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808B1 - 피부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808B1
KR100790808B1 KR1020060065371A KR20060065371A KR100790808B1 KR 100790808 B1 KR100790808 B1 KR 100790808B1 KR 1020060065371 A KR1020060065371 A KR 1020060065371A KR 20060065371 A KR20060065371 A KR 20060065371A KR 100790808 B1 KR100790808 B1 KR 10079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effect
weight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수
Original Assignee
이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수 filed Critical 이병수
Priority to KR1020060065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Abstract

세정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의 각질과 노폐물을 제거하고 피부 살균효과를 통한 각종 염증을 예방하고 외부 유해 환경과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건강하게 지켜주며 피지분비 완화, 각질 완화, 사춘기 흔적 완화 작용으로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시켜 주도록, 목초액 0.2∼5중량%, 자작나무 수액 10∼25중량%, 인삼 추출액 0.1∼10중량%, 마치현 추출액 0.2∼10중량%, 수세미 추출액 0.2∼10중량%, 황금 추출액 0.1∼10중량%, 당귀 추출액 0.1∼10중량%, 스크럽제 0.2∼5중량%, 나머지 정제수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세정제, 조성물, 피부, 한약재, 목초액, 자작나무 수액, 인삼, 마치현, 수세미, 황금, 당귀, 스크럽제

Description

피부 세정제 조성물 {Skin Cleansing Component}
본 발명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초액, 자작나무 수액 및 인삼, 마치현, 수세미, 황금, 당귀 등의 한약재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조하므로 피부의 각질과 노폐물을 제거하고 피부 살균효과를 통한 각종 염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며 피지분비와 각질을 완화시켜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쌓이거나 부착된 피지, 땀, 각질, 노폐물, 먼지, 미생물, 화장품 등을 씻어 내기 위하여 세정제(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폼 등)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세정제는 주로 화학물질을 사용하므로 피부에 자극을 줄 우려가 있고, 피부 살균효과, 피지분비 완화 작용, 사춘기 흔적 완화 작용 등은 적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우리 몸에 좋은 것으로 알려지고 예로부터 사용되어오는 다양한 한약재를 이용하여 세정제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 및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목초액, 자작나무 수액 등과 여러가지 한약재 추출액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임상실험을 오랜 기간에 걸쳐 반복하여 시행한 결과, 목초액, 자작나무 수액, 인삼 추출액, 마치현 추출액, 수세미 추출액, 황금 추출액, 당귀 추출액 등으로 이루어진 조합의 조성물이 세정제로서 탁월한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초액과 자작나무 수액 및 인삼, 마치현, 수세미, 황금, 당귀 등의 한약재 추출액을 이용하여 세정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의 각질과 노폐물을 제거하고 피부 살균효과를 통한 각종 염증을 예방하고, 외부 유해 환경과 오염으로부터 피부를 건강하게 지켜주며, 피지분비 완화, 각질 완화, 사춘기 흔적 완화 작용으로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시켜 주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목초액 0.2∼5중량%, 자작나무 수액 10∼25중량%, 인삼 추출액 0.1∼10중량%, 마치현 추출액 0.2∼10중량%, 수세미 추출액 0.2∼10중량%, 황금 추출액 0.1∼10중량%, 당귀 추출액 0.1∼10중량%, 스크럽제 0.2∼5중량%, 나머지 정제수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pH 조절제, 색소, 향료,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첨가제를 0∼10중량% 더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점도조절제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전분, 셀룰로스, 왁스, 실리케이트 또는 지방 알콜 등이 열거 가능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황산암모늄, 코코디메틸카르복시메틸베타인, 라우릴메틸카르복시메틸베타인, 라우릴디메틸α-카르복시에틸베타인, 세틸디메틸카르복시메틸,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디에틸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대두 지방산, 우지 지방산, 올리브유 지방산, 폴리비닐 알콜, 레시틴 등이 열거 가능하다.
상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의 화합물 등이 열거 가능하다.
상기 pH조절제로는 구연산, 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이 열거 가능하다.
