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680B1 -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680B1
KR100796680B1 KR1020020026792A KR20020026792A KR100796680B1 KR 100796680 B1 KR100796680 B1 KR 100796680B1 KR 1020020026792 A KR1020020026792 A KR 1020020026792A KR 20020026792 A KR20020026792 A KR 20020026792A KR 100796680 B1 KR100796680 B1 KR 10079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band
coil support
element coil
proof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960A (ko
Inventor
우덕진
오형석
양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680B1/ko
Priority to US10/401,885 priority patent/US6924591B1/en
Publication of KR2003008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limiting effects of implosion of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크랙에 의한 벌브의 폭축시 유리의 비산을 방지하고, 소자 코일 설치를 위한 소자코일 지지부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방폭 밴드는 페이스 패널의 스커트부 외주면을 감싸며, 화면의 단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장변부와, 화면의 장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단변부 및 장변부와 단변부를 연결하는 네곳의 코너부로 이루어지는 밴드 본체와; 밴드 본체의 장, 단변부에서 밴드 본체로부터 상승 변형되고, 밴드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대향 형성하여 이 개구를 통해 소자 코일을 지지하는 소자코일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가 해당 소자코일 지지부에서 밴드 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음극선관, 방폭밴드, 벌브, 소자코일, 페이스패널, 펀넬, 넥크부, 소자

Description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EXPLOSION PROOF BAND AND CATHODE RAY TUBE THEREWITH}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방폭 밴드가 장착된 음극선관 벌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극선관 벌브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방폭 밴드에 소자 코일이 설치된 음극선관 벌브의 부분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
도 6∼도 8은 도 2에 도시한 방폭 밴드에 소자 코일을 설치하는 여러 구성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방폭 밴드가 장착된 음극선관 벌브의 부분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Ⅲ-Ⅲ선 단면도.
도 11∼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방폭 밴드에 소자 코일을 설치하는 여러 구성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 벌브의 사시도.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브의 폭축시 유리의 비산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자 코일 설치를 위한 소자코일 지지부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 내부에는 전자총에서 방출된 세줄기 전자빔이 형광 스크린의 해당 R, G, B 형광체에 도달하도록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 및 이 섀도우 마스크를 고정 지지하는 마스크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색선별 장치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 경로를 지자계로부터 차폐시키는 인너 실드와 같은 금속 부품들이 장착된다.
이러한 금속 부품들은 지자계에 의해 자화되어 그 주변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며, 이 자기장이 벌브 내부를 진행하는 전자빔의 경로를 변화시켜 전자빔이 지정된 형광체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른바 미스랜딩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음극선관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브(1) 외주면에 소자 코일(3)을 설치하고, 음극선관이 켜질 때마다 3∼4초간 소자 코일(3)에 소자용 전류를 공급하여 이전 음극선관 동작시 금속 부품 내부에 착자된 자화 상태를 제거하는 소자(degauss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음극선관 벌브(1)의 외주면, 특히 페이스 패널(5)의 스커트부(5a) 외주면으로는 벌브(1)에 일정한 압축력을 가하는 방폭 밴드(7)가 장착되어 크랙에 의 한 벌브(1)의 폭축시 유리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음극선관 구성에 있어서, 최근에는 방폭 밴드(7)를 이용하여 소자 코일(3)을 설치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미국 특허번호 제 5,057,929호와 제 5,181,123호가 방폭 밴드의 외주 상에 다수의 돌출 탭 또는 클립 수납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소자 코일을 설치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돌출 탭 또는 클립 수납부는 통상의 펀칭(punching) 