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442B1 -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및 이러한 형태의핵연료다발들로 구성된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 - Google Patents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및 이러한 형태의핵연료다발들로 구성된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442B1
KR100794442B1 KR1020067005952A KR20067005952A KR100794442B1 KR 100794442 B1 KR100794442 B1 KR 100794442B1 KR 1020067005952 A KR1020067005952 A KR 1020067005952A KR 20067005952 A KR20067005952 A KR 20067005952A KR 100794442 B1 KR100794442 B1 KR 10079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bundle
core
edge webs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587A (ko
Inventor
위르겐 슈타벨
한스-페터 훅스
밍민 렌
Original Assignee
아레바 엔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레바 엔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레바 엔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8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22Means to influence the coolant flow through or around the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연료 부재(4)에 관한 것이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료봉(10)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그리드형상인 다수의 사각 스페이서(12)로 유도된다. 사각 스페이서의 에지는 4개의 에지 웨브 부품(14a,14b)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2)는 서로 상이하며 축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12)의 평면상의 연료 부재(4)에 냉각수(K)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는 힘(F)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2개의 에지 웨브 부품(14a,14b)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료 부재를 포함하는 코어(5)의 규칙적이고 예정된 변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이 고려된다.

Description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및 이러한 형태의 핵연료다발들로 구성된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 {FUEL ELEMENT FOR A PRESSURISED WATER NUCLEAR REACTOR AND CORE OF A PRESSURISED WATER NUCLEAR REACTOR MADE OF SAID FUEL ELEMENT}
본 발명은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fuel assembly) 및 이러한 형태의 핵연료다발을 사용하여 구성된 가압경수형 원자로 코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 기간의 경과에 따라 가압 경수형 원자로의 핵연료다발들이 코어 내에서 이들의 위치에 따라 구부러져, 규칙적(systematic) 굽은 패턴이 전체 코어에 대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다양한 검사 결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부러짐은, 예를 들어,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연료봉(fuel rod) 클래딩 튜브 또는 제어봉 가이드 튜브의 길이 증가 또는 열팽창시 이방성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부러짐에 대한 주요 원인은 특히 유동하는 냉각수 및 핵연료다발 사이의 상호 작용 및 코어 안팎으로의 냉각수 흐름의 불균일성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규칙적 구부러짐은 각각의 핵연료다발들 사이 또는 코어 및 핵연료안내구조물(core shroud)의 에지에 위치된 핵연료다발들 사이에서 코어내의 일정 지점(대부분이 공지되지 않음)에서 보다 큰 갭들을 형성하며, 상기 갭들에서 감속재(Moderator)로서 사용되는 냉각수가 흐른다.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에서, 이는 설계 제한에 영향을 미친다. 증가된 크기의 갭이 있는 이들 위치가 알려진다면, 이들 위치에서 보다 낮은 출력 또는 첨가물(enrichment)을 가지는 핵연료다발 또는 연료봉을 고의로 사용함으로써, 감속 증가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부러짐이 발생하더라도 최적의 코어 설계가 허용되는 핵연료다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핵연료다발로 구성된 최적의 코어를 구체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를 갖는 핵연료다발에 의해 달성된다. 가압경수형 원자로에 대한 이러한 형태의 핵연료다발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양한 연료봉이 서로 이격되고 각각의 경우에 4개의 에지 웨브에 의해 형성된 에지가 있는 다수의 그리드형 사각 스페이서로 유도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기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의 평면에서 핵연료다발상에 냉각수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상이하게 설계된 적어도 2개의 에지 웨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핵연료다발의 결과로서, 각각의 인접한 핵연료다발들의 에지 웨브들 사이 또는 외부 핵연료다발의 에지 웨브와 핵연료안내구조물 사이에 흐르는 냉각수로 인해 핵연료다발상에 가해지는 힘은, 에지 웨브들의 설계 구성에 따라 좌우되며 핵연료다발상에 비대칭적으로 작용한다. 축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결과는 에지 웨브들의 설계 구성 때문인 것으로 공지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유체-구조물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변형은 예측되고 원하는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핵연료다발의 원하는 구부러짐 및 또한 상기 형태의 핵연료다발들로 구성된 코어 또는 코어의 서브영역의 원하는 구부러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큰 워터 갭들이 설정되는 위치들이 사전에 공지되어, 대응되게 낮은 출력의 핵연료다발들이 고의적으로 상기 위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신뢰성 있게 코어 설계 파라미터를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평면에서 핵연료다발에 작용하는 힘이, 실질적으로 스페이서 사이 및 핵연료다발내의 갭에서 냉각수의 상이한 흐름 속도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압력차는 에지 웨브에서의 간단한 설계 조치(measure)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따라서 인접한 워터 갭에서 핵연료다발 사이에서 야기되는 압력차를 설정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핵연료다발상에 작용하는 순수 힘(net force)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가 상이하게 설계된 에지 웨브들은 서로 대향되게 놓여, 핵연료다발상에는 핵연료다발의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2개의 에지 웨브들이 동일하게 설계된 경우 이들 2개의 에지 웨브들에 대략 수직인 순수 힘이 발생된다. 다른 2개의 마주하는 에지 웨브들이 상이하다면, 순수 힘은 에지 웨브들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고, 이 경우, 비스듬한 각도는 설계 구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2개가 상이하게 설계된 에지 웨브들은 이들이 상이한 개수, 형상 및/또는 배열의 개구부들을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상이하다.
