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438B1 -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438B1
KR100795438B1 KR1020050133625A KR20050133625A KR100795438B1 KR 100795438 B1 KR100795438 B1 KR 100795438B1 KR 1020050133625 A KR1020050133625 A KR 1020050133625A KR 20050133625 A KR20050133625 A KR 20050133625A KR 100795438 B1 KR100795438 B1 KR 100795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handle
package
elbo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768A (ko
Inventor
최현수
Original Assignee
최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수 filed Critical 최현수
Priority to KR102005013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4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7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노약자들이 유모차를 밀고 다니고 있었으나 유모차는 건강한 부모들이 어린아이를 태우고 다니도록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노약자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았으며, 종래 보행보조기로서는 보조손잡이와 팔꿈치 받침대를 구비한 것이 있으나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는 위치와 자세 및 팔꿈치를 받히는 위치와 자세가 하나로 결정되기 때문에 신체조건이나 팔의 힘 등이 다른 다양한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 손잡이부와 보조 손잡이부의 잡는 위치와 자세 및 팔꿈치를 받히는 위치와 자세가 하나로 결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자세로 잡고 받힐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신체조건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화물 적재대를 구비하여 보호자의 도움 없이 노약자 스스로가 소화물을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보조기{Rolling Worker}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사시도,
도 2는 손잡이 부분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손잡이 부분의 측면도,
도 4는 팔꿈치 받침대 높이조절수단을 보인 것으로,
도 4a는 팔꿈치 받침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b는 저면 사시도,
도 5는 소화물 적재대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전체 사시도,
도 7은 소화물 적재대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운반용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20 : 바퀴
30 : 손잡이 32 : 주 손잡이부
33 : 보조 손잡이 40 : 팔꿈치 받침대
50 : 힌지 51 : 연결대
53 : 각도조절나사 55 : 스프링
60 : 소화물 적재대 61 : 소화물 적재대틀
62 : 파이프 63 : 신축성 결속끈
64 : 고리 65 : 도넛형 적재판
66 : 암나사부 67 : 운반용기
69 : 수나사부
본 발명은 노약자들이 지팡이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약자들의 신체조건에 따라 최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단한 소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보행이 불편한 노약자 특히 노인층에서는 유모차를 지팡이 삼아 밀고 다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모차는 건강한 부모들이 어린아이를 태우고 다니도록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보행이 불편한 노약자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바퀴가 달린 보약자용 보행보조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나, 이들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그 손잡이가 대부분 손으로 잡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약자들이 사용할 경우 손과 팔에 무기가 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 20-0390058호와 같이 손잡이에 팔꿈치 받침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팔꿈치를 받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노약자 및 장애인의 활동 보조차가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위 등록실용신안의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활동 보조차는, 손잡이가 파이프로 구성되어 후방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팔꿈치 받침대가 손잡이 위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조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는 위치와 자세 및 팔꿈치를 받히는 위치와 자세가 하나로 결정되기 때문에 신체조건이나 팔의 힘 등이 다른 다양한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조건이나 팔의 힘 등이 다른 다양한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약자가 간단한 소화물을 손쉽게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개의 다리와, 후방 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틀과, 보강을 위한 중단 횡틀들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4개의 