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268B1 - 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268B1
KR100795268B1 KR1020057021289A KR20057021289A KR100795268B1 KR 100795268 B1 KR100795268 B1 KR 100795268B1 KR 1020057021289 A KR1020057021289 A KR 1020057021289A KR 20057021289 A KR20057021289 A KR 20057021289A KR 100795268 B1 KR100795268 B1 KR 100795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wall
rail
guide rail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0584A (en
Inventor
히로시 기가와
겐이치 오카모토
히데아키 고데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268B1/en
Publication of KR20060040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5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2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6Interconnection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및 평형추를 각각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레일 장착 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일부는 제1의 내벽면과, 제1의 내벽면에 대해 수직인 제2의 내벽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레일 장착 장치는, 제1 및 제2의 내벽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1의 벽 고정부 및 제2의 벽 고정부, 및 제1 및 제2의 벽 고정부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제1의 벽 고정부, 제2의 벽 고정부 및 장착부는 서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In an elevator, the guide rail which guides a cage | basket | car and a counterweight, respectively is provided in the hoistway by the rail mounting apparatus. A part of the hoistway is comprised by the 1st inner wall surface and the 2nd inner wall surface perpendicular | vertical with respect to a 1st inner wall surface. The rail mounting apparatus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1st wall fixing part and the 2nd wall fixing part fixed to the 1st and 2nd inner wall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1st and 2nd wall fixing part, A guide rail It has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The first wall fixing portion, the second wall fix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Rail mounting device of elevator {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승강로의 내벽면에 장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mount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for mounting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body of the elevator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lifting path.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및 평형추를 안내하기 위해, 복수의 가이드 레일이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각 가이드 레일은, 고정 브래킷에 의해 승강로 내에 고정되어 있다. 일본실용신안 실개평 4-56179호 공보에는 가이드 레일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해, 고정 브래킷과는 별도로 승강로 내에 배치된 보강재가 개시되어 있다. 보강재는, 고정 브래킷이 고정된 한쪽의 내벽면에 대해 수직인 다른 쪽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 보강재는 고정 브래킷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처지게 배치되어 있다.In a conventional elevator, in order to guide a car and a counterweight, some guide rail may be provided in a hoistway. Each guide rail is being fixed in the hoistway by the fixing bracket. Japanese Utility Model Application Laid-Open No. 4-56179 discloses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in a hoistway separate from the fixing bracket to reinforce the fixing of the guide rail. The reinforcing material is fixed to the other inner wall surface perpendicular to one inner wall surface to which the fixing bracket is fixed.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disposed to sag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bracket.

또, 일본실용신안 실개소 55-11994호 공보에는, 가이드 레일의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한 가이드 레일 고정 금구(金具)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 고정 금구는, 승강로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벽측 금구와, 벽측 금구에 장착되며 벽측 금구에 대한 위치가 조정 가능한 레일측 금구를 가지고 있다. 레일측 금구는, 승강로의 내벽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승강로의 내벽면측(수직부의 배면측)으로 뻗는 수평부를 가지고 있다. 수평부 에는, 레일측 금구를 벽측 금구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볼트가 통과되는 긴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 볼트의 긴 구멍에 대한 위치의 조정에 의해, 레일측 금구의 벽측 금구에 대한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Japanese Utility Model Application Publication No. 55-11994 discloses a guide rail fixing bracket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rai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guide rail fixing bracket has a wall side bracket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and a rail side bracket mounted on the wall bracket and having an adjustabl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wall bracket. The rail-side bracket has a vertical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dge of the vertical portion to the inner wall surface side of the hoistway (back side of the vertical part). The horizont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ng hole through which a mounting bolt for mounting the rail side bracket to the wall side bracket passes. By adjusting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ng hole of a mounting bolt,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wall side metal fitting of a rail side metal fitting is enabled.

그러나, 일본실용신안 실개평 4-56179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보강재가 고정 브래킷과는 별체로 되어 있으므로, 고정 브래킷 및 보강재를 승강로의 내벽면에 하나씩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가이드 레일의 승강로 내에의 설치 작업에 품이 들고 만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Application Laid-Open No. 4-56179, since the reinforcing material is separate from the fixing bracket, the fixing bracket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must be mounted one by one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I am tired of installation work in the inside.