선택적 또는 부가적으로, 2개가 상이하게 설계된 에지 웨브에 대해 다른 혼합 또는 편향 베인(deflecting vane)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마찬가지로, 갭과 핵연료다발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차의 비대칭을 발생시키며, 이 경우 결과적인 횡방향 힘은 유지되고, 상기 횡방향 힘의 크기 및 방향은 원하는 방식으로 핵연료다발의 구부러짐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핵연료다발의 중심영역에 배열된다. 이는 구부러짐에 특히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핵연료다발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이 구부러짐 범위에 최대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구항 제 6 항의 특징을 갖는 코어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다발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상기 핵연료다발들상에 작용하는 힘이 적어도 서로 대략 평행한 방식으로 상기 형태의 코어에 배열된다. 이는 가장 큰 워터 갭의 위치를 명확히 한정하고 단일 방향으로 작용하는 원하는 대칭 구부러짐을 형성한다.
다른 에지 영역에서 핵연료다발 보다 낮은 출력을 갖도록 작용하는 힘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코어의 에지 영역에 핵연료다발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큰 워터 갭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보다 큰 감속(moderation)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설명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의 형태로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를 나타낸다;
도 2는 개략적인 개략도로 상기 코어의 세로방향 섹션을 나타낸다;
도 3은 인접한 핵연료다발들 부근에서의 개략적 부분도로, 이들중 하나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다.
도 1에 따라, 단면이 사각형인 다수의 핵연료다발들(4)로 구성된 코어(5)가 코어 배럴(2)에 고정된 핵연료안내구조물(3) 내에 배열된다. 상기 도면은 코어 중앙 부근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중앙에서 전체 코어(5)는 오른쪽으로 구부러져, 왼쪽 에지에 위치된 핵연료다발들(4a)과 빗금친 왼쪽에 위치된 핵연료안내구조물(3) 사이의 큰 워터 갭(6a)으로 유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른쪽 에지에 위치된 핵연료다발들(4b)과 핵연료안내구조물(3) 사이의 워터 갭(6b)은 대응되게 감소된다. 따라서 전체 코어(5)는 오른쪽 에지를 향해, 도면에서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된 규칙적 구부러짐부를 갖는다. 이는 핵연료다발(4)의 적어도 일부에 가해지며 코어(5) 내의 핵연료다발(4)의 위치(i, j)에 따라 크기 측면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서로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유도된 힘(Fi,j)에 의해 야기된다. 명료성을 위해, 도면에는 위치(4,8), (6,6), (7,4) 및 (13,7)에서 핵연료다발(4)상에 작용하는 힘(Fi,j)만이 도시된다.
