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571B1 -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진화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진화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571B1
KR100796571B1 KR1020060075917A KR20060075917A KR100796571B1 KR 100796571 B1 KR100796571 B1 KR 100796571B1 KR 1020060075917 A KR1020060075917 A KR 1020060075917A KR 20060075917 A KR20060075917 A KR 20060075917A KR 100796571 B1 KR100796571 B1 KR 10079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tank
fire extinguishing
fresh water
mix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화
Priority to KR102006007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저류조내에 지하수 내지 하천수를 유입, 저장시키고, 이와 같이 저장된 청수를 혼화조를 통한 지연제와의 혼합과정을 통해 산불진화장비인 헬기에 안정적인 형태로 공급 가능케 함으로써, 산림, 문화재 및 기타 국가 중요시설물에 화재 등과 같은 긴급재난 발생시, 이를 초기에 진화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화재의 초기 진화작용에 따라 후손에게 물려줄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보다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생명과 재산 또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 격벽설치돌기(11)에 의해 그 상부면이 다수개의 면적 구성으로 분할된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을 기초적인 바닥구성으로 하여, 그 설치프레임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개별적 공간구성을 갖는 저류조와, 혼화조와, 유수분리조와, 기계실을 상호 일체화 구조로 더 구획 형성시킨 시스템 본체와;
상기 혼화조 상부측에 소정간격 이격된 구조로 설치되는 지연제 투입장치와;
상기 시스템 본체 일측면에 독립적 구조물 형태로 연계 설치되는 혼화액 저 장조를 구비토록 한 후;
이러한 일련의 시스템을 통해 청수 저장과정과, 청수 공급과정과, 지연제 투입과정과, 혼화액 저장과정과, 혼화액 공급과정과, 혼화액 정화과정을 행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Method and system for firefigh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의 평면 투시개략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혼화액 저장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 순서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설치프레임 2 : 저류조 3 : 혼화조
4 : 유수분리조 5 : 기계실 6 : 지연제 투입장치
7 : 혼화액 저장조 100 : 시스템 본체
본 발명은 화재 진화제 혼합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림, 문화재 및 기타 국가 중요시설물에 화재 등과 같은 긴급재난 발생시, 이를 초기에 진화가능하도록 하여 후손에게 물려줄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보다 안전하게 보존할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의 생명과 재산 또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는 국토 면적의 2/3가 산림으로 덮여 있는 명실상부(名實相符)한 산림국가으로써, 오늘날 지하 자원이 부족한 우리 나라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러한 산림 자원은 매우 중요한 부존 자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산림 자원은 그 속에 나무뿐만 아니라 풀과 곤충, 그리고 야생 동물을 포함하고 있어 그야말로 매우 포괄적인 형태의 자연 자원이라 볼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산림은 대기정화, 수자원 함양, 토사유출방지, 야생 동물 보전 및 기타 보건 휴양 등,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결정적 기여를 행하고 있음이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국민생활 수준 향상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인해 산을 찾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산불발생의 문제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음이 오늘날의 현실인바;
이에, 이와 같은 대부분의 산불발생 원인은 사람의 실수(등산객의 담배불, 논/밭 두렁의 소각 등)로 인해 야기(惹起)되는 것이 95%를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며, 아울러 이러한 산불발생의 계절적인 추이(推移)를 살펴보면, 이는 주로 관계습도가 극히 낮은 봄 또는 가을철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나무와 숲이 울창하게 우거진 산림지역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그 나무와 숲이 연소되며 방출하는 고온의 방사열과 경사지(골짜기)로 이루어진 산림지역의 지형적 특성상, 산불 진화요원들이 화재발생지역으로의 접근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경우에 따라 진화복 등을 착용한 상태로 일부 화재발생지역에 접근이 허락된다 하더라도, 진화요원들이 구비하고 있는 일반적 형태의 산불진화장비는 삽, 괭이, 톱, 갈퀴 등과 같은 원시적인 장비에 불과하고, 다소 기술적으로 진보된 장비일 경우에 있어서도 소화약제를 살포하는 휴대용 압축분사펌프 내지 방화선 확보를 위한 휴대용 에어분사기 정도가 전부로써, 이는 개인적 휴대 관계를 갖는 산불진화장비와 그 진화해야 하는 산불발생 면적을 대비하여 볼 때, 수 많은 산불진화 인력을 동원해야 하는 등, 상당한 진화효율 저하의 폐단을 갖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인력 동원에 따른 진압효율의 저하로써, 산불의 확대면적이 예측을 불허할 정도로 광범위하고 대형화 되는 추세로 치닫게 될 수 밖에 없는 매우 심각한 문제를 발생되게 한다.
