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549B1 -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549B1
KR100798549B1 KR1020060120094A KR20060120094A KR100798549B1 KR 100798549 B1 KR100798549 B1 KR 100798549B1 KR 1020060120094 A KR1020060120094 A KR 1020060120094A KR 20060120094 A KR20060120094 A KR 20060120094A KR 100798549 B1 KR100798549 B1 KR 10079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wire
rotating body
liqui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배상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54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선재의 표면에 응착된 액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액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는 내부에 선재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선재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노즐; 상기 선재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되어 그 내부에 상기 선재가 통과하는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노즐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적어도 상기 공기 노즐의 분출구 및 상기 회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선재로부터 제거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선재, 와이어, 전선, 액체, 물기, 제거

Description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on a wir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제거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제거장치의 하우징 내에서 선재로부터 액체가 제거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선재 10...공기분사장치
11...압축기 12...공기공급관
13...공기분사노즐 15...배출구
20...회전체 21...선재 배출구
22...선재 진입구 25...회전날개
30...하우징 33...베어링
35...배출구 37...배출관
본 발명은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선재의 표면에 응착된 액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액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제조업체, 제조 년도, 전선의 품명 및 규격 등이 각기 다르다. 따라서, 이를 식별하기 위하여 전선의 제조시, 절연체 표면에 제조업체, 제조 년도, 전선의 품명, 및 규격 등을 인쇄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공정에서, 전선의 절연체 표면에 일반적으로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수행하게 되는데, 인쇄과정에 전선의 절연체 표면에 물기가 존재할 경우, 인쇄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인쇄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전선의 절연체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선재(예컨대, 와이어나 전선)의 이송경로 상에 마른 헝겊이나 천을 설치하여 선재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헝겊이나 천에 물기가 누적되어 선재에 잔존하는 물기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선재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된 헝겊이나 천을 반복적으로 교환해야해 주었으나, 선재에 잔존하는 물기의 양에 따라, 헝겊이나 천이 젖어드는 시기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선재에 잔존하는 물기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재의 주변에서 선재로 압축공기를 분 사하거나, 선재의 이송경로 상에 흡입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선재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선재 이송속도가 빠르면, 선재에 존재하는 물기가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재에 잔존하는 물기를 빠르고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액체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는 내부에 선재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선재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노즐; 상기 선재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되어 그 내부에 상기 선재가 통과하는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노즐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적어도 상기 공기 노즐의 분출구 및 상기 회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선재로부터 제거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는 꼭지점이 상기 노즐의 분출구를 향하는 원뿔 또는 다각뿔 형태이다.
상기 회전체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은 양단부의 내경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꼭지점이 형성되는 일 단부의 내경의 크기가 그 타단부의 내경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는 그 외부에 복수의 회전날개를 더 구비하거나, 상기 회전체는 그 외부표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한다.
상기 배출구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제거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체제거장치는 공기분사장치(10), 회전체(20), 및 하우징(30)을 포함한다.
공기분사장치(10)는 외이어(1)의 표면 및 상기 회전체(20)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압축기(11), 공기공급관(12), 및 공기분사노즐(13)을 포함한다. 압축기(11)는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수단으로써 통상의 압축기(콤프레셔; compressor)가 채택된다. 공기공급관(12)은 상기 압축공기를 압축기(11)로부터 송기분사노즐(13)까지 이송시키는 관이다. 공기분사노즐(13)은 압축기(11)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높은 압력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좁은 배출구(15)를 구비한다. 또한, 공기분사노즐(13) 내부에는 상기 선재(1)가 연속적으로 통과하는데, 상기 배출구(15)는 선재(1)가 공급되는 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나아가, 공기분사노즐(13)의 적어도 상기 배출구(15)는 하우징(30) 내부에 마련되도록 설치된다.
회전체(20)는 하우징(30) 내부를 지나는 상기 선재(1)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며, 공기분사노즐(13)의 배출구(15)에서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체(20)는 원뿔이나 다각뿔의 형태이며, 그 내부에는 원뿔이나 다각뿔의 상기 꼭지점부터 밑면까지 상기 선재(1)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꼭지점이 형성되는 부분의 입구는 선재 배출구(21)로 정의하고, 상기 밑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선재 진입구(22)로 정의한다. 그리고, 선재 배출구(21)는 공기분사노즐(13)의 배출구(15)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회전체(20)는 그 외부에 회전날개(25)를 구비한다. 회전날개(25)는 공기분사노즐(13)의 배출구(15)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인가받아 회전체(20)를 회전운동시킨다.