코어(5)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갭(6a)에서의 증가된 감속을 보상하기 위해, 작용하는 힘(Fi,j)으로부터 떨어진 에지 영역에 배열된 핵연료다발들(4a)이 다른 에지 영역에서의 핵연료다발(4b) 보다 낮은 출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코어(5)에 나타나튼 상황은 도 2에 도시된 세로방향 섹션에서 보다 명확히 볼 수 있다. 상기 세로방향 섹션으로부터 핵연료다발들(4)이 각각의 핵연료다발들(4) 사이의 갭(6c) 폭(b) 상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동일하게 향하는 C-형상 구부러짐부를 갖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말로, 갭 폭(b)은 핵연료다발(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새로운 구부러지지 않은 핵연료다발들의 초기 상태에서 제공되는 갭 폭에 대략 대응한다. 그러나 핵연료다발(4)의 규칙적인 구부러짐은 에지에 위치된 핵연료다발(4a) 및 핵연료안내구조물(3) 사이에서 증가된 워터 갭(6a) 및 핵연료안내구조물(3)과 오른쪽 에지에 위치된 핵연료다발(4b) 사이에 대응하게 감소된 워터 갭(6b)을 유도한다.
축방향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경우, 다양한 연료봉(10)이 사각의 그리드형 스페이서(12)에 유도된 핵연료다발(4)에 배열된다. 명료성을 위해, 스페이서(12)는 매우 개략적으로만 도시되며, 연료봉(10)은 왼쪽 핵연료다발(4a)에서만 개략적으로 간단하게 도시된다.
인접한 핵연료다발(4-1, 4+1)과 함께 스페이서 영역에 있는 핵연료다발(4)이 도 3에 도시된다. 도면에서, 중간 핵연료다발(4)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며, 스페이서(12), 서로 상이하게 설계된 대향 에지 웨브(14a,14b)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에지 웨브(14a)는 스무쓰-월(smooth-walled), 즉, 개구부가 제공되지 않으며, 각각의 단부 측면에서 인접한 핵연료다발들(4, 4-1)의 에지 웨브들(14b-1, 14a) 사이에서 갭(6c)으로 유도되며 아래로부터 흐르는 냉각수(K)를 보다 더 유도하는 혼합 베인(16)을 포함한다. 이러한 갭(6c)에서, 냉각수(K)가 가속되어, 갭(6c)에서 설정된 속도(Vg,a), 및 각각 스페이서(12) 및 스페이서(12-1) 내부의 속도(Vi,a) 및 속도(Vi,b-1)를 고려하여, 압력차가 누적되고, 핵연료다발(4)상에 작용하는 힘(Fa) 및 핵연료다발(4-1)상에 작용하는 힘(Fb-1)이 발생된다(베르누이 효과).
상기 도면은 인접한 에지 웨브들(14a, 14b-1) 이 동일하게 설계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크기가 동일한 2개의 힘(Fa, Fb-1)을 유도하고, 스페이서(12)의 규칙적 구조가 주어지고 대향 에지 웨브들(14a, 14b) 사이에서 유입 조건이 크게 변화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결과적으로 스페이서(12)의 평면에서 핵연료다발(4)상에 작용하는 힘들이 서로 보상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스페이서(12)의 에지 웨브, 예를 들어, 서로 상이하게 설계되는 에지 웨브(14a) 및 대향 에지 웨브(14b)가 제공되며, 예시적으로, 점선으로 도시된 개구부(18) 및 유입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혼합 베인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다. 서로 선택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이들 조치들은, 스페이서(12, 12+1) 사이의 갭(6c)에서의 속도(Vg,b)와 핵연료다발(4)의 속도(Vi,b) 사이에서 설정되는 압력차가 감소되게 하여, 핵연료다발(4)상에서 한쪽 측면상에 가해지는 힘(Fb)이 맞은편 측면상에서 가해지는 상반되게 향하는 힘(Fa) 보다 작다. 따라서, 이러한 핵연료다발(4)의 제어된 구부러짐을 유도하는 순수 힘(F = Fa - Fb)은 상기 스페이서(12)의 영역에서 핵연료다발에 영향을 미친다.
에지 웨브(14a+1)에서, 오른쪽 갭(6c)의 변경된 흐름 조건을 고려하여 핵연료다발(4)상에 영향을 미치는 힘(Fa)에 상응하지 않는 힘(Fa+1)은 핵연료다발(4+1)상에 작용한다. 핵연료다발(4+1)상에서 왼쪽에 영향을 미치는 순수 힘을 형성하기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오른쪽 에지 웨브에는 에지 웨브(14b)에 도시된 조치들과 유사하게 핵연료다발(4+1)의 내부와 갭 사이의 압력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하나의 평면, 예를 들어 코어의 중심 평면에 위치된 모든 스페이서가 스페이서(12)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면(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에지 웨브(14b-1)는, 에지 웨브(14b)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왼쪽에 작용하는 힘은 모든 핵연료다발들상에 가해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미러-대칭형인 코어의 규칙적 구부러짐이 형성된다.
