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030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030B1
KR100793030B1 KR1020060043605A KR20060043605A KR100793030B1 KR 100793030 B1 KR100793030 B1 KR 100793030B1 KR 1020060043605 A KR1020060043605 A KR 1020060043605A KR 20060043605 A KR20060043605 A KR 20060043605A KR 100793030 B1 KR100793030 B1 KR 10079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scan
scan electrode
proc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753A (ko
Inventor
양종문
황두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030B1/ko
Priority to US11/634,122 priority patent/US20070263155A1/en
Priority to EP06256278A priority patent/EP1858054A3/en
Priority to CN200610162365XA priority patent/CN101075523B/zh
Publication of KR2007011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25Material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에 관한 것으로, 전극이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상측 또는 하층으로 진행하고, 이후 일방향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진행하게 함으로써 전극들의 전기적 단락(Short)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상기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상기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상기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상기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의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비 유효 영역에서의 전극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블랙 층이 더 구비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구동부에 따른 전극의 배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전극이 구부러지는 지점을 다르게 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전극이 일방향이 상승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거리를 다르게 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전극의 진행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전극의 또 다른 진행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동일한 두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스캔 전극들 사이 또는 서스테인 전극들 사이에 형성되는 블랙 층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효 영역에서의 전극 구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돌출부의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a 내지 도 15b는 돌출부의 또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전면 패널 201 : 전면 기판
202 : 스캔 전극 203 : 서스테인 전극
204 : 상부 유전체 층 205 : 보호 층
210 : 후면 패널 211 : 후면 기판
212 : 격벽 213 : 어드레스 전극
214 : 형광체 층 215 : 하부 유전체 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 셀 내에 형광체 층이 형성되고, 아울러 복수의 전극(Electrode)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극을 통해 방전 셀로 구동 신호를 공급된다.
그러면, 방전 셀 내에서는 공급되는 구동 전압에 의해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 셀 내에서 구동 전압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방전 셀 내에 충진 되어 있는 방전 가스가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 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 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가시 광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살펴보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극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Y)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캔 전극(Y)은 외부의 구동부(110)와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부(110)는 스캔 전극(Y)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예를 들면, 구동부(110)는 Y1 스캔 전극, Y2 스캔 전극......Ya 스캔 전극......Yb-1 스캔 전극 및 Yb 스캔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다음, 도 1b를 살펴보면 구동부(110)와 스캔 전극(Y)이 연결되는 지점에서는 구동부(110)와 스캔 전극(Y)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복수의 스캔 전극(Y)은 한쪽 방 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스캔 전극(Y)은 나란히 배치된다.
여기 도 1b에서와 같이 스캔 전극(Y)들이 배치되면, 스캔 전극(Y)들이 구부러지는 지점(130, 140)에서 스캔 전극(Y)들 간의 전기적 단락(Short)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부호 130의 지점에서 Y1 스캔 전극, Y2 스캔 전극, Y3 스캔 전극 간에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거나, 부호 140의 지점에서 Yb-2, Yb-1, Yb 스캔 전극 간에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극 간의 전기적 단락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극의 구조를 개선하여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과, 기판 상에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은 제 1 전극을 포함하고, 제 1 전극은 기판상에 형성되고, 제 1 전극과 기판의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검은색을 갖는 블랙 층(Black Layer)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블랙 층은 제 1 전극 상에서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블랙 층과 기판 사이에는 제 1 전극과 다른 제 2 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전극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은 전기 전도성의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판은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 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 유효 영역(Dummy Area)을 포함하고, 전극은 기판 상의 비 유효 영역에서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극은 복수개이고, 복수의 전극 중 하나 이상은 다른 전극과 다른 지점에서 일방향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극은 복수개이고, 복수의 전극 중 하나 이상은 일방향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길이가 다른 전극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극은 복수개이고, 복수의 전극 중 하나 이상은 일방향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각도가 다른 전극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극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고,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한 두 개 이상이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검은 색을 갖는 블랙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판은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 유효 영역을 포함하고, 전극은 기판의 유효 영역 상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의 끝단에 형성되며 제 1 부분보다 가로 방향의 폭이 더 넓은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부분 또는 제 2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부분의 끝단에는 제 2 부분의 가로 방향의 폭보다 더 넓은 제 3 부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부분의 끝단에는 제 3 부분의 가로 방향의 폭보다 더 넓은 제 4 부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부분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세 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Electrode),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201)을 포함하는 전면 패널(200)과, 전술한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과 교차하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211)을 포함하는 후면 패널(210)이 합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면 기판(201) 상에 형성되는 전극,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은 방전 공간, 즉 방전 셀(Cell)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고 아울러 방전 셀의 방전을 유지한다.
