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161B1 - Top pile for field casting - Google Patents
Top pile for field cas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2161B1 KR100792161B1 KR1020070092827A KR20070092827A KR100792161B1 KR 100792161 B1 KR100792161 B1 KR 100792161B1 KR 1020070092827 A KR1020070092827 A KR 1020070092827A KR 20070092827 A KR20070092827 A KR 20070092827A KR 100792161 B1 KR100792161 B1 KR 100792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p pile
- groove
- pile
- coupling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380 pattern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4—Sealing joints between adjacent sheet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토목공사시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에 관한 것으로, 결합홈과 결합돌기와 다수개의 돌출부가 포함되되,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상측 동일선상보다 높게 형성되며, 철근이 십자형태로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내측으로 관통된 지지홈을 구성한 팽이파일과, 상기 팽이파일의 고정돌기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철근을 지지하는 ∩자 형태의 고리와 상기 고리에 연결되는 지지봉을 구성한 고정부로 이루어진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lace casting top pile installed on a soft ground during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and includes a coupling groove, a coupling protrus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re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 zigzag support structure having a fixing protrusion formed with a fixing groove inserted into the cross shape, a top pile including a support groove penetrating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of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top pile. It provides an in-place casting top pile consisting of a fixed portion constituting a ring and a supporting rod connected to the ring.
본 발명은 다수개의 팽이파일을 고정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팽이파일에 형성되고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공사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구해서 사용되는 못이나 핀 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각각의 팽이파일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전, 후, 좌, 우, 상, 하측으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각각의 팽이파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팽이파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인력 및 작업시간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inserted by using a nail or a pin, etc., which are generally obtained and easily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 to the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top pile and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to fix the plurality of top piles. By doing so, the individual top pile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rmly fixed to the front, rear, left, right, up and down sides, as well as reducing the working time for joining the individual top piles.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manpower and work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팽이파일에 철근이 삽입되는 고정돌기의 고정홈을 상기 팽이파일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팽이파일 내측으로 1차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된 후, 상기 팽이파일 상측으로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고정홈에 삽입된 철근이 팽이파일과 2차 콘크리트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콘크리트의 강도를 우수하게 하며, 팽이파일의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형성된 지지홈에 핀, 못 등을 결합함으로써, 다수개가 연결되는 팽이파일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상기 팽이파일을 지면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시간 감소에 따른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pile for in situ casting,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 fixing groove of a fixing protrusion into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top pile installed on the soft ground so as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top pile. After the secondary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when reinforcing the secondary concrete to the upper side of the top pile, the reinforcing bar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firmly bind the top pile and the secondary concrete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and the top By coupling pins, nails, etc. to the support grooves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pile, it firmly supports a plurality of top pil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creases work efficiency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working time for installing the top piles on the ground It is about a top place pile for the field casting which can be made.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팽이파일은 공장제작형과 현장타설형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공장제작형은 팽이파일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공장에서 현장까지 팽이파일을 운송하기 위한 고가의 운송비용 등에 문제점이 있어, 운송이 간편한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을 사용하고 있다.Generally used top pile is divided into factory production type and on-site casting type. Factory manufacturing type has the advantage of manufacturing the top pile at the factory and installing it directly on site, but for transporting the top file from the factory to the site There is a problem such as expensive transportation cost, and is used for the top-down top pile for easy transportation.
그래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현장타설용 팽이파일(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특허등록번호 제10 - 725068호와 같이 팽이부(2)에 연결홈(3)과 케이블구멍(4)을 형성하고, 상기 팽이부(2)의 하측에 형성되며, 하부 연결철근(S2)이 삽입되는 파일본체부(5)와 상기 파일본체부(5)의 하측에 형성되는 파일선단부(6)로 이루어진다.Thus, a commonly used spot
상기와 같은 팽이파일(1)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팽이파일(1)을 뒤집은 다음, 하부 연결철근(S2)을 파일본체부(5)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후, 상기 팽이파일(1)을 정위치 시킨 다음, 상기 케이블구멍(4)에 케이블(T)을 삽입하여, 다수개의 팽이파일(1)을 결합한다.In order to use the
그리고, 팽이부(2)에 형성된 연결홈(3)에 상부 연결철근(S1)을 격자무늬로 삽입하고, 격자무늬로 연결홈(3)에 삽입된 상부 연결철근(S1)을 결속선(W)을 이용하여 팽이부(2)에 고정결합시킨다.Then, the upper connecting bar (S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3) formed in the
그리고, 상기 팽이파일(1)과 지면 사이로 골재(G)를 삽입한다.Then, the aggregate (G) is inserted between the top pile (1) and the ground.
