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889B1 -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 Google Patents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889B1
KR100791889B1 KR1020070019440A KR20070019440A KR100791889B1 KR 100791889 B1 KR100791889 B1 KR 100791889B1 KR 1020070019440 A KR1020070019440 A KR 1020070019440A KR 20070019440 A KR20070019440 A KR 20070019440A KR 100791889 B1 KR100791889 B1 KR 100791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grouting
pipe
foam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진
김병수
Original Assignee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filed Critical 부산광역시환경시설공단
Priority to KR102007001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수의 적정 유속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속(內)관의 경사도를 하부에서 조절하고 속관을 외관의 중심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롤러가 부착된 밴딩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와; 외관의 도달면 위치에 외관의 내벽면부와 속관의 외벽면부로 이루어진 사이의 공간인 공간부의 단면을 밀폐시키는 캡을 설치하는 단계와; 고압 발포기와 연결된 고압 호스 노즐을 주입외관 입구측의 공간부로 인입시켜 상기 도달면까지 연속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고압 발포기에 저장된 발포 충진재를 고압 호스 노즐을 통해 공간부에 발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압 호스 노즐을 외관의 도달면에서부터 주입외관 입구까지 서서히 후진하면서 연속적으로 발포 충진재를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발포식 그라우팅을 시행함으로써 발포 후 40배 정도 부피팽창으로 거의 100% 공극을 채워 확실한 방수효과가 있으며, 속관의 파손 우려가 없고, 경화에 따른 수축이 매우 작아 외관과 속관과의 접착력이 향상되며, 경화된 후 기계적 강도와 형상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포식, 그라우팅, 우레탄, 에폭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Description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TRENCHLESS METHOD USING RESIN FORMING GROUTING}
도 1은 종래의 비굴착 강관추진 부설공법의 공정도.
도 2a 내지 도 2g는 종래의 비굴착 강관추진 부설공법의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의 밴딩 설비 설치단계의 시공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관과 속관 사이 공간부 및 밴딩 설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호스 노즐의 단부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의 우레탄 발포 및 노즐 후퇴단계의 시공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의 캡 추가설치 및 작업종료단계의 시공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반력벽 2. 바닥
3. 유압장치 4. 추진레일
5. 외관(강관) 6. 스페이스 바
6a. 밴딩 설비 7. 속관
8,8'. 속관 12. 고압 발포기
13. 고압 호스 노즐 13a. 발포 충진재 배출공
14. 발포 충진재 A. 공간부
본 발명은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관거 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굴착관거 추진 공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추진관 양단을 폐쇄하고 고압발포기를 통해 우레탄 또는 에폭시수지로 발포식 그라우팅을 통한 추진공법에 관한 것이다.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 지중에 통신용, 전력용, 상하수도용, 가스용 등의 관을 매설하는 비굴착 하수관거 추진 공법은, 교통을 방해하거나 각종 민원의 발생 우려가 없는 등의 이유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특히, 도심지의 하수관거 매설공사에 있어서 교통체증, 관거매설심도, 환경, 안전문제 및 경제적 사항 등 종합적 검토시 상당부분은 비굴착 하수관거 추진 공법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비굴착 강관추진 부설공법은, 관로가 횡단하여야 할 지점, 즉 도로, 철도, 하천 기타 장애물의 양측에 일정 깊이로 내려간 추진기지 및 도달기지를 구축한 후, 상기 추진기지의 내부에 압입 추진장치를 설치하고, 그 추진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을 도달기지에 도착할 때까지 강제로 밀어넣는 시공법이다.
상기 비굴착 강관추진 부설공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비굴착 강관추진 부설공법의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관을 설치해야 할 공사용 작업구간의 양측에 일정 깊이로 굴착하여 추진기지(S)와 도달기지(E)를 만들고, 상기 추진기지(S)의 후단면에 대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작업구 가시설 설치(a) 및 추진벽 배면(b)을 보강한다. 다음 반력벽(1)을 설치하고 추진기지(S) 바닥(2)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반력벽(1)에 지지되도록 유압장치(3)를 설치하고 추진관의 레벨 및 센터를 확인 후 추진레일(4)을 설치하고, 입갱을 보강한다.