이러한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의 상부에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을 덮도록 유전체 층, 바람직하게는 상부 유전체 층(20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204)은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 간을 절연시킨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2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205)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 층(205)은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재료를 상부 유전체 층(204) 상부에 증착하는 방법 등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후면 기판(211) 상에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은 방전 셀에 데이터(Data) 신호를 공급하는 전극이다.
이러한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211)의 상부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을 덮도록 하부 유전체 층(215)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215)은 어드레스 전극(213, X)을 절연시킨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2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또는 웰 타입(Well Type) 등의 격벽(2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등의 방전 셀이 형성된다.
여기서,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진다.
아울러,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214)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스캔 전극(202, Y), 서스테인 전극(203, Z) 또는 어드레스 전극(213, 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으로 구동 신호가 공급되면,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그러면, 방전 셀 내에 채워진 방전 가스에서 진공 자외선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 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 층(214)에 가해진다. 그러면, 형광 체 층(214)에서 소정의 가시광선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가시광선이 상부 유전체 층(204)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이에 따라 전면 기판(201)의 외부 면에 소정의 영상이 표시된다.
이상의 도 2a에서 설명한 전극, 즉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과 어드레스 전극(213, 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이 각각 복수의 층(Layer)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은 각각 제 1 전극(202a, 203a)과 제 2 전극(202b, 20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 도 2b에서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제 1 전극(202a, 203a)과 제 2 전극(202b, 20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어드레스 전극(213, X)도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광 투과율 및 전기 전도도를 고려하면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며 아울러 구동 효율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의 제 1 전극(202a, 203a)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전극(202b, 203b)은 전기 전도성의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의 제 1 전극(202a, 203a)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를 포함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202b, 203b)은 은(Ag)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의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의 제 1 전극(202a, 203a)이 실질적으로 투명하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방전 셀 내에서 발생한 가시 광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 방출될 때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의 제 2 전극(202b, 203b)을 전기 전도성의 불투명한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이유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 1 전극(202a, 203a)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 1 전극(202a, 203a)의 전기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구동 효율이 감소할 수 있어서, 이러한 구동 효율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 제 1 전극(202a, 203a)의 낮은 전기 전도도를 보상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의 도 2a 내지 도 2b에서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만을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여기 도 2a 내지 도 2b와 같은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여기 도 2a 내지 도 2b에서는 적색(R), 녹색(G), 청색(B) 형광체 층(214)이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적색(R), 녹색(G), 청색(B) 형광체 층 이외에 황색(Yellow, Y) 형광체 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여기 도 2a 내지 도 2b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부 유전 체 층(204) 및 하부 유전체 층(215)이 각각 하나의 층(Layer)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부 유전체 층(204) 및 하부 유전체 층(2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요 특징은 이후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것이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의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스캔 전극(Y)은 기판, 즉 전면 기판(미도시) 상에서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이러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Y1 스캔 전극, Y2 스캔 전극, Y3 스캔 전극은 전면 기판 상에서 d3 구간에서는 일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d2 구간에서는 이러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아울러, d1 구간에서는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또한, Yb-2 스캔 전극, Yb-1 스캔 전극, Yb 스캔 전극은 전면 기판 상에서 d3 구간에서는 일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d2 구간에서는 이러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아울러, d1 구간에서는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스캔 전극(Y)들이 구부러지는 지점(310, 320)에서 스캔 전극(Y)들 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전극(Y)들 간의 전기적 단락(Short)이 방지된다.
