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872B1 - 공동주택내 배전선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내 배전선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872B1
KR100798872B1 KR1020070080785A KR20070080785A KR100798872B1 KR 100798872 B1 KR100798872 B1 KR 100798872B1 KR 1020070080785 A KR1020070080785 A KR 1020070080785A KR 20070080785 A KR20070080785 A KR 20070080785A KR 100798872 B1 KR100798872 B1 KR 100798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ase
cover
main switch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락
Original Assignee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8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여러개의 전등을 한꺼번에 on-off 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내 배전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는 사용자가 메인스위치(21)를 조작하여, 점등 전체를 on-off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보조스위치(22)를 조작하여, 메인스위치(21)의 조작시 on-off 되는 전등(1)을 선택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자가 모든 보조스위치(22)를 off시킨 상태에서 메인스위치(21)를 on시킬 경우 경보장치(40)에 의해 경보가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메인스위치(21)가 고장난 것으로 오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내 배전선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switch}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여러개의 전등을 한꺼번에 on-off 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구비된 전등에 연결되는 통전제어형 제어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스위치(20)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20)에는 전원선이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전등에 연결되는 출력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스위치(20)를 조작하여 전등을 on-off 시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케이스(10)에는 다수개의 스위치(2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스위치(20)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므로써, 필요한 전등만을 켜거나 끌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같이 하나의 전등스위치(20)에 여러개의 스위치(20)가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어느 스위치(20)가 어느 등을 켜는지 잘 구분하지 못해서, 스위 치(20) 전체를 on시켜 전등을 켜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다.
또한, 여러개의 전등을 한꺼번에 켜야 할 경우, 각 스위치(20)를 각각 on 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개의 전등을 한꺼번에 on-off 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전등의 점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스위치(20)로 구성된 통전제어형 제어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에 오목부(12)가 형성되며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본체(11)와, 상기 오목부(12)를 덮어 가리도록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는 커버(17)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20)는 전원선이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케이스본체(11)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메인 스위치(20)와, 상기 메인 스위치(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각 전등(1)에 연결되는 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오목부(12)에 설치되어 커버(17)에 의해 은폐되는 복수개의 보조스위치(22)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스위치(21) 및 보조스위치(22)에 연결되어 보조스위치(22)가 전부 off 된 상태에서 메인스위치(21)가 on 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택내 배전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는 사용자가 메인스위치(21)를 조작하여, 점등 전체를 on-off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보조스위치(22)를 조작하여, 메인스위치(21)의 조작시 on-off 되는 전등(1)을 선택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자가 모든 보조스위치(22)를 off시킨 상태에서 메인스위치(21)를 on시킬 경우 경보장치(40)에 의해 경보가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메인스위치(21)가 고장난 것으로 오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전제어형 제어기구는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스위치(2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에 오목부(12)가 형성되며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본체(11)와, 상기 오목부(12)를 덮어 가리도록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는 커버(17)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20)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케이스본 체(11)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메인 스위치(20)와, 상기 메인 스위치(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각 전등(1)에 연결되는 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오목부(12)에 설치되어 커버(17)에 의해 은폐되는 복수개의 보조스위치(22)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1)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 통형상의 바디(13)와, 상기 바디(13)의 전면에 구비된 사각형의 덮개판(14)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스위치(21)는 덮개판(14)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오목부(12)는 메인스위치(21)가 결합되는 부위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17)는 덮개판(14)의 하측에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17)를 하측으로 밀어 오목부(12)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케이스본체(11)의 덮개판(14) 하단에는 상기 커버(17)가 결합되는 단차부(15)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15) 양측에는 상하방향의 장공(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7)의 배면에는 상기 장공(16)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편(18)이 돌출되어, 상기 커버(17)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17)는 상승시 덮개판(14)의 외부면과 연속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7)를 상승하였을 때, 케이스본체(11)에 별도의 커버(17)가 결합된 것이 육안으로 잘 판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스위치(21)는 입력단자가 전원선에 연결되어, on되었을 때 각 보조스위치(22)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메인스위치(21)를 조작하여, 각 보조스위치(22)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스위치(22)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각 보조스위치(22)의 출력단자에 전등(1)이 연결되어, 각각의 보조스위치(22)를 on-off 시키므로써, 각 보조스위치(22)에 연결된 전등(1)을 별도로 on-off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에는, 상기 메인스위치(21) 및 보조스위치(22)에 연결된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장치(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30)는 메인스위치(21)와 보조스위치(22)의 on-off 상태를 감지하여, 보조스위치(22)가 전부 off 된 상태에서 메인스위치(21)가 on 되면 상기 경보장치(4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메인스위치(21)와 보조스위치(22) 내부에는 도시안된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센서가 메인스위치(21)와 보조스위치(22) 내부에 구비된 전극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30)에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므로써, 제어부(30)가 메인스위치(21)와 보조스위치(22)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보장치(40)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소리신호 또는 음성멘트로 사용자에게 경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통전제어형 제어기구의 작용을 작용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커버(17)를 열고, 케이스본체(11)의 오목부(12)에 설치 된 보조스위치(22)를 on 또는 off 시킨 후 커버(17)를 닫고, 상기 메인스위치(21)를 on 시켜, 필요한 전등(1)을 점등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이 다른 전등(1)을 끄거나 켜고자 할때는 보조스위치(22)를 선택적으로 on 또는 off 시키므로써, 필요한 전등(1)만을 끄거나 켤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수로 보조스위치(22)를 전부 off 상태로 설정한 후, 메인스위치(21)를 on 시키면, 상기 제어부(30)가 이를 감지하여 경보장치(40)를 작동시키므로써, 사용자에게 보조스위치(22)가 전부 off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스위치(21)만 on-off 시키므로써, 필요한 전등(1)을 한꺼번에 켜거나 끌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보조스위치(22)를 조작하여, on 시킬 전등(1)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등(1)이 한꺼번에 점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모든 보조스위치(22)를 off 시킨 상태에서, 메인스위치(21)를 on시키면, 상기 경보장치(40)가 경보음을 출력하므로, 메인스위치(21)를 on시켜도 전등(1)이 점등되지 않아서 사용자가 전등(1) 또는 통전제어형 제어기구의 고장으로 오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제어형 제어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제어형 제어기구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제어형 제어기구의 회로도이다.