또, 일본실용신안 실개소 55-11994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레일측 금구의 수평부가 수직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레일측 금구를 벽측 금구에 장착 볼트로 장착할 때에, 승강로의 내벽면 및 수직부가 방해가 되어 장착 볼트의 체결에 품이 들고 만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No. 55-11994, since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rail side bracket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when the rail side bracket is mounted on the wall side bracket with a mounting bolt,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vertical portion are obstructed and the product is held by the fastening of the mounting bo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가이드 레일의 승강로 내에의 설치 작업에 드는 품을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rail mount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an reduce the goods which ar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work in the hoistway of a guide rail.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는, 승강로의 서로 인접하는 제1의 내벽면 및 제2의 내벽면에 대해, 엘리베이터의 승강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로서, 제1의 내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1의 벽 고정부와, 제2의 내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2의 벽 고정부와,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며, 제1의 벽 고정부, 제2의 벽 고정부 및 장착부가 서로 일체로 되어 있는 브래킷체(bracket member)를 구비하고 있다.The rail mounting apparatus of an elevator by this invention is an rail mount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mounts the guide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body of an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1st inner wall surface and the 2nd inner wall surface which adjoin each other of a hoistway, A first wall fixing portion fixed to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a second wall fixing portion fixed to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guide rail is mounted, a first wall fixing portion, A second wall fixing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are provided with a bracket member integral with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1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mount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3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mount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5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ail mount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FIG. 5. FIG.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very suit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 및 한 쌍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는 승강체인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고, 각 평형추 가이드 레일(2) 사이에는 승강체인 평형추(3)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되 고, 평형추(3)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1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a pair of car guide rails (not shown)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2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A car (not shown) that is a lifting body is disposed between each car guide rail, and a counterweight 3 that is a lifting body is disposed between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2. The car is guided to the car guide rail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and the counterweight 3 is guided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승강로(1)의 일부는, 평형추(3)가 대향하는 제1의 내벽면(4)과, 제1의 내벽면(4)에 서로 인접하며, 제1의 내벽면(4)에 대해 수직인 한 쌍의 제2의 내벽면(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의 내벽면(4)은,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제2의 내벽면(5) 사이에는, 평형추(3) 및 한 쌍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이 배치되어 있다.A part of the hoistway 1 is adjacent to the 1st inner wall surface 4 and the 1st inner wall surface 4 which the counterweight 3 opposes, and is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1st inner wall surface 4 It is comprised by the pair of 2nd inner wall surface 5 which is phosphorus.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4 is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2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counterweight 3 and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2 ar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2nd inner wall surface 5.

각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은, 제2의 내벽면(5)에 대향하는 배면(배면)(6)을 포함하는 레일 본체(7)와, 레일 본체(7)로부터 평형추(3)측으로 돌출하며, 평형추(3)를 안내하는 안내부(8)를 가지고 있다. 또, 각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은,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이하, 간단히 「레일 장착 장치」라 한다)(9)를 통하여 제1 및 제2의 내벽면(4, 5)에 장착되어 있다.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2 has a rail body 7 including a back (back) 6 facing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and a counterweight 3 from the rail body 7. It has a guide portion 8 which protrudes and guides the counterweight 3. Moreover,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attached to the 1st and 2nd inner wall surfaces 4 and 5 via the rail mounting apparatus (henceforth a "rail mounting apparatus") 9 of an elevator. have.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9)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레일 장착 장치(9)는, 제1 및 제2의 내벽면(4, 5)에 고정되며 또한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이 장착되는 브래킷체(10)를 가지고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ail mounting device 9 of the elevator of FIG. 1. In the figure, the rail mounting apparatus 9 has the bracket body 10 fixed to the 1st and 2nd inner wall surfaces 4 and 5, and to which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mounted.

브래킷체(10)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2)과 제2의 내벽면(5)의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된 수평부(기초부)(11)와, 수평부(11)의 제1의 내벽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1의 내벽면(4)에 따라 뻗으며, 제1의 내벽면(4)에 고정되는 제1의 벽 고정부(12)와, 수평부(11)의 제2의 내벽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2의 내벽면(5)에 따라 뻗으 며, 제2의 내벽면(5)에 고정되는 제2의 벽 고정부(13)와, 수평부(12)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2)측의 단부로부터 배면(6)에 따라 위쪽으로 뻗으며,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이 장착되는 장착부(14)를 가지고 있다.The bracket body 10 is the horizontal part (base part) 11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between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and the 2nd inner wall surface 5, and the 1st of the horizontal part 11, The first wall fixing portion 12 and the horizontal portion 11 which extend along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4 from the end on the inner wall surface 4 side and are fixed to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4. A second wall fixing portion 13 extending along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side and fixed to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It extends upward along the back surface 6 from the end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side of 12), and has the mounting part 14 to which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mounted.

또, 브래킷체(10)는 1매의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즉, 수평부(11), 제1의 벽 고정부(12), 제2의 벽 고정부(13) 및 장착부(14)는, 동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Moreover, the bracket body 10 is produced by bending one metal plate. That is, the horizontal part 11, the 1st wall fixing part 12, the 2nd wall fixing part 13, and the mounting part 14 are comprised integrally by the same member.