여기 도 3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중 스캔 전극(Y)의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전극, 예컨대 서스테인 전극(Z) 또는 어드레스 전극(X)도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이러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여기 도 3에서의 d1 및 d2 구간에서와 같이 전극이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이러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부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 유효 영역(Dummy Area)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비 유효 영역에서의 전극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유효 영역(Active Area, 420)과 비 유효 영역(Dummy Area, 4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효 영역(420)은 영상 표시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부분이고, 비 유효 영역(410)은 구동부(430)와 전극, 예컨대 스캔 전극(Y)을 연결하는 등 영상 표시 이외의 목적을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비 유효 영역(410)과 유효 영역(420) 중 비 유효 영역(410)에서 전극, 예컨대 스캔 전극(Y)이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이러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즉, 앞선 도 3의 d1 구간 및 d2 구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 유효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 유효 영역(410)에서 전극을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이러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하게 되면 전극들 간의 전기적 단락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극, 예컨대 스캔 전극(Y)을 보다 용이하게 구동부(430)와의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비 유효 영역(410)에서는 스캔 전극(Y) 및/또는 서스테인 전극(Z)은 앞선 도 2b에서와 같이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중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만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극은 앞선 도 2b에서와 같이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아울러,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는 블랙 층(Black Layer)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블랙 층이 더 구비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중에서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이 블랙 층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어드레스 전극(X)이 블랙 층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이 제 1 전극(202a, 203a)과 제 2 전극(202b, 20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아울러 이러한 제 1 전극(202a, 203a)과 제 2 전극(202b, 203b)의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검은색을 갖는 블랙 층(Black Layer. 500, 510)이 더 구비된다.
예를 들면, 전면 기판(201) 상에 제 1 전극(202a, 203a)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 1 전극(202a, 203a) 상에 블랙 층(500, 510)이 형성되고, 이러한 블랙 층(500, 510)의 상부에 제 2 전극(202b, 203b)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앞선 도 3 내지 도 4에서의 전극과 같이 부호 500의 블랙 층 또는 부호 510의 블랙 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 1 전극 상(202a, 203a)에서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호 500의 블랙 층 또는 부호 510의 블랙 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극, 즉 스캔 전극(Y) 또는 서스테인 전극(Z)의 형태와 대략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구동부에 따라 전극들의 배치도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구동부에 따른 전극의 배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중 스캔 전극(Y)의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를 살펴보면 하나의 구동부(6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스캔 전극 중 일부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이러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를 제 1 타입(Type 1)이라 하자.
또한, 하나의 구동부(6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스캔 전극 중 일부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를 제 2 타입(Type 2)이라 하자.
예를 들면, 하나의 구동부(600)에 Y1 스캔 전극부터 Yb 스캔 전극까지가 연결되는 경우에, Y1 스캔 전극과 Y2 스캔 전극은 제 1 타입이다. 아울러, Yb-1 스캔 전극과 Yb 스캔 전극은 제 2 타입이다.
즉, 여기 도 6a에서는 제 1 타입과 제 2 타입의 스캔 전극(Y)이 부호 600의 구동부에 함께 연결된다.
다음, 도 6b를 살펴보면 부호 610의 구동부에 연결되는 스캔 전극(Y)들은 앞선 도 6a의 Yb-1 스캔 전극과 Yb 스캔 전극과 같은 제 2 타입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Y1 스캔 전극과 Y2 스캔 전극은 제 1 타입이고, Yb 스캔 전극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지 않고 직진하여 부호 610의 구동부에 연결된다.