또는 피어싱(piercing) 가공으로 제작되므로, 돌출 탭 또는 클립 수납부의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버(burr)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한 돌출 탭 또는 클립 수납부가 형성된 방폭 밴드를 이용하여 소자 코일을 설치하면, 상기 버가 작업자나 소자 코일 절연체에 손상을 주게 되며, 특히 벌브와 접촉하는 부위에 날카로운 버가 형성되면, 상기 버가 벌브 표면을 긁어 벌브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벌브가 파열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폭 밴드는 소자 코일의 장착 조건이 바뀜에 따라 돌출 탭 또는 클립 수납부의 위치를 변경시켜야 하는 등, 소자 코일의 장착 조건에 따라 방폭 밴드의 형상에 변화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소자 코일의 다양한 설치 조건을 만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나 소자 코일 또는 벌브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한가지 사양으로 다양한 소자 코일 설치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페이스 패널의 스커트부를 감싸는 밴드 본체의 장, 단변부에서 밴드 본체로부터 상승 변형되고, 밴드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대향 형성하여 이 개구를 통해 소자 코일을 지지하는 소자코일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가 해당 소자코일 지지부에서 밴드 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는 방폭 밴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삼각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굽힘되어 페이스 패널에 대향하는 전면 경사부와, 넥크부에 대향하는 후면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전면 경사부와 후면 경사부의 경계선에서 스커트부 표면으로부터 최대의 상승 높이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는 넥크부에 대향하는 밴드 본체의 일끝단이 스커트부 표면으로부터 최대의 상승 높이를 갖도록 밴드 본체로부터 굽힘된 경사부로 이루어진다.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방폭 밴드는 작업자나 소자 코일 및 벌브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소자코일 지지부에 다수의 개구를 연속으로 구비함에 따라 소자 코일을 다양한 설치 조건으로 용이하게 설치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방폭 밴드가 장착된 음극선관 벌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극선관 벌브의 부분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 벌브(2)는 내면에 형광 스크린(미도시)이 형성된 페이스 패널(4)과, 내부에 전자총(6)이 장착된 넥크부(8)와, 페이스 패널(4)과 넥크부(8)를 연결하는 펀넬(10)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내부는 10-7 토르(torr) 정도의 고진공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음극선관 벌브(2)에는 페이스 패널(4)의 스커트부(4a) 외주면으로 방폭 밴드(12)가 장착되는데, 상기 방폭 밴드(12)는 비가열 상태에서 내주면의 둘레 길이가 스커트부(4a)의 외주면 둘레 길이보다 약간 작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방폭 밴드(12)를 가열시킨 상태에서 스커트부(4a) 외주면에 끼우고 이를 식히면, 방폭 밴드(12)가 수축하면서 벌브(2)에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한 방폭 밴드(12)는 다음에 설명하는 소자코일 지지부(18)를 통해 작업자나 소자 코일 및 벌브(2)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소자 코일이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폭 밴드(12)는 스커트부(4a) 형상에 대응하여 화면의 단축 방향(도면의 Y축)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장변부(16a)와, 화면의 장축 방향(도면의 X축)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단변부(16b)와, 장변부(16a)와 단변부(16b)를 연결하는 네곳의 코너부(16c)로 이루어지는 밴드 본체(16)와, 밴드 본체(16) 중 이어(14)가 부착되는 네곳의 코너부(16c)를 제외한 밴드 본체의 장, 단변부(16a, 16b)에 구비되며 소자 코일 설치를 위한 다수의 개구(20, 22)를 갖는 소자코일 지지부(18)를 포함한다.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18)는 밴드 본체의 장, 단변부(16a, 16b)에서 방폭 밴드(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밴드 본체(16)의 일부가 도시하지 않은 성형틀에 의해 대략 삼각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굽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소자코일 지지부(18)는 페이스 패널(4)에 대향하는 전면 경사부(18a)와, 넥크부(8)에 대향하는 후면 경사부(18b)로 이루어지며, 전면 경사부(18a)와 후면 경사부(18b)의 경계선에서 스커트부(4a) 표면으로부터 도 3에서 H로 표시된 최대의 상승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전, 후면 경사부(18a, 18b)에는 방폭 밴드(12)의 폭 방향(도면에서 Z축)을 따라 제 1, 2개구(20, 22)가 대향 형성되어 소자 코일 지지를 위한 고정 부재(미도시)가 소자코일 지지부(18)를 관통하도록 하며, 이들 제 1, 2개구(20, 22)는 방폭 밴드(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속으로 구비된다.