상기 회전날개(25)에 대한 대안으로써, 회전체(20)는 외부 표면에 나선형 홈을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분사노즐(13)의 배출구(15)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나선형 홈으로 유입되어 회전체(20)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은 선재 배출구(21)로부터 선재 진입구(22)까지 그 내경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20) 내벽의 구조 는 상기 액체를 외부로 이탈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압축공기에 의하여 선재(1)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액체는 회전체(20)의 내벽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체(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액체는 원심력에 의하여 내벽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체의 내벽으로부터 이탈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하우징(30)은 선재(1) 및 상기 선재(1)가 이송되는 경로 상에 마련되어 공기분사노즐(13)의 적어도 상기 배출구(15) 및 회전체(20)를 수용한다.
또한, 하우징(30)은 상기 회전체(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3)를 구비한다. 고정부재(33)는 회전체(20)를 고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부재로써,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이 채택될 수 있다. 고정부재(33)는 선재(1)가 인입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회전체(20)의 선재 진입구(22)의 외측을 고정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부재(33)를 베어링으로 예시하고, 상기 고정부재(33)가 회전체(20)의 선재 진입구(22)의 외측을 고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33)는 회전체(20)가 안정적으로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20)를 고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나아가, 하우징(30)은 선재(1)로부터 분리된 상기 액체를 모아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배출구(35) 및 배출관(37)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요소 및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선재의 표면에 붙은 액체가 제거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선재(1)는 도면 상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공기분사장치(10)는 배출구(15)를 통해 압축공기를 지속적으로 배출하고 있다. 배출된 상기 압축공기는 회전체(20)의 회전날개(25)로 소정의 힘을 인가하고, 이로 인하여 회전체(20)는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2a 참조).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표면에 액체가 응착된 선재(1)가 액체제거장치의 하우징(30) 내부로 진입하여 회전체(20)의 선재 진입구(22)를 통해 회전체(20)의 내벽에 접하게 된다(도 2b 참조). 그러면, 상기 액체는 선재 배출구(21)를 통해 진입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1차적으로 선재(1)로부터 분리되어 회전체(20)의 내벽에 응착된다. 회전체(20)의 내벽에 응착된 상기 액체는 회전체(20)가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선재 배출구(21)가 마련된 방향으로부터 선재 진입구(22)가 마련된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2c 참조). 그리고, 상기 액체는 결국 선재 진입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 2d 참조).
한편, 외이어(1)로부터 1차적으로 분리된 후, 외이어(1)에 잔류하는 액체는 선재(1)가 이송됨에 따라, 선재 배출구(21)를 통과한다. 선재 배출구(21)를 통과한 상기 액체는 공기분사장치(10)는 배출구(15)에서 분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노즐의 배출구(15)로 진입하기 전에 선재(1)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에 의하여 선재(1)로부터 분리된 상기 액체는 중력에 의하여 도면의 하단부로 이동하고, 결국 배출구(35) 및 배출관(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를 통해 와이어 또는 전선 등의 표면에 응착된 액체(예컨대, 물)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또는 전선이 이송되는 속도를 빠르게 할 경우, 공기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저항이 커져 압축공기의 압력이 더 강해져 회전체가 더 빠르게 회전한다. 결국, 본 발명의 액체제거장치는 와이어 또는 전선의 표면에 응착된 액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액체제거장치 따르면, 선재에 잔존하는 물기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빠르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선재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선재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노즐;