제1의 벽 고정부(12)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15)이 설치되고, 제2의 벽 고정부(13)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1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장착부(14)에는, 레일 본체(7)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볼트 통과 구멍(17)이 설치되어 있다.An elongated hole 15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wall fixing part 12, and an elongated hole 16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wall fixing part 13. Moreover, the pair of bolt through-holes 17 arrange | positioned at the space | interval wid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rail main body 7 is provided in the attaching part 14. As shown in FIG.

긴 구멍(15)에는 제1의 벽 고정부(12)를 제1의 내벽면(4)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통과된다. 또, 긴 구멍(16)에는 제2의 벽 고정부(13)를 제2의 내벽면(5)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통과된다. 또한, 각 볼트 통과 구멍(17)에는, 레일 본체(7)의 양측부에 당접하는 한 쌍의 레일 클립(도시하지 않음)을 장착부(14)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통과된다.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은, 각 레일 클립의 장착부(14)에의 고정에 의해 장착부(14)에 장착된다.The long hole 15 is passed through an anchor bolt (not shown) for fixing the first wall fixing portion 12 to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4. In addition, an anchor bolt (not shown) for fixing the second wall fixing portion 13 to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passes through the long hole 16. Moreover, the bolt (not shown) for fixing the pair of rail clips (not shown) which abuts on both sides of the rail main body 7 to the mounting part 14 is passed through each bolt passage hole 17. As shown in FIG. .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14 by fixing to each mounting part 14 of each rail clip.

다음에,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의 승강로(1) 내에의 장착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mounting procedure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n the hoistway 1 is demonstrated.

먼저,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브래킷체(10)를 승강로(1) 내 에 배치하고, 각 제1의 벽 고정부(12)를 제1의 내벽면(4)에, 각 제2의 벽 고정부(13)를 제2의 내벽면(5)에 각각 앵커 볼트에 의해 고정한다.First, the several bracket body 1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istway 1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and each 1st wall fixing part 12 is carried out to the 1st inner wall surface 4, and each 2nd Wall fixing portions 13 are fixed to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by anchor bolts, respectively.

이 후,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의 배면(6)을 각 장착부(14)에 맞닿아 접하게 하고,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을 레일 클립에 의해 장착부(14)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을 승강로(1) 내에 설치한다.Thereafter, the back surface 6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mounting portion 14,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14 by a rail clip. In this way,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이와 같은 레일 장착 장치(9)에서는, 제1의 벽 고정부(12), 제2의 벽 고정부(13) 및 장착부(14)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제1의 내벽면(4) 및 제2의 내벽면(5)의 각각에 대한 브래킷체(10)의 위치 결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레일 장착 장치(9)의 승강로(1) 내에의 설치 작업을 단시간에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의 승강로(1) 내에의 설치 작업의 품을 줄일 수 있다. 또, 제1의 벽 고정부(12), 제2의 벽 고정부(13) 및 장착부(14)를 일체로 하였으므로,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레일 장착 장치(9)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벽 고정부(12), 제2의 벽 고정부(13) 및 장착부(14)의 일체화에 의해 레일 장착 장치(9)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의 내벽면(4, 5)을 평형추 가이드 레일(2)에 접근시켜서 배치할 수 있어서, 승강로(1) 내의 공간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 rail mounting apparatus 9, since the 1st wall fixing part 12, the 2nd wall fixing part 13, and the mounting part 14 are integrated, the 1st inner wall surface 4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ing of the bracket body 10 with respect to each of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s 5 at the same time, and the installation work in the hoistway 1 of the rail mounting apparatus 9 can be further facilitated in a short time. have. Therefore, the width | variety of the installation work in the hoistway 1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can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1st wall fixing part 12, the 2nd wall fixing part 13, and the mounting part 14 were integrated,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rail mounting apparatus 9 can be reduced.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rail mounting apparatus 9 can be made compact by the integration of the 1st wall fixing part 12, the 2nd wall fixing part 13, and the mounting part 14, the 1st and 2nd inside The wall surfaces 4 and 5 can be arrange | positioned approaching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and the space in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브래킷체(10)가 1매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되어 있으나, 복수의 판을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브래킷체(10)를 제작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bracket body 10 is produced by bending one metal plate, but a plurality of plates may be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to produce the bracket body 10.

