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81B1 -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81B1
KR100796381B1 KR1020060133817A KR20060133817A KR100796381B1 KR 100796381 B1 KR100796381 B1 KR 100796381B1 KR 1020060133817 A KR1020060133817 A KR 1020060133817A KR 20060133817 A KR20060133817 A KR 20060133817A KR 100796381 B1 KR100796381 B1 KR 10079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escalator
fermentation
shaft
ch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102006013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조에 설치되는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는 교반 앵글의 양쪽에 설치된 체인이 순환 회전될 때의 마찰 소음이 심하고, 교반 앵글의 틈새로 떨어져 쌓이는 교반물로 인해 고장이 잦아 수시로 청소하여야 하며, 체인을 받쳐주는 철재 받침판이 쉽게 부식되므로 그 때마다 가동 중지 및 부품 교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어 원가상승의 요인이 많다.
이에 본 발명은 발효교반차(200)의 에스컬레이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쪽 프레임(110a)(110b)에는 일렬로 다수의 체결공(111)을 형성하고, 각 체결공(111)에는 베어링(320)에 의해 공회전되는 받침롤러(300)를 체인(140a) (140b)이 받쳐질 수 있도록 양쪽 프레임(110a)(110b)의 안쪽면에서 설치하고, 샤프트(310)의 체결부(311)는 양쪽 프레임(110a)(110b)의 바깥면에 위치되게 설치한 것으로서, 양쪽 체인을 다수의 받침롤러들이 받쳐주어서 작동소음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청소가 용이하고, 양쪽 프레임에 교반 앵글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 그대로 언제나 받침롤러의 베어링에 그리스를 손쉽게 주유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발효교반차, 발효조, 에스컬레이터, 버킨 컨베이어, 받침롤러,

Description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Escalator roller of a fermentation stirrer}
도1 은 발효조에 설치된 종래의 일반적인 발효교반차 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2 는 발효조에 설치된 종래 교반장치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3 은 본 발명이 실시된 발효교반차의 평면도
도4 는 본 발명에서 한쪽프레임과 받침롤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 는 본 발명에서 교반 앵글의 체인이 받침롤러 위에 놓인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인 횡단면도
도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각 받침롤러의 주유공에 자동 주유라인을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스컬레이터 110a,110b: 양쪽 프레임
120,130: 상하부 드럼 140a,140b: 체인
150 : 교반 앵글 200 : 발효교반차
300 : 받침롤러 310 : 샤프트
311 : 체결부 312 : 주유저장공간
313 : 주유공 320 : 베어링
340 : 니플 400 : 자동주유장치
410 ; 자동 주유라인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의 발효조에 설치되는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발효교반차에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가 양쪽 프레임 사이에서 보다 원활하게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동시의 소음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분이나 음식쓰레기, 오/폐수, 오니 등의 수분이 많은 유기성폐기물은 수분조절제와 혼합하여 발효조에 저장시킨 다음 이를 인공적으로 교반하여 호기성 발효를 시키고, 건조시켜서 안전한 퇴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유기성폐기물들을 교반시키지 않고 자연적으로 발효시키는 것은 주로 혐기성 발효로서 각종 부패 세균 등이 번식하여 악취가 심하며, 이러한 상태로 퇴비화하여 사용하면 농작물이 병들고 잡초가 무성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1 에서와 같이 발효조에 교반장치를 설치하여 유기성폐기물을 교반한 후 발효 건조시켜서 퇴비를 만들고 있다.
즉, 도1 은 발효조에 설치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교반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2 는 발효조에 설치된 종래 교반장치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로서, 상면이 개구된 발효조(10)의 상부에는 양측벽(11) 상면의 레일(12)을 따라 발효교반차(20)가 왕복 이동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발효교반차(20)에는 발효조(10)에 저장된 유기성폐기물을 퍼올린 후 낙하시키면서 교반되게 하는 에스컬레이터(30)가 순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30)는 유압실린더(31)에 의해 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3)은 에스컬레이터(30)의 상단 일부를 가려주면서 전동기 등이 설치되는 함체 이다.