외관(5)을 작업구에 투입하고 강관을 압입대에 거치한 후 유압 유니트(Unit)와 후방의 반력벽(1)에 지지된 잭(Jack)을 이용해 선도관을 추진하고 인력 또는 장비로 선도관 내부 토사를 반출을 반복하고 후속관을 용접한 후 추진, 굴착 반복으로 외관(5)을 관통 완료시킨다.
추진관로가 완료되면 추진관(5)의 내부에 몰탈 그라우팅 시 속(內)관의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3m 마다 스페이스 바(6)를 설치하고, 속관(7)을 추진관(5) 내에 부설한다. 속관(7)이 부설되면 추진기지(S) 및 도달기지(E)의 추진관(5)의 단 면부에 캡(CAP)(8)을 용접하여 양단을 폐쇄시키고, 몰탈 그라우팅 작업을 한다.
몰탈 그라우팅 작업은 추진기지의 추진관(5)의 전단면의 캡(8)을 관통하도록 지상의 플랜트(9)로부터 그라우팅 주입관(10)을 삽입시킨 후 속관(7)과 접합하여 추진관(5) 내부에 시멘트(11)를 밀어넣는 압입작업을 시행하여 강관 내부를 채우게 되는 몰탈 그라우팅을 시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몰탈 그라우팅 시공의 문제점은 많은 부속장비 및 과다한 공사비가 소요되고, 압입작업에서 긴 추진관로의 추진기지(S)로부터 도달기지(E)까지 시멘트를 밀어넣는 작업을 위해서는 시멘트 몰탈을 고압으로 분사해야하기 때문에 적정한 압력이상 초과 시에는 속(內)관(7)의 파손되거나, 속관(7)을 중심부에 고정할 수 있는 설비가 없어 배관 체결부의 몰탈 침입 및 속관(7)이 함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시멘트 수화열에 의한 경화 시 수축이 커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시공 후 이완상태에서 경화되므로 크랙이 발생되면서 접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점도가 높은 것을 함께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함침속도가 느려, 작업성이 떨어지며, 함침효과도 약하여 물성이 저하되거나, 공극률 확대의 우려, 자중에 의한 관거의 처짐 우려 및 충진 상태의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굴착 매설공법 중 대표적인 강관 압입 추진 공법 중 몰탈 그라우팅 시공에 의한 다양한 문제점을 보완한 신공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에 있어서 시공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시공비가 저렴하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라우팅 시공에 있어 발포식 대체 재질로서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하여 발포 후 40배 정도 부피팽창으로 거의 100% 공극을 채움으로써 확실한 방수효과가 있는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은, 작업구간의 양단부에 추진기지(S)와 도달기지(E)를 건설하고, 추진기지(S)의 일측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반력벽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반력벽에 지지되도록 유압장치를 설치한 후 외관의 레벨 및 센터를 확인한 후 추진레일을 설치하고, 입갱을 보강하고 외관을 작업구에 투입하고 압입대를 거치한 후 유압 유니트(Unit)와 후방의 반력벽에 지지된 잭(Jack)을 이용해 선도관을 추진하고 인력 또는 장비로 선도관 내부 토사를 반출을 반복하고 후속관을 용접한 후 추진, 굴착 반복으로 다수개의 외관을 수평상태로 도달기지(E)의 지반까지 압입시킨 후, 외관 내에 속관을 삽입하는 비굴착 관거 부설 공법에 있어서, 하수의 적정 유속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속(內)관의 경사도를 하부에서 조절하고 속관을 외관의 좌,우 중심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롤러가 부착된 밴딩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와; 외관의 도달면 위치에 외관의 내벽면부와 속관의 외벽면부로 이루어진 사이의 공간인 공간부의 단면을 밀폐시키는 캡을 설치하는 단계와; 고압 발포기와 연결된 고압 호스 노즐을 주입외관 입구측의 공간부로 인입시켜 상기 도달면까지 연속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고압 발포기에 저장된 발포 충진재를 고압 호스 노즐을 통해 공간부에 발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압 호스 노즐을 외관의 도달면에서부터 주입외관 입구까지 서서히 후진하면서 연속적으로 발포 충진재를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은, 상기 발포 충진재를 발포시키는 단계 이후에, 외관의 주입외관 입구측 위치에 외관의 내벽면부와 속관의 외벽면부로 이루어진 사이의 공간인 공간부의 단면을 밀폐시키는 캡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밴딩 설비는, 롤러가 상기 공간부 내의 상, 하부 또는 좌, 우측에 각각 분리되어 제작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압 호스 노즐은, 통상의 호스 노즐에 있어 끝단의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발포 충진재 배출공;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포 