다음, 도 6c를 살펴보면 부호 620의 구동부에 연결되는 스캔 전극(Y)들은 앞선 도 6b와 같은 형태를 갖고, 부호 630의 구동부에 연결되는 스캔 전극(Y)들은 도 6a의 Y1 스캔 전극과 Y2 스캔 전극과 같은 제 1 타입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동부에 따라 전극들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7은 전극이 구부러지는 지점을 다르게 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7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중 스캔 전극(Y)의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살펴보면, Y1 스캔 전극, Y2 스캔 전극, Y3 스캔 전극 및 Y4 스캔 전극이 모두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전극 중 하나 이상은 다른 전극과 다른 지점에서 일방향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Y1 스캔 전극은 P1 지점에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시작하고, Y2 스캔 전극은 P1 지점과는 다른 P2 지점에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시작하고, Y3 스캔 전극은 P1 및 P2 지점과는 다른 P3 지점에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시작하고, Y4 스캔 전극은 P1, P2 및 P3 지점과는 다른 P4 지점에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Y)들 간에 일방향의 상승 방향으로 진행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다르게 하게 되면, 스캔 전극(Y)들 간의 간격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캔 전극(Y)들 간의 전기적 단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8은 전극이 일방향이 상승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거리를 다르게 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8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중 스캔 전극(Y)의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살펴보면, Y1 스캔 전극, Y2 스캔 전극, Y3 스캔 전극 및 Y4 스캔 전극이 모두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 이후 다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전극 중 하나 이상은 일방향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길이가 다른 전극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P1 지점부터 P2 지점까지 Y1 스캔 전극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h1 의 높이만큼 진행하고, Y2 스캔 전극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h1 과는 다른 h2 의 높이만큼 진행하고, Y3 스캔 전극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h1 및 h2 와는 다른 h3 의 높이만큼 진행하고, Y4 스캔 전극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h1, h2 및 h3 과는 다른 h4 의 높이만큼 진행한다. 즉, Y1, Y2, Y3, Y4 스캔 전극이 P1 지점부터 P2 지점까지의 진행 길이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Y)들 간에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높이, 즉 거리를 다르게 하게 되면, 스캔 전극(Y)들 간의 간격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캔 전극(Y)들 간의 전기적 단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여기 도 8의 경우에서는 복수의 전극 중 하나 이상은 일방향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각도가 다른 전극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P1 지점에서 Y1 스캔 전극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θ1 의 각도로 진행하고, Y2 스캔 전극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θ1 과는 다른 θ2 의 각도로 진행하고, Y3 스캔 전극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θ1 및 θ2 와는 다른 θ3 의 각도로 진행하고, Y4 스캔 전극은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θ1, θ2 및 θ3 과는 다른 θ4 의 각도로 진행한다. 즉, Y1, Y2, Y3, Y4 스캔 전극이 P1 지점에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각도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Y)들 간에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각도, 즉 꺽이는 각도를 다르게 하게 되면, 스캔 전극(Y)들 간의 간격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캔 전극(Y)들 간의 전기적 단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도 8의 설명에서는 스캔 전극(Y)들 간에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각도를 다르게 하고 이와 함께 스캔 전극(Y)들 간에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거리를 다르게 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스캔 전극(Y)들 간에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각도를 다르게 하고 반면에 스캔 전극(Y)들 간에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거리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스캔 전극(Y)들 간에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거리를 다르게 하고 반면에 스캔 전극(Y)들 간에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각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다음, 도 9는 전극의 진행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9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중 스캔 전극(Y)의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예컨대 스캔 전극(Y)은 d5 구간에서는 일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d4 구간에서는 이러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아울러, d3 구간에서는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아울러, d2 구간에서는 일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아울러, d1 구간에서는 앞선 d3 구간에서와 같이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스캔 전극(Y)들을 진행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하게 되면 스캔 전극(Y)들 간의 간격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캔 전극(Y)들 간의 전기적 단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0은 전극의 또 다른 진행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10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중 스캔 전극(Y)의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살펴보면, 스캔 전극(Y)은 d3 구간에서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d2 구간에서는 이러한 일방향의 상측 방향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진행한다. 아울러, d1 구간에서는 다시 일방향의 하측 방향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전극은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 형태로 이루지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한 두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동일한 두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살펴보면, 스캔 전극(104, Y)은 두 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서스테인 전극(105, Z)도 두 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기판(103) 상에 형성된 하나의 격벽(102)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스캔 전극(104, Y)이 연속되게 형성되고, 아울러 하나의 격벽(102)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서스테인 전극(105, Z)이 연속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부호 101의 영역은 하나의 방전 셀을 의미한다.