여기서, 상기 발효교반차(20)는 여러가지 타입이 있다. 즉, 폭이 좁은 발효조의 경우는 그 발효조(1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로 레일(12)을 따라 이동되는 종방향 이송대차(21)에 직접 각도 조절되는 에스컬레이터(30)가 구비되는 타입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폭이 매우 큰 발효조의 경우 그 폭만큼 에스컬레이터(30)를 크게 형성하는 것은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고 가동에 따른 동력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 종방향 이송대차(21)의 전후 횡방향 프레임 위에 횡레일(22)을 설치하고, 그 횡레일(22) 위에서 좁은 폭의 횡방향 이송대차(23)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그 횡방향 이송대차(23)에 힌지부(32)를 기점으로 상기 각도 조절형 에스컬레이터(30)를 설치하는 타입으로 시공하는데 이는 이미 일반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스컬레이터(30)는 대부분 양쪽 프레임; 그 양쪽 프레임의 상하 끝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에 체인기어가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의 양쪽 체인기어에 의해 순환 회전할 수 있도록 양단에 체인이 구비되고, 연속 설치된 버킷에 의해 교반물을 퍼 올리는 교반 앵글; 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교반 앵글의 양쪽 체인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쪽 프레임 사이에 철판 재질의 받침판을 설치하고 그 철재 받침판 위에 교반 앵글이 놓인 상태로 순환회전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경우 양쪽 체인이 철재 받침판과 계속 마찰되면서 회전되므로 마찰 소음이 상당히 발생하여 작업환경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 앵글로 퍼 올려지는 교반물은 대부분 축분이나 음식쓰레기, 오/폐수, 오니 등의 유기성폐기물로서 일부 발효 건조되었다고는 하더라도 상당량의 수분이 있어 쉽게 뭉쳐지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교반 앵글로 퍼 올려지는 동안 체인 또는 받침간 사이를 통해 상당량의 교반물이 철제 받침판으로 떨어져서 교반 앵글과의 사이에 점차 쌓인 후 딱딱하게 굳게 되며, 이로 인해 교반 앵글의 순환 회전때 부하가 많이 걸려서 전동기 등 부품의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 앵글을 받쳐주는 철재 받침판은 표면에 떨어져 쌓인 교반물의 습기로 인해 쉽게 부식된다. 따라서, 소정 기간마다 받침판 위를 청소하거나 방수 페인트를 칠하여 주어야 하지만 상기 교반 앵글과 체인의 무게가 상당하여 그 교반 앵글을 들어내고 청소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재 받침판이 심하게 부식된 경우는 아예 새로운 받침판으로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데 이로 인한 유지 보수비용이 상당하고, 상기의 청소 또는 교체로 인한 보수기간 동안은 발효조의 교반 작업을 중단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퇴비의 생산 속도가 늦어지게 되며, 이러한 원인들은 모두 퇴비 생산에 따른 원가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교반차에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가 양쪽 프레임 사이에서 순환 회전할 때 작동 소음이 현저히 감소하면서도 보다 원활하게 순환 회전할 수 있는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순환 회전용 교반 앵글을 양단의 받침롤러로만 받쳐진 상태에서 순환 회전되게 하므로서 청소가 용이하고, 교반 앵글의 체인을 받쳐주는 받침롤러의 베어링에 그리스를 손쉽게 주유할 수 있는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로 첨부한 별첨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은 본 발명이 실시된 발효교반차의 평면도이고, 도4 는 본 발명에서 한쪽프레임과 받침롤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 는 본 발명에서 교반 앵글의 체인이 받침롤러 위에 놓인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인 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중 발효조에 설치되는 발효교반차(200)의 에스컬레이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골격을 형성하여 주는 양쪽 프레임(110a)(110b)과; 그 양쪽 프레임(110a)(110b)의 상하 끝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에 체인기어(121)(131)가 설치된 상하부 드럼(120)(130)과; 상하부 드럼(120)(130)의 양쪽 체인기어(121)(131)에 걸려서 순환 회전하는 양쪽 체인(140a)(140b)과; 양쪽 체인(140a)(140b) 사이에 설치되며, 소정 간격으로 버킷이 연속 설치되어 교반물을 퍼 올리는 교반 앵글(150); 로 에스컬레이터를 구성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양쪽 프레임(110a)(110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각 체결공(111)에는 샤프트(310)와의 사이에 베어링(320)이 설치되어 공회전되는 받침롤러(300)를 설치한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롤러(300)는 양쪽 프레임(110a)(110b)의 안쪽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여 상기 순환되는 양쪽 체인(140a)(140b)을 받쳐주도록 하고, 양쪽 프레임(110a)(110b)의 바깥면으로 돌출되는 샤프트(310)의 체결부(311)는 너트(330)로 체결하여 받침롤러(300)의 설치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각 받침롤러(300)의 내주면과 샤프트(310) 사이에는 주유저장공간(312)을 형성하고, 샤프트(310)의 한쪽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의 내부에는 그 주유저장공간(312)과 통하는 주유공(313)을 관통시켜 형성한 후 주유용 