충진재는,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우레탄폼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포 충진재는,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재를 충진재로 하고, 모래, 자연사, 길이가 짧은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물충진재, 기타 분쇄된 고형물을 혼입한 충진보강재를 상기 충진재와 혼합하여 주입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 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에 대한 공정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관이 설치되어야 할 작업구간의 양단부에 추진기지(S)와 도달기지(E)를 건설하고, 추진기지(S)의 유압장치를 통하여 다수개의 외관을 수평상태로 지반에 압입시킨 후, 외관 내에 속관을 연결 삽입할 때 3m 마다 속관의 경사도를 하부에서 조절하고 속관을 외관의 좌, 우 중심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롤러가 부착된 밴딩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S100)와, 외관의 도달면 위치에 외관과 속관 사이의 단면을 밀폐시키는 캡을 설치하는 단계(S200)와, 고압 발포기와 연결된 고압 호스 노즐을 주입외관 입구 측의 외관과 속관 사이로 인입시켜 상기 캡까지 연속되게 설치하는 단계와(S300)와, 고압 발포기에 저장된 발포 충진재를 고압 호스 노즐을 통해 발포시키는 단계(S400), 그리고 상기 고압 호스 노즐을 외관의 도달면에서부터 주입외관 입구 측까지 서서히 후진하면서 연속적으로 발포 충진재를 발포시키는 단계(S500)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먼저 종래와 마찬가지로, 관을 설치해야 할 작업구간의 양측에 일정 깊이로 굴착시켜 추진기지(S)와 도달기지(E)를 만들고, 상기 추진기지(S)의 일측벽 에 대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반력벽(1)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반력벽(1)에 지지되도록 유압장치(3)를 설치한다. 그리고, 추진관, 즉 외관(5)의 레벨 및 센터를 확인 후 추진레일(4)을 설치하고, 입갱을 보강한다. 외관(5)을 작업구에 투입하고 압입대에 거치한 후 유압 유니트(Unit)와 후방의 반력벽(1)에 지지된 잭(Jack)을 이용해 선도관을 추진하고 인력 또는 장비로 선도관 내부 토사를 반출을 반복하고 후속관을 용접한 후 추진, 굴착 반복으로 외관(5)을 관통 완료시키는 것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의 시공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관과 속관 사이 공간부 및 밴딩 설비를 나타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관(5) 내에 속관(7)을 삽입할 때 속관(7)에 3m 마다 상부 및 좌, 우에 롤러(6a)가 부착된 밴딩 설비(6)를 체결한다(단계 S100).
상기 밴딩 설비(6)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가 상기 공간부 내에 상부 및 좌, 우측에 각각 분리되어 제작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설치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좌, 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가 부착된 밴딩 설비(6a)는 하부에서 속관(7)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속관(7)이 외관(5)의 좌우 중심에 고정시켜 발포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외관(5) 내에 속관(7)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그라우팅(GROUTING) 시공을 위해 외관(5)의 도달면 위치에 캡(CAP)(8)을 설치한다(단계 S200). 상기 캡(8)은 외관(5)의 내벽면부와 속관(7)의 외벽면부로 이루어진 사이의 공간인 공간부(A)의 단면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라우팅을 위해 고압 발포기(12)를 추진기지(S)의 지면에 설치하고, 발포 충진재(14)를 주입하기 위해 고압 호스 노즐(13)을 이용하여 주입외관 입구 측에서부터 도달면까지 연속되게 설치한다(단계 S300). 상기 고압 발포기(12)는 주입식 펌프(미도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펌프는 최대압력 20kg/ 이상의 토출압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호스 노즐의 단부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 호스 노즐(13)은 통상의 호스 노즐에 있어 일단부가 외주면을 따라 관통된 다수개의 발포 충진재 배출공(13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간부(A)에 발포 충진재가 널리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관로를 치밀하게 씰링(SEALING)하고, 이로써 시공시간을 단축시킨다.