또, 상기의 예에서는, 장착부(14)와 제2의 벽 고정부(13)의 사이에 수평부(12)가 개재하고 있으나, 제2의 벽 고정부(13) 상에 장착부(14)를 직접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2의 내벽면(5)을 평형추 가이드 레일(2)에 더욱 접근시킬 수 있어서, 승강로(1) 내의 공간의 축소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의 벽 고정부(12)는, 제2의 벽 고정부(13)의 제1의 내벽면(4)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또, 제2의 내벽면(5)에는, 각 볼트 통과 구멍(17)에 통과된 볼트의 제2의 내벽면(5)에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부가 설치된다.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horizontal portion 12 is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14 and the second wall fixing portion 13, the mounting portion 14 is disposed on the second wall fixing portion 13. You can install it yourself. In this way,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can be brought closer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so that the space in the hoistway 1 can be further reduced. In this case, the 1st wall fixing part 12 is provided in the edge part by the side of the 1st inner wall surface 4 of the 2nd wall fixing part 13. Moreover, a recess is provided in the 2nd inner wall surface 5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2nd inner wall surface 5 of the bolt which passed through each bolt passage hole 17. As shown in FIG.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은,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레일 장착 장치(21)에 의해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다. 각 레일 장착 장치(21)는, 제1 및 제2의 내벽면(4, 5)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22)와, 베이스 부재(22) 상에 배치되며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 부재(23)를 가지고 있다.3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 mount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in FIG. 3. In the figure,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by the some rail mounting apparatus 21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Each rail mounting apparatus 21 has a base member 22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inner wall surfaces 4, 5, and a counterweight guide rail 2 mounted on the base member 22. It has the rail mounting member 23 which becomes.

베이스 부재(22)는, 제1 및 제2의 내벽면(4, 5)에 함께 접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수평부(24)와, 수평부(24)의 제1의 내벽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1의 내벽면(4)에 따라 아래쪽으로 뻗는 제1의 벽 고정부(25)와, 수평부(24)의 제2의 내벽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2의 내벽면(5)에 따라 아래쪽으로 뻗는 제2의 벽 고정부(26)를 가지고 있다. 또, 베이스 부재(22)는 1매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되어 있다. 즉, 수평부(24), 제1의 벽 고정부(25) 및 제2의 벽 고정부(26)는, 동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The base member 22 has the horizontal part 24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in contact with the 1st and 2nd inner wall surfaces 4 and 5 together, and the 1st inner wall surface 4 side of the horizontal part 24. As shown in FIG. The first wall fixing portion 25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4 from the end of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from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24. It has the 2nd wall fixing part 26 extended downward according to (5). In addition, the base member 22 is produced by bending one metal plate. That is, the horizontal part 24, the 1st wall fixing part 25, and the 2nd wall fixing part 26 are comprised integrally by the same member.

제1의 벽 고정부(25)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15)이 설치되고, 제2의 벽 고정부(26)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16)이 설치되어 있다. 긴 구멍(15)에는, 제1의 벽 고정부(25)를 제1의 내벽면(4)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통과된다. 또, 긴 구멍(16)에는, 제2의 벽 고정부(26)를 제2의 내벽면(5)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통과된다.An elongated hole 15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wall fixing part 25, and an elongated hole 16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wall fixing part 26. An anchor bolt (not shown) for fixing the first wall fixing portion 25 to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4 passes through the long hole 15. In addition, an anchor bolt (not shown) for fixing the second wall fixing part 26 to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passes through the long hole 16.

레일 장착 부재(23)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의 제1 및 제2의 내벽면(4, 5)에 대한 위치 결정이 완료되었을 때에 수평부(24) 상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접합부(27)와, 접합부(27)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2)측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수직으로 뻗으며,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이 장착되는 장착부(28)를 가지고 있다.The rail mounting member 23 is a joint part joined by welding on the horizontal part 24 when the positioning with respect to the 1st and 2nd inner wall surfaces 4 and 5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completed. (27) and the attachment part 28 which vertically extends upwards from the edge part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side of the junction part 27, and is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접합부(27)는, 수평부(24)에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28)에는, 레일 본체(7)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볼트 통과 구멍(17)이 설치되어 있다. 각 볼트 통과 구멍(17)에는, 한 쌍의 레일 클립(도시하지 않음)을 장착부(28)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통과된다.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은, 각 레일 클립의 장착부(28)에의 고정에 의해 레일 장착 부재(23)에 장착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The junction part 27 is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along the horizontal part 24. As shown in FIG. The mounting portion 28 is provided with a pair of bolt through holes 17 arranged at interval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rail body 7. A bolt (not shown) for fixing a pair of rail clips (not shown) to the mounting portion 28 passes through each bolt through hole 17.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attached to the rail mounting member 23 by fixing to each mounting part 28 of each rail clip.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다음에,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의 승강로(1) 내에의 장착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mounting procedure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n the hoistway 1 is demonstrated.

먼저,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베이스 부재(22)를 승강로(1) 내에 배치한 후, 각 제1의 벽 고정부(25)를 제1의 내벽면(4)에, 각 제2의 벽 고정부(26)를 제2의 내벽면(5)에 각각 앵커 볼트에 의해 고정한다.First, after arrange | positioning the some base member 22 in the hoistway 1 at intervals mutually in the height direction, each 1st wall fixing part 25 is made to the 1st inner wall surface 4, and each 2nd Wall fixing portions 26 are fixed to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by anchor bolts, respectively.