다리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들과; 상기 연장틀의 상단에 연결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장틀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좌우 양측의 수평부와, 이들 양측의 수평부의 후단을 연결하는 주 손잡이부와, 상기 양측 수평부의 선단을 연결하며 상방 및 전방을 향해 만곡 형성된 보조 손잡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수평부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팔꿈치 받침대와, 상기 팔꿈치 받침대(40)를 수평상태와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진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팔꿈치 받침대는 사각파이프 등으로 받침대틀과, 상기 받침대틀의 상부에 결합되는 쿠션패드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대틀의 후단을 상기 수평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와, 상기 양측 수평부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며 상단이 팔꿈치 받침대의 하면에 접촉하는 각도조절나사와, 상기 연결대의 상면과 팔꿈치 받침대의 하면 사이에 장전되어 팔꿈치 받침대를 하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단 횡틀에 설치되어 소화물 적재대가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화물 적재대는 상기 중단 횡틀 상에 고정 결합되는 소화물 적재대틀과, 이 소화물 적재대틀 상에 고정 결합되며 함지박 형태의 용기나 보따리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ㅧ 자형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이프와, 이들 파이프에 삽입되어 그 양단이 파이프의 양단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성 결속끈과, 상기 신축성 결속끈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소화물 적재대에, 상기 파이프 위에 고정 결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 가 형성된 도넛형 적재판과,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결합용 돌출부를 가지는 운반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보행보조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사시도, 도 2는 손잡이 부분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손잡이 부분의 측면도, 도 4는 팔꿈치 받침대 높이조절수단을 보인 것으로, 도 4a는 팔꿈치 받침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b는 저면 사시도, 도 5는 소화물 적재대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다리(11)와, 후방 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틀(12)과, 보강을 위한 중단 횡틀(13)들을 가지는 프레임(10)과; 상기 4개의 다리(11)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20)들과; 상기 연장틀(12)의 상단에 연결 고정되는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의 다리(11), 연장틀(12) 및 보강틀(13)들은 통상적인 보행보조기와 같이 철재 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틀(12)은 통상적인 높이조절나사(14)에 의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바퀴(20)는 통상적인 캐스터(caster)가 사용되며, 적어도 전방의 두 바퀴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고 후방의 두 바퀴는 방향전환이 불가능한 것을 사용하거나 네 바퀴 모두 방향전환이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지상태에서 임의로 굴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름방지용 브레이크가 구비된 바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연장틀(12)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좌우 양측의 수평부(31)와, 이들 양측의 수평부(31)의 후단을 연결하는 주 손잡이부(32)와, 상기 양측 수평부(31)의 선단을 연결하며 상방 및 전방을 향해 만곡 형성된 보조 손잡이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30)에는 팔꿈치 받침대(40)가 결합된다.
상기 팔꿈치 받침대(40)는 사각파이프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양측 수평부(31)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받침대틀(41)과, 상기 받침대틀(41)의 상부에 결합되는 쿠션(cushion)패드(42)로 구성된다.
상기 팔꿈치 받침대(40)는 각도조절수단에 의하여 수평상태와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진 상태로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대틀(41)의 후단을 상기 수평부(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50)와, 상기 양측 수평부(31)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대(51)와, 상기 연결대(51)에 형성된 나사공(52)에 나사 결합되며 상단이 팔꿈치 받침대(40)의 하면에 접촉하는 각도조절나사(53)와, 상기 연결대(51)의 상면과 팔꿈치 받침대(40)의 하면 사이에 장전되어 팔꿈치 받침대(40)를 하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나사(53)의 하단에는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나사손잡이(54)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55)은 상기 팔꿈치 받침대(40)를 하향 탄력 지지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중단 횡틀(13)에는 소화물을 실을 수 있는 소화물 적재대(60)가 구비된다.