즉, 연속되는 두 개의 방전 셀에서는 스캔 전극(104, Y)과 서스테인 전극(105, Z)의 배치 순서가 서로 반대이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스캔 전극(104, Y) 또는 서스테인 전극(105, Z)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검은 색을 갖는 블랙 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스캔 전극(104, Y) 사이에는 부호 106a의 블랙 층이 형성되고, 두 개의 서스테인 전극(105, Z) 사이에는 부호 106b의 블랙 층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스캔 전극(104, Y) 사이에는 제 1 전극(104a)과 제 2 전극(104b)의 사이에서 제 2 전극(104b)을 공통으로 덮도록 부호 106a의 블랙 층이 형성되고, 두 개의 서스테인 전극(105, Z) 사이에는 제 1 전극(105a)과 제 2 전극(105b)의 사이에서 제 2 전극(105b)을 공통으로 덮도록 부호 106b의 블랙 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블랙 층(106a 160b)은 제 2 전극(104b, 105b)을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2 전극(104b, 105b)에 의한 광 반사를 방지하는 것과 함께, 격벽(102)에 의한 광의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콘트라스트 특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여기 도 11에 도시된 블랙 층(106a 106b)은 앞선 도 5의 부호 500 내지 510의 블랙 층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블랙 층(106a, 106b)에 대해 첨부된 도 12를 결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스캔 전극들 사이 또는 서스테인 전극들 사이에 형성되는 블랙 층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살펴보면,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된 Ya 스캔 전극과 Ya+1 스캔 전극 사이에는 부호 106a의 블랙 층이 형성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된 Za+1 서스테인 전극과 Za+2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는 부호 106b의 블랙 층이 형성된다.
아울러, Yb 스캔 전극과 Yb+1 스캔 전극 사이에는 부호 106a의 블랙 층이 형성된다. 또한, Zb+1 서스테인 전극과 Zb+2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도 부호 106b의 블랙 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이 전극을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고, 다시 일방향의 하측 또는 상승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게 되면, 전극의 전체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전극의 전체 인덕턴스(Inductance) 값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인덕턴스 값의 증가는 구동 효율의 저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구동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 널의 유효 영역에서는 전극이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효 영역에서의 전극 구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살펴보면, 앞선 도 4의 부호 420과 같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효 영역에서는 전극이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1100a, 1101a)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1100a, 1101a)를 포함하는 전극은 앞선 도 2a에서와 같이 전면 기판 상에 형성된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Y)에는 부호 1100a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서스테인 전극(Z)에는 부호 1101a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캔 전극(Y)은 바디부(Body, 1100b)와 돌출부(11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서스테인 전극(Z)도 바디부(1101b)와 돌출부(110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바디부(1100b, 1101b)는 앞선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전극(202a, 203a)과 제 2 전극(202b, 203b)을 포함하고, 아울러 제 1 전극(202a, 203a)과 제 2 전극(202b, 203b)의 사이에 블랙 층(500, 510)을 더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돌출부(1100a, 1100b)는 제 1 전극(202a, 203a)의 재질과 대략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1100a, 1100b)는 바디 부(1100b, 1101b)의 제 1 전극(202a, 203a)이 방전 셀(1106)의 중심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1100a, 1101a)는 방전 셀(1106) 내에서 방전 셀(1106)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호 1106이 하나의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것을 확인해주기 바란다. 이러한 방전 셀(1106)은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Stripe) 타입 또는 웰(Well) 타입 등의 격벽(미도시)에 의해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전 셀(1106)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00a, 1101a)가 형성되면,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간의 방전 개시 전압(Firing Voltage)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100a, 1101a)는 제 1 부분(1103, 1105)과 제 2 부분(1102, 11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부분(1103, 1105) 또는 제 2 부분(1102, 11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 도 11에서는 제 1 부분(1103, 1105)이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이다.
제 1 부분(1103, 1105)은 바디부(1100b, 1101b)와 연결되며 각각 W2 의 폭과 W2' 의 폭을 갖는다.
제 2 부분(1102, 1104)은 제 1 부분(1103, 1105)의 끝단에 형성되며 제 1 부 분(1103, 1105)보다 가로 방향의 폭(W2, W2')보다 더 넓은 폭(W1, W1')을 갖는다.
여기서 제 1 부분(1103, 1105)은 방전 셀(1106)의 중심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가로 방향의 폭(W2, W2')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이고, 제 2 부분(1102, 1104)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W1, W1')을 갖는다.