한편, 근래에는 현대적 방식을 갖는 또 다른 형태의 산불 진화장비로써, 산림지역의 지형적 특성 내지 진화인력 동원에 구애받음 없이 신속한 기동력을 발휘하여 보다 광범위한 면적의 산불발생지역을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한 산불 진화용 헬기가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산불진화용 헬기는 다량의 물을 산불발생지역 상공으로 운반한 후, 그 운반된 물을 낙하, 살포되게 하는 방식을 통해 산불을 진화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이에 산불발생지역 인근에 다량의 물공급이 가능한 담수시설, 즉 저수지나 하천 등이 반드시 인접해 있어야 하는 것이었으며, 만일 이러한 저수지나 하천 등이 인접해 있지 못할 경우에 있어서는 산불진화용 헬기가 물공급이 가능한 장소를 찾아 원거리를 이동해야만 하는 등, 상황에 따라서는 오히려 신속성과 기동성이 크게 저하되게 하는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산불진화용 헬기에 의해 운반 살포되는 진화제로서의 물은, 저수지나 하천 등에서 자연상태 그대로 공급되는 순수한 물 그 자체로써, 이에 광범위한 면적을 통해 거대한 화력으로 타오르는 산불을 단순히 이러한 물의 살포만을 통해 진화한다는 것은 상당히 무리가 따르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헬기가 갖고 있는 신속성과 기동성에 비하여 그 사용되는 진화제, 즉 순수 물에 의한 진화효율은 극히 저조할 밖에 없는 문제점을 그대로 상존되게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산불 등 화재 진화에 따른 일련의 제반시설 및 방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류조내에 지하수 내지 하천수를 유입, 저장시키고, 이와 같이 저장된 청수를 혼화조를 통한 지연제와의 혼합과정을 통해 산불진화장비인 헬기에 안정적인 형태로 공급 가능케 함으로써, 산림, 문화재 및 기타 국가 중요시설 물에 화재 등과 같은 긴급재난 발생시, 이를 초기에 진화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화재의 초기 진화작용에 따라 후손에게 물려줄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보다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인생명과 재산 또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담수시설(저수지,하천 등)이 근접해 있지 못한 산림지역 내지 주요 시설물 밀집지역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화재 진압 시설로써, 필요한 소화 물질(물과 지연재의 혼합액)의 공급을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산불진화 헬기의 원거리 이동을 예방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산불진화 헬기의 원거리 이동 예방에 따라 신속성과 기동성은 물론, 그로 인해 파급되는 경제적 효과 또한 극히 향상되도록 한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은;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 격벽설치돌기에 의해 그 상부면이 다수개의 면적 구성으로 분할된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을 기초적인 바닥구성으로 하여, 그 설치프레임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개별적 공간구성을 갖는 저류조와, 혼화조와, 유수분리조와, 기계실을 상호 일체화 구조로 더 구획 형성시킨 시스템 본체와;
상기 혼화조 상부측에 소정간격 이격된 구조로 설치되는 지연제 투입장치와;
상기 시스템 본체 일측면에 독립적 구조물 형태로 연계 설치되는 혼화액 저 장조를 구비토록 한 후;
이러한 일련의 시스템을 통해 청수 저장과정과, 청수 공급과정과, 지연제 투입과정과, 혼화액 저장과정과, 혼화액 공급과정과, 혼화액 정화과정을 행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의 평면 투시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의 요부 종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요부 횡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류조와 혼화조의 결합단면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혼화액 저장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의 설치상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 설치상태 측단면도로써,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설치프레임(1)을 기초구성으로 하여, 그 상부면에 저류조(2)와, 혼화조(3)와, 유수분리조(4)와, 기계실(5)로 이루어진 시스템 본체(100)를 형성하고, 이러한 시스템 본체(100)와 상호 연계되는 지연제 투입장치(6)와 혼화액 저장조(7)를 더 구비되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에 먼저, 상기 시스템 본체(100)를 형성하는 설치프레임(1)은 직사각 판상 체를 취하는 본 발명의 기초 구조물로써, 이는 콘크리트 타설 내지 철재조립 공정 등을 통해 구축되는 것인바, 따라서, 이러한 설치프레임(1)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2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면에 후술하는 저류조(2)와, 혼화조(3)와, 유수분리조(4)와, 