이 후, 복수의 레일 장착 부재(23)를 평형추 가이드 레일(2)에 레일 클립에 의해 고정한다. 이 때, 각 베이스 부재(22)의 수평부(24) 상에 각 접합부(27)의 바닥면을 맞닿아 접하게 해 둔다. 이 후,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의 제1 및 제2의 내벽면(4, 5)에 대한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고, 용접에 의해 각 접합부(27)를 각 수평부(24)에 접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을 승강로(1) 내에 설치한다.Thereafter, the plurality of rail mounting members 23 are fixed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by a rail clip.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each joining part 27 abuts on the horizontal part 24 of each base member 22, and is in contact. Thereafter,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inner wall surfaces 4 and 5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adjusted, and the respective welding portions 27 are welded to each horizontal portion 24. Bond to. In this way,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이와 같은 레일 장착 장치(21)에서는, 제1의 벽 고정부(25) 및 제2의 벽 고정부(26)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제1의 내벽면(4) 및 제2의 내벽면(5)의 각각에 대한 베이스 부재(22)의 위치 결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서, 베이스 부재(22)의 승강로(1) 내에의 설치 작업을 단시간에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의 승강로(1) 내에의 설치 작업의 품을 줄일 수 있다. 또, 부품 개수가 적게 되므로, 레일 장착 장치(2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벽 고정부(25) 및 제2의 벽 고정부(26)의 일체화에 의해 베이스 부재(22)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의 내벽면(4, 5)을 평형추 가이드 레일(2)에 접근시켜서 배치할 수 있어서, 승강로(1) 내의 공간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 rail mounting apparatus 21, since the 1st wall fixing part 25 and the 2nd wall fixing part 26 are integrated, the 1st inner wall surface 4 and the 2nd inner wall which are mutually different are different. Positioning of the base member 22 with respect to each of the wall surfaces 5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the installation work in the hoistway 1 of the base member 22 can be made easy also in a short time. Therefore, the width | variety of the installation work in the hoistway 1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can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small,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ail mounting apparatus 21 can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base member 22 can be made compact by the integration of the 1st wall fixing part 25 and the 2nd wall fixing part 26, the 1st and 2nd inner wall surfaces 4 and 5 are shown. It can arrange | position so that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may approach, and the space in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또, 레일 장착 부재(23)는, 베이스 부재(22)에 접합되는 접합부(27)를 가지고 있으므로, 레일 장착 부재(23)의 베이스 부재(22)에 대한 위치를 조정한 후에, 레일 장착 부재(23)를 베이스 부재(22)에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을 승강로(1) 내에 설치할 때에,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의 제1 및 제2의 내벽면(4, 5)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ail mounting member 23 has the junction part 27 joined to the base member 22,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22 of the rail mounting member 23, the rail mounting member ( 23 can be joined to the base member 22 by, for example, welding. 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n the hoistway 1,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1st and 2nd inner wall surfaces 4 and 5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레일 장착 부재(23)가 베이스 부재(22)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게 되어 있으나, 레일 장착 부재(23)를 베이스 부재(22)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하여 접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수평부(24) 및 접합부(27)의 어느 한쪽에는 제1의 내벽면(4)과 평행하게 뻗는 기다란 볼트 통과 구멍이 설치되고, 수평부(24) 및 접합부(27)의 어느 하나의 다른 쪽에는 제2의 내벽면(5)과 평행하게 뻗는 기다란 볼트 통과 구멍이 설치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rail mounting member 23 is joined to the base member 22 by welding, but the rail mounting member 23 is fastened to the base member 22 by bolts and nuts. You may also In this case, either one of the horizontal portion 24 and the junction portion 27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bolt through hol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4, and either one of the horizontal portion 24 and the junction portion 27. The other side of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bolt through hole extending parallel to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5.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2)이 레일 장착 장치에 의해 승강로(1) 내에 장착되어 있으나, 레일 장착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승강로(1) 내에 장착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2 is attached in the hoistway 1 by the rail mounting apparatus in Embodiment 1, 2, you may mount the cage guide rail in the hoistway 1 by a rail mounting apparatus.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 및 한 쌍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의 사이에는 승강체인 엘리베이터 칸(32)이 배치되고, 각 평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승강체인 평형추(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5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a pair of car guide rails 31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car 32 which is a lifting body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car guide rail 31, and the counterweight (not shown) which is a lifting body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counterweight guide rail.