상기 소화물 적재대(60)는 상기 중단 횡틀(13) 상에 고정 결합되는 소화물 적재대틀(61)과, 이 소화물 적재대틀(61) 상에 고정 결합되며 함지박 형태의 용기나 보따리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ㅧ 자형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이프(62)와, 이들 파이프(62)에 삽입되어 그 양단이 파이프(62)의 양단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성 결속끈(63)과, 상기 신축성 결속끈(63)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리(64)로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가장 기본이 되는 사용방법은 사용자가 손잡이(30)의 후방에 서서 주 손잡이부(32)의 양측부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보행보조기에 의지하면서 보행하는 것으로 이는 종래의 보행보조기에서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 손잡이부(32)를 양손으로 잡고 보행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경우에는 양손으로 보조 손잡이부(33)를 잡음과 아울러 양팔의 팔꿈치 부분을 팔꿈치 받침대(40)에 받친 상태에서 보행보조기에 의지하면서 보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상반신을 보행보조기에 기댄 상태로 보행하게 되므로 다리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다리 관절이 좋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팔꿈치 받침대(40)는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에 따라 최적한 상태로 조절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팔꿈치 받침대(4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도 1의 실선표시 상태에서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각도조절나사(53)를 조이는 방향으로 돌리면 각도조절나사(53)가 상승하면서 그 상단이 팔꿈치 받침대(40)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팔꿈치 받침대(40)는 그 선단부가 스프링(55)에 대항하여 상승하게 되며, 팔꿈치 받침대(40)는 그 후단부가 힌지(50)에 의해 수평부(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팔꿈치 받침대(40)는 도 1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는 상태로 된다. 팔꿈치 받침대(40)의 경사각도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최적한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하면 된다.
경사각도가 조절된 팔꿈치 받침대(40)는 스프링(55)에 의해 그 하면이 각도조절나사(53)에 지지되는 상태로 탄력지지되므로 조절된 경사각도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나사(53)는 그 하단에 나사손잡이(5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손으로 돌릴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상술한 보행보조 기능 외에도 간단한 소화물을 적재할 수 있어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노약자 스스로 소화물을 실어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기능을 가진다.
즉, 함지박 모양의 용기에 담긴 소화물이나 보따리 등의 간단한 소화물을 소 화물 적재대(60)를 구성하는 ㅧ 자형 파이프(62) 위에 올려놓고, 신축성 결속끈(63)을 잡아당겨서 그 선단에 결합된 고리(64)를 소화물에 걸어서 결속하여 소화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노약자 스스로가 보호자의 도움 없이 소화물을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전체 사시도, 도 7은 소화물 적재대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운반용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화물 적재대(60)에, 상기 파이프(62) 위에 고정결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66)가 형성된 도넛형 적재판(65)과, 상기 암나사부(66)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69)가 형성된 결합용 돌출부(68)를 가지는 운반용기(67)를 더 포함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상기 ㅧ 자형 파이프(62)에 고정 결합된 도넛형 적재판(65) 위에 운반용기(67)를 올려놓고 그 돌출부(68)에 형성된 수나사부(69)를 도넛형 적재판(65)의 암나사부(66)에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운반용기(67)를 고정하여 이 운반용기(67)에 각종 소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실시에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에 의하면 손잡이에 보조 손잡이부와 팔꿈치 받침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보조 손잡이부를 잡은 상태에서 팔꿈치를 팔꿈치 받침대에 받혀 상반신을 보행보조기에 기댄 상태로 보행함으로써 다리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다리 관절이 좋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팔꿈치 받침대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그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소화물을 적재하여 보호자의 도움 없이 노약자 스스로가 소화물을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소화물 적재대에 도넛형 적재판과 이에 결합되는 운반용기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소화물을 적재,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4개의 다리(11)와, 후방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틀(12)과, 보강을 위한 중단 횡틀(13)들을 가지는 프레임(10)과; 상기 4개의 다리(11)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20)들과; 상기 연장틀(12)의 상단에 연결 고정되는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연장틀(12)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좌우 양측의 수평부(31)와, 이들 양측의 수평부(31)의 후단을 연결하는 주 손잡이부(32)와, 상기 양측 수평부(31)의 선단을 연결하며 상방 및 전방을 향해 만곡 형성된 보조 손잡이부(33)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수평부(31)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팔꿈치 받침대(40)와,