다음, 도 14는 돌출부의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살펴보면, 돌출부(1200a, 1201a)는 제 1 부분(1202c, 1203c)과 제 2 부분(1202b, 1203b)과 제 3 부분(1202a, 1203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부분(1202c, 1203c) 또는 제 2 부분(1202b, 120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 도 14에서는 제 1 부분(1202c, 1203c)과 제 2 부분(1202b, 1203b)의 일부의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이다.
제 1 부분(1202c, 1203c)은 바디부(1200b, 1201b)와 연결되며 각각 W3 의 폭과 W3' 의 폭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부분(1202c, 1203c)은 방전 셀(1204)의 중심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가로 방향의 폭(W3, W3')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이다.
제 2 부분(1202b, 1203b)은 제 1 부분(1202c, 1203c)의 끝단에 형성되며 제 1 부분(1202c, 1203c)보다 가로 방향의 폭(W3, W3')보다 더 넓은 평균 폭(W2, W2')을 갖는다. 여기서, 제 2 부분(1202b, 1203b)의 폭(W2, W2')을 평균 폭이라고 한 이유는 이러한 제 2 부분(1202b, 1203b)의 일부는 그 폭이 방전 셀(1204)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제 3 부분(1202a, 1203a)은 제 2 부분(1202b, 1203b)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 2 부분(1202b, 1203b)의 평균 폭(W2, W2')보다 더 넓은 폭(W1, W1')을 갖는다. 이러한, 제 3 부분(1202a, 1203a)은 그 폭이 W1, W1' 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형태이다.
다음, 도 15a 내지 도 15b는 돌출부의 또 다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5a를 살펴보면, 돌출부(1300a, 1301a)는 제 1 부분(1302d, 1303d)과 제 2 부분(1302c, 1303c)과 제 3 부분(1302b, 1303b)과 제 4 부분(1302a, 1303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부분(1302d, 1303d) 또는 제 2 부분(1302c, 130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 도 15a에서는 제 2 부분(1302c, 1303c)이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이다.
제 1 부분(1302d, 1303d)은 바디부(1300b, 1301b)와 연결되며 각각 W4 의 폭과 W4' 의 폭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부분(1302d, 1303d)은 그 폭이 W4, W4' 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형태이다.
제 2 부분(1302c, 1303c)은 제 1 부분(1302d, 1303d)의 끝단에 형성되며 제 1 부분(1302d, 1303d)보다 가로 방향의 폭(W4, W4')보다 더 넓은 평균 폭(W3, W3')을 갖는다. 여기서, 제 2 부분(1302c, 1303c)의 폭(W3, W3')을 평균 폭이라고 한 이유는 이러한 제 2 부분(1302c, 1303c)은 그 폭이 방전 셀(1304)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제 3 부분(1302b, 1303b)은 제 2 부분(1302c, 1303c)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 2 부분(1302c, 1303c)의 평균 폭(W3, W3')보다 더 넓은 폭(W2, W2')을 갖는다. 이러한, 제 3 부분(1302b, 1303b)은 그 폭이 W2, W2' 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형태이다.
아울러, 제 4 부분(1302a, 1303a)은 제 3 부분(1302b, 1303b)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 3 부분(1302b, 1303b)의 폭(W2, W2')보다 더 넓은 폭(W1, W1')을 갖는다. 이러한, 제 4 부분(1302a, 1303a)은 그 폭이 W1, W1' 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형태이다.
다음, 도 15b를 살펴보면 앞선 도 13a에서와는 다르게 부호 1300a의 돌출부의 제 4 부분(1305a-1, 1305a-2)이 제 4 폭(W4)과 제 5 폭(W5)을 가지며, 이러한 제 4 부분(1305a-1, 1305a-2)은 제 3 부분(1305b)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다.