코어로의 상이한 유입 조건 및 코어로부터의 유출 조건을 고려하여, 소정의 경우, 코어의 핵연료다발의 위치 또는 핵연료다발에서의 스페이서의 수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되는 비대칭 스페이서, 즉, 하나의 핵연료다발에 제공되는 다수의 비대칭 스페이서에 대한 비용은 가변이어서, 코어 내에서의 위치에서 국부적 조건으로 조절되는 방식으로 구부러짐은 규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Claims (10)

  1.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4)로서,
    상기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료봉(10)은 서로 이격되고 4개의 에지 웨브(14a,14b)에 의해 형성된 에지가 있는 다수의 그리드형 사각 스페이서들(12)로 유도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2)는 상기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12)의 평면에서 상기 핵연료다발(4)상 유동성 냉각수로부터 작용하는 힘(F)을 발생시키도록 적어도 2개의 상이하게 설계된 에지 웨브(14a,14b)를 포함하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이하게 설계된 에지 웨브(14a,14b)는 서로 대향되게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이하게 설계된 에지 웨브(14a,14b)는 상이한 개수, 형상 또는 배열의 개구부들(18)을 가짐으로써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이하게 설계된 에지 웨브(14a,14b)는 상이한 개수, 형상 또는 배열의 개구부들(18)을 가짐으로써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이하게 설계된 에지 웨브(14a,14b)는 상이한 혼합 베인(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이하게 설계된 에지 웨브(14a,14b)는 상이한 혼합 베인(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2)는 상기 핵연료다발(4)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2)는 상기 핵연료다발(4)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수의 핵연료다발(4)을 갖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5)로서,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핵연료다발(4)상에 작용하는 힘들(F)은 서로 평행한,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5).
  10. 제 9 항에 있어서,
    작용하는 힘으로부터 떨어진 코어(5)의 에지 영역에 배열된 상기 핵연료다발(4)은 다른 에지 영역에 있는 핵연료다발(4, 4b) 보다 낮은 출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5).
KR1020067005952A 2003-12-16 2004-12-04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및 이러한 형태의핵연료다발들로 구성된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 KR100794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58830.2 2003-12-16
DE10358830A DE10358830B3 (de) 2003-12-16 2003-12-16 Brennelement für einen Druckwasserkernreaktor und mit solchen Brennelementen aufgebauter Kern eines Druckwasserreak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587A KR20060087587A (ko) 2006-08-02
KR100794442B1 true KR100794442B1 (ko) 2008-01-16

Family

ID=3468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952A KR100794442B1 (ko) 2003-12-16 2004-12-04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및 이러한 형태의핵연료다발들로 구성된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285628A1 (ko)
EP (1) EP1625594B1 (ko)
JP (1) JP4621689B2 (ko)
KR (1) KR100794442B1 (ko)
CN (1) CN100399477C (ko)
AT (1) ATE465494T1 (ko)
DE (2) DE10358830B3 (ko)
ES (1) ES2341452T3 (ko)
WO (1) WO2005059924A2 (ko)
ZA (1) ZA2005093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5486B3 (de) * 2005-07-26 2007-02-22 Areva Np Gmbh Brennelement für einen Druckwasserkernreaktor
ES2423190T3 (es) * 2008-11-13 2013-09-18 Areva Gmbh Elemento combustible para un reactor nuclear de agua a presión
DE102010038413B3 (de) * 2010-07-26 2012-01-26 Areva Np Gmbh Vorrichtung zum Messen der Geschwindigkeit eines strömenden Mediu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0853A2 (en) * 1981-11-30 1983-06-08 Combustion Engineering, Inc. Anti-bow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EP1327259A1 (en) * 2000-10-16 2003-07-16 Seiko Epson Corporation Etching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3541A (en) * 1961-04-06 1965-12-15 English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in fuel element cans for nuclear reactors