특히 전, 후면 경사부(18a, 18b)에 각기 형성되는 제 1, 2개구(20, 22)는 서로 대칭으로 형상과 치수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제 1, 2개구(20, 22)는 방폭 밴드(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L1의 장변 길이와, 방폭 밴드(12)의 폭 방향(도면의 Z축)을 따라 W1의 단변 폭을 갖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18)는 다음에 설명하는 6개의 수식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방폭 밴드(12)의 텐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안정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먼저, 밴드 본체의 장, 단변부(16a, 16b)에 구비되는 소자코일 지지부(18) 가운데 어느 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길이를 L2라 하고, 이 소자코일 지지부(18)에 형성된 제 1, 2개구(20, 22) 중 어느 한 개구의 장변 길이를 모두 더한 값을 ΣL1이라 하면, 상기 L1과 L2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0.1L2 < ΣL1 < 0.5L2
이것은 ΣL1의 값이 L2 길이의 50%를 초과하면 개구 가공시 방폭 밴드(12)의 변형을 초래하게 되고, ΣL1의 값이 L2 길이의 10% 미만이면 개구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아 소자 코일을 걸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전체 길이 ΣL2는 밴드 본체(16)의 둘레 길이(L3)와 같아도 무방하고, 이어(14)가 설치되는 밴드 본체(16)의 코너부(16c)는 구조적으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가공이 필요없기 때문에,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전체 길이 ΣL2는 밴드 본체(16) 둘레 길이(L3)의 50% 이상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전체 길이 ΣL2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0.5L3 < ΣL2 ≤1.0L3
한편, 밴드 본체(16)의 두께를 t라 할 때, 스커트부(4a) 표면에 대한 소자코 일 지지부(18)의 최대 상승 높이 H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H > 2.0t
이것은 스커트부(4a)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이격 거리(H)가 밴드 본체(16) 두께(t)의 2배 이상이 되어야 소자코일 지지를 위한 타이밴드 또는 고정 브라켓 등을 끼워넣을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1, 2개구(20, 22)의 단변 폭 W1은 스커트부(4a)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최대 상승 높이 H 및 밴드 본체(16)의 두께 t에 대하여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W1 < (H-2t)
이것은 스커트부(4a)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최대 상승 높이(H)에서 밴드 본체(16)의 두께(t)를 2배로 곱한 2t 와의 차이가 최소한 0보다 커야 제 1, 2개구(20, 22)의 단변 폭을 가공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폭 밴드(12)의 폭 방향(도면에서 Z축)에 따른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폭(W2)이 스커트부(4a)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최대 상승 높이(H)보다 작으면,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형상이 날카롭게 되어 작업자 및 소자 코일의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폭 W2와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최대 상승 높이 H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W2 ≥H
마지막으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후면 경사부(18b)에서 넥크부(8)에 대향하는 방폭 밴드(12) 끝단 사이의 폭 W3은 밴드 본체(16)의 두께 t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W3 > 2t