승강로(1)의 일부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을 서로 잇는 직선에 대하여 수직인 한 쌍의 내벽면(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내벽면(33)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32) 및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이 배치되어 있다.A part of the hoistway 1 is comprised by the pair of inner wall surface 33 perpendicular |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which mutually connected each car guide rail 3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 car 32 and a pair of car guide rails 31 are disposed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s 33.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은, 내벽면(33)에 대향하는 배면(34)을 포함하는 레일 본체(35)와, 레일 본체(35)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2)측으로 돌출하며, 엘리베이터 칸(32)을 안내하는 안내부(36)를 가지고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은, 복수의 레일 장착 장치(37)를 통하여 각 내벽면(33)에 장착되어 있다.Each car guide rail 31 protrudes from the rail main body 35 including the back surface 34 facing the inner wall surface 33 to the car 32 side from the rail main body 35, and the car ( 32 has a guide portion 36 for guiding it. Moreover, each cage guide rail 31 is attached to each inner wall surface 33 via the some rail mounting apparatus 37. As shown in FIG.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레일 장착 장치(37)는, 내벽면(33)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38)와, 베이스 부재(38) 상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 부재(39)를 가지고 있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ail mount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FIG. 5. FIG. In the drawing, the rail mounting apparatus 37 includes a base member 38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33 and a rail mounting member disposed on the base member 38 and to which the car guide rail 31 is mounted. 39)

베이스 부재(38)는, 내벽면(33)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벽 고정부(40)와, 벽 고정부(40)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일부로부터 승강로(1)의 내부측으로 수평으로 뻗는 한 쌍의 연장부(41)를 가지고 있다. 또, 베이스 부재(38)는 1매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되어 있다. 즉, 벽 고정부(40) 및 한 쌍의 연장부(41)는 동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The base member 38 is a plate-shaped wall fixing portion 40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33 and a pai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part of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wall fixing portion 40 to the inner side of the hoistway 1. Has an extension 41. In addition, the base member 38 is produced by bending one metal plate. That is, the wall fixing part 40 and a pair of extension part 41 are comprised integrally by the same member.

벽 고정부(40)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42)과, 수평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43)이 설치되어 있다. 긴 구멍(42) 및 긴 구멍(43)은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긴 구멍(42, 43)에는, 벽 고정부(40)를 내벽면(33)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통과된다. 또, 각 연장부(41)는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The wall fixing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hole 4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elongated hole 43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ng holes 42 and the long holes 43 are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 anchor bolt (not shown) for fixing the wall fixing part 40 to the inner wall surface 33 passes through the long holes 42 and 43. Moreover, each extension part 41 is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레일 장착 부재(3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의 내벽면(33)에 대한 위치 결정이 완료되었을 때에 각 연장부(41) 상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한 쌍의 접합부(44)와, 각 접합부(44)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이 장착되는 장착부(45)를 가지고 있다.The rail mounting member 39 is provided with a pair of joint portions 44 joined by welding on the extension portions 41 when positioning of the inner wall surface 33 of the car guide rail 31 is completed. And a mounting portion 45 attached to each of the joint portions 44 and to which the car guide rail 31 is mounted.

장착부(45)는 각 접합부(44)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장착부(45)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각 접합부(4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접합부(44) 및 장착부(45)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내벽면(33)에 따른 방향에 서로 인접하고 있다. 또한, 레일 장착 부재(39)는 1매의 금속판에 절취선을 새겨서 절곡함으로써 제작되어 있다. 즉, 각 접합부(44) 및 장착부(45)는 동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The mounting part 45 is arrange | positioned perpendicularly with respect to each junction 44. Moreover, the mounting part 45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each junction part 44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at is, the junction part 44 and the attachment part 45 adjoin each other in the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33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addition, the rail mounting member 39 is produced by engraving a cut line on one metal plate and bending it. That is, each junction part 44 and the attachment part 45 are comprised integrally by the same member.

장착부(45)에는, 레일 본체(35)의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볼트 통과 구멍(17)이 설치되어 있다. 각 볼트 통과 구멍(17)에는, 한 쌍의 레일 클립(도시하지 않음)을 장착부(45)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통과된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은, 각 레일 클립의 장착부(45)에의 고정에 의해 레일 장착 부재(39)에 장착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The mounting part 45 is provided with a pair of bolt through holes 17 arranged at interval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rail main body 35. A bolt (not shown) for fixing a pair of rail clips (not shown) to the mounting portion 45 passes through each bolt through hole 17. The car guide rail 31 is attached to the rail mounting member 39 by fixing the rail clip to the mounting portion 45.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다음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의 승강로(1) 내에의 장착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mounting procedure in the hoistway 1 of the cage guide rail 31 is demonstrated.

먼저, 복수의 베이스 부재(38)를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승강로(1) 내에 배치 한 후, 각 벽 고정부(40)를 내벽면(33)에 앵커 볼트에 의해 고정한다.First, after placing the base member 38 in the hoistway 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each wall fixing part 40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33 with an anchor bolt.