Claims (1)

  1.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스위치(20)로 구성된 통전제어형 제어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에 오목부(12)가 형성되며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스본체(11)와, 상기 오목부(12)를 덮어 가리도록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는 커버(17)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20)는 전원선이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케이스본체(11)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메인 스위치(20)와, 상기 메인 스위치(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각 전등(1)에 연결되는 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오목부(12)에 설치되어 커버(17)에 의해 은폐되는 복수개의 보조스위치(22)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스위치(21) 및 보조스위치(22)에 연결되어 보조스위치(22)가 전부 off 된 상태에서 메인스위치(21)가 on 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주택내 배전선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
KR1020070080785A 2007-08-10 2007-08-10 공동주택내 배전선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 KR10079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785A KR100798872B1 (ko) 2007-08-10 2007-08-10 공동주택내 배전선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785A KR100798872B1 (ko) 2007-08-10 2007-08-10 공동주택내 배전선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872B1 true KR100798872B1 (ko) 2008-01-29

Family

ID=3921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785A KR100798872B1 (ko) 2007-08-10 2007-08-10 공동주택내 배전선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8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211Y1 (ko) 2000-11-21 2001-04-16 박형식 스위치유니트
KR100527369B1 (ko) 2003-07-11 2005-11-09 윤흥식 스위치커버의 비상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211Y1 (ko) 2000-11-21 2001-04-16 박형식 스위치유니트
KR100527369B1 (ko) 2003-07-11 2005-11-09 윤흥식 스위치커버의 비상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449B1 (ko) 스위치 및 부하 제어 시스템
US5833350A (en) Switch cover plate providing automatic emergency lighting
KR20050007738A (ko) 스위치커버의 비상조명장치
US9554451B2 (en) Wallmount dual beam sensing device
JP2006234526A (ja) 光信号式スイッチ装置、照明装置及び配線器具
KR100798872B1 (ko) 공동주택내 배전선의 통전제어형 제어기구
US9832834B1 (en) Toilet seat lighting apparatus
KR100532591B1 (ko) 자동모드기능을 갖는 절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98876B1 (ko) 공동주택의 배전선 온오프 스위칭구조
KR100955244B1 (ko) 조명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
KR100454532B1 (ko) 절전스위치
KR200391718Y1 (ko) 댁내 조명 일괄 소등 스위치 구조
JP7089393B2 (ja) 警報器
JP2007200722A (ja) 人体検出型自動スイッチ
KR100869047B1 (ko) 다기능 재실관리 시스템용 스위치
KR20210026775A (ko) 조립식 화장실의 조명장치
JP2005242487A (ja) スイッチ器具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CN210136804U (zh) 一种接近感应背光键盘
KR100691840B1 (ko) 조명기구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공공주택의 전기배선구조
CN216389113U (zh) 一种开关面板
CA2329042A1 (en) Switch cover plate providing automatic emergency lighting
KR101266702B1 (ko) 실내용 도어 손잡이
KR20070057104A (ko) 자동 전등 제어 방법
JPH10284260A (ja) 保安灯および保安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