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162B1 -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162B1
KR100796162B1 KR1020060008683A KR20060008683A KR100796162B1 KR 100796162 B1 KR100796162 B1 KR 100796162B1 KR 1020060008683 A KR1020060008683 A KR 1020060008683A KR 20060008683 A KR20060008683 A KR 20060008683A KR 100796162 B1 KR100796162 B1 KR 10079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calling terminal
called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458A (ko
Inventor
강봉주
정윤덕
윤민근
김수진
김기문
김진홍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1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발신 단말의 발신 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로 통화요청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정보를 접수하고, 착신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b) 커뮤니티 정보를 토대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PC)에 대한 커뮤니티 접속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및 c) 개인용 컴퓨터(PC)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는 통화요청 통지정보를 전송하고, 착신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신자의 통화 요청시 온라인 커뮤니티로 접속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상태를 통지함으로써, 착신자는 단말의 휴대와 관계없이 통화요청 상태를 온라인상에서 인지할 수 있으며, 발신자는 착신자의 컴퓨터와 단말로 통화요청을 실행할 수 있어 통화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화요청, 통지, 메신저, 미니 홈피, 개인용 컴퓨터, 멀티미디어

Description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CONNECTING CALL BY CALLING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메신저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발신 단말 203 : 착신 단말
205 : 이동통신망 207 : 착신 교환기
209 : 발신 교환기 211 : 홈위치 등록기
213 : 멀티미디어 서버 215 : 커뮤니티 서버
217 : 개인용 컴퓨터(PC)
본 발명은 유무선 단말간 통화 연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등록된 발신자의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자 호출 시 기 설정된 착신자 정보를 토대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PC)로 발신자의 통화요청을 통지하고, 통화요청 통지에 기반하여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통화를 실행할 수 있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인터넷 이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하는 웹(WWW)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개발되어 가상 공간(Cyber Space) 상에서 다양한 인터넷 비즈니스와 사이버 문화 창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인터넷상에서의 커뮤니티를 구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 메신저는 인터넷상의 모든 이용자를 대상으로 채팅, 실시간 메시지 전송, 파일 전송 등이 가능한 무료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이다.
도 1은 종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접속자 간 메신저 이용을 위한 인터넷 통신망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종래 인터넷 통신망 시스템(100)은 각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는 웹 서버(110)와, 각 웹 서버(110)에 인터넷(120)으로 연결되고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사이트 메신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얻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를 통해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30)가 웹 서버(110)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140)에 인터넷(120)으로 연결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인터넷 통신망 시스템(100)은 각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는 웹 서버(110)에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30)들이 인터넷(12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40)에 접속하여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홈페이지 상에서 접속자들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아이콘(Icon)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인터넷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신저가 연결되어 있는 웹사이트로 접속하기 위하여 웹사이트 접속 요청을 하게 되고, 웹 서버(110)에는 HTML 문서를 전송하여 접속을 허락한다. 이때, 웹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로 인스턴트 메신저의 전송을 요청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4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30)로 인스턴트 메신저를 송신한다.
즉, 웹 서버(110)에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130)로 다운로드 되어 설치 및 실행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30)에서 인스턴트 메 신저가 시작되고, 접속자는 인스턴트 메신저 상의 접속자 리스트에 추가된다. 이때, 접속자가 웹사이트의 회원인 경우에는 등록한 회원 ID로 표시되고,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게스트(Guest) ID가 자동으로 표시되어 접속자 리스트에 추가된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13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140) 간에 통신이 시작되면, 인스턴트 메신저 전용 채널로 입장되고 메시지 수신 가능 상태로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웹 서버(110)로부터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기(13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정이 가능한 독립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독립적 인터페이스를 통화여 다른 접속자들의 리스트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접속자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대일 또는 일대 다의 실시간 대화 기능, 채널 검색 기능, 채널 이동 기능, 채널 개설 기능 및 대화명 변경 기능 등이 제공된다. 실시간 대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가 접속자 리스트에서 특정 접속자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일대일 메시지 전송을 위하여 수정 가능한 독립적 인터페이스가 생기면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인터넷 통신망 시스템(100)에서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함에 있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간 메신져 교류가 이루어져 이동통신 단말과의 통신 기능이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이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인터넷 접속자로의 호출이 불가능하여, 통신 서비스의 불편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통신망과 인터넷을 통합 운용하여 단말의 통화 범위를 확장시켜 통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 등록된 발신자의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착신자 호출 시 기 설정된 착신자 정보를 토대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PC)로 발신자의 통화요청을 통지할 수 있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은, 서비스 등록 