기계실(5)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적 설비결합 수단, 즉 소정길이로 돌출된 격벽설치돌기(11)를 형성시켜, 설치프레임(1)의 상부면을 다수개의 면적으로 분할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 본체(100)를 이루는 저류조(2)는 청수(지하수 내지 하천수 등)를 충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는 사방면이 밀폐된 소정깊이의 공간구성을 취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저류조(2)는 그 내벽면 전체를 통상의 방수제를 이용하여 코팅처리하고, 상기 방수제가 코팅처리된 저류조(2) 중앙면에 도 2 또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단속커버(211)가 구비된 개방구(21)를 형성되게 하며, 상기 개방구(21)를 형성한 저류조(2) 내측 상부 일면에 수위감지세서(22)를 장착시키고, 재차 상기 저류조(2)의 외벽 일측면 상부로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유입펌프(23)와, 여과필터(24)가 구비된 청수유입배관(25)을 연결하며, 연속하여, 상기 저류조(2)의 외벽 타측면 하부에 강제공급펌프(26)가 구비된 청수공급배관(27)을 더 연결되게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저류조(2) 내벽면에 코팅처리되는 방수제는 통상의 도료형 방수제 또는 합성고분자 시트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 본체(100)를 이루는 혼화조(3)는 청수와 지연제를 혼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는 사방면이 밀폐된 소정깊이의 공간구성을 취하게 되는 것 인바, 이에 이와 같은 혼화조(3)는 내벽면 전체를 통상의 방수제를 이용하여 코팅처리하고, 방수제가 코팅처리된 혼화조(3) 상부 일측면에 도 2 또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단속커버(311)가 구비된 개방구(31)를 형성되게 하며, 상기 개방구(31)를 형성한 혼화조(3) 내측 상부 일면에 수위감지세서(32)를 장착시키고, 재차 상기 혼화조(3)의 외벽 일측면 상부로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저류조(2)의 구성인 청수공급배관(27)을 유입 연결되도록 하며, 연속하여, 상기 혼화조(3)의 외벽 타측면 하부에 강제배출펌프(33)가 구비된 혼화액배출배관(34)을 연결되도록 하고, 끝으로, 상기 혼화조(3)의 내측 저면부로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은 혼화조 교반브로워(35)를 더 연결 설치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화조(3) 내벽면에 코팅처리되는 방수제는 전술한 저류조(2)와 같이 통상의 도료형 방수제 또는 합성고분자 시트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 본체(100)를 이루는 유수분리조(4)는 잔류 혼화액을 정화처리하여 배출되게 하는 통상의 폐수정화 수단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유수분리조(4)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2단 분리구조로 구획된 소정깊이의 공간구성을 취하도록 한 후, 그 구획된 내벽면 전체에 통상의 방수제를 코팅처리하고, 상기 방수제가 코팅처리된 유수분리조(4)의 상부 중앙면에 도 3 또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단속커버(411)가 구비된 개방구(41)를 형성되게 하며, 이어 상기 개방구(41)를 형성한 2단 구조의 유수분리조(4) 내측 상부 일면에 각각 수위감지세서(42)를 장착시키고, 재차 상기 각 유수 분리조(4)의 외벽 일측면 상부로 후술하는 혼화액 저장조(7)로 부터 폐수를 공급받기 위해 구비된 수단, 즉 폐수유입배관(43)을 더 연결 설치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 본체(100)를 이루는 기계실(5)은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일종의 통제실 구성으로, 이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면이 밀폐된 소정깊이의 공간구성을 취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기계실(5)은 그 상부면 중앙에 도 2 또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출입을 유도하는 개폐도어(51)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도어(51)가 형성된 기계실(5) 내부로 시스템제어박스(도시생략)와, 각종 배관설비, 그리고 상기 배관설비를 제어하는 다수개의 배관제어밸브(V)가 설치되며, 재차 상기 배관설비를 통해 흐름되는 유체를 강제적으로 단속하는 다수개의 펌핑수단 더 내설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이때, 여기서 지칭하는 각종 배관설비라 함은 전술한 청수유입배관(25), 청수공급배관(27), 혼화액배출배관(34)을 말하는 것이며, 또한 다수개의 펌핑수단은 강제유입펌프(23), 강제공급펌프(26), 강제배출펌프(33)를 말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부연설명 및 부호의 표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지연제 투입장치(6)는 청수에 지연제를 첨가시켜 화재 가접 진화제 혼화물을 형성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지연제 투입장치(6)는 도 2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투입구(611)가 