각각 구성되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자극에 따른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물고기 동작을 제어하고 물고기 종류의 선택, 홍보/광고 동영상의 선택, 물고기 교체 및 이들의 제어 입력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와,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실시간 렌더링(real time rendering) 제어를 위한 실시간 렌더링 파이프 라인 및 디지털 물고기의 움직임 생성을 위한 디지털 물고기 모션 생성 모듈 그리고 상기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통한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AI 모듈과,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실시간 렌더링을 하여 물고기 영상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한 그래픽 보드, 실시간 렌더링된 영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변환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처리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물고기 동영상 또는 물고기의 교체는,
    메모리 슬롯, USB 포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9. 삭제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디스플레이부들 중의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는 광고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11. 물고기 종류의 선택, 동영상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을 위한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고기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출력 수단;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MPEG 플레이어;
    상기 MPEG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의 컴퓨터와의 무선 송/수신을 하여 사용자의 스케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12. 물고기 종류의 선택, 동영상 또는 물고기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을 위한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고기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출력 수단;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하여 설치되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MPEG 플레이어;
    상기 MPEG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
    상기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에서 지정된 배경 이미지를 갖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선택된 물고기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13. 물고기 종류의 선택, 동영상 또는 물고기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을 위한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고기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출력 수단;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동기를 맞추어 처리하는 제 1,2 MPEG 플레이어;
    상기 각각의 제 1,2 MPEG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각각 믹싱하여 출력하는 제 1,2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
    상기 제 1,2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에서 지정된 배경 이미지를 갖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2 디스플레이부;
    상기 각각의 제 1,2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기 제어를 위한 동기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14. 물고기 종류의 선택, 동영상 또는 물고기 단위의 물고기 교체, 반복 재생할 동영상의 선택 및 횟수 지정을 위한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고기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출 력 수단;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에 의한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동기를 맞추어 처리하는 제 1,2,3,4,5 MPEG 플레이어;
    상기 각각의 제 1,2,3,4,5 MPEG 플레이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된 물고기 영상과 사용자 선택에 의한 배경 이미지를 각각 믹싱하여 출력하는 제 1,2,3,4,5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
    상기 제 1,2,3,4,5 영상 신호 믹싱 처리부에서 지정된 배경 이미지를 갖는 물고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1,2,3,4,5 디스플레이부;
    상기 각각의 제 1,2,3,4,5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의 동기 제어를 위한 동기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15. 사용자의 외부 자극에 따른 동작 정보를 받는 n개의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자극에 따른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물고기 동작을 제어하고, 물고기 종류의 선택, 물고기 교체의 제어를 위한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실시간 렌더링(real time rendering) 제어를 위한 실시간 렌더링 파이프 라인 및 디지털 물고기의 움직임 생성을 위한 디지털 물고기 모션 생성 모듈 그리고 상기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통한 동작 정보 및 입력되는 물고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AI 모듈;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실시간 렌더링을 하여 물고기 영상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한 그래픽 보드, 실시간 렌더링된 영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 신호 변환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처리 출력부;
    각각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갖고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n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수족관은,
    외부의 컴퓨터와의 무선 송/수신을 하여 사용자의 스케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17. 제 12 항 내지 제 14 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하여 다운로드 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고기 동영상은,
    외부의 컴퓨터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선택된 물고기들의 조합이 이루어져 만들어진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18. 제 12 항 내지 제 15 항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배경 이미지에 광고 내용을 삽입하여 물고기가 움직이는 배경 이미지에 광고 내용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19. 제 13 항 또는 제 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부들에 표시되는 물고기 동영상은,
    서로 연관성을 갖고 각각의 뷰포인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물고기 영상들이 독립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수족관 컨트롤러는,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자극에 따른 동작 정보를 수신되는 경우의 물고기 움직임 제어와, 동작 정보의 수신이 없는 경우의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구분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물고기 데이터는,
    물고기 모델에 관한 데이터, 물고기 움직임 형태에 관한 데이터(fish motion library), 움직임에 따른 명령 리스트, 물고기 정보 데이터(fish command list & fish information librar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I 모듈은,
    물고기 움직임에 따른 명령을 발생하고, 디스플레이되는 물고기와 물고기 또는 물고기와 수족관 장식물과의 충돌 방지 제어 및 물고기 움직임 영역 인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족관.