및 통화로를 요청하기 위한 발신 단말;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로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되는 착신 단말;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로 설정을 위한 발신 교환기 및 착신 교환기를 구성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조회 및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홈위치 등록기의 서비스 등록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착신 단말정보에 기반하여 착신자의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서버;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와 접속되고 착신자의 커뮤니티로 상기 통화 요청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커뮤니티 서버; 및 상기 다수의 커뮤니티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접속되어 상기 통화 요청정보를 통지받기 위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P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은, 서비스 등록 및 통화로를 요청하기 위한 발신 단말;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로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되는 착신 단말; 상기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통화로 설정을 위한 발신 교환기 및 착신 교환기를 구성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조회 및 발신 단말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상기 홈위치 등록기의 서비스 등록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착신 단말정보에 기반하여 착신자의 온라인 접속 상태를 검색하여,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PC)로 상기 통화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은, a)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착신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커뮤니티 정보를 토대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PC)에 대한 커뮤니티 접속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는 통화요청 통지정보를 전송하고, 착신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은, a)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착신자의 유알엘(URL)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유알엘(URL) 정보를 토대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PC)에 대한 온라인 접속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개인용 컴퓨터(PC)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는 통화요청 통지정보를 전송하고, 착신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과 인터넷과의 통화 서비스 확장을 위해, 유무선 통신 단말은 통화 확장 서비스를 위한 등록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발신 단말의 발신 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PC)로 발신자의 통화요청 상태가 통지된다. 물론, 착신 단말로 호 접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신자는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함과 더불어, 개인용 컴퓨터(PC)의 모니터상으로 발신 단말의 통화요청 상태가 통지된다. 이와 같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등록 및 통화로를 요청하기 위한 발신 단말(201)과, 발신 단말(201)의 통화로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되는 착신 단말(203)과, 상기 발신 단말(201)과 착신 단말(203)의 통화로 설정을 위한 발신 교환기(209) 및 착신 교환기(207)를 구성하고, 상기 착신 단말(203)의 위치 조회 및 발신 단말(201)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 등록기(211)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205)과, 상기 홈위치 등록기(211)의 서비스 등록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발신 교환기(209)로부터 착신 단말(201)에 대한 착신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단말정보에 기반하여 착신자의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한 후, 발신 단말(201)의 통화 요청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서버(213)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와 접속되고 착신자의 커뮤니티로 상기 통화 요청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커뮤니티 서버(215)와, 상기 다수의 커뮤니티 서버(215)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접속되어 상기 통화 요청정보를 통지받기 위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PC:217)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 단말(201) 및 착신 단말(203)은 유선 단말기 및 무선 단말기를 포 함하여, 셀룰러폰, DMB 폰(지상, 위성), PDA, 위성 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통화요청 정보 생성시 발신자로부터 등록된 발신자 애칭, 발신자 이미지, 착신자별 벨소리, 아바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발신 단말(201)로부터 요청된 착신 단말(203)의 번호를 토대로 착신자의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함에 있어, 다수 종류의 커뮤니티 서버(215)로 등록된 개인 정보 예컨대, 접속자 등록시 기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정보를 토대로, 착신자에 대응하는 해당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티 서버(215)는 인터넷상에서 접속되는 다수 종류의 커뮤니티 운용 서버로써, 메신저 서버, 미니 홈피 서버 등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발신 단말(201)은 이동통신망(205)을 통해 서비스 등록을 수행한다. 서비스 등록은 발신 단말(201)의 통화 요청시 착신 단말(203)과의 통화로 접속과 더불어,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217)로 발신자 통화 요청을 통지하기 위한 통화 서비스이다. 따라서, 상기 홈위치 등록기(211)는 발신 단말(201)의 서비스 등록요청에 따라 발신자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발신자 정보는 발신 단말(201)에 대한 번호 정보를 포함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플래그 정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발신 단말(201)로부터 등록된 발신자 애칭, 발신자 이미지, 착신자별 벨소리 정보 등을 관리한다.
S301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발신 단말(201)은 착신 단말(203)과의 통화를 요청하기 위해 발신한다. 발신 단말(201)의 발신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망(205)으로 전송되며, 해당 발신 교환기(209)는 S303 단계에서, 상기 발신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홈위치 등록기(211)로 착신 단말(203)의 위치를 조회 요청한다. 홈위치 등록기(305)는 상기 발신 단말(201)에 대한 번호 정보를 토대로 통화 확장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
홈위치 등록기(211)의 판단결과, 통화 확장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S313 단계를 거쳐 착신 단말(203)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S315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착신 단말(203)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착신 교환기(207)를 검색함으로써, 발신 단말(201)은 착신 단말(203)과의 통화로를 설정한다. 한편, 상기 홈위치 등록기(211)의 판단결과, 상기 발신 단말(201)이 통화 확장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음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홈위치 등록기(211)는 S305 단계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로 서비스 등록 상태를 통지한다.