구비되고, 저면부에 배출구(612)가 구비된 소정용량의 지연제 저장탱크(61)를 형성하고, 상기 지연제 저장탱크(61) 하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를 갖는 자동 이송방식의 컨베이어 밸트(62)를 설치하며, 재차 상기 컨베이어벨트(62) 일측 하단에 투입호퍼(64)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연제 저장탱크 내부(61)로는 지연제가 충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지연제는 인체에 무해한 인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이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혼화액 저장조(7)는 청수와 지연제가 혼합된 혼화물을 화재 진화용 헬기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는 사방면이 밀폐된 소정깊이의 공간구성을 취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혼화액 저장조(7)는 사방면이 밀폐된 소정깊이의 공간구성으로써, 그 그 내벽면 전체를 통상의 방수제에 의해 코팅처리하고, 상기 방수제가 코팅처리된 혼화액 저장조(7) 상부면을 레일(71) 개폐방식에 의해 열림 및 닫힘되는 헬기접근도어(72)로 형성하며, 재차 상기 혼화액 저장조(7) 외벽 일측면 상부에 전술한 혼화조(3)로 부터 공급되는 혼화액배출배관(34)을 연결되게 하며, 연속하여, 상기 혼화액 저장조(7) 내측 저면부로 저장조 교반브로워(73)를 더 연결 설치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간접 진화제 혼합시스템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1)을 기초적인 바닥구성으로 하여, 그 설치프레임(1)의 상부면에 격벽설치돌기(11)에 다수개의 개별적 공간구성 형태로써, 저류조(2)와, 혼화조(3)와, 유수분리조(4)와, 기계실(5)로 구획 형성된 시스템 본체(100)를 구비되도록 하고;
이어, 상기 시스템 본체(100)의 혼화조(3) 상부측에 소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지연제 투입장치(6)를 설치시키며;
재차, 상기 시스템 본체(100) 일측면에 독립적 구조물 형태로써, 혼화액 저장조(7)를 더 연결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산불 간접 진화제 혼합시스템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결합관계에 있어, 설치프레임(1)의 격벽설치돌기(11)를 매개체로 하여 구획 형성되는 저류조(2)와, 혼화조(3)와, 유수분리조(4)와, 기계실(5)은 그 격벽설치돌기(11)와의 결합부위에 수팽창수지가 부설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수팽창수지는 토목, 건축 분야의 구조물 등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침수, 누수를 방지하고, 반영구적 지수성을 위해 이용되는 통상의 제품을 의미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시예의 시스템 본체(100)의 근접된 위치에 헬기세척장(8)을 구비시켜, 평소 헬기세척시 발생되는 오수를 유수분리조(4)내로 유입되게 하여 이를 정화처리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은 그 시스템 구성에 의해 또 다른 특징적인 형태의 진화제 제조방법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방법을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의 순서도로써, 그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최초, 강제유입펌프(23)에 의한 펌핑작용에 의해 저류조(2) 내부로 청수를 충진시키는 청수 저장과정(S1)을 행하도록 하고;
상기 저류조(2)에 충진된 청수를 강제공급펌프(26)에 의한 펌핑작용에 의해 혼화조(3) 내부로 공급 충진되게 하는 청수 공급과정(S2)을 행하도록 하며;
이어, 상기 혼화조(3)에 충진된 청수에 지연제 투입장치(6)를 이용, 지연제를 첨가시킨 후, 혼화조(3) 교반브로워에 의한 기포발생으로 상기 첨가된 지연제를 청수와 용융혼합되게 하는 지연제 투입과정(S3)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연속하여 상기 지연제가 첨가된 혼화액을 강제배출펌프(33)에 의한 펌핑작용에 의해 혼화액 저장조(7)로 공급 충진되게 하는 혼화액 저장과정(S4)을 행하도록 하고;
상기 혼화액 저장조(7)에 충진 저장된 혼화액을 헬기접근도어(72) 통해 산불진화용 헬기에 공급되게 하는 혼화액 공급과정(S5)을 행하도록 하며;
끝으로, 상기 혼화액 저장조(7)에 잔류하는 혼화액을 폐수유입배관(43)을 통해 유수분리조(4)로 배출시켜, 이를 정화처리하여 하수로 배출되게 하는 잔류 혼화액 정화과정(S6)을 행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일련의 혼합 방법을 행함에 있어, 상기 청수에 첨가되는 지연제는 인체에 무해한 인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연제의 성분비, 즉 청수와 인산암모늄의 혼합비율은 7:1의 비율로 혼합되 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은 저류조내에 지하수 내지 하천수를 유입, 저장시키고, 이와 같이 저장된 청수를 혼화조를 통한 지연제와의 혼합과정을 통해 산불진화장비인 헬기에 안정적인 형태로 공급 가능케 함으로써, 산림, 문화재 및 기타 국가 중요시설물에 화재 등과 같은 긴급재난 발생시, 이를 초기에 진화가능하도록 하여 후손에게 물려줄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보다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담수시설(저수지,하천 등)이 근접해 있지 못한 산림지역 내지 주요 시설물 밀집지역 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불필요한 산불진화 헬기의 원거리 이동을 예방되도록 하고, 이러한 산불진화 헬기의 원거리 이동 예방에 따라 신속성과 기동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경제적 파급효과 또한 극히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0)