상기 색소로는 황산화철, 티탄옐로, 타르색소, 잇꽃색소, 차조기색소, 울금색소, 홍국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안토시아닌계 색소 등이 열거 가능하다.
상기 향료로는 박하, 린덴플라워, 페퍼민트, 레몬그라스, 로즈마리, 홍차, 자스민, 히솝, 레몬, 백단향, 장미, 팔마로사 등이 열거 가능하다.
상기 오일로는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올틸팔미테이트, 옥틸도데칸, 유동파라핀, 에스테르유, 식물의 정유, 식물성 쿠션 오일, 동물성유 등이 열거 가능하다.
상기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pH 조절제, 색소, 향료, 오일 등은 상기에서 열거한 성분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피부를 세정하기 위한 크림, 로션, 겔 등의 세정제에 사용하는 다양한 성분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목초액은 참나무류와 소나무, 대나무가 타면서 생성되는 액체로서, 나무를 태울 때 발생하는 연기를 냉각시켜 만든다.
상기 목초액에는 초산 등의 유기산이 수백여가지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철 등의 미네랄 성분이 십여종 함유되어 있고, 게르마늄, 알란토인, 비타민 등의 미량원소가 십여종 함유되어 있다.
상기 목초액은 온열작용, 물의 활성화 및 물의 분자를 작게 하는 침투작용, 악취의 분해, 중화, 차폐작용, 살균소독작용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목초액에는 항산화성과 항균성이 있어서 별도의 방부제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목초액에는 타르, 벤조피렌 등의 발암물질과 페놀, 메틸알코올 등의 유해성분이 다량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정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정제된 목초액은 용해타르가 0.1중량% 이하, 메틸알코올이 50ppm 이하로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초액을 사용하면, 여드름 피부에 효과가 탁월하고, 항염, 항암, 항균 효과가 있고, 살균효과도 있으며, 피부 산화 및 염증 예방 효과도 있고, 피지 조절과 세균 감염 예방, 피부 진정효과도 얻어진다.
상기에서 목초액을 0.2중량% 미만 사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피부를 자극할 우려가 있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북유럽과 캐나다 등 주로 북반구에 위치한 추운 지역에서 군락으로 서식하는 자작나무(Betula Pendula)로부터 봄철에 대략 한달간 줄기에서 채취하는 수액으로, 영하 40도를 넘는 혹한을 지난 마른나무를 다시 살려내는 순수하고 강한 활력을 가지고 있으며, 자작나무의 성장과 활력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에 함유된 모든 식물성 자연물질과 조직의 구성은 사람의 체액성분과 유사하며 인체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와 비슷하여 인체에 능률적으로 흡수된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에는 아미노산, 미네랄(마그네슘, 망간, 나트륨, 칼슘, 칼륨, 철, 아연, 인 등)이 함유되어 있고, 과당, 포도당과 함께 4대 필수요소도 골고루 함유되어 있으며, 자일리톨의 원료가 되는 크실란, 항에이즈의 원료가 되는 베츄란, 항히스타민성분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제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을 사용하면, 피부의 보습, 세포의 재활 및 성장에 도움을 주고, 피부 세포를 자극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노폐물 및 중금속의 배출을 도와 주어 싱그럽고 탄력있는 얼굴을 유지시킨다. 또 상기 자작나무 수액을 사용하면, 세포막이 자외선에 노출됨에 따라 발생되는 주름살의 원인이 되는 슈퍼 옥시드 래디칼 음이온을 소멸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자작나무 수액을 10중량% 미만 사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2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과의 향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원료비의 증가가 커서 경제성이 낮아진다.
상기 인삼, 마치현, 수세미, 황금, 당귀 등의 한약재 추출액은 물 100kg에 인삼, 마치현, 수세미, 황금, 당귀 등에서 선택한 한약재 5∼15kg을 넣고, 달인 다음 짜낸 중간 추출액이 70∼90kg 정도 얻어지도록 48시간 이상 1차 가열하고, 최종 농축액이 40∼50kg 정도로 되도록 중간 추출액을 다시 2차 가열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한다.