니플(340)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양쪽 체인(140a)(140b)과 교반 앵글이 그대로 설치된 상태에서 그리스를 양쪽 프레임(110a)(110b)의 내/외측에 위치된 주유용 니플(340)을 통해 어느쪽에서나 손쉽게 공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유공(313)은 샤프트(310)의 양 끝단을 관통시켜 형성하지 않고 체결부(311)의 끝단에만 주유용 니플(340)을 설치하는 타입으로 형성하여 주유를 양쪽 프레임(110a)(110b)의 외측에서만 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0)은 발효교반차(200)에서 에스컬레이터(100)의 각도를 절첩하는 힌지부 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발효교반차(200)의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에스컬레이터(100)를 힌지부에 의해 소정 각도로 비스듬히 세운 후 상부 드럼(120)에 전동기의 동력을 가하면 상부 드럼(120) 양쪽의 체인기어(121)와 하측 드럼(130)의 체인기어(131) 사이에 설치된 양쪽 체인(140a)(140b)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체인(140a)과 체인(140b) 사이에 설치된 버킷이 교반물을 퍼올려 교반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발효교반차의 작용과 같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하부 드럼(120)(130)의 양쪽 체인기어(121)(131)에 걸린 양쪽 체인(140a)(140b)들이 순환 회전될 때 양쪽 프레임(110a)(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안쪽면에 일렬로 설치된 받침롤러(300)들이 양쪽 체인(140a)(140b)을 받쳐주고 있으므로 양쪽 체인(140a)(140b)은 아래로 쳐지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즉, 양쪽 체인(140a)(140b)을 받치고 있는 각 받침롤러(300)는 샤프트(310)에 끼워져 있는 베어링(32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는 상태이므로 체인(140a)(140b)이 지나갈 때 보다 부드럽게 회전되면서 양쪽 체인(140a)(140b)을 이송시켜주므로 체인(140a)(140b)이 순환 회전될 때의 소음이 별로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쪽 체인(140a)(140b)과 그 사이의 교반 앵글(150)이 순환 회전되면서 교반물을 퍼올려 이송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때 낙하되는 교반물이 있더라도 양쪽 체인(140a)(140b)의 하부에는 받침롤러(300)만이 체인(140a)(140b)을 받쳐주고 있어서 낙하되는 교반물은 에스컬레이터(100) 내에 쌓이지 않고 곧바로 발효조로 다시 떨어지게 되므로 종래처럼 에스컬레이터에 교반물이 쌓일 우려가 없어 청소하기가 상당히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받침롤러(300)와 샤프트(310)의 사이에 주유저장공간(312)이 형성된 상태에서 샤프트(310)의 양단을 관통하고 있는 주유공(313)이 주유저장공간(312)과 통하고 있으며, 주유공(313)의 양쪽 입구에는 주유용 니플(340)이 설치되어 있어서 양쪽 프레임(110a)(110b)의 내/외측 어디에서나 주유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양쪽 체인(140a)(140b)과 교반 앵글(150)이 그대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언제라도 양쪽 프레임(110a)(110b) 내/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주유용 니플(340)을 통해 손쉽게 주유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도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각 받침롤러의 주유공 입구에 자동 주유 라인을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은 양쪽 프레임(110a)(110b)에 통상의 자동주유장치(400)를 설치하고, 그 자동주유장치(400)의 자동 주유라인(410)을 각 받침롤러(300)의 샤프트(310) 끝단에 형성된 주유공(313)의 입구에 연결하여 그리스가 자동 공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양쪽프레임(110a)(110b)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체결부(311)의 주유공(313) 입구를 자동 주유라인(410)으로 연결하고, 그 자동 주유라인(410)으로는 내부의 압력에 의해 그리스를 서서히 공급하는 통상의 자동주유장치(400)를 설치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하면 자동주유장치(400) 내부의 오일이 전부 소모될 때까지 주유공(313)으로 오일이 주기적으로 자동 주유되므로 에스컬레이터의 유지 관리가 보다 용이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교반 앵글과 체인이 양쪽 프레임 사이에서 순환 회전할 때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공회전되는 받침롤러들이 양쪽 체인을 받쳐주므로 작동 소음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순환 회전이 원활하게 됨에 따라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교반 앵글이 순환 회전할 때 그 틈새로 떨어지는 교반물들이 종래처럼 에스컬레이터 내부에 쌓일 우려가 없으므로 청소가 용이하고, 양쪽 프레임에 교반 앵글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언제나 받침롤러의 베어링에 그 리스를 손쉽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주유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Claims (3)

  1. 에스컬레이터(100)의 골격을 형성하여 주는 양쪽 프레임(110a)(110b)과; 양쪽 프레임(110a)(110b)의 상하 끝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에 체인기어(121)(131)가 설치된 상하부 드럼(120)(130)과; 상하부 드럼(120)(130)의 양쪽 체인기어(121)(131)에 걸려서 순환 회전하는 양쪽 체인(140a)(140b)과;양쪽 체인(140a)(140b) 사이에 설치되며, 소정 간격으로 버킷이 연속 설치되어 교반물을 퍼 올리는 교반 앵글(150); 로 발효조에 설치되는 발효교반차(200)의 에스컬레이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양쪽 프레임(110a)(110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111)을 형성하고,
