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049B1 -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 Google Patents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049B1
KR100795049B1 KR1020060131313A KR20060131313A KR100795049B1 KR 100795049 B1 KR100795049 B1 KR 100795049B1 KR 1020060131313 A KR1020060131313 A KR 1020060131313A KR 20060131313 A KR20060131313 A KR 20060131313A KR 100795049 B1 KR100795049 B1 KR 10079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drum
dryer
fil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13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져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 세탁물의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가 설치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개구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흡기관,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흡기필터, 및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기, 히터, 흡기관, 흡기필터, 착탈수단

Description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DRYER WITH FILTER FOR AIR CLEAN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유로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토출구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배기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 52 : 흡입구
54 : 토출구 60 : 드럼
62 : 지지패널 62a : 관통홀부
64 : 개스킷 64a : 배출구
66 : 안착부 66a : 공급홀부
70 : 흡기관 74 : 히터
80 : 배기관 82 : 배기팬
84 : 하우징 86 : 연결관
90 : 구동모터 96 : 벨트
100 : 리프터 110 : 연장관
120 : 흡기필터 122 : 착탈수단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져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 세탁물의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의 유로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피건조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용됨과 아울러 공기가 통과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드럼(12)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8)와, 상기 히터(18)를 통과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12)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흡기 덕트(20)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면서 혼탁해진 공기를 상기 케이스(2)의 외부로 배 출하는 배기 수단(22)과, 상기 배기 수단(22)에 설치된 송풍팬(미도시 됨)과, 상기 드럼(12)과 송풍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 됨) 및 벨트(40)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12)은 내주면에 피건조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키는 리프트(11)가 배치된다.
상기 배기 수단(22)은 상기 드럼(12)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필터(24)가 장착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 덕트(25)와, 상기 린트 덕트(25)와 연통되고 상기 송풍팬(30)을 에워싸는 팬 하우징(26)과, 상기 팬 하우징(26)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2)의 외부에 배치된 배기 덕트(2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피건조물을 투입한 후, 도어를 닫고 건조기를 작동시키면,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드럼(12) 및 송풍팬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히터(18)도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12)이 회전됨에 따라 드럼 내의 피건조물은 상기 리프트(11)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가 낙하된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해 상기 히터(18)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고온 저습 공기로 가열되고, 이후 상기 흡기 덕트(20)를 통해 드럼(12)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드럼(12)의 내부로 공급된 고온 저습의 공기는 낙하되는 피건조물에 직접 접촉되면서 피건조물의 건조작용을 하고 저온 고습의 공기로 변하면서 상기 드럼(12)의 선단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배기 덕트(27)를 통해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기는 흡기관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관이 설치되고, 이 관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히터와 드럼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로 줄일 수 없으므로 히터에서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공기가 드럼 내부로 유동되는 동안에 열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는 과열되기 쉬운 구동모터와 히터가 모두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캐비닛 내부가 과열되기 쉬워 구동모터의 과열로 인한 건조기의 오작동 및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누적되는 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별도의 여과장치를 지나지 않고 히터를 거쳐 드럼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세탁을 행한 깨끗한 세탁물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히터와 드럼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드럼으로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열 손실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내장형 흡기관이 구비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여 건조작동 중에 세탁물의 청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가 설치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개구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흡기관,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흡기필터, 및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기관의 하단에는 'ㄴ' 모양으로 절곡된 연장관이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착탈수단은 상기 흡입구 외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토출구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흡입유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배기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흡입구(52) 및 토출구(54)가 형성된 캐비닛(50)과, 상기 개구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과, 상기 드럼(60) 내벽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다수 개의 리프터(100)와, 캐비닛(50) 내부의 공기가 드럼(60)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흡기관(70)과, 상기 흡기관(70)에 설치되는 히터(74)와, 상기 드럼(60)과 토출구(54)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팬(82)과, 상기 배기팬(82)과 상기 토출구(54) 사이에 설치된 배기관(80)과, 상기 배기팬(82)의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모터(90)와, 흡입구(52)에 설치되는 흡기필터(10)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90)에 전원이 인가되면 배기팬(82)이 회전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데, 흡입구(5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히 터(74)를 통과하면서 더운 공기로 변환되어 드럼(60) 내부로 공급되고, 드럼(60) 내부에서 옷과 접촉되면서 옷의 건조작동 또는 살균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흡입구(52)를 통해 캐비닛(5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흡기필터(120)를 지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므로 깨끗한 건조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배기팬(82)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관(80)을 따라 캐비닛(50)의 토출구(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52) 및 토출구(54)는 캐비닛(50)의 배면 하단에 형성되는 바, 토출구(54)는 중앙에 형성되고, 흡입구(52)는 일측 모서리 측에 형성된다.
이 흡입구(52)에는 흡기필터(120)가 설치되어 캐비닛(5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데, 흡입구(52)에 설치되는 착탈수단(122)에 의해 흡기필터(120)가 흡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흡기관(70)의 하단에는 'ㄴ' 모양으로 절곡된 연장관(110)이 설치되고, 착탈수단(122)은 흡입구(52) 외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부(122a)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사용자가 슬라이딩 홈부(122a)의 상측으로부터 흡기필터(120)를 삽입하면 흡입구(52) 외측에 흡기필터(120)가 배치되므로 흡기필터(120) 및 흡입구(52)를 지난 외부 공기는 캐비닛(50) 내부를 거치지 않고 연장관(110)을 따라 흡기관(7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60)은 전면 및 배면이 개구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면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고, 관통홀부(62a)가 형성된 지지패널(62)에 배면이 회 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패널(62)은 캐비닛(50)의 배면 내벽에 설치되어 드럼(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부(62a)에 흡기관(7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드럼(60)은 전방측 단부와 상기 캐비닛(50)의 개구부 사이에 개스킷(64)이 설치되고, 상기 개스킷(64)의 하측 단부에 배출구(64a)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64a)에는 상기 배기팬(82) 측으로 향하는 연장관(86)이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86)과 상기 배기관(80) 사이에 상기 배기팬(82)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하우징(84)이 설치된다.
상기 흡기관(70)은 상기 흡입구(52)로부터 상기 관통홀부(62a)와 대응되는 상기 캐비닛(50)의 배면 상부까지 연장되는 통로로 이루어짐으로써, 캐비닛(50)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히터(74)를 지나면서 일정 온도 이상의 공기로 변환되어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구동모터(90)와 벨트(96)로 연결된 드럼(60)이 회전되면서 더운 공기와 세탁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므로 세탁물의 건조작동 또는 살균작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히터(74)는 캐비닛(50)의 외측에 배치되는 흡기관(70)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히터(74)가 캐비닛(50) 내측에 설치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히터(74)와 드럼(60)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된다.
이로써, 히터(74)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공기가 흡기관(70)을 따라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건조기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히터(74)가 캐비닛(50)의 배면 측에 설치됨으로써, 과열되기 쉬운 구동모터(90)와 별도의 공간에 배치되므로 캐비닛(50) 내부가 필요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동모터(90)의 과열로 인한 건조기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운전버튼(126)을 조작하면 구동모터(90) 및 히터(74)에 전원이 인가되어 배기팬(82) 및 드럼(60)이 회전되는 바, 배기팬의 구동에 의해 흡입구(52)를 따라 드럼(6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구(52)를 통과한 후에 캐비닛(50)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흡기관(70)을 따라 캐비닛(5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히터(74)에 의해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 건조 공기로 가열된다.
이때, 흡입구(5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흡기필터(120)를 지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므로 드럼(60) 내부에 수납된 세탁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청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건조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관통홀부(62a)를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회오리 모양으로 유동되면서 세탁물과 접촉되어 건조작업을 행한다.
아울러, 드럼(60)의 개구부와 캐비닛(50) 내벽 사이에 설치된 개스킷(64)에 배출구(64a)가 형성되는 바, 건조작동을 행한 공기는 이 배출구(64a)를 따라 드럼(60) 외측으로 배출되고, 배출구(64a)에 연통되는 연결관(86)을 지나 배기팬(82)의 하우징(84)으로 유동되며, 하우징(84)에서 배기관(80)을 따라 이동되어 토출구(54)를 통해 캐비닛(50)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건조작업이 장기간 반복되면 흡기필터(120)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공기의 유입이 어려워지는데, 이때는 사용자가 흡기필터(120)를 착탈수단(122), 즉 슬라이딩 홈부(122a)의 상측으로 흡기필터(120)를 유동시켜 흡입구(52)로부터 흡기필터(120)를 이탈시키고, 세척작업을 행한 후에 다시 흡기필터(120)를 슬라이딩 홈부(122a) 내측으로 삽입함으로써, 공기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히터와 드럼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히터에서 가열된 공기가 드럼으로 유동되면서 발생되는 열 손실이 극소화되므로 열효율이 극대화되는 건조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히터가 내장되는 흡기관이 구비되는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조기에 사용되는 흡기필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흡기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는 히터와 드럼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히터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드럼으로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열 손실이 감소되므로 열효율이 향상되어 건조기 운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여 건조작동 중에 세탁물의 청결 상태가 유지되므로 깨끗한 건조작동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가 설치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개구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흡기관;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흡기필터; 및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의 하단에는 'ㄴ' 모양으로 절곡된 연장관이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흡입구 외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20060131313A 2006-12-20 2006-12-20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9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313A KR100795049B1 (ko) 2006-12-20 2006-12-20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313A KR100795049B1 (ko) 2006-12-20 2006-12-20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049B1 true KR100795049B1 (ko) 2008-01-17