그런 후, 상기 팽일파일(1)의 내측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후, 2차 콘크리트(C) 작업을 하는 것이다.Then, after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C) to the inside of the expanded pile (1), the secondary concrete (C) is to work.
하지만, 상기와 같이 팽이파일을 지면에 설치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팽이파일을 고정결합시킬 때, 작업자가 일일이 팽이파일을 뒤집은 다음, 파일본체부를 하부 연결철근에 일일이 삽입한 후, 다시 팽이파일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고, 케이블구멍에 케이블 타이를 삽입시켜, 지면에 팽이파일을 설치하고 팽이부에 형성된 연결홈에 철근을 삽입시켜야 했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수개의 팽이파일을 지면에 설치하고, 각각의 팽이파일들을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 plurality of top piles are fixedly coupled to install the top piles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inverts the top piles one by one, and then inserts the pile body into the lower connecting bars one by one, and then returns the top piles to their original state. The operator had to install a number of top piles on the ground and install the top piles by inserting the cable tie into the cable hole, installing the top pile in the ground, and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s into the connecting groove formed in the top portion. It takes a lot of work time to fix the coupl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not good.
그리고, 각각의 팽이파일들이 상호 고정결합되지 않고, 철근에 의해서만 각각의 팽이파일들을 고정결합시켰기 때문에, 상기 철근의 길이에 따라 팽이파일들을 연결할 수 있는 개수에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팽이파일들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each top pile is not fixed to each other and fixed to each top pile only by reinforcing bars,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connecting top fil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as well as the respective top pil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ir combination is not made properly.
또한, 상기 팽이부에 형성된 연결홈은 팽이부의 상측 동일선상보다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홈에 철근을 삽입하고 팽이파일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게 되면, 상기 철근이 팽이파일의 내측으로 묻히는 형상으로 양생됨으로써, 다수개의 팽이파일들만을 고정시켜, 팽이파일과 상기 팽이파일의 상측으로 타설되는 2차 콘크리트와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로 인한,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groove formed in the top portion is formed below the upper side of the top line of the top portion, and when the reinforcemen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and the concrete is placed and cured inside the top pile, the reinforcing bar is the inside of the top pile By curing in a buried shape, only a plurality of top piles are fixed, and a combination of the top pile and the secondary concrete poured into the top of the top pile is not properly performed, resulting in low strength of the concrete. there was.
아울러, 상기 팽이파일들을 지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부 연결철근, 철근, 케이블타이 등에 다양한 자재들이 필요했기 때문에, 자재제작비용 증가에 따른 사용자의 자재구입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top piles on the ground, a variety of materials are required, such as the lower connection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bars, cable ti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purchase cost of the user in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material production costs.
본 발명인 건축, 토목공사시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은 결합홈과 결합돌기와 다수개의 돌출부가 포함되되,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상측 동일선상보다 높게 형성되며, 철근이 십자형태로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내측으로 관통된 지지홈을 구성한 팽이파일과, 상기 팽이파일의 고정돌기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철근을 지지하는 ∩자 형태의 고리와 상기 고리에 연결되는 지지봉을 구성한 고정부로 이루어진다.When the present inventors building,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is installed on the soft ground in place of the top pile includes a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same line, the reinforcing bar cross A top pile including a fixing protrusion having a fixing groove to be inserted, a support groove penetrating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U-shaped ring supporting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of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top pile; It consists of a fixed portion constituting a support rod connected to the ring.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은 다수개의 팽이파일을 고정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팽이파일에 형성되고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공사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구해서 사용되는 못이나 핀 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각각의 팽이파일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전, 후, 좌, 우, 상, 하측으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각각의 팽이파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팽이파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인력 및 작업시간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ix the plurality of top piles, the top pile piles are formed in the top piles, and the support grooves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generally easily obtained at the construction site. By simply inserting with a pin or the like, the individual top pile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firmly fixed to the front, rear, left, right, up and down sides, as well as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joining the individual top pil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manpower and work time for combining the top files.