이것은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후면 경사부(18b)에서 넥크부(8)에 대향하는 방폭 밴드(12) 끝단 사이의 폭 W3이 최소한 밴드 본체(16)의 두께 t보다 2배 이상이 되어야 소자코일 지지부(18) 가공후,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후면 경사부(18b)가 스커트부(4a) 표면에서 떨어지지 않아 날카로운 버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도 8은 전술한 방폭 밴드에 소자 코일을 설치하는 여러 구성예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타이 밴드(24) 또는 고정 브라켓(26)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를 통해 방폭 밴드(12)에 소자 코일(28)을 설치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먼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 코일(28)을 전면 경사부(18a) 위에 위치시키고, 방폭 밴드(12)의 제 1, 2개구(20, 22)에 타이 밴드(24)를 관통시켜 소자 코일(28)을 묶음으로써 소자 코일(28)을 방폭 밴드(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 밴드 이외에 제 1, 2개구(20, 22)를 관통하는 고정 브라켓(26)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 브라켓(26)은 반원형의 고리부(26a)를 구비하여 소자 코일(28)을 걸어 지지하며, 고리부(26a)의 반대편에 고정 돌기(26b)를 구비하여 고정 브라켓(26)이 방폭 밴드(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 코일(28)을 후면 경사부(18b) 위에 위치시키고, 방폭 밴드(12)의 제 1, 2개구(20, 22)에 타이 밴드(24) 또는 전술한 구성의 고정 브라켓(26)을 끼워 넣어 방폭 밴드(12)에 소자 코일(28)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소자코일 지지부(18)에 방폭 밴드(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1, 2개구(20, 22)가 연속으로 구비됨에 따라, 소자 코일(28)을 고정하는 타이 밴드(24) 또는 고정 브라켓(26)을 재가공하거나 변형시키는 일 없이 타이 밴드(24) 또는 고정 브라켓(26)의 설치 위치와 설치 간격 등을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방폭 밴드가 장착된 음극선관 벌브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소자코일 지지부(18')는 밴드 본체(16')의 장, 단변부에서 넥크부에 대향하는 밴드 본체(16')의 일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굽힘된 단일의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18')는 넥크부에 대향하는 끝단에서 스커트부(4a) 표면으로부터 H'로 표시된 최대의 상승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소자코일 지지부(18')에는 방폭 밴드(12')의 폭 방향(도면의 Z축)을 따라 제 3, 4개구(30, 32)가 대향 형성되는데, 특히 제 4개구(32)는 넥크부에 대향하는 일측 장변이 개방된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 4개구(30, 32)는 방폭 밴드(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L4의 장변 길이를 가지며, 방폭 밴드(12')의 폭 방향(도면에서 Z축)을 따라 각각 W4의 단변 폭과 W5의 단변 폭을 갖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3, 4개구(30, 32)는 소자코일 지지부(18')에서 방폭 밴드(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소자 코일의 다양한 설치 조건을 만족하도록 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의한 방폭 밴드(12')는 다음에 설명하는 5개의 수식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소자코일 지지부(18')가 방폭 밴드(12')의 텐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안정한 형태를 취하도록 한다.
먼저, 밴드 본체(16')의 장, 단변부에 구비되는 소자코일 지지부(18') 가운데 어느 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길이를 L5라 하고, 이 소자코일 지지부(18')에 형성된 제 3, 4개구(30, 32) 중 어느 한 개구의 장변 길이를 모두 더한 값을 ΣL4라 하면, 상기 L4와 L5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0.1L5 < ΣL4 < 0.5L5
이것은 ΣL4의 값이 L5 길이의 50%를 초과하면 개구 가공시 방폭 밴드(12')의 변형을 초래하게 되고, ΣL4의 값이 L5 길이의 10% 미만이면 개구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아 소자 코일을 걸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전체 길이 ΣL5는 밴드 본체(16')의 둘레 길이(L6)와 같아도 무방하고, 이어가 설치되는 밴드 본체의 코너부는 구조적으로 소 자코일 지지부(18')의 가공이 필요없기 때문에,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전체 길이 ΣL5는 밴드 본체(16') 둘레 길이(L6)의 50% 이상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전체 길이 ΣL5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0.5L6 < ΣL5 < 1.0L6