한편, 그라우팅의 양과 압력은 약액주입 방법 및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충진재(14)로 사용되는 수지로는 원칙적으로 우레탄 수지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우레탄 수지로는 폴리우레탄폼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우레탄 수지는 미사용시 장기간 보관을 위하여 2액형(주제 및 경화제)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주제는 폴리우레탄폼 합성수지가 사용되고, 경화제는 경화 촉매제로 사용한다. 주제 및 경화제의 혼합비율은 10:1이며 경화 촉매제의 첨가 양의 조절로 경화촉매 시 간을 조종할 수가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를 대신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우레탄 수지를 공간부(A) 내부에 가압하여 주입하게 되면 외관(5) 및 속관(7)의 조인트나 균열부위에서 스며나오는 물과의 접촉에 의하여 수초 혹은 수분 이내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발포현상이 나타나면서 그 부피가 팽창하므로 누수의 근원지는 물론 미세한 공극까지도 밀실하게 밀착되어 완벽한 지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 충진재(14)로 에폭시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접착력이 아주 강력하며 충격성, 내마모성, 내수성이 강하여 알카리성이나 수분에 의하여 침하, 분해되지 않고 저항력, 안정성, 내후성이 대단히 좋다. 상기 공간부(A) 내에 도포된 에폭시 수지는 굽힘 강도와 부착 강도 및 경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점성이 높아 흘러내림이 없으며 접착력이 뛰어난 에폭시 수지를 고르게 도포하여 충진한다. 이로써 공간부(A)의 내부 표면이 에폭시 수지로 충분히 채워짐과 동시에 외관(5)과 속관(7)과의 접착력 및 구속력을 확보하여 일체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포 충진재(14)로 사용되는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는 장기간의 외관(5)의 사용 시 발생하는 손상 등에 의하여 발생되어진 균열로부터 누수현상이 초래될 시 영구적인 지수처리 및 보강능력이 탁월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의 우레탄 발포 및 노즐 후퇴단계의 시공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발포기(12)에 저장된 발포 충진재(14)를 고 압 호스 노즐(13)을 통해 공간부(A)에 발포시키는 과정에 있어(단계 S400), 상기 고압 호스 노즐(13)을 외관(5)의 도달면에서부터 주입외관 입구까지 서서히 후진하면서 연속적으로 발포 충진재를 발포시킨다(단계 S500).
상기의 발포 충진재(14)가 물과의 접촉에 의하여 발포되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탄산가스가 방출하면서 거품이 발생되어 그 부피가 팽창하기 시작한다. 팽창률은 1400% ~ 3500%에 이른다. 일단 발포되는 수지는 절대로 수축이 되지 않으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마치 고무와도 같은 탄성이 있는 성질의 막힌 기포(CLOSED CELL FORM) 상태로 구조물 내의 부실하던 모든 공극을 완전히 채워 밀실한 상태로 만들어 주며 경화된 이후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우수하여 하수관거 등으로 사용될 시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움직임을 충분히 수용할 수가 있어 보수 후 재하자의 우려성이 전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외관(5)의 도달면에서부터 주입된 발포 충진재(14)는 반응을 일으켜 거품을 형성하고 거품에 의해 발포 원액이 밀려가면서 계속적인 발포 경화반응을 일으켜 주입외관 입구 측까지 공간부(A)를 채워나가게 된다.