    상기 선재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되어 그 내부에 상기 선재가 통과하는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노즐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적어도 상기 공기 노즐의 분출구 및 상기 회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선재로부터 제거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꼭지점이 상기 노즐의 분출구를 향하는 원뿔 또는 다각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은 양단부의 내경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꼭지점이 형성되는 일 단부의 내경의 크기가 그 타단부의 내경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그 외부에 복수의 회전날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그 외부표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KR1020060120094A 2006-11-30 2006-11-30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KR10079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094A KR100798549B1 (ko) 2006-11-30 2006-11-30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094A KR100798549B1 (ko) 2006-11-30 2006-11-30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549B1 true KR100798549B1 (ko) 2008-01-28

Family

ID=3921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094A KR100798549B1 (ko) 2006-11-30 2006-11-30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5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0108A (zh) * 2012-08-16 2012-12-12 兴乐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表面高效去水装置
CN112635134A (zh) * 2020-12-10 2021-04-09 湖南鑫亿电缆有限公司 一种电线电缆加工用风干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85A (en) 1979-06-15 1981-01-06 Nippon Kinzoku Kogyo Kk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 wire having improved degreasing process
JPH04141567A (ja) * 1990-09-28 1992-05-15 Fujikura Ltd 液状付着物の除去装置
JPH09300200A (ja) * 1996-05-17 1997-11-25 Tokyo Seimitsu Co Ltd ワイヤソーのワイヤ洗浄装置
KR200159769Y1 (ko) 1997-06-02 1999-11-01 황성박 와이어 도금용 에어 와이퍼
KR200180037Y1 (ko) 1999-10-26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선재 표면 스케일 제거 및 권취 파이프 냉각용공기분사장치
KR20030035458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기의 습식 집진 출구가이드
JP2003147560A (ja) 2001-11-14 2003-05-21 Tokusen Kogyo Co Ltd 走行線状材の液切り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85A (en) 1979-06-15 1981-01-06 Nippon Kinzoku Kogyo Kk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 wire having improved degreasing process
JPH04141567A (ja) * 1990-09-28 1992-05-15 Fujikura Ltd 液状付着物の除去装置
JPH09300200A (ja) * 1996-05-17 1997-11-25 Tokyo Seimitsu Co Ltd ワイヤソーのワイヤ洗浄装置
KR200159769Y1 (ko) 1997-06-02 1999-11-01 황성박 와이어 도금용 에어 와이퍼
KR200180037Y1 (ko) 1999-10-26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선재 표면 스케일 제거 및 권취 파이프 냉각용공기분사장치
KR20030035458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기의 습식 집진 출구가이드
JP2003147560A (ja) 2001-11-14 2003-05-21 Tokusen Kogyo Co Ltd 走行線状材の液切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0108A (zh) * 2012-08-16 2012-12-12 兴乐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表面高效去水装置
CN112635134A (zh) * 2020-12-10 2021-04-09 湖南鑫亿电缆有限公司 一种电线电缆加工用风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1316C (zh) 手干燥装置
JP6492225B2 (ja) 改良型スプレーガン洗浄装置
WO2010024062A1 (ja) 基板洗浄方法および基板洗浄装置
JP6173404B2 (ja) 除塵ノズル及び除塵装置
US10607863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0792596B1 (ko) 마른고추 세척장치
KR100798549B1 (ko) 선재 표면의 액체제거장치
JP5461348B2 (ja) イオン生成装置
WO2005016593A1 (ja) 切粉除去方法及び切粉除去用エアーブローノズル
JP2017183472A (ja) チャンバ洗浄装置およびチャンバ洗浄方法
JP2008279401A (ja) ライニング配管内の洗浄方法及び洗浄具
US20140251539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CN109311065B (zh) 旋转喷嘴构造集尘系统
JP4915496B2 (ja) 排水管のクリーニング装置におけるクリーニング補助具
KR20210093500A (ko) 다중 흡입구를 갖는 드라이 타입 초음파 클리너
JP2013165291A (ja) 基板洗浄方法および基板洗浄装置
JP2007330947A5 (ko)
KR101332700B1 (ko) 마이크로 드릴비트 세척장치용 드릴비트 세척기
KR101387983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이송벨트 청결장치
US7946298B1 (en) Paint bell cup cleaning device and method
KR101003969B1 (ko)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제트수류 회수 장치
KR101318493B1 (ko) 스핀 린스 드라이 장치
JP3706566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液切り乾燥装置
KR101605373B1 (ko) 집진기 여과포 탈진장치
JP6750779B2 (ja) 気体吐出用ノズル及び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