  1. 돌출 형성된 격벽설치돌기(11)에 의해 그 상부면이 분할 구성되는 설치프레임(1)과;
    상기 설치프레임(1)을 기초적인 바닥구성으로 하여, 그 설치프레임(1)의 상부면에 개별적 공간구성을 갖는 저류조(2)와, 혼화조(3)와, 유수분리조(4)와, 기계실(5)을 상호 일체화 구조로 더 구획 형성시킨 시스템 본체(100)와;
    상기 혼화조(3) 상부측에 이격 구조로 설치되는 지연제 투입장치(6)와;
    상기 시스템 본체(100) 일측면에 독립적 구조물 형태로 연계 설치되는 혼화액 저장조(7)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100)의 저류조(2)는 사방면이 밀폐된 공간구성을 이루며, 그 내벽면 전체가 방수제로 코팅처리되고;
    상기 방수제가 코팅처리된 저류조(2) 상부 중앙면에 개폐단속커버(211)가 구비된 개방구(21)가 형성되며;
    상기 저류조(2)의 외벽 일측면 상부로 강제유입펌프(23)와, 여과필터(24)가 구비된 청수유입배관(25)이 연결되고;
    상기 저류조(2)의 외벽 타측면 하부에 강제공급펌프(26)가 구비된 청수공급 배관(27)이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100)의 혼화조(3)는 사방면이 밀폐된 공간구성을 이루며, 그 내벽면 전체가 방수제로 코팅처리되고;
    상기 방수제가 코팅처리된 혼화조(3) 상부 중앙면에 개폐단속커버(311)가 구비된 개방구(31)가 형성되며;
    상기 혼화조(3)의 외벽 일측면 상부로 저류조(2)의 청수공급배관(27)이 유입 연결되고;
    상기 혼화조(3)의 외벽 타측면 하부에 강제배출펌프(33)가 구비된 혼화액배출배관(34)이 연결되며;
    상기 혼화조(3)의 내측 저면부로 혼화조 교반브로워(35)가 더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100)의 유수분리조(4)는 좌,우 2단 분리구조로 구획된 공간구성을 취하며, 그 내벽면 전체에 방수제가 코팅처리되고;
    상기 유수분리조(4)의 외벽 일측면 상부로 혼화액 저장조(7)로 부터 공급되는 폐수유입배관(43)이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100)의 기계실(5)은 사방면이 밀폐된 공간구성으로, 그 상부면 중앙에 작업자의 출입을 유도하는 개폐도어(51)가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5) 내부로 시스템제어박스와, 배관설비, 그리고 상기 배관설비를 제어하는 배관제어밸브(V)가 설치되며;
    상기 배관설비를 통해 흐름되는 유체를 강제적으로 단속하는 펌핑수단이 더 내설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 투입장치(6)는 내부로 지연제가 충진되고, 저면부에 배출구(612)를 구비한 지연제 저장탱크(61)와;
    상기 지연제 저장탱크(61) 하부면에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는 컨베이어 밸트(62)와;
    상기 컨베이어벨트(62) 일측 하단에 형성된 투입호퍼(6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액 저장조(7)는 사방면이 밀폐된 공간구성을 이루며, 그 내벽면 전체가 방수제로 코팅처리되고;
    상기 방수제가 코팅처리된 혼화액 저장조(7) 상부면에 레일 개폐방식을 갖는 헬기접근도어(71) 형성되며;
    상기 혼화액 저장조(7) 외벽 일측면 상부로 혼화조(3)로 부터 공급되는 혼화액배출배관(34)이 연결되고;
    상기 혼화액 저장조(7) 내측 저면부로 저장조 교반브로워(73)가 더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2)와, 혼화조(3)와, 유수분리조(4)와, 혼화액 저장조(7)는 그 내측 일면에 수위감지센서(22)(32)(42)(74)가 장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9. 강제유입펌프에 의한 펌핑작용에 의해 저류조 내부로 청수를 충진시키는 청수 저장과정(S1)과;
    상기 저류조에 충진된 청수를 강제공급펌프에 의한 펌핑작용에 의해 혼화조 내부로 공급 충진되게 하는 청수 공급과정(S2)과;
    상기 혼화조에 충진된 청수에 지연제 투입장치를 이용, 지연제를 첨가시킨 후, 혼화조 교반브로워에 의한 기포발생으로 상기 첨가된 지연제를 청수와 용융혼합되게 하는 지연제 투입과정(S3)과;
    상기 지연제가 첨가된 혼화액을 강제배출펌프에 의한 펌핑작용에 의해 혼화액 저장조로 공급 충진되게 하는 혼화액 저장과정(S4)과;
    상기 혼화액 저장조에 충진 저장된 혼화액을 헬기공급구를 통해 산불진화용 헬기에 공급되게 하는 혼화액 공급과정(S5)과;
    상기 혼화액 저장조에 잔류하는 혼화액을 폐수유입배관을 통해 유수분리조로 배출시켜, 이를 정화처리하여 하수로 배출되게 하는 잔류 혼화액 정화과정(S6)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청수에 첨가되는 지연제는 인체에 무해한 인산암모늄이 주성분을 이루고;
    상기 청수와 인산암모늄의 혼합비율은 7:1의 비율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을 이용한 진화제 제조방법.