Family

ID=3921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313A KR100795049B1 (ko) 2006-12-20 2006-12-20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485A (zh) * 2020-06-28 2020-09-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烘干系统、干衣机以及洗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646A (ja) * 2003-11-07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50062016A (ko) * 2003-12-19 200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덕트 구조
KR20050119257A (ko) *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646A (ja) * 2003-11-07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50062016A (ko) * 2003-12-19 200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덕트 구조
KR20050119257A (ko) *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485A (zh) * 2020-06-28 2020-09-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烘干系统、干衣机以及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510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1256145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62332B1 (ko) 필터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20100034077A (ko) 의류건조기
KR100732550B1 (ko) 의류건조기
KR100751784B1 (ko) 끼움 결합방식의 팬 하우징이 구비되는 건조기
KR100762338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이 구비되는 건조기
EP1584732B1 (en) Clothes dryer
KR100795049B1 (ko) 흡기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84713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0751785B1 (ko) 옷걸이 착탈식 리프터가 구비되는 건조기
KR101246379B1 (ko) 원형 흡기관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CN111748985A (zh) 衣物处理设备
KR100762329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1246378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0556804B1 (ko) 의류 건조기용 배기챔버
KR100712271B1 (ko) 수납형 리프터와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0669182B1 (ko) 건조기의 흡배기 순환장치
CN209958110U (zh) 衣物处理设备
KR100751801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이 구비되는 건조기
KR100813588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08471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WO2018188333A1 (zh) 干衣机
KR101635748B1 (ko) 혼합형 리프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308582B1 (ko)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하는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