이 후, 복수의 레일 장착 부재(3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에 레일 클립에 의해 고정한다. 이 때, 각 연장부(41) 상에 각 접합부(44)의 바닥면을 맞닿아 접하게 해 둔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의 내벽면(33)에 대한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고, 용접에 의해 각 접합부(44)를 각 연장부(41)에 접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을 승강로(1) 내에 설치한다.Thereafter, the plurality of rail mounting members 39 are fixed to the car guide rail 31 by a rail clip.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each joining part 44 abuts on each extension part 41, and is in contact. Thereafter,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33 of the car guide rail 31 is adjusted, and each joining portion 44 is joined to each extending portion 41 by welding. In this way, each car guide rail 31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이와 같은 레일 장착 장치(37)에서는, 레일 장착 부재(39)가 베이스 부재(38)에 접합되는 접합부(44)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이 장착되는 장착부(45)를 가지며,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접합부(44)와 장착부(45)가 내벽면(33)에 따른 방향에 인접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을 승강로(1) 내에 설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의 내벽면(33)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게다가 장착부(45)가 방해로 되는 일 없이 승강로(1)의 내부측으로부터 접합부(44)와 연장부(41)와의 접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의 승강로(1) 내에의 설치 작업의 품을 줄일 수 있다. 또, 접합부(44)가 장착부(45)와 내벽면(33)의 사이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장착부(45)와 내벽면(33) 사이의 간격 D(도 5)를 작게 할 수 있고, 내벽면(33)을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에 접근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1) 내의 공간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 rail mounting apparatus 37, the rail mounting member 39 has the joint part 44 joined to the base member 38, and the mounting part 45 to which the car guide rail 31 is mounte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1), since the junction part 44 and the mounting part 45 are adjacent to the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33, when the cage guide rail 31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1, the cage guide is carried out.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33 of the rail 31 can be adjusted, and also the joining part 44 and the extension part 41 from the inner side of the hoistway 1 are not obstructed. Can be performed easily. Therefore, the product of the installation work in the hoistway 1 of the cage guide rail 31 can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junction part 44 does not exist between the mounting part 45 and the inner wall surface 33, the space | interval D (FIG. 5) between the mounting part 45 and the inner wall surface 33 can be made small, and an inner wall surface 33 can be arrange | positioned approaching the car guide rail 31. FIG. Therefore, the space in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또, 접합부(44)가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연장부(41)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며,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장착부(45)가 각 접합부(4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 내의 공간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의 내벽면(33)에 대한 장착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Moreover, the pair of extension parts 41 to which the junction parts 44 are respectively joined are arrange | positioned at intervals mutu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he mounting part 45 of each junction part 44 is carried out.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between, the space in the hoistway 1 can be reduced, and the mounting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33 of the cage guide rail 31 can be enlarg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레일 장착 부재(39)가 베이스 부재(38)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게 되어 있으나, 레일 장착 부재(39)를 베이스 부재(38)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하여 접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연장부(41) 및 접합부(44)의 어느 한쪽에는 내벽면(33)과 평행하게 뻗는 기다란 볼트 통과 구멍이 설치되고, 연장부(41) 및 접합부(44)의 어느 하나의 다른 쪽에는 내벽면(33)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기다란 볼트 통과 구멍이 설치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rail mounting member 39 is joined to the base member 38 by welding, but the rail mounting member 39 is fastened to the base member 38 by bolts and nuts. You may also In this case, either one of the extension part 41 and the junction part 44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bolt passage hol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inner wall surface 33, and the other of the extension part 41 and the junction part 44.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bolt through hole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surface 33.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31)이 레일 장착 장치(3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장착되어 있으나, 레일 장착 장치(37)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승강로(1) 내에 장착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cage guide rail 31 is mounted in the hoistway 1 by the rail mounting apparatus 37 in the above example, the cage guide rail is mounted in the hoistway 1 by the rail mounting apparatus 37. You may attach 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승강로의 내벽면에 장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is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rail mounting apparatus of an elevator for attaching the guide rail which guides the lifting body of an elevator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a hoistway.

Claims (5)