한편, 상기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킨 경화물은 일반적으로 80 정도의 내열성을 나타내지만 그 이상의 내열도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른 인자를 별도로 첨가시켜야 한다. 또한, 상기 발포 충진재(14)를 공간부(A)에 양호하게 고착시키기 위하여 결합재를 첨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포 충진재(14)는,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충진재로 하고, 모래, 자연사, 길이가 짧은 유리 섬유와 같은 무기물충진재, 기타 분쇄된 고형물을 혼입한 충진 보강재를 상기 충진재와 혼합하여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된 고형물은 발전소, 소각장 등에서 발생된 분진을 수거하여 고형화시킨 후 일정크기 이하로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식 그라우팅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의 캡 추가설치 및 작업종료단계의 시공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포 충진재(14)로 공간부(A)를 모두 다 충진한 후, 외관(5)의 주입외관 입구 측에 위치한 공간부(A)의 단면을 밀폐시키는 캡(8')을 추가로 더 설치하여(단계 S500) 그라우팅 시공을 완료하고, 충진 상태를 확인한 후 작업을 종료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발포식 그라우팅을 시행함으로써 발포 후 40배 정도 부피팽창으로 거의 100% 공극을 채움으로 확실한 방수효과가 있으며, 발포식 충진으로 속(내)관의 파손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는 경화에 따른 수축이 매우 작아 외관과 속관과의 접착력이 향상되며, 접착면에서의 박리현상이 방지되고, 경화될 때 냄새가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경화된 후 내열성 및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와 형상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관거의 최대 약점인 체결부위의 누수를 방지하고, 장비 및 자재비 등 시공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작업구간의 양단부에 추진기지(S)와 도달기지(E)를 건설하고, 추진기지(S)의 일측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반력벽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반력벽에 지지되도록 유압장치를 설치한 후 외관의 레벨 및 센터를 확인한 후 추진레일을 설치하고, 입갱을 보강하고 외관을 작업구에 투입하고 압입대를 거치한 후 유압 유니트(Unit)와 후방의 반력벽에 지지된 잭(Jack)을 이용해 선도관을 추진하고 인력 또는 장비로 선도관 내부 토사를 반출을 반복하고 후속관을 용접한 후 추진, 굴착 반복으로 다수개의 외관을 수평상태로 도달기지(E)의 지반까지 압입시킨 후, 외관 내에 속관을 삽입하는 비굴착 관거 부설 공법에 있어서,
    하수의 적정 유속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속(內)관의 경사도를 하부에서 조절하고, 속관을 외관의 중심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롤러가 부착된 밴딩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S100)와;
    외관의 도달면 위치에 외관의 내벽면부와 속관의 외벽면부로 이루어진 사이의 공간인 공간부의 단면을 밀폐시키는 캡을 설치하는 단계(S200)와;
    고압 발포기와 연결된 고압 호스 노즐을 주입외관 입구 측의 공간부로 인입시켜 상기 도달면까지 연속되게 설치하는 단계(S300)와;
    고압 발포기에 저장된 발포 충진재를 고압 호스 노즐을 통해 공간부에 발포시키는 단계(S400); 및
    상기 고압 호스 노즐을 외관의 도달면에서부터 주입외관 입구까지 서서히 후진하면서 연속적으로 발포 충진재를 발포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충진재를 발포시키는 단계(S500) 이후에,
    외관의 주입외관 입구 측 위치에 외관의 내벽면부와 속관의 외벽면부로 이루어진 사이의 공간인 공간부의 단면을 밀폐시키는 캡을 설치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설비는,
    롤러가 상기 공간부 내의 상, 하부 또는 좌, 우측에 각각 분리되어 제작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호스 노즐은,
    통상의 호스 노즐에 있어 일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발포 충진재 배출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충진재는,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우레탄폼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충진재는,
    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를 충진재로 하고, 모래, 자연사, 길이가 짧은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물충진재, 기타 분쇄된 고형물을 혼입한 충진보강재를 상기 충진재와 혼합하여 주입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KR1020070019440A 2007-02-27 2007-02-27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KR100791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440A KR100791889B1 (ko) 2007-02-27 2007-02-27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440A KR100791889B1 (ko) 2007-02-27 2007-02-27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889B1 true KR100791889B1 (ko) 2008-01-07