한편, 밴드 본체(16')의 두께를 t'라 할 때, 스커트부(4a)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최대 상승 높이 H'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2.0t' < H' < 10.0t'
이것은 스커트부(4a)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이격 거리 H'가 밴드 본체(16') 두께(t')의 2배 이상이 되어야 소자 코일 지지를 위한 타이 밴드 또는 고정 브라켓 등을 끼워넣을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밴드 본체(16') 두께(t')의 10배 이상이 되면 소자코일 지지부(18')의 높이가 너무 높아 캐비넷과의 간섭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3개구(30)의 단변 폭(W4)과 제 4개구(32)의 단변 폭(W5) 및 스커트부(4a)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최대 상승 높이 H'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W4 ≥W5, W4 ≤H'
이것은 제 3개구(30)의 단변 폭(W4)이 소자 코일 지지를 위한 타이 밴드 또 는 고정 브라켓 등을 끼워넣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제 4개구(32)의 단변 폭(W5)은 타이 밴드를 고정시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것이므로, 최소한 제 3개구(30)의 단변 폭(W4)은 제 4개구(32)의 단변 폭(W5)과 같거나 커야 하고, 제 4개구(32)의 단변 폭(W5)은 스커트부(4a)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최대 상승 높이 H'와 같거나 작아야 소자코일 지지부(18')의 강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방폭 밴드(12')의 폭 방향(도면에서 Z축)에 따른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폭(W6)은 방폭 밴드(12')의 전체 폭(W7)에 대하여 방폭 밴드(12')의 텐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0.1W7 ≤W6 ≤0.3W7
이것은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폭(W6)이 방폭 밴드(12') 전체 폭(W7)의 30%를 초과하면 방폭 밴드(12')의 강도가 저하되고, 만일 방폭 밴드(12')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방폭 밴드(12')의 전체 폭(W7)을 넓힐 경우 재료의 손실율이 증가하여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또한,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폭(W6)이 방폭 밴드(12') 전체 폭(W7)의 10% 미만이면, 소자코일 지지부(18')의 폭이 너무 좁아 소자코일 지지부(18')의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도 11∼도 14는 전술한 방폭 밴드에 소자 코일을 설치하는 여러 구성예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 코일(28)을 소자코일 지지부(18') 상단에 위치시키고, 제 3, 4개구(30, 32)에 타이 밴드(24) 또는 고정 브라켓(26)을 끼워 넣어 소자 코일(28)을 방폭 밴드(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 코일(28)을 소자코일 지지부(18') 하단에 위치시키고, 제 3, 4개구(30, 32)에 타이 밴드(24) 또는 고정 브라켓(26)을 끼워 넣어 소자 코일(28)을 방폭 밴드(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소자코일 지지부(18')에 다수의 제 3, 4개구(30, 32)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소자 코일(28)을 고정하는 타이 밴드(24) 또는 고정 브라켓(26)을 재가공하거나 변형시키는 일 없이 타이 밴드(24) 또는 고정 브라켓(26)의 설치 위치와 설치 간격 등을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폭 밴드에 구비된 소자코일 지지부는 작업자나 소자 코일 및 벌브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소자코일 지지부에 다수의 개구가 연속으로 구비됨에 따라, 방폭 밴드의 설계 변형 없이 소자 코일을 다양한 조건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21)

  1. 페이스 패널의 스커트부 외주면을 감싸며, 화면의 단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장변부와, 화면의 장축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단변부 및 장변부와 단변부를 연결하는 네곳의 코너부로 이루어지는 밴드 본체와;