    상기 팔꿈치 받침대(40)를 수평상태와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진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 받침대(40)는 사각파이프 등으로 받침대틀(41)과, 상기 받침대틀(41)의 상부에 결합되는 쿠션(cushion)패드(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대틀(41)의 후단을 상기 수평부(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50)와, 상기 양측 수평부(31)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대(51)와, 상기 연결대(51)에 형성된 나사공(52)에 나사 결합되며 상단이 팔꿈치 받침대(40)의 하면에 접촉하는 각도조절나사(53)와, 상기 연결대(51)의 상면과 팔꿈치 받침대(40)의 하면 사이에 장전되어 팔꿈치 받침대(40)를 하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5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횡틀(13)에 설치되어 소화물 적재대(6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물 적재대(60)는 상기 중단 횡틀(13) 상에 고정 결합되는 소화물 적재대틀(61)과, 이 소화물 적재대틀(61) 상에 고정 결합되며 함지박 형태의 용기나 보따리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ㅧ 자형으로 배치된 한 쌍의 파이프(62)와, 이들 파이프(62)에 삽입되어 그 양단이 파이프(62)의 양단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성 결속끈(63)과, 상기 신축성 결속끈(63)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리(6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물 적재대(60)에, 상기 파이프(62) 위에 고정결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66)가 형성된 도넛형 적재판(65)과, 상기 암나사부(66)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69)가 형성된 결합용 돌출부(68)를 가지는 운반용기(6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KR1020050133625A 2005-12-29 2005-12-29 보행보조기 KR100795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625A KR100795438B1 (ko) 2005-12-29 2005-12-29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625A KR100795438B1 (ko) 2005-12-29 2005-12-29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768A KR20070070768A (ko) 2007-07-04
KR100795438B1 true KR100795438B1 (ko) 2008-01-17

Family

ID=3850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625A KR100795438B1 (ko) 2005-12-29 2005-12-29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23B1 (ko) * 2013-02-04 2013-09-16 이환희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439A (ja) * 1994-08-30 1996-03-12 Waida Seisakusho:Kk 歩行補助車
WO1998033466A1 (en) 1997-02-04 1998-08-06 Hall, George, Roberts Walking frame
JP2004267619A (ja) 2003-03-11 2004-09-30 Og Giken Co Ltd 座部昇降歩行車
KR200390058Y1 (ko) 2005-04-29 2005-07-18 유경곤 노약자 및 장애인의 활동 보조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439A (ja) * 1994-08-30 1996-03-12 Waida Seisakusho:Kk 歩行補助車
WO1998033466A1 (en) 1997-02-04 1998-08-06 Hall, George, Roberts Walking frame
JP2004267619A (ja) 2003-03-11 2004-09-30 Og Giken Co Ltd 座部昇降歩行車
KR200390058Y1 (ko) 2005-04-29 2005-07-18 유경곤 노약자 및 장애인의 활동 보조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23B1 (ko) * 2013-02-04 2013-09-16 이환희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768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0256B1 (en) Up-right walker for supporting a patient with up-right posture
US9289347B2 (en) Erect posture mobility device with low turn radius
US7287767B1 (en) Walking aid apparatus
US7743779B2 (en) Crutch stroller
JP3747016B2 (ja) ベビーカー・トレーラー
US20090050187A1 (en) Walker with underarm supports
JPS62125535U (ko)
US8757646B2 (en) Transport chair allowing transport of multiple passengers
US10639226B1 (en) Mobility assistance apparatus
JP2019030629A (ja) 歩行車
US20010038186A1 (en) Rolling crutch with braking means
US20070013158A1 (en) Assisted walking device
KR200466991Y1 (ko) 보행보조기
KR100795438B1 (ko) 보행보조기
US20030151232A1 (en) Multiple purpose device to assist physically disabled persons
JP4196296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片手操作式手押し車
KR20140002433A (ko) 보행보조기능을 가지는 쇼핑카트
US11059508B1 (en) Shopping cart assist handles
JP4488364B2 (ja) 肘掛歩行器
KR102033712B1 (ko) 보행보조차
CN206730108U (zh) 一种多功能康复训练辅助行走装置
JP2011010703A (ja) 移乗支援機
GB2319732A (en) Walking aid
JP6667063B2 (ja) 背負子
KR200265520Y1 (ko) 의자겸용 목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