    상기의 각 체결공(111)에는 샤프트(310)와의 사이에 베어링(320)이 설치되어 공회전되는 받침롤러(300)를 설치하되
    받침롤러(300)는 순환되는 체인(140a)(140b)을 받쳐주도록 양쪽 프레임(110a)(110b)의 안쪽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너트(330)로 체결되는 샤프트(310)의 체결부(311)는 양쪽 프레임(110a)(110b)의 바깥면에 위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받침롤러(300)의 내주면과 샤프트(310) 사이에는 주유저장공간(312)을 형성하고,
    샤프트(310)의 한쪽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의 내부에는 그 주유저장공간(312)과 통하는 주유공(313)을 관통시켜 형성하며,
    주유공(313) 입구에 주유용 니플(340)을 설치하여 주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프레임(110a)(110b)에는 통상의 자동주유장치(40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롤러(300)의 체결부(311) 끝단에 형성된 주유공(313) 입구에는 상기 자동주유장치(400)의 자동 주유라인(410)을 연결하여
    그리스가 자동 공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KR1020060133817A 2006-12-26 2006-12-26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KR10079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817A KR100796381B1 (ko) 2006-12-26 2006-12-26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817A KR100796381B1 (ko) 2006-12-26 2006-12-26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227 Division 2006-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381B1 true KR100796381B1 (ko) 2008-01-21

Family

ID=3921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817A KR100796381B1 (ko) 2006-12-26 2006-12-26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40Y1 (ko) 2010-08-17 2012-10-15 중 기 유 퇴비교반기용 베어링 커버
CN107324858A (zh) * 2017-07-18 2017-11-07 张志军 有机固废发酵箱
KR102244339B1 (ko) * 2020-11-18 2021-04-26 주식회사 유진산업 퇴비 발효장치용 교반체인 안내롤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40B1 (ko) * 1992-04-17 1995-04-28 전영진 축분(畜糞)건조기의 교반로울러 구동장치
KR960007237Y1 (ko) * 1994-05-27 1996-08-26 서두하 축분교반장치의 보습로울러
KR200195542Y1 (ko) 2000-04-22 2000-09-01 권태윤 퇴비제조용 에스컬레이터 방식 교반기의 이물질 끼임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40B1 (ko) * 1992-04-17 1995-04-28 전영진 축분(畜糞)건조기의 교반로울러 구동장치
KR960007237Y1 (ko) * 1994-05-27 1996-08-26 서두하 축분교반장치의 보습로울러
KR200195542Y1 (ko) 2000-04-22 2000-09-01 권태윤 퇴비제조용 에스컬레이터 방식 교반기의 이물질 끼임방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40Y1 (ko) 2010-08-17 2012-10-15 중 기 유 퇴비교반기용 베어링 커버
CN107324858A (zh) * 2017-07-18 2017-11-07 张志军 有机固废发酵箱
CN107324858B (zh) * 2017-07-18 2018-11-02 金华康扬环境科技有限公司 有机固废发酵箱
KR102244339B1 (ko) * 2020-11-18 2021-04-26 주식회사 유진산업 퇴비 발효장치용 교반체인 안내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381B1 (ko) 발효교반차의 에스컬레이터 롤러 장치
US5887982A (en) Bearing assembly for use with a submerge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aintenance thereon
JP2018508458A (ja) 高速堆肥発酵機
CN1436094A (zh) 一种搅拌装置
CN113137349B (zh) 一种用于风机驱动链的主轴承油脂更换方法
KR100825988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교반차의 퇴비단 파괴장치
KR101261453B1 (ko) 미생물을 이용한 교반통 회전타입의 음식물처리장치
KR20050107357A (ko)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CN214552685U (zh) 一种自动润滑混合机
CN202460524U (zh) 锥形单螺旋混合机
CN205238289U (zh) 一种混凝土搅拌机
CN214261611U (zh) 一种制水车间用絮凝剂投料装置
CN214808984U (zh) 一种农村环境治理用的生活污水处理装置
CN214167403U (zh) 一种环境工程用污水杂物打捞设备
KR20110096395A (ko) 버킷 엘리베이터의 잔량방지 자동 조절장치
KR20190004031A (ko) 디스크 수분 제거 장치
CN209917891U (zh) 用于光触媒生产的搅拌装置
CN209757145U (zh) 一种水泥砂浆电动转运推车
KR100539418B1 (ko) 수직다단식 퇴비발효장치
KR100708911B1 (ko) 발효교반차용 드럼의 베어링 주유구조
KR20180053900A (ko) 발효교반장치용 에스컬레이터
KR100761419B1 (ko) 발효교반차용 드럼의 베어링 주유구조
KR100877842B1 (ko) 발효교반차용 그리스 공급장치
KR100516079B1 (ko) 축산분뇨탱크의 교반장치
CN219043112U (zh) 一种污水处理池积泥清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