결국, 제 4 부분(1305a-1, 1305a-2)이 형성되는 지점의 돌출부(1300a)의 가로 방향의 폭은 W1+W4+W5 가 된다. 이러한 도 13b의 부호 1300a의 돌출부의 형태는 앞선 도 15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아울러, 부호 1301a의 돌출부도 부호 1300a의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효 영역 상에서 돌출부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전극의 특징은 전체 납(Pb) 성분의 함량이 1000PPM(Parts Per Million)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납 성분의 전체 함량을 1000PPM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성분에서 납의 함량이 1000PPM이하로 할 수 있다.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구성 요소에서의 납 성분의 함량을 1000PPM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격벽의 납 성분 및/또는 유전체 층의 납 성분의 함량을 1000PPM이하로 하는 것이다.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 요소 각각의 납 성분의 함량을 1000PPM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유전체 층, 전극, 형광체 층 등등의 모든 구성 요소의 납 성분의 함량을 각각 1000PPM이하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납 성분의 전체 함량을 1000PPM이하로 설정하는 이유는, 납 성분은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되는 전체 납 성분의 함량을 1000PPM이하로 하면서 아울러, 앞선 도 2a부터 도 15b까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 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이 일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일방향의 상측 또는 하층으로 진행하고, 이후 일방향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진행하게 함으로써 전극들의 전기적 단락(Short)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이 유효 영역 상에서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방전 개시 전압을 낮추고, 이에 따라 구동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체 납 성분의 함량을 1000PPM이하로 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복수의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에 대항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기판은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 영역(Active Area)과, 상기 유효 영역의 외곽에 배치되고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 유효 영역(Dummy Area)을 포함하고,
    상기 유효 영역에서의 상기 스캔 전극의 진행방향을 X축으로 하면, 상기 스캔 전극은 상기 비 유효 영역에서는 제 2 사분면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다시 제 3 사분면 방향으로 진행하고,
    복수의 상기 스캔 전극 중 적어도 두 개의 스캔 전극은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스캔 전극 사이에는 블랙 층이 배치되고,
    상기 유효 영역에서 상기 스캔 전극은 방전 셀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분보다 가로 방향의 폭이 더 넓은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전극은 차례로 적층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전극은 전기 전도성의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캔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스캔 전극은 진행 방향이 상기 제 2 사분면 방향으로 변경되는 지점이 다른 스캔 전극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캔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스캔 전극은 상기 제 2 사분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부분의 길이가 다른 스캔 전극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캔 전극 중 하나 이상의 스캔 전극은 상기 제 2 사분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각도가 다른 스캔 전극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또는 제 2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의 끝단에는 제 2 부분의 가로 방향의 폭보다 더 넓은 제 3 부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의 끝단에는 제 3 부분의 가로 방향의 폭보다 더 넓은 제 4 부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43605A 2006-05-15 2006-05-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605A KR100793030B1 (ko) 2006-05-15 2006-05-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11/634,122 US20070263155A1 (en) 2006-05-15 2006-12-06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06256278A EP1858054A3 (en) 2006-05-15 2006-12-08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0610162365XA CN101075523B (zh) 2006-05-15 2006-12-14 等离子体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605A KR100793030B1 (ko) 2006-05-15 2006-05-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753A KR20070110753A (ko) 2007-11-20
KR100793030B1 true KR100793030B1 (ko) 2008-01-10

Family

ID=3773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605A KR100793030B1 (ko) 2006-05-15 2006-05-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63155A1 (ko)
EP (1) EP1858054A3 (ko)
KR (1) KR100793030B1 (ko)
CN (1) CN1010755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3694A (ja) * 2008-02-12 2009-08-27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303A (ko) * 2002-12-20 200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구조
KR20040058566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073408A (ja) * 2004-09-03 2006-03-16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
KR20060040515A (ko) * 2004-11-06 2006-05-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194B1 (ko) * 2003-08-04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리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589361B1 (ko) * 2003-10-16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303A (ko) * 2002-12-20 200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구조
KR20040058566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073408A (ja) * 2004-09-03 2006-03-16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
KR20060040515A (ko) * 2004-11-06 2006-05-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8054A3 (en) 2009-09-09
CN101075523A (zh) 2007-11-21
US20070263155A1 (en) 2007-11-15
EP1858054A2 (en) 2007-11-21
KR20070110753A (ko) 2007-11-20
CN101075523B (zh)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9363B2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1035381A (ja) 放電式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07930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628076B2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611448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40075376A1 (en) Partition-wall structure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KR1007195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5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7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6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0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441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75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4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357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25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90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45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