그리고, 못이나 핀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팽이파일을 결합시키고, 상기 팽이 파일의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상측 동일선상보다 높게 형성된 고정돌기의 고정홈에 철근을 십자형태로 삽입하고 상기 철근의 상측으로 고정부를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철근과 고정부가 팽이파일의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상측 동일선상보다 높게 위치되어, 팽이파일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1차로 타설하고 양생시키게 되면, 상기 팽이파일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철근을 지지하는 고정부의 ∩자 형태의 고리와 상기 고리에 연결된 지지봉에 의해 팽이파일의 내측으로 타설되는 1차 콘크리트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1차 콘크리트의 강도를 우수하게 함은 물론, 상기 팽이파일의 상측으로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팽이파일과 철근과 고정부가 2차 콘크리트의 내측에서 보강역할을 함으로써, 2차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n, each top pile is joined using a nail or a pin,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of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collinear line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top pil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rebar. When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the fixing protrusion in which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nd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r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collinear line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top pile. When placed and cured by car, the area where the primary concrete placed in the inside of the top pile is contacted by the U-shaped ring of the fixing part supporting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of the top pile and the support rod connected to the hook. When the secondary concrete is pour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top pile as well as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primary concrete, By the reinforcement role of the inner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and the fixed portion of the secondary concrete,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econdary concrete.
또한, 상기 팽이파일들을 결합하기 위한 자재를 따로 구입할 필요없이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과 못이나 핀 등을 이용할 수 있어, 자재구입비용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reinforcing bars and nails or pins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 without having to purchase a separate material for combining the top piles, there is an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according to the material purchase c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in-place casting top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현장타설용 팽이파일(50)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파일(10)과 고정부(20)로 이루어진다.First, the in-place
여기서, 상기 팽이파일(10)은 도 4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와 돌출부(13)가 포함되되, 상기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의 상측 동일선상보다 높게 형성되고, 철근(S)이 십자형태로 삽입되는 고정홈(14)이 형성된 고정돌기(15)와, 상기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의 내측으로 관통된 지지홈(16)으로 이루어진다. Here, the
여기서, 상기 팽이파일(10)에 형성된 결합홈(11)은 상호 대칭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결합돌기(12) 또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도록 한다.Here, the
그리고, 다수개의 팽이파일(10)은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에 의해 결합된다.Then, the plurality of
덧붙여, 상기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에 형성된 지지홈(16)에는 핀(17)이나 못(18) 등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팽이파일(10)들을 결합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팽이파일(10)의 하측으로는 팽이파일(10)의 내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함유된 물과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흐름공(1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그리고, 상기 팽이파일(10)은 사용자의 목적에 알맞게 다양한 재질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수지(PE : Poly Ethylen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ABS수지( 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발포폴리스티렌( EPS : expanded polystyrene) 등의 합성수재재나, 함석류, 알루미늄, 철판 및 목재류로 제작될 수도 있다.For example, synthet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resin (PE: Poly Ethylene), polystyrene (PS: polystyrene), ABS resin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expanded polystyrene (EPS), tin, aluminum It can also be made of iron sheets and timber.