상기 홈위치 등록기(211)의 서비스 등록 상태 통지는, 해당 발신 단말(201)이 통화 확장 서비스에 등록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한 서비스 실행 정보를 포함하여, 발신 단말(201)에 대한 단말 정보 및 착신 단말(203)에 대한 착신 단말정보를 제공한다. S307 단계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상기 발신 단말(201)에 대한 단말 정보를 토대로 발신자로부터 기 등록된 부가 정보를 조회한다. 상기 부가 정보는 발신자 애칭 정보, 발신자 이미지 정보,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착신자별 벨소리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상기 착신 단말정보를 접수하여, 착신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한다. 이는 멀티미디어 서버(213)와 접속된 다수의 커뮤니티 서버(215)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가입자 정보 중 상기 착신 단말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커뮤니티를 찾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상기 착신 단말정보 예컨대,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는 상기 커뮤니티 가입을 위한 가입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나, 착신자의 커뮤니티를 검색함에 있어 상기 착신 단말정보 이외에 착신자의 개인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신자의 개인정보는 착신자가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사용하는 애칭 정보, 실명 정보, 주민등록 번호 정보 등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착신자의 개인정보가 사용될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발신자의 서비스 등록시 해당 착신자의 개인정보를 등록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신자의 커뮤니티가 검색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해당 커뮤니티 서버(215)로부터 해당 착신자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통보받는다.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상기 커뮤니티 서버(215)로 착신자가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통보받을 경우, S313 단계로 피드백한다. 반면, 상기 커뮤니티 서버(215)로 착신자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일 경우, S309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커뮤니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해당 커뮤니티 서버(215)로 발신자의 통화요청 상태를 통지한다.
여기서, 상기 커뮤니티 서버(215)는 온라인 커뮤니티가 가능한 네트워킹 장치로써, 메신저 서버, 미니 홈피 서버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커뮤니티 서버(215)는 S311 단계로 진입하여, 해당 개인용 컴퓨터(217) 즉, 해당 커뮤니티 서버(215)로 접속된 착신자의 컴퓨터로 발신자의 통화요청 정보를 통지한다. 상기 통화요청 정보는 해당 커뮤니티 서버(215)에서 제공되는 브라우져상으로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자의 발신번호, 발신자 애칭, 발신자 이미지, 착신자별 벨소리 등의 멀티미디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S313 단계 및 S315 단계를 통해 착신 단말(203)로 통화로가 연결되어 발신자와 착신자 간 통화 연결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커뮤니티 서버(215)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217)로 발신자의 통화요청 정보를 통지하고 있으나,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커뮤니티 서버(215)와 연동하지 않고, 온라인 상으로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217)로 직접 발신자 통화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213)는 착신자의 URL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이는 발신자의 서비스 등록시 요구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은, 발신자의 통화 요청시 온라인 커뮤니티로 접속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터로 발신자의 통화 요청 상태를 통지함으로써, 착신자는 단말의 휴대와 관계없이 통화요청 상태를 온라인상에서 인지할 수 있으며, 발신자는 착신자의 컴퓨터와 단말로 통화요청을 실행할 수 있어 통화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 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1)

  1. 삭제
  2.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시에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상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접속되어 있는 개인용 컴퓨팅장치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요청 상태를 통지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로 설정을 위한 발신 교환기 및 착신 교환기를 구성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조회를 위한 홈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착신 단말정보에 기반하여 착신자의 온라인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서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착신자의 온라인 커뮤니티로 상기 통화 요청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1 이상의 커뮤니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은,
    유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셀룰러폰, DMB 폰(지상, 위성), PDA, 위성 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상기 통화요청 정보 생성시 발신자로부터 등록된 발신자 애칭, 발신자 이미지, 착신자별 벨소리, 아바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요청된 착신 단말의 번호를 토대로 착신자의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함에 있어,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는 다수 종류의 커뮤니티 서버로 등록된 개인 정보임을 전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인터넷상에서 접속되는 다수 종류의 커뮤니티 운용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메신저 서버 또는 미니 홈피 서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8. 삭제
  9.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시에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상응하는 온라인상의 개인용 컴퓨팅장치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요청 상태를 통지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로 설정을 위한 발신 교환기 및 착신 교환기를 구성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 조회를 위한 홈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착신 단말정보에 기반하여 착신자의 온라인 접속 상태를 검색하여,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팅장치로 상기 통화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은,
    유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셀룰러폰, DMB 폰(지상, 위성), PDA, 위성 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상기 통화요청 정보 생성시 발신자로부터 등록된 발신자 애칭, 발신자 이미지, 착신자별 벨소리, 아바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요청된 착신 단말의 번호를 토대로 착신자의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함에 있어,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는 다수 종류의 커뮤니티 서버로 등록된 개인 정보임을 전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인터넷상에서 접속되는 다수 종류의 커뮤니티 운용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운용 서버는,
    메신저 서버 또는 미니 홈피 서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15. 삭제