상기 물 100kg에 각 한약재를 5kg 미만으로 넣어 가열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농도의 추출액을 얻기까지 가열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에너지의 낭비가 크고 제조원가가 상승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물 100kg에 한약재를 15kg을 초과하여 넣는 경우에는 추출액의 농도가 너무 진할 우려가 있으며, 물의 양이 적으므로 한약재로부터 충분하게 진액이 추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물 100kg에 한약재를 5kg을 넣은 경우에는 중간 추출액이 대략 70kg에 근접하도록 1차 가열을 행하고, 한약재를 15kg을 넣은 경우에는 중간 추출액이 90kg에 근접하도록 1차 가열을 행하는 것이 최종 농축액의 농도가 유사하게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 한약재를 5kg을 넣고 중간 추출액의 중량을 70kg에 근접하게 얻은 경우에는 최종 농축액이 40kg에 근접하도록 2차 가열을 행하고, 한약재를 15kg을 넣고 중간 추출액의 중량을 90kg에 근접하게 얻은 경우에는 최종 농축액이 50kg에 근접하도록 2차 가열을 행하는 것이 최종 추출액의 농도가 유사하게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추출액의 농도를 필요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약재의 넣는 양에 관계없이 상기한 범위 내에서 중간 추출액의 중량과 최종 농축액의 중량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물에 인삼, 마치현, 수세미, 황금, 당귀 등의 한약재를 넣어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물에 인삼, 마치현, 수세미, 황금, 당귀 등에서 선택한 한약재를 넣고 가열함에 따라 발생하는 증기를 모아 냉각시키는 증류법으로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인삼은 원기를 크게 회복하고, 폐를 튼튼하게 해주며, 비장(위장)을 좋게 하고, 심장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로회복, 체력증강, 노화방지, 빈혈, 저혈압, 심장쇠약 등의 치료 및 개선, 스트레스 해소, 노이로제 치료, 자율신경실조의 개선, 당뇨병, 위장병, 식욕부진, 설사, 변비, 폐결핵, 천식, 피부병, 화농성 종양, 건선피부 등의 치료 및 개선, 거친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인삼 추출액에는 주요 성분으로 30여종의 사포닌(Ginsenoside)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노화억제 및 항피로 효과가 있는 물질로 수종의 페놀성 화합물과 말톨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기 인삼 추출액은 스트레스 방어체계와 관련된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여 항스트레스 효과를 발휘하고, 어답토겐 활성(adaptogenic activity)을 가지고 있어 인체의 질병 원인이 되는 각종 자극에 대하여 비특이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방어력 을 강화시켜 주는 효력을 가지며, 학습 기능의 증진과 기억력을 개선시켜 지적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기에서 인삼 추출액을 0.1중량% 미만 사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료비의 증가가 효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커서 경제성이 낮아진다.
상기 마치현은 쇠비름을 한의학에서 이르는 용어이며, 사포닌, 탄닌, 칼륨염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가 마치현은 항균, 이뇨, 혈관수축 등의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작용이 있고, 동의보감에는 종창이나 옴, 벌레물린데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마치현 추출액은 항알러지(anti-allergy), 항자극(anti-irritation) 기능에 의한 가려움이나 감염을 방지하고 피부 트러블을 감소시키며, 세제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고, 세균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에서 마치현 추출액을 0.2중량% 미만 사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과의 향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원료비의 증가가 커서 경제성이 낮아진다.
상기 수세미는 수세미외로서 잎과 열매를 사용하며, 거담, 해독, 청열 효과가 있고, 폐농양, 폐위 등의 기침병, 두통, 복통, 각기, 수종, 주독, 비염, 기관지염, 천식, 축농증 등에 효과가 있고, 피부미용에 좋다. 상기 수세미는 피부가 트는 데에 효과가 있다.
상기 수세미의 수액에는 사포닌, 실란(xyla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에서 수세미 추출액을 0.2중량% 미만 사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과의 향상에 비하여 원료비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커서 경제성이 낮아진다.