  23. 물고기 이미지 및 물고기 움직임 생성을 위하여,
    물고기 움직임 스크립트 발생을 위한 물고기 움직임 스크립트 발생부;
    사실에 가까운 물고기 생성의 연출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을 위한 스크립트 인터페이스;및 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물고기 움직임 정보에 의해 디지털 물고기 모션 생성을 위하여 스크립트 번역을 위한 스크립트 번역부;
    상기 스크립트 번역 정보를 이용하여 물고기 움직임을 생성하는 움직임 생성부;
    상기 움직임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움직임 정보를 변환하여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움직임 메타 데이터 생성부;
    디지털 물고기 움직임 생성 정보에 의해 생성된 모션 정보를 실시간 렌더링을 하여 출력하는 실시간 렌더링 파이프 라인 및 실시간 렌더링 파이프 라인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물고기 영상을 출력하는 리얼 타임 동영상 출력부;
    디지털 물고기 움직임 생성 정보에 의해 생성된 모션 정보를 렌더링을 하여 출력하는 프리-렌더링부 및 프리-렌더링부에 의해 생성된 물고기 이미지를 합친 디지털 물고기 영상을 출력하는 3D 동영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 타임 동영상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은,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Interactive Interface)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자극에 의한 물고기 동작 정보가 입력되면 이 정보에 의해 물고기의 움직임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3D 동영상 출력부에 의한 출력 영상은 외부의 자극에 관계없이 디지털 물고기의 이미지 생성 및 움직임을 갖는 영상의 출력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
KR1020060130055A 2006-12-19 2006-12-19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 KR10079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055A KR100799271B1 (ko) 2006-12-19 2006-12-19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055A KR100799271B1 (ko) 2006-12-19 2006-12-19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271B1 true KR100799271B1 (ko) 2008-01-30

Family

ID=3921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055A KR100799271B1 (ko) 2006-12-19 2006-12-19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2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61B1 (ko) * 2009-11-27 2012-05-08 주식회사 차이시스 디지털 수조 장치
KR200464175Y1 (ko) 2010-06-14 2012-12-14 조성래 가상 수족관 장치
KR101496940B1 (ko) * 2013-10-23 2015-03-02 국방과학연구소 입체 고속 모의 영상 발생장치
KR101538489B1 (ko) * 2013-06-19 2015-07-22 (주)쓰리디웍스 입체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966594B1 (ko) * 2018-08-09 2019-04-05 윤정환 수족관 시뮬레이터
KR102406306B1 (ko) 2021-01-22 2022-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
US20230091386A1 (en) * 2021-09-17 2023-03-23 Multics Co., Ltd. Augmented reality hologram virtual aquarium system
KR102589940B1 (ko) 2022-07-21 2023-10-13 조성래 리얼감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수족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관 비디오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94A (ko) * 2000-05-24 2000-08-05 정병희 텔레비젼을 이용한 가정용 가상동물원
KR20060056076A (ko) * 2004-11-19 200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Tv를 이용한 가상 수족관
KR100584706B1 (ko) 1997-08-29 2006-05-30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화상 처리 시스템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0587553B1 (ko) 1999-02-16 2006-06-08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화상 표시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706B1 (ko) 1997-08-29 2006-05-30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화상 처리 시스템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0587553B1 (ko) 1999-02-16 2006-06-08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화상 표시 장치, 화상 처리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KR20000050194A (ko) * 2000-05-24 2000-08-05 정병희 텔레비젼을 이용한 가정용 가상동물원
KR20060056076A (ko) * 2004-11-19 200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Tv를 이용한 가상 수족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61B1 (ko) * 2009-11-27 2012-05-08 주식회사 차이시스 디지털 수조 장치
KR200464175Y1 (ko) 2010-06-14 2012-12-14 조성래 가상 수족관 장치
KR101538489B1 (ko) * 2013-06-19 2015-07-22 (주)쓰리디웍스 입체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496940B1 (ko) * 2013-10-23 2015-03-02 국방과학연구소 입체 고속 모의 영상 발생장치
KR101966594B1 (ko) * 2018-08-09 2019-04-05 윤정환 수족관 시뮬레이터
KR102406306B1 (ko) 2021-01-22 2022-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
US20230091386A1 (en) * 2021-09-17 2023-03-23 Multics Co., Ltd. Augmented reality hologram virtual aquarium system
KR102589940B1 (ko) 2022-07-21 2023-10-13 조성래 리얼감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수족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관 비디오폰
KR20240013081A (ko) 2022-07-21 2024-01-30 조성래 리얼감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수족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271B1 (ko)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
JP5128276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情報記憶媒体、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Vernallis The Oxford handbook of sound and image in digital media
WO2017015290A1 (en) Themed holograph theater
JP2003533235A (ja) 仮想演出装置及び方法
CN109887097A (zh) 一种vr内容开发平台及方法
CN107358659B (zh) 基于3d技术的多画面融合显示方法及存储设备
Wilson New ways of seeing, feeling, being: intimate encounters in virtual reality performance
Helle et al. Miracle Handbook: Guidelines for Mixed Reality Applications for culture and learning experiences
US200200682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ral arrangement
Battisti et al. Virtual Reality meets Degas: An immersive framework for art exploration and learning
Cudworth Extending virtual worlds: advanced design for virtual environments
Cho et al. LOTUS: composing a multi-user interactive tiled display virtual environment
Pietroni et al. Beyond the Museum’s object. Envisioning stories
Bollen et al. Putting virtual theatre models to work:‘virtual praxis’ for performance research in theatre history
Parker et al. Puppetry of the pixel: Producing live theatre in virtual spaces
Dalsgaard et al. Peepholes as means of engagement in interaction design
Hayes Museum exhibits brought to life
Parker Theater as virtual reality
Tabatabaei Narrative Affordances of Scale in VR: Remediating Traditional Iranian Storytelling
Thandu An Explor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for Museums
Chittenden ‘you cannot be serious!’: Mcenroe’s Ghost causes a scene at the wimbledon Lawn Tennis Museum
Saltz Digital Literary Studies: Performance and Interaction
Zhang Cross-Platform Methods in Computer Graphics That Boost Experimental Film Making
Bordini et al. Between real and virtual–A study on the artistic potentialities of virtual realit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