한편, 상기 고정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이파일(10)의 고정돌기(15)에 형성된 고정홈(14)에 삽입되는 철근(S)을 지지하는 ∩자 형태의 고리(21)와 상기 고리(21)에 연결되는 지지봉(22)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고리(21)의 내부 폭(d1)은 상기 팽이파일(10)의 고정홈(14)에 삽입되어, 팽이파일(10)의 중앙지점에서 교차되는 철근(S)의 대각선 폭(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ner width d1 of the
상기 고리(21)의 내부 폭을 팽이파일(10)의 중앙지점에서 십자형태로 교차되는 철근(S)의 대각선 폭보다 작게 형성하는 이유는, 십자형태로 교차되는 철근(S)들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inner width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와 돌출부(13)가 포함되고, 상기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의 상측으로 철근(S)이 십자형태로 삽입되는 고정홈(14)이 형성된 고정돌기(15)와, 상기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의 내측으로 관통된 지지홈(16)이 구성된 팽이파일(10)을 제작한 후, 상기 팽이파일(10)을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운송한다.First, the
그리고, 다수개의 팽이파일(10)을 지면에 설치한다.Then, a plurality of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이파일(10)들의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를 상호 결합한 후, 상기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에 형성된 지지홈(16)에 핀(17)이나 공사현장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못(18)을 삽입 하고,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5)의 고정홈(14)에 철근(S)을 십자형태로 삽입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7, after coupling the
여기서, 상기 지지홈(16)에 삽입되는 핀(17)이나 못(18)은 지지홈(1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구부려서 지지홈(16)에 삽입할 수도 있다.Here, the
그런 후, 상기 고정돌기(15)의 고정홈(14)에 십자형태로 삽입된 철근(S)의 상측으로 ∩자 형태의 고리(21)와 상기 고리(21)와 연결된 지지봉(22)을 구성한 고정부(20)를 각각의 팽이파일(10)에 설치된 십자형태로 배열설치된 철근(S)의 교차지점에 설치하여 상기 철근(S)들을 견고히 고정시킨다.The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bar (S) inserted into the
여기서, 상기 고정부(20)의 고리(21)의 내부 폭(d1)은 팽이파일(10)의 중앙지점에서 교차되는 철근(S)들의 대각선 폭(d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십자형태로 교차되는 철근(S)들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Here, the inner width (d1) of the
그러면, 다수개의 팽이파일(10)들이 지지홈(16)에 삽입된 핀(17)이나 못(18)과 고정돌기(15)의 고정홈(14)에 삽입된 철근(S)들에 의해 각각의 팽이파일(10)들이 견고하게 지면에 배열설치되게 된다.Then, the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지지홈(16)에 삽입되는 핀(17)과 못(18)을 삽입하고, 고정홈(14)에 철근(S)을 삽입한 후, 상기 철근(S)의 상측으로 고정부(20)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팽이파일(10)들이 지면에 견고히 배열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팽이파일(10)들을 지면에 배열설치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그에 따른, 작업효율이 증가하게 된다.Here, the
그리고, 팽이파일(10)들이 지면에 배열설치되게 되면, 작업자들이 팽이파 일(10)의 상측에 설치된 철근(S)들의 교차지점을 밟고 다니면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할 수 있다.And, when the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이파일(10)들이 핀(17)과 못(18)이나 철근(S)들에 의해 지면에 견고하게 배열설치된 후, 팽이파일(10)과 지면 사이로 골재(G)들을 고르게 분포시킨 뒤, 상기 팽이파일(10)의 내측으로 콘크리트(C)를 1차로 타설하여 양생시킨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여기서, 콘크리트(C)를 팽이파일(10)의 내측으로 타설할 때, 상기 콘크리트(C)를 팽이파일(10)의 상측과 동일선상이 되도록 타설한다.Here, when pouring concrete C to the inside of the
그러면, 상기 지지홈(16)에 삽입되는 핀(17)과 못(18)이나 상기 철근(S)들을 고정결합하는 고정부(20)의 고리(21)의 일부분과 상기 고정부(20)의 지지봉(22)이 콘크리트(C)의 내측으로 위치되게 되어, 1차로 타설된 콘크리트(C)의 뼈대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는, 고정부(20)와 콘크리트(C)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상기 콘크리트(C)의 강도를 높임은 물론, 지면에 일정하게 배열설치된 팽이파일(10)들이 견고하게 고정결합되게 한다.Then, the
또한, 상기 팽이파일(10)의 하측으로 흐름공(19)을 형성함으로써, 팽이파일(10)의 내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포함된 공기나 물들이 상기 흐름공(19)을 통해 팽이파일(10)의 외부로 배출되어, 팽이파일(10)의 내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강도를 우수하게 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상기와 같이 1차 콘크리트(C)가 타설되고 양생이 되게 되면,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알맞게 팽이파일(10)의 상측으로 2차 콘크리트(C) 타설을 하면 된다.When the primary concrete (C) is poured and cur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concrete (C) can be poured into the top of the
