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954B1 -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954B1
KR100792954B1 KR1020060088213A KR20060088213A KR100792954B1 KR 100792954 B1 KR100792954 B1 KR 100792954B1 KR 1020060088213 A KR1020060088213 A KR 1020060088213A KR 20060088213 A KR20060088213 A KR 20060088213A KR 100792954 B1 KR100792954 B1 KR 100792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sitive
terminal
layer capacito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집전판의 표면에 분극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양극 및 음극 전극체와, 양극 및 음극 전극체에 각각 연결되는 양극 및 음극 리드선과, 양극 및 음극 전극체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 및 하우징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하우징의 내ㆍ외부를 차단하는 양극 및 음극 단자판;을 구비하되, 양극 및 음극 단자판 각각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복수 단자를 구비하고, 양극 단자판의 복수 단자에 양극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 단자판의 복수 단자에 음극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하우징의 대향하는 양측에 구비함으로써, 단위셀의 접촉점 증가로 인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의 전기적 흐름이 개선되어 충ㆍ방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단자

Description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의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하우징 및 단자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의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00...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10...하우징
120...단자판 130, 140...단자
141...너트 142...제 1 개스킷
143...제 2 개스킷 144...단자 볼트
145...리드선 가이드 146...고정핀
150...기체 배출구 151...기체 배출 노즐
152...압력 벤트
본 발명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는 2차 전지와 커패시터의 중간적 성질을 갖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전기를 저장하는 메카니즘이 화학 반응을 이용하는 전지와 달리 전해질의 계면에 형성되는 전기 이중층이라 불리는 이온층(Ionic Layer)에 전하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이중층은 물체의 박막층에서 일측면에 양전하 및 타측면에 음전하가 연속적으로 위치되거나 면밀도가 같은 상태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서, 주로 쌍극자로 이루어진 이중층을 일컫는다. 통상적으로, 서로 다른 물질 상의 경계에서는 전하의 재배열이 일어나고 전기 이중층이 형성된다.
또한, 전기 이중층을 이용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활성 탄소 전극과 유기계 전해질의 경계면에 정전층을 형성하고, 전기 이중층을 유전체로 이용하여 전지와 마찬가지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으로, 고체 전극과 전해질 간의 계면에서 전기 이중층에 전하가 흡착 및 탈착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전지와 비교하여 에너지 밀도는 낮지만 순간적으로 고전류 및 고출력을 나타내는 방전 특성이 우수하며, 수십만회의 사이클 특성을 가지므로 반영구적인 수명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에너지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장수명을 요구하는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으며, 기억 소자용 백업 전원, 휴대정보기기용 충전지 및 HEV(Hybrid Electric Vehicle) 전지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구조는 양극 및 음극 전극체, 양극 및 음극 전극체에 각각 연결되는 양극 및 음극 리드선, 양극 및 음극 전극체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및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하는 단자판을 구비한다.
여기서, 단자판은 외부로 돌출되는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구비하고, 양극 및 음극 단자 각각은 양극 및 음극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술한 구성에 따른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의 전류 흐름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는 단자판에 양극 및 음극 단자(11, 12) 모두를 구비하여, 충ㆍ방전에 따른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의 전류(I)가 'U'자의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단위셀로 하여, 단위셀의 집합체인 모듈을 구성할 때, 단위셀 단자에서의 접촉점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 이중층 내부의 전류 흐름에 따른 전기적 경로가 길어져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의 'U'자형 전류 흐름은 전기 이중층을 이루는 전하들의 분극화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어, 거시적인 관점에서 전체 셀 저항의 증가를 초래할 뿐 아니라, 미시적인 관점에서도 파워 특성과 수명 특성에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빠른 충방전 특성과 고용량을 요구하는 HEV 전지에 활용할 경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다수로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단자 구조는 전극 간의 연결을 위한 결선 경로가 길고, 이에 따른 생산성 및 충방전 용량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단위셀의 접촉점 증가로 인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의 전기적 흐름을 개선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집전판의 표면에 분극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양극 및 음극 전극체와,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체에 각각 연결되는 양극 및 음극 리드선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체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 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ㆍ외부를 차단하는 양극 및 음극 단자판;을 구비하되,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판 각각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복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양극 단자판의 복수 단자에 양극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극 단자판의 복수 단자에 음극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 단자 각각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단자판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단자 볼트;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단자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단자 볼트와 결합되는 리드선 가이드; 상기 단자 볼트와 리드선 가이드를 체결하는 고정핀; 상기 너트와 단자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개스킷; 및 상기 단자 볼트와 단자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개스킷;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드선 가이드와 단자 볼트의 사이에 리드선이 끼워져 고정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또는 제 2 개스킷은 폴리우레탄 또는 테프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극 또는 음극 단자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자판에 압력 벤트가 장착된 기체 배출 노즐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력 벤트는 20 기압 이상에서 기체를 배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판 각각의 복수 단자는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단자의 개수는 짝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각형 또는 원통형이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적층형 또는 권취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알루미늄 또는 고분자 폴리머 재질이고, 상기 고분자 폴리머는 200Kgf/㎠ 이상의 강도를 만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전해액과 함께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전해액에 의해 함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는 전해질과 함께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대향하는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하는 한 쌍의 단자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및 단자판을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구조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하우징 및 단자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100)는 대향하는 일측 및 타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일측 및 타측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하우징(110)의 내ㆍ외부를 차단하는 한쌍의 단자판(120, 12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각형 또는 원통형의 알루미늄 또는 고분자 폴리머 재질케이스로서, 그 내부에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폴리머는 폴리우레탄 또는 테프론을 포함하고, 그 강도가 200Kgf/㎠ 이상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적층형 또는 권취형 조립체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집전판의 표면에 분극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양극 및 음극 전극체와,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체에 각각 연결되는 양극 및 음극 리드선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체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전기를 충방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양극 리드선은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음극 리드선은 하우징(110)의 개구된 타측으로 인출된다.