  16.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시에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상응하는 온라인상의 개인용 컴퓨팅장치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요청 상태를 통지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착신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커뮤니티 정보를 토대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팅장치에 대한 커뮤니티 접속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개인용 컴퓨팅 장치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는 통화요청 통지정보를 전송하고, 착신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다수의 커뮤니티 서버로부터 접속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접속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커뮤니티 가입시의 등록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 단말정보가 포함된 임의의 커뮤니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 통지정보는,
    발신 단말에 대한 번호정보, 발신자의 애칭 정보, 발신자 이미지 정보, 발신자로부터 등록된 착신자별 벨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은,
    유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셀룰러폰, DMB 폰(지상, 위성), PDA, 위성 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20.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시에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상응하는 온라인상의 개인용 컴퓨팅장치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요청 상태를 통지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착신자의 유알엘(URL)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유알엘(URL) 정보를 토대로 착신자의 개인용 컴퓨팅장치에 대한 온라인 접속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개인용 컴퓨팅장치로 상기 발신 단말의 통화 요청에 대응하는 통화요청 통지정보를 전송하고, 착신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 상기 발신 단말과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 통지정보는,
    발신 단말에 대한 번호정보, 발신자의 애칭 정보, 발신자 이미지 정보, 발신자로부터 등록된 착신자별 벨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KR1020060008683A 2006-01-27 2006-01-27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79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683A KR100796162B1 (ko) 2006-01-27 2006-01-27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683A KR100796162B1 (ko) 2006-01-27 2006-01-27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458A KR20070078458A (ko) 2007-08-01
KR100796162B1 true KR100796162B1 (ko) 2008-01-21

Family

ID=3859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683A KR100796162B1 (ko) 2006-01-27 2006-01-27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135A3 (en) * 2008-11-28 2010-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histo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154A (ko) * 2002-05-11 2003-11-19 김준연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에 의한 메시지 전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40037363A (ko)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교환망과 인스턴트 메시지 망을 결합한 환경하에서의호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53809A (ko) * 2004-05-14 2004-06-24 (주)제너시스템즈 메신저를 이용한 전화 통화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60088776A (ko) * 2005-02-02 2006-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전화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154A (ko) * 2002-05-11 2003-11-19 김준연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에 의한 메시지 전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40037363A (ko) * 2002-10-28 2004-05-07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교환망과 인스턴트 메시지 망을 결합한 환경하에서의호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53809A (ko) * 2004-05-14 2004-06-24 (주)제너시스템즈 메신저를 이용한 전화 통화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60088776A (ko) * 2005-02-02 2006-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전화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135A3 (en) * 2008-11-28 2010-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his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458A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500B1 (ko) 모바일폰의 단문 메시지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8312092B2 (en) Use of persistent sessions by a presence access layer
KR101896573B1 (ko) 푸쉬 서버 및 단말
KR100757757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KR1006923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목록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96162B1 (ko)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1533041B1 (ko)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의 활성화 시스템 및 방법
JP5049203B2 (ja) 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バ装置
KR20120071162A (ko) 타인의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8780540A (zh) 用于设立引导、尤其是转接通信活动的对象的方法以及用于执行所述方法的设备
JP2002073508A (ja) 電子掲示板システム、イベント通知装置および情報共有システム
EP2294780B1 (en) A method for masking data
KR20170059003A (ko) 향상된 자동 발신자 식별 해석
KR100673169B1 (ko)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4920A (ko) 인스턴트 메신저의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 커뮤니케이션 방법
KR20070078938A (ko)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82776A (ko) 통합인터페이스 사내 인트라넷 시스템 및 실행 방법
KR100732838B1 (ko) 개인 미니 홈페이지에 연계된 개인 휴대통신 기기간의 문자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862514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JP2004140657A (ja) 電子メールの到着を通知する方式
KR10068766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20140043881A (ko) 웹페이지와 채팅서비스 연동방법 및 시스템
JP2005311462A (ja) ポリシー管理装置、ポリシー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識別子管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アクセス制御方法
KR20110068625A (ko) 메시지 조회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9357A (ko) 화상 단말기 간의 채팅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