    상기 밴드 본체의 장, 단변부에서 밴드 본체로부터 상승 변형되고, 밴드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대향 형성하여 이 개구를 통해 소자 코일을 지지하는 소자코일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가 해당 소자코일 지지부에서 밴드 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방폭 밴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삼각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굽힘되어 페이스 패널에 대향하는 전면 경사부와, 넥크부에 대향하는 후면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전면 경사부와 후면 경사부의 경계선에서 스커트부 표면으로부터 최대의 상승 높이를 갖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의 전, 후면 경사부에 방폭 밴드의 폭 방향으로 제 1, 2개구가 대향 형성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개구가 방폭 밴드의 원주 방향에 따른 장변과, 방폭 밴드의 폭 방향에 따른 단변을 갖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방폭 밴드의 폭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제1, 2 개구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0.1L2 < ΣL1 < 0.5L2
    여기서, L2는 방폭 밴드의 원주 방향에 따른 어느 한 소자코일 지지부의 길이를 나타내고, L1은 이 소자코일 지지부에 형성된 어느 한 개구의 장변 길이를 나타내며, ΣL1은 이 소자코일 지지부에 형성된 제 1, 2개구 중 어느 한 개구의 장변 길이를 모두 더한 값을 나타낸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0.5L3 < ΣL2 < 1.0L3
    여기서, L3은 밴드 본체의 둘레 길이를 나타내고, ΣL2는 방폭 밴드의 원주 방향에 따른 소자코일 지지부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H > 2.0t
    여기서, H는 스커트부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의 최대 상승 높이를 나타내고, t는 밴드 본체의 두께를 나타낸다.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W1 < (H-2t)
    여기서, W1은 방폭 밴드의 폭 방향에 따른 제 1, 2개구의 단변 폭을 나타내고, H는 스커트부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의 최대 상승 높이를 나타내며, t는 밴드 본체의 두께를 나타낸다.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W2 ≥H
    여기서, W2는 방폭 밴드의 폭 방향에 따른 소자코일 지지부의 폭을 나타내고, H는 스커트부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의 최대 상승 높이를 나타낸다.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의 후면 경사부와 넥크부에 대향하는 방폭 밴드 끝단 사이의 폭을 W3라 할 때,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W3 ≥2t
    여기서, t는 밴드 본체의 두께를 나타낸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넥크부에 대향하는 밴드 본체의 일끝단이 스커트부 표면으로부터 최대의 상승 높이를 갖도록 밴드 본체로부터 굽힘된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에 방폭 밴드의 폭 방향을 따라 제 3, 4개구가 대향 형성되고, 제 4개구가 일측이 개방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4개구가 방폭 밴드의 원주 방향에 따른 장변과, 방폭 밴드의 폭 방향에 따른 단변을 갖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0.1L5 < ΣL4 < 0.5L5
    여기서, L5는 방폭 밴드의 원주 방향에 따른 어느 한 소자코일 지지부의 길이를 나타내고, L4은 이 소자코일 지지부에 형성된 어느 한 개구의 장변 길이를 나타내며, ΣL4은 이 소자코일 지지부에 형성된 제 3, 4개구 중 어느 한 개구의 장변 길이를 모두 더한 값을 나타낸다.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0.5L6 < ΣL5 < 1.0L6
    여기서, L6은 밴드 본체의 둘레 길이를 나타내고, ΣL5는 방폭 밴드의 원주 방향에 따른 소자코일 지지부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2.0t' < H' < 10.0t'
    여기서, H'는 스커트부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의 최대 상승 높이를 나타내고, t'는 밴드 본체의 두께를 나타낸다.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W4 ≥W5, W4 ≤H'
    여기서, W4는 방폭 밴드의 폭 방향에 따른 제 3개구의 단변 폭을 나타내고, W5는 방폭 밴드의 폭 방향에 따른 제 4개구의 단변 폭을 나타내며, H'는 스커트부 표면에 대한 소자코일 지지부의 최대 상승 높이를 나타낸다.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방폭 밴드.
    0.1W7 ≤W6 ≤0.3W7
    여기서, W6은 방폭 밴드의 폭 방향에 따른 소자코일 지지부의 폭을 나타내고, W7은 방폭 밴드의 전체 폭을 나타낸다.