US4897241A (en) * 1981-11-30 1990-01-30 Combustion Engineering, Inc. Anti-bow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US4576786A (en) * 1983-12-21 1986-03-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Partial grid for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4692302A (en) * 1983-12-30 1987-09-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olant flow mixer grid for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4659541A (en) * 1985-05-01 1987-04-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fuel rod support grid with improved multiple dimple arrangement
JPS6273294U (ko) * 1985-10-29 1987-05-11
FR2608827B1 (fr) * 1986-04-02 1990-06-15 Framatome Sa Grille d'espacement pour assemblage combustible nucleaire
WO1998032133A1 (de) * 1997-01-15 1998-07-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Abstandhalter mit befestigten federn für brennelemente von kernreaktoren
WO2002095765A2 (de) * 2001-05-18 2002-11-28 Framatome Anp Gmbh Verfahren zum zusammensetzen eines druckwasserreaktor-kernes und entsprechender druckwasserreaktorkern
DE10145289A1 (de) * 2001-05-18 2003-01-09 Framatome Anp Gmbh Verfahren zum Zusammensetzen eines Druckwasserreaktor-Kernes und entsprechen nachgeladener Kern
US7085340B2 (en) * 2003-09-05 2006-08-01 Westinghouse Electric Co, Llc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0853A2 (en) * 1981-11-30 1983-06-08 Combustion Engineering, Inc. Anti-bow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JPS58103688A (ja) 1981-11-30 1983-06-20 コンバツシヨン・エンヂニアリング・インコ−ポレ−テツド 核燃料組立体の弓状屈曲制限格子
EP1327259A1 (en) * 2000-10-16 2003-07-16 Seiko Epson Corporation Etch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85628A1 (en) 2006-12-21
JP2007514170A (ja) 2007-05-31
DE502004011070D1 (de) 2010-06-02
WO2005059924A2 (de) 2005-06-30
EP1625594B1 (de) 2010-04-21
ATE465494T1 (de) 2010-05-15
CN100399477C (zh) 2008-07-02
ZA200509338B (en) 2006-08-30
DE10358830B3 (de) 2005-08-18
WO2005059924A3 (de) 2005-08-25
JP4621689B2 (ja) 2011-01-26
KR20060087587A (ko) 2006-08-02
EP1625594A2 (de) 2006-02-15
CN1799105A (zh) 2006-07-05
ES2341452T3 (es)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6717A1 (en) Multiple and variably-spaced intermediate flow mixing vane grids for fuel assembly
KR20050033958A (ko) 경수로 원자로용 핵연료집합체의 지지격자체
US20020136349A1 (en) Duct-type spacer grid with swirl flow vane for nuclear fuel assembly
JP3690804B2 (ja) 原子炉における冷却材の制御
SE510816C2 (sv) Spridare och bränslepatron för en kärnreaktor
US4775510A (en) Nuclear fuel assembly hollow flow deflector
KR100794442B1 (ko) 가압경수형 원자로용 핵연료다발 및 이러한 형태의핵연료다발들로 구성된 가압경수형 원자로의 코어
US6744843B2 (en) Side-slotted nozzle type double sheet spacer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ies
US6721384B2 (en) Spacer grid with side welding support and flow mixing vane for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20060193427A1 (en) Fuel assembly for a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US20040005025A1 (en) Spacer grid with double deflected vanes for nuclear fuel assemblies
US20110305311A1 (en) Fuel element for a pressurized-water nuclear reactor
KR20010020587A (ko) 비스듬한 연료 보유 스프링을 갖는 핵 연료 집합체 그리드
TWI484501B (zh) 使用混合間隔件型態之燃料束設計
KR100974747B1 (ko) 가압수형원자로를 위한 연료 어셈블리
JP4300011B2 (ja) 冷却材炉心入口構造
US6600800B2 (en) Fuel element for a boiling water nuclear reactor
JP2504514B2 (ja) 原子炉燃料集合体
RU2581620C1 (ru) Структура пластинчатой решетки для тепловыделяющей сборки
SE505144C2 (sv) Spridare för en bränslepatron innefattande blandningsfenor samt bränslepatron innefattande sådan spridare
JP2009186370A (ja) 冷却材炉心入口構造
KR101141295B1 (ko) 부착형 지지구조체를 갖는 원자력연료봉
KR100739453B1 (ko) 핵연료 집합체용 지지격자의 혼합날개 제조방법 및 혼합날개
JP4573330B2 (ja) 沸騰水型原子炉用燃料集合体スペーサ及び燃料集合体
Attix Guide tube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