KR1020060075917A 2006-08-11 2006-08-11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진화제 제조방법 KR10079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17A KR100796571B1 (ko) 2006-08-11 2006-08-11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진화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917A KR100796571B1 (ko) 2006-08-11 2006-08-11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진화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571B1 true KR100796571B1 (ko) 2008-01-21

Family

ID=3921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917A KR100796571B1 (ko) 2006-08-11 2006-08-11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진화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41B1 (ko) 2009-07-10 2012-11-05 키드테크놀러지스.인크 기포 생성이 향상된 화재 진압 실린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915A (ja) * 1995-02-09 1997-05-27 Keihan Koji Kk 自家発電装置とそれに接続した防火用、飲料用のポンプ、防火用のエンジンポンプ、格納ホースを備えて成る簡易・緊急時用地下防火水槽と飲料水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915A (ja) * 1995-02-09 1997-05-27 Keihan Koji Kk 自家発電装置とそれに接続した防火用、飲料用のポンプ、防火用のエンジンポンプ、格納ホースを備えて成る簡易・緊急時用地下防火水槽と飲料水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41B1 (ko) 2009-07-10 2012-11-05 키드테크놀러지스.인크 기포 생성이 향상된 화재 진압 실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0965B2 (en) Method and appliance for extinguishing fire
CN207376690U (zh) 一种基于高层建筑的给排水系统
US10131558B1 (en) Compositions, methods, and/or systems for managing sulfide
US20110259615A1 (en) Extinguishing Device,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for Local Firefighting
KR100796571B1 (ko)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진화제 제조방법
JP2003509179A (ja) 消火剤の分配を規制するために液化co2を使用した自動消火方法、化学薬品およびシステム
KR200435088Y1 (ko)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장치
KR100589038B1 (ko)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US3172477A (en) Foam producing apparatus for mine fire fighting
RU2752438C1 (ru) Система азот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пециаль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RU2630649C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локальных подземных торфяных пожар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3901537B2 (ja) 建造物の消火方法及び消火設備ユニットを設置した建造物
US1714015A (en) Means of distributing fire-quenching foam on floating decks
AU2007304833B2 (en) A block for chemically dosing a stream of fluid and an apparatus for housing the block
JP2007185518A5 (ko)
KR100586310B1 (ko) 수중 약제 살포장치
RU2038834C1 (ru) Установка объем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SU971365A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
Wang et al. Research on application of heavy compressed air foam truck applied in high-rise building fires
RU2752439C1 (ru) Система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золированных помещений специаль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с применением сжатого азота
JPH01151468A (ja) 泡消火器
KR200295783Y1 (ko) 지하공동구 내 화재감지기 연동 국소방출식 포소화시스템
RU2752441C1 (ru) Система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пециаль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с изолированными помещениями
RU2204429C2 (ru) Лесопожарный агрегат
US684151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oot growth using paraqu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