  19. 내면에 형광 스크린이 형성된 페이스 패널과, 내부에 전자총이 장착된 넥크부와, 페이스 패널과 넥크부를 연결하는 펀넬이 일체로 결합된 벌브와;
    상기 페이스 패널의 스커트부 외주면에 부착되는 밴드 본체와, 밴드 본체의 장, 단변부에서 밴드 본체로부터 상승 변형되고, 밴드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대향 형성함과 아울러, 밴드 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개구를 연속으로 형성하는 소자코일 지지부를 구비하는 방폭 밴드와;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의 개구를 관통하는 고정 부재를 통해 벌브 외주면과 방폭 밴드의 임의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소자 코일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방폭 밴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삼각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굽힘되어 페이스 패널에 대향하는 전면 경사부와, 넥크부에 대향하는 후면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전면 경사부와 후면 경사부의 경계선에서 스커트부 표면으로부터 최대의 상승 높이를 갖는 음극선관.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코일 지지부가 넥크부에 대향하는 밴드 본체의 일끝단이 스커트부 표면으로부터 최대의 상승 높이를 갖도록 밴드 본체로부터 굽힘된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
KR1020020026792A 2002-05-15 2002-05-15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KR100796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792A KR100796680B1 (ko) 2002-05-15 2002-05-15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US10/401,885 US6924591B1 (en) 2002-05-15 2003-03-31 Implosion preventing band and cathode ray tub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792A KR100796680B1 (ko) 2002-05-15 2002-05-15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960A KR20030088960A (ko) 2003-11-21
KR100796680B1 true KR100796680B1 (ko) 2008-01-21

Family

ID=3238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792A KR100796680B1 (ko) 2002-05-15 2002-05-15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24591B1 (ko)
KR (1) KR100796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252A (ko) * 2005-03-04 2006-09-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65U (ko) * 1998-12-19 2000-07-05 전주범 텔레비젼의 브라운관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1790A (ja) * 1987-03-11 1988-09-14 Sony Corp 陰極線管
US5057929A (en) 1988-09-30 1991-10-1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having implosion band with raised tabs and method
US5181123A (en) 1991-03-29 1993-01-1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athode-ray tube having a shrinkfit implosion protection band with tension limiting means
US5416595A (en) * 1993-04-29 1995-05-16 Sony Electronic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degaussing coil
US5347367A (en) * 1993-05-03 1994-09-1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athode-ray tube having implosion protection means with openings
US5606377A (en) * 1995-10-10 1997-02-2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RT having an implosion protection band with bracke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665U (ko) * 1998-12-19 2000-07-05 전주범 텔레비젼의 브라운관 고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12665호(2000.07.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24591B1 (en) 2005-08-02
KR20030088960A (ko)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0860B2 (ja) ブラケットを備えた内破保護バンドを有する陰極線管
KR100796680B1 (ko)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KR970008559B1 (ko) 개구부를 갖는 내파 보호 수단을 구비한 음극선관
KR100796681B1 (ko) 방폭 밴드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JPH09115457A (ja) マスクフレームとインナーシールドのアセンブリ
HU226189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detensioning mask frame assembly
KR100675107B1 (ko) 음극선관의 밴드에 부착된 클립
KR200153201Y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싱 코일 고정장치
EP0104704A2 (en) Cathode ray tube with composite mounting structure
KR10044765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의 구조 및 제조방법
US6603251B1 (en) 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JP3275071B2 (ja) 磁気遮蔽装置を備えた平面カラー陰極線管
KR200153644Y1 (ko) 음극선관의 베이스캡
KR960003248Y1 (ko) 컬러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고정장치
US5736914A (en) Demagnetizing device for a cathode ray tube
US6757158B2 (en) Implosion resistant cathode ray tube with mounting lug having a compound bend
JP2000011912A (ja) 陰極線管の色選別機構
KR100786836B1 (ko) 음극선관
EP1367624B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0139640Y1 (ko) 음극선관용 이너실드
KR100208164B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 자기쉴드 결합구조
JPH02312143A (ja) 受像管
KR920001573Y1 (ko)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KR950003535Y1 (ko) 칼라브라운관용 판넬-훤넬 콘넥터
KR200156666Y1 (ko)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