여기서, 1차로 타설된 콘크리트(C)의 상측으로는 팽이파일(10)에 형성된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의 상측으로는 고정돌기(15)가 돌출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돌기(15)의 고정홈(14)에 삽입된 철근(S)이 상기 고정홈(14)에 의해 팽이파일(10)의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의 상측 동일선상보다 상측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철근(S)을 견고히 지지고정하는 고정부(20)에 형성된 고리(21)의 일부분도 팽이파일(10)의 고정홈(14)에 결합되는 철근(S)보다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2차 콘크리트(C)의 내측으로 위치하게 된다.Here, the fixing
따라서, 상기 고정홈(14)에 삽입된 철근(S)과 상기 철근(S)을 견고히 지지하는 고정부(20)에 형성된 고리(21)의 일부분이 2차 콘크리트(C)의 내측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2차 콘크리트(C)의 뼈대역할을 하게 되어, 2차로 타설된 콘크리트(C)의 강도를 우수하게 함은 물론, 1차 타설되고 양생된 콘크리트(C)와 2차로 타설된 콘크리트(C)를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reinforcement S inserted into the fixing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은 종래의 팽이파일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p pile.
도 2는 종래의 팽이파일의 결합상태도.2 is a state of engagement of a conventional top pile.
도 3은 종래의 팽이파일의 사용상태도.3 is a use state diagram of a conventional top pile;
도 4는 본 발명의 팽이파일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팽이파일에 흐름공을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hole in the top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팽이파일과 고정부의 결합상태도.Figure 7 is a coupling state of the top pile and the fix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현장타설용 팽이파일의 사용상태도.8 is a state of use of the in-place casting top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팽이파일 11 : 결합홈10: top pile 11: coupling groove
12 : 결합돌기 13 : 돌출부12: engaging projection 13: protrusion
14 : 고정홈 15 : 고정돌기14: fixing groove 15: fixing protrusion
16 : 지지홈 17 : 핀16: support groove 17: pin
18 : 못 19 : 흐름공18: nail 19: flow ball
20 : 고정부 21 : 고리20: fixing part 21: ring
22 : 지지봉 C : 콘크리트22: support rod C: concrete
G : 골재 S : 철근G: Aggregate S: Rebar
50 : 현장타설용 팽이파일50: spinning top pil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2827A KR100792161B1 (en) | 2007-09-12 | 2007-09-12 | Top pile for field cas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2827A KR100792161B1 (en) | 2007-09-12 | 2007-09-12 | Top pile for field cast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2161B1 true KR100792161B1 (en) | 2008-01-07 |
Family
ID=3921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28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2161B1 (en) | 2007-09-12 | 2007-09-12 | Top pile for field cas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2161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4422B1 (en) | 2008-03-13 | 2008-12-17 | 문형록 | Top pile with socket connection |
KR100945745B1 (en) | 2009-01-14 | 2010-03-05 | 베이스토건 주식회사 | Joint equipment of in the field for ground a top pile |
KR100996728B1 (en) | 2008-05-06 | 2010-11-25 | 정귀임 | Easy to combine in-place pour pile |
WO2015160033A1 (en) * | 2014-04-15 | 2015-10-22 | 박종민 | Top-type pile connector |
KR20180086698A (en) | 2017-01-23 | 2018-08-01 | 김영민 | Top Pile Assembly for Reinforcing Soft Ground |
KR101995031B1 (en) * | 2018-11-14 | 2019-07-01 | 문형민 | Top file for soft ground reinforcement and method of reinforcing soft ground using the sam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22328A (en) | 1984-11-16 | 1986-06-10 | Maikoma Seven:Kk | Method of installing top-shaped block |
KR19980078096A (en) * | 1997-04-25 | 1998-11-16 | 히로요시 이이즈까 | Basic structure by top type block assembly |
KR200366898Y1 (en) | 2004-07-08 | 2004-11-09 |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 A concrete pile in the shape of atop |
KR200374652Y1 (en) | 2004-07-30 | 2005-02-02 | 정상배 | Top file with jammed connection to file |
KR20050099837A (en) * | 2004-04-12 | 2005-10-17 | 시지이엔씨주식회사 | Construction-sited striking type the top post foundation installed by connecting a number of top post unit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0725068B1 (en) | 2006-06-16 | 2007-06-12 | 시지이엔씨주식회사 | On-site placing top pile with connecting groove and composite fou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0728932B1 (en) | 2006-09-26 | 2007-06-14 | 박노환 |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of soft ground |