상기 한쌍의 단자판(120, 120')은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 및 타측을 봉 합하는 전기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 및 타측으로 인출된 양극 및 음극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판(120, 120') 각각은 상호 대향 배치되어 접속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을 봉합하는 단자판(120)은 양극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 단자(130, 14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의 충ㆍ방전에 의해 발생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15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타측을 봉합하는 단자판(120')은 음극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 단자(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가스 배출구(150)는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을 봉합하는 단자판(120)에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타측을 봉합하는 단자판(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가스 배출구는 한쌍의 단자판(120, 1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자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 및 3을 참조로 한쌍의 단자판(120, 120')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배출구(150)를 제외한 단자판(120, 120') 각각의 구조는 상호 대칭하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편의상 하우징(110)의 일측을 봉합하는 단자판(120)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판(120)은 한쌍의 복수 단자(130, 140) 및 가스 배출구(1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판(120)의 형상은 하우징(110)의 개구부 형상에 대응된다. 즉, 상기 단자판의 형상은 하우징의 개구부가 각형이 면, 그 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개구부가 원통형이면, 그 면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 단자(130, 140) 각각은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에서 인출된 양극 또는 음극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 단자(130, 140) 각각의 극성은 양극 또는 음극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에서 인출된 리드선이 양극일 경우, 상기 복수 단자(130, 140) 각각의 극성은 양극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단자(130, 140) 각각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단자판(120)을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인데, 상기 복수 단자(130, 140) 각각의 구조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편의상 복수 단자(130, 140) 중 선택된 어느 한 단자(140)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자(140)는 단자판(120)을 중심으로 하우징(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너트(141) 및 제 1 가스켓(142)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2 가스켓(143), 단자 볼트(144), 리드선 가이드(145) 및 고정핀(146)이 상호 체결 및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구조를 이루기 위해서, 상기 단자 볼트(144)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단자판(120)을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단자판(120)에는 단자 볼트(144)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미리 형성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 볼트(144)의 일측은 너트(141)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 볼트(144)의 타측은 리드선 가이드(145)와 결합되는데, 상기 단자 볼트(144)는 길이축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 가이드(145)의 중앙에 상기 중공과 일치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146)에 의해 단자 볼트(144) 및 리드선 가이드(145)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너트(141)와 단자판(120) 사이에는 제 1 개스킷(142)이 개재되고, 상기 단자판(120)과 단자 볼트(144) 사이에는 제 2 개스킷(143)이 개재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기체 및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개스킷(142, 143)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또는 테프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선 가이드(145)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리드선을 가이드하고, 상기 리드선은 단자 볼트(144) 및 리드선 가이드(145)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단자판(120)에 구비되는 가스 배출구(150)는 기체 배출 노즐(151), 압력 벤트(152) 및 실링 밴드(153)가 결합 및 체결된 구조로, 상기 단자판(120)에는 가스 배출구(150)가 체결될 수 있는 홀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벤트(152)는 20 기압 이상에서 하우징(110) 내부의 기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실링 밴드(153)는 폴리우레탄 또는 테프론을 포함하는 고분자 폴리머 재질로 하우징(110)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하우징의 대향하는 양측에 동일한 개 수를 갖는 복수 단자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된 복수 단자는 양극을 이루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된 복수 단자는 음극을 이루게 되어 전기 이중층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이 종래에 비하여 개선되는데,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의 전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 단자(130, 140)는 양극을 이루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 단자(160, 170)는 음극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함침하는 전해액에 의해, 상기 양극 및 음극에 전원 및 로드가 인가되면 충ㆍ방전에 따른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 전류(I)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전류(I) 흐름은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평행하게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기적 흐름이 종래에 비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단위셀 간의 접촉점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 전극(130, 140, 160, 170)은 고용량의 충ㆍ방전을 위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다수로 결선할 경우, 상기 결선이 용이하고, 결선 경로를 단축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하우징의 대향하는 양측에 구비함으로써, 단위셀의 접촉점 증가로 인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전기 이중층 내부에서의 전기적 흐름이 개선되어 