Family

ID=3921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440A KR100791889B1 (ko) 2007-02-27 2007-02-27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8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01B1 (ko) * 2008-01-22 2010-06-29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기존관로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설치공법
KR101065872B1 (ko) 2011-03-18 2011-09-19 백종익 분사노즐이 구비된 추진용 선도관
CN109736416A (zh) * 2019-01-24 2019-05-10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新老污水管道深井点连接结构及施工方法
KR102589566B1 (ko) * 2023-02-13 2023-10-17 (주)나다건설 강관 그라우팅용 정착 조성재 및 이를 이용한 강관 그라우팅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6079A (ja) * 1989-03-07 1990-09-18 Sekisui Chem Co Ltd ケーブル保護管の敷設方法
JPH03241196A (ja) * 1990-02-16 1991-10-28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地中埋設管の土木施工法
JPH04131496A (ja) * 1990-09-20 1992-05-06 Kubota Corp トンネル内への管の敷設工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6079A (ja) * 1989-03-07 1990-09-18 Sekisui Chem Co Ltd ケーブル保護管の敷設方法
JPH03241196A (ja) * 1990-02-16 1991-10-28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地中埋設管の土木施工法
JPH04131496A (ja) * 1990-09-20 1992-05-06 Kubota Corp トンネル内への管の敷設工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01B1 (ko) * 2008-01-22 2010-06-29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기존관로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설치공법
KR101065872B1 (ko) 2011-03-18 2011-09-19 백종익 분사노즐이 구비된 추진용 선도관
CN109736416A (zh) * 2019-01-24 2019-05-10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新老污水管道深井点连接结构及施工方法
KR102589566B1 (ko) * 2023-02-13 2023-10-17 (주)나다건설 강관 그라우팅용 정착 조성재 및 이를 이용한 강관 그라우팅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88174B2 (en) Method for preparing in-ground tunnel structures
CN105909260B (zh) 用于保护地下水环境的地铁车站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EP1809817B1 (en) Method for saturating cavities present in a mass of soil or in a body in general
JP5339498B2 (ja) せん断補強材の定着方法
CN113294166B (zh) 大断面矩形顶管斜向始发方法
CN110924961B (zh) 一种盾构机下穿既有车站始发的施工方法
KR100791889B1 (ko) 발포식 그라우팅을 이용한 비굴착 관거 부설공법
KR101415106B1 (ko) 터널의 공동 채움 시공 장치
CN109881764B (zh) 现有道路地下排水管道加装方法
CN110593808B (zh) 一种止浆封堵装置及注浆锚索封孔止浆方法
KR100562938B1 (ko) 터널공동 충전용 방수기포그라우팅공법
CN111271084B (zh) 一种隧道顶拱结构修复方法及修复结构
CN110469338B (zh) 一种承压水地层盾构接收方法
KR100966382B1 (ko) 깊은 기초의 불안정 토사 사석층 지반차수 및 지반보강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수 및 지반 보강공법
CN100494630C (zh) 软煤巷道高压涌水条件下快速构筑水闸墙的方法
CN210368955U (zh) 富水地层地下连续墙的锚索孔的封水结构
CN111577344A (zh) 大倾角发育裂隙涌水洞内治水开挖方法
CN209741928U (zh) 一种地下空间构筑物变形缝渗漏水治理结构
KR200337877Y1 (ko) 지반 보강을 위한 압력식 그라우팅 장치
KR20120099839A (ko) 케이엘라스틱 차수 공법
CN203836375U (zh) 热力机械顶管接口
CN216405402U (zh) 一种应用于锚索堵漏的封堵结构
CN212318013U (zh) 适用于快速封堵隧道渗漏的组合式注浆结构
CN213980797U (zh) 一种复杂环境条件下地铁盾构到达辅助结构
CN218116468U (zh) 一种防止固化膨胀的注浆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