-
2007
- 2007-09-12 KR KR1020070092827A patent/KR10079216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22328A (en) | 1984-11-16 | 1986-06-10 | Maikoma Seven:Kk | Method of installing top-shaped block |
KR19980078096A (en) * | 1997-04-25 | 1998-11-16 | 히로요시 이이즈까 | Basic structure by top type block assembly |
KR20050099837A (en) * | 2004-04-12 | 2005-10-17 | 시지이엔씨주식회사 | Construction-sited striking type the top post foundation installed by connecting a number of top post unit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200366898Y1 (en) | 2004-07-08 | 2004-11-09 | 한국팽이파일 주식회사 | A concrete pile in the shape of atop |
KR200374652Y1 (en) | 2004-07-30 | 2005-02-02 | 정상배 | Top file with jammed connection to file |
KR100725068B1 (en) | 2006-06-16 | 2007-06-12 | 시지이엔씨주식회사 | On-site placing top pile with connecting groove and composite fou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0728932B1 (en) | 2006-09-26 | 2007-06-14 | 박노환 |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of soft ground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4422B1 (en) | 2008-03-13 | 2008-12-17 | 문형록 | Top pile with socket connection |
KR100996728B1 (en) | 2008-05-06 | 2010-11-25 | 정귀임 | Easy to combine in-place pour pile |
KR100945745B1 (en) | 2009-01-14 | 2010-03-05 | 베이스토건 주식회사 | Joint equipment of in the field for ground a top pile |
WO2015160033A1 (en) * | 2014-04-15 | 2015-10-22 | 박종민 | Top-type pile connector |
KR20180086698A (en) | 2017-01-23 | 2018-08-01 | 김영민 | Top Pile Assembly for Reinforcing Soft Ground |
KR101995031B1 (en) * | 2018-11-14 | 2019-07-01 | 문형민 | Top file for soft ground reinforcement and method of reinforcing soft ground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2161B1 (en) | Top pile for field casting | |
KR101193895B1 (en) | Structure of sandwich pannel with precast concrete and cast in place concrete | |
KR101584070B1 (en) | Loop steel bottom mounted precast bridge deck module | |
US20120260596A1 (en) | Concrete Form Brace | |
KR101985676B1 (en) |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3d printer | |
KR100689658B1 (en) | Finishing members for stitching and breaking of concrete | |
KR101397432B1 (en) | Panel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
KR20180134445A (en) | Stackable Concrete Block and Formwork for the Same | |
KR100792162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top pile for site casting | |
KR100554342B1 (en) | Perforated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164989B1 (en) |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assembly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 |
KR200383505Y1 (en) | Lining board | |
WO2010054562A1 (en) | Environmental protection buckled penetrating and assembling type antiseismic wall structure | |
KR10099439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pipe pile and tofu reinforcement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ground | |
KR101836090B1 (en) | Rebar Binding Device | |
AU2021107661A4 (en) | Road barrier | |
JP6638885B2 (en) | Concrete assembly structure | |
CN209145266U (en) | A kind of adjustable concrete blinding of rigidity | |
CN212358589U (en) | Prefabricated post and use its prefabricated post connection structure | |
CN212001924U (en) | Circular concrete column structure | |
KR200433737Y1 (en) | Cement Concrete Packaging Formwork | |
KR101127772B1 (en) | Supporter for iron reinforcing rod | |
KR102101502B1 (en) | Block assembly for preventing buckling with fixture for mutually combining blocks | |
KR101643916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Member for Settlement of Ground Anchor | |
KR20130095872A (en) | Top typed p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9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