상기 황금 추출액은 항암, 소염, 해열 작용이 있고, 피부의 탄력을 강화하고 피부결을 촘촘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황금은 항염증작용이 뚜렷하여 결막염, 담낭염, 급만성간염, 견관절 주위염, 기타 염증을 동반하는 질병에 효과가 있고, 아토피성 피부염 등 알러지 피부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황금 추출액을 0.1중량% 미만 사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과의 향상에 비하여 원료비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커서 경제성이 낮아진다.
상기 당귀 추출액은 보혈과 혈액순환의 기능이 있고, 독성을 중화시키며, 피부의 탄력을 강화하고 피부결을 촘촘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당귀는 예로부터 악창과 부스럼 등을 낫게 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속을 덥게하고 아픔을 멈추게 하며 오장과 피를 보호하여 새살을 잘 돋아나오게 하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졌다. 또한 상기 당귀는 면역, 항산화, 항돌연변이성 등의 효능도 있다.
상기에서 당귀 추출액을 0.1중량% 미만 사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과의 향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원료비의 증가가 커서 경제성이 낮아진다.
상기 스크럽제로는 고온에서 용융된 왁스를 냉각시켜 만든 구형의 왁스 비드, 비타민 E를 함유하고 있는 천연 또는 합성 분말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을 크림 또는 카보머 수용액상에 함유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크럽제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의 제품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럽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피지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피부를 윤기있고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스크럽제를 0.2중량% 미만 사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과다한 자극을 주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 목초액, 자작나무 수액, 인삼 추출액, 마치현 추출액, 수세미 추출액, 황금 추출액, 당귀 추출액 등을 사용하므로, 그 혼합된 성분의 작용으로 피부의 각질과 노폐물을 제거하고, 가려움증을 제거하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할 수 있고, 피부에 보습을 강화하여 촉촉한 피부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며, 피부 산화 및 염증을 예방하고, 피지 조절과 세균감염을 예방하며, 피부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조하여 잘 훈련받은 피부 염증을 가진 15∼25세의 여성 100명에게 사용하도록 한 다음,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시예)
전체 조성물 100g에 대하여 목초액 0.5g, 자작나무 수액 12g, 인삼 추출액 3g, 마치현 추출액 3g, 수세미 추출액 3g, 황금 추출액 1.5g, 당귀 추출액 1.2g, 스크럽제 0.3g, 정제수 75.5g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실시예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를 여드름 등의 피부 염증을 가진 15∼25세의 여성 100명에게 90일간 사용하게 하고, 피부 진정효과 및 피부의 촉촉함 유지상태, 피부 세안후 상쾌함, 피부 염증의 완화여부 등에 대한 5점 평가법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설 문 내 용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합계
피부의 촉촉함 유지여부 35 48 11 4 2 100
피부의 진정효과 40 41 9 9 1 100
세안후 상쾌함 48 43 5 3 1 100
피부 염증 완화 여부 42 40 10 6 2 100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의 촉촉함 유지여부에 있어서 83%가 만족한다고 답변하였으며, 특히 35%는 매우만족한다고 답변하여 개인차나 체질의 차이 등을 감안하면, 본 발명이 피부의 촉촉함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작용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켜주는 효과가 가려움증의 진정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 피부의 진정효과에 있어서도, 81%가 만족한다고 답변하였으며, 특히 40%는 매우만족한다고 답변하여 개인차나 체질의 차이 등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 피부의 가려움증 등의 진정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사용하여 세안을 행한 다음의 기분을 조사한 결과, 91%가 상쾌하여 만족한다고 답변하였으며, 특히 48%는 매우만족한다고 답변하여 개인차나 체질의 차이 등을 감안하면, 본 발명이 사용자에게 청결하고 깨끗하고 기분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을 사용한 다음 피부 염증의 완화여부에 대한 조사결과에 있어서도, 82%가 만족한다고 답변하였으며, 특히 42%는 매우만족한다고 답변하여 개인차나 체질의 차이 등을 감안하면, 피부 염증의 완화 효과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도 목초액, 자작나무 수액, 인삼 추출액, 마치현 추출액, 수세미 추출액, 황금 추출액, 당귀 추출액 등의 사용량을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조합하여 실시한 결과, 어느 하나의 성분을 설정된 범위를 넘어 지나치게 적거나 많이 사용한 경우에는 대부분 상기한 표 1에 비하여 특정 효과가 적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가능하면 각 성분을 설정된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여러 효과가 고르고 충분하게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한약재를 물에 넣고 달여서 추출액을 얻는 경우(일반적인 한방처방의 경우)에 있어서는 여러 성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원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특정 성분이 작용하는 작용기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일뿐만 