승강로의 서로 인접하는 제1의 내벽면 및 제2의 내벽면에 대해, 엘리베이터의 승강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로서,As a rail mounting apparatus of an elevator which mounts the guide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body of an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1st inner wall surface and the 2nd inner wall surface which adjoin each other of a hoistway, 제2의 내벽면은 제1의 내벽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고,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상기 제1의 내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1의 벽 고정부와, 상기 제2의 내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2의 벽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1의 벽 고정부, 상기 제2의 벽 고정부 및 상기 장착부가 서로 일체로 되어 있는 브래킷체(bracket member)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A first wall fixing portion fixed to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a second wall fixing portion fixed to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and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guide rail is mounted; An elevator rail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bracket member in which a wall fixing portion, the second wall fix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승강로의 서로 인접하는 제1의 내벽면 및 제2의 내벽면에 대해, 엘리베이터의 승강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로서,As a rail mounting apparatus of an elevator which mounts the guide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body of an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1st inner wall surface and the 2nd inner wall surface which adjoin each other of a hoistway, 제2의 내벽면은 제1의 내벽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고,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상기 제1의 내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1의 벽 고정부와, 상기 제2의 내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제2의 벽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제1의 벽 고정부 및 상기 제2의 벽 고정부가 서로 일체로 된 베이스 부재, 및A first wall fixing portion fixed to said first inner wall surface, and a second wall fixing portion fixed to said second inner wall surface, said first wall fixing portion and said second wall A base member having a fixed portion integral with each other, and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 부재를A rail mounting member having a joining portion joined to the base member and to which the guide rail is mounted.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 The rail mount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엘리베이터의 승강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승강로의 내벽면에 대해 장착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로서,As a rail mounting device of an elevator for mounting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body of the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ifting path, 상기 내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벽 고정부와, 상기 승강로의 내부측에 상기 벽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연장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 및A base member having a wall fixing portion fixed to said inner wall surface,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from said wall fixing portion on an inner side of said hoistwa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각 상기 연장부에 접합되는 한 쌍의 접합부와, 각 상기 접합부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는 레일 장착 부재를A rail mounting member having a pair of joining portions joined to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s, an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each joining portion and arrange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between the joining portions and on which the guide rail is mounted.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The rail mounting apparatus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브래킷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의 내벽면의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된 수평부(기초부)를 더 구비하고,The bracket body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base portion) disposed horizontally between the guide rail and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상기 제1의 벽 고정부는, 상기 수평부의 제1의 내벽면 측의 단부로부터 제1의 내벽면에 따라 뻗으며, 제1의 내벽면에 고정되고,The first wall fixing portion extends along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from an end portion on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is fixed to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상기 제2의 벽 고정부는, 상기 수평부의 제2의 내벽면측의 단부로부터 제2의 내벽면에 따라 뻗으며, 제2의 내벽면에 고정되며,The second wall fixing portion extends along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from an end portion on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is fixed to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평부의 가이드 레일 측의 단부로부터 배면에 따라 위쪽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And said mounting portion extends upwar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rail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long the rear surface thereof.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의 내벽면에 함께 접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수평부를 더 구비하고,The base member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disposed horizontally to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inner wall surfaces together, 상기 제1의 벽 고정부는, 상기 수평부의 제1의 내벽면 측의 단부로부터 제1의 내벽면에 따라 아래쪽으로 뻗고, The first wall fixing portion extends downward along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from an end portion on the first inner wall surfac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상기 제2의 벽 고정부는, 상기 수평부의 제2의 내벽면 측의 단부로부터 제2의 내벽면에 따라 아래쪽으로 뻗으며,The second wall fixing portion extends downward along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from an end portion on the second inner wall surfac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상기 베이스 부재는 1매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장착 장치.The base member is a rail mounting devic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by bending one sheet of metal.
KR1020057021289A 2005-11-09 2004-03-18 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 KR1007952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1289A KR100795268B1 (en) 2005-11-09 2004-03-18 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1289A KR100795268B1 (en) 2005-11-09 2004-03-18 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584A KR20060040584A (en) 2006-05-10
KR100795268B1 true KR100795268B1 (en) 2008-01-15

Family

ID=3714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289A KR100795268B1 (en) 2005-11-09 2004-03-18 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26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6179U (en) * 1990-09-21 1992-05-14
JPH11180657A (en) * 1997-12-25 1999-07-06 Hitachi Ltd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6179U (en) * 1990-09-21 1992-05-14
JPH11180657A (en) * 1997-12-25 1999-07-06 Hitachi Ltd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584A (en)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721B1 (en) Overhead transporta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buffer therein
RU99120992A (en) LIFT CAB
JP2013515658A (en) External track integrated drive unit
JP4602329B2 (en) Elevator rail mounting device
KR20100017966A (en) Elevator cag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0795268B1 (en) Rail fixing device of elevator
JP6579591B1 (en) Elevator land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of elevator landing device
US6595331B2 (en) Bracket for securing elevator components
JP2008068961A (en) Splice plate of guide rail for elevator
JP5502568B2 (en) Elevator rope terminal fixing device
JP4034638B2 (en) Elevator car holding device
JP4348910B2 (en) Elevator equipment
JP5638383B2 (en) Elevator car handrail device
JP2007062949A (en) Guide rail supporting structure and guide rail supporting method
JP4627434B2 (en) Elevator hoistway equipment
JPS6214057Y2 (en)
JP2002326777A (en) Guide rail device of elevator
CN112424106B (en) Elevator car device
JP2004059233A (en) Guide rail fixing device for elevator
CN217808138U (en) Villa ladder adjustment type guide rail bracket subassembly
JP4484494B2 (en) elevator
JPH0687477A (en) Method and device for fitting vehicle seat
JP2016216136A (en) Skirt guard device of passenger conveyor
JPH05193877A (en) Cage device for elevator
JPH06239559A (en) Mounting device for guide rail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