충ㆍ방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다수로 연결시, 전극 간의 연결을 위한 결선 경로가 단축되고, 이에 따른 생산성 및 충ㆍ방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집전판의 표면에 분극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양극 및 음극 전극체와,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체에 각각 연결되는 양극 및 음극 리드선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체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양극 및 음극 단자판;을 구비하되,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판 각각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복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양극 단자판의 복수 단자에 양극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극 단자판의 복수 단자에 음극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단자 각각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단자판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단자 볼트;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단자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단자 볼트와 결합되는 리드선 가이드;
    상기 단자 볼트와 리드선 가이드를 체결하는 고정핀;
    상기 너트와 단자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개스킷; 및
    상기 단자 볼트와 단자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가이드와 단자 볼트의 사이에 리드선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개스킷은 폴리우레탄 또는 테프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또는 음극 단자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자판에 압력 벤트가 장착된 기체 배출 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벤트는 20 기압 이상에서 기체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판 각각의 복수 단자는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단자의 개수는 짝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각형 또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알루미늄 또는 고분자 폴리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폴리머는 200Kgf/㎠ 이상의 강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적층형 또는 권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전해액과 함께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전해액에 의해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KR1020060088213A 2006-09-12 2006-09-12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KR100792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213A KR100792954B1 (ko) 2006-09-12 2006-09-12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213A KR100792954B1 (ko) 2006-09-12 2006-09-12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954B1 true KR100792954B1 (ko) 2008-01-08

Family

ID=3921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213A KR100792954B1 (ko) 2006-09-12 2006-09-12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96B1 (ko) 2015-10-15 2015-11-30 주식회사 씨엘씨팩토리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를 위한 고분자 수지 용기 및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9857A (ja) 1997-11-25 1999-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KR20000022825A (ko) * 1998-09-02 2000-04-25 다카노 야스아키 리튬 2차 전지
JP2004214011A (ja) 2002-12-27 2004-07-29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9857A (ja) 1997-11-25 1999-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KR20000022825A (ko) * 1998-09-02 2000-04-25 다카노 야스아키 리튬 2차 전지
JP2004214011A (ja) 2002-12-27 2004-07-29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96B1 (ko) 2015-10-15 2015-11-30 주식회사 씨엘씨팩토리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를 위한 고분자 수지 용기 및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
WO2017065385A1 (ko) * 2015-10-15 2017-04-20 주식회사 씨엘씨팩토리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를 위한 고분자 수지 용기 및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6386B2 (en) Battery pack
US9461295B2 (en)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erminal portion having auxiliary plate for reducing current flow along short circuit current path
US20200035959A1 (en) Battery pack compris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on plate
RU2686841C1 (ru) Биполярная батарея
US8790822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265846B1 (ko) 전극단자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100948470B1 (ko)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KR20150107438A (ko) 내부 터미널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내부 터미널 구조
KR100792954B1 (ko)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KR101069606B1 (ko) 고압 및 고전력 슈퍼 커패시터
JP6754111B2 (ja) 積層型蓄電池及びこれを用いた蓄電池システム
KR100799795B1 (ko) 전압 균등화를 위한 저항을 구비하는 단위셀 및 이를이용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US11069943B2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electrode lead coupled to long-side area
KR20110109029A (ko) 가스투과막이 설치된 전기화학셀
KR101022308B1 (ko) 에너지 저장장치
KR102159122B1 (ko)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KR100612396B1 (ko) 이차 전지
KR101296253B1 (ko) 가스투과막이 설치된 전기화학셀
KR101973407B1 (ko)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5306A (ko) 절연 마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충방전 장치
KR100923863B1 (ko) 에너지 저장장치
KR101568309B1 (ko) 터미널 구조가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위한 터미널 구조
KR101803864B1 (ko) 절연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저장 장치
KR20170096704A (ko) 에너지 저장 장치
KR20170024964A (ko)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