아니라,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예로부터 내려오는 한방 처방은 오랜 세월에 걸친 임상실험을 통한 통계적 수치에 의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고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도 작용기전에 대하여 충분하게 설명하는 것은 어려우며, 많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을 통하여 소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하면, 목초액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여드름 등의 피부 염증에 효과가 있으며,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얻어지며, 항산화와 피지 조절 등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하면, 인삼, 수세미, 마치현, 황금, 당귀 등의 한약재 추출액을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시나 사용후에 피부의 촉촉함을 오랫동안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지속적인 피부 보습효과를 나타내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하면, 스크럽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피지의 노폐물 제거가 이루어지고, 피부를 윤기있고 깨끗하게 유지시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목초액 0.2∼5중량%, 자작나무 수액 10∼25중량%, 인삼 추출액 0.1∼10중량%, 마치현 추출액 0.2∼10중량%, 수세미 추출액 0.2∼10중량%, 황금 추출액 0.1∼10중량%, 당귀 추출액 0.1∼10중량%, 스크럽제 0.2∼5중량%, 나머지 정제수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색소, 향료,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첨가제를 0∼10중량%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0060065371A 2006-07-12 2006-07-12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079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371A KR100790808B1 (ko) 2006-07-12 2006-07-12 피부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371A KR100790808B1 (ko) 2006-07-12 2006-07-12 피부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808B1 true KR100790808B1 (ko) 2008-01-02

Family

ID=3921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371A KR100790808B1 (ko) 2006-07-12 2006-07-12 피부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8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88B1 (ko) 2009-08-13 2012-01-20 김강배 한방 대나무 목초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173260A (zh) * 2014-08-28 2014-12-03 刘小芳 一种丝瓜沐浴液
CN107519095A (zh) * 2017-09-21 2017-12-29 王焕元 一种丝瓜洗护用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444B1 (ko) * 2001-10-19 2004-10-06 이석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83116A (ko) * 2004-02-21 2005-08-25 김태림 항진균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444B1 (ko) * 2001-10-19 2004-10-06 이석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83116A (ko) * 2004-02-21 2005-08-25 김태림 항진균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88B1 (ko) 2009-08-13 2012-01-20 김강배 한방 대나무 목초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173260A (zh) * 2014-08-28 2014-12-03 刘小芳 一种丝瓜沐浴液
CN107519095A (zh) * 2017-09-21 2017-12-29 王焕元 一种丝瓜洗护用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KR101223682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KR101565778B1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CN102100653A (zh) 含艾叶与石菖蒲提取物的沐浴露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CN108452275A (zh) 一种具有舒筋活络功效的组合物、药剂及制备方法
CN106265370A (zh) 一种有效防止病理性脱发的洗发液及其制备方法
CN110946817A (zh) 天然草本女士私处专用皮肤黏膜消毒剂
CN110339098A (zh) 一种含稻米水发酵产物的头皮护理组合物
KR101565716B1 (ko) 천연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453083B (zh) 一种保湿舒敏组合物及其应用
KR100790808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20210009110A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KR100891986B1 (ko) 생약 추출물과 생약 분말을 함유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2352A (ko) 애완동물용 샴푸
CN111690482A (zh) 一种净护一体的复合中药玉石皂及其制备方法
KR20110082752A (ko) 한방 피부 보습 및 세정 조성물
KR20090132418A (ko) 허브추출물들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
CN106038467A (zh) 一种婴童中药洗手液
CN114652669B (zh) 一种具有清火抗敏作用的牙膏及其制备方法
CN105520849A (zh) 一种舒缓身体经脉的外用精油
KR101876744B1 (ko)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3단계로 관리 개선하는 방법
KR102451720B1 (ko)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0920B1 (ko) 고미네랄 물을 이용한 사포닌계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