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784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784B1
KR100790784B1 KR20060077043A KR20060077043A KR100790784B1 KR 100790784 B1 KR100790784 B1 KR 100790784B1 KR 20060077043 A KR20060077043 A KR 20060077043A KR 20060077043 A KR20060077043 A KR 20060077043A KR 100790784 B1 KR100790784 B1 KR 10079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subtitle
digital broadcast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7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유미
배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7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78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설정하는 설정 과정과,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상기 송출 센터에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과정, 및 요청된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언어를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자막 서비스하는 서비스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신이 원하는 언어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국가간 로밍이 활발한 유럽 지역에서 원하는 언어로 번역된 자막과 함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자막, 번역, 디지털 방송, 로밍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SUBTITLE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서비스를 위한 기술개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차별화 되는 새로운 형태의 방송 서비스이며, 이동 통신 기술과 융합하여 방송과 통신의 장점을 취합한 새로운 영역의 기술이다.
DVB-H로 명명된 유럽의 디지털 방송 기술과 MediaFLO로 불리는 미국의 디지털 방송 기술은 각각 2006년에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이미 2005년 5월에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05년 12월에는 Eureka-147에 기반을 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본 방송도 세계 최초로 시작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 모든 디지털 방송 기술 중 선두를 달리고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이란 음성,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무지향성 수신 안테나를 장착한 수신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를 일컫는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상용화하려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장치의 개발이 필수적인데,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단말기가 출시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의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전용 수신기뿐만 아니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갖춘 각종 휴대용, 차량용 단말기에 의하여 가능하다. 현재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S(pedestrian navigation system), CNS(car navigation system)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단말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통신망 운영자가 위치한 국가의 언어 혹은 미리 마련해 둔 소수의 언어만을 고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 시청 시, 송출 센터에서 제공하는 언어로만 시청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된 언어의 사용에 따라 국가간 로밍(roaming)이 자주 발생하는 유럽에서 타국의 송출 센터에 접속한 경우, 언어 차이로 인해 디지털 방송 시청 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이 원하는 언어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나라를 이동 중에도 자신이 원하는 언어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설정하는 설정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상기 송출 센터에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과정, 및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언어를 상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자막 서비스하는 서비스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자막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가 설정되는 설정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가 설정되면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과정과,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언어와 설정 언어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확인 과정,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언어와 설정 언어가 다르면 상기 자막 서버로부터 번역된 자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번역된 자막과 컨텐츠를 표시하는 수신 및 표시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디지털 방송"이라는 용어는 DMB와 DVB를 포함하는 모든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송출 센터"라는 용어는 방송국 또는 방송국으로부터 받은 방송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해주는 프로바이더(provider)를 의미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 예컨대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송출 센터(130)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디지털 방송 전용 수신기 외에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또는 차량용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표시부(101), 입력부(103), 제어부(105), 디지털 방송 수신부(107), 및 RF 부(109)의 통상적인 구성을 가진다.
표시부(101)는 제어부(105)에서 제어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가 설정한 언어로 번역된 자막을 표시한다.
입력부(103)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03)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자막 및 번역 기능, 디지털 방송 기능, 로밍 기능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자막 및 번역 언어를 설정한다.
제어부(10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5)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7)는 RF 튜너와 베이스밴드 칩(bseband IC)으로 이루어지며, 디지털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어부(105)로 전송한다.
RF 부(109)는 휴대 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RF 부(109)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 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RF 부(109)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송출 센터(130)는 방송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받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출하거나, 방송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송출 센터(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디지털 방송 컨텐츠 요청에 응답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송출 센터(130)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 요청 응답 시, 설정된 언어로 번역된 자막을 표시할 수 있는 키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컨텐츠와 함께 그 컨텐츠의 제공 언어를 복수 개의 언어로 번역한 자막 정보들도 함께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은 먼저, 제어부(105)가 디지털 방송 자막 기능, 디지털 방송 기능, 및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S201).
그리고 사용자가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경우, 본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105)가 로밍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105)가 전술한 기능들과 언어가 설정되었음을 인지하지 못하면, 입력부(103)를 통하여 전술 한 기능들과 언어를 설정한다(S217).
다음으로, 제어부(105)는 송출 센터(130)에 자막 서비스를 요청한다(S203). 그러면, 송출 센터(130)에서는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이 때 설정된 언어로 번역된 자막을 표시할 수 있는 키, 예컨대 암호 키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S205).
그 후에, 제어부(105)는 디지털 방송이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S207). 여기서, 제어부(105)가 디지털 방송 기능 실행을 인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0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요청되는 해당 기능들을 수행한다(S219).
디지털 방송 실행을 인지하면, 제어부(105)는 디지털 방송 시청을 위하여, 원하는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송출 센터(130)에 요청한다(S209). 이 때, 제어부(105)는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 요청 정보와 함께 전술한 S201 과정에서 설정한 언어 정보를 송출 센터(130)에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105)는 송출 센터(130)로부터 요청한 컨텐츠와 그 컨텐츠에 대해 복수 개의 언어로 번역된 자막들을 제공받는다(S211).
그리고 제어부(105)는 전술한 S205 과정에서 제공받은 키 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를 디코딩하고(S213), 마지막으로 컨텐츠와 설정된 언어로 번역된 자막을 표시부(101)에 표시한다(S215).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은 자신이 원하는 언어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국가간 로밍이 활발한 유럽 지역에서 원하는 언어로 번역된 자막과 함 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과 유사하지만, 송출 센터에서 컨텐츠를 제공받고, 자막 및 번역 서버에서 번역된 자막 정보를 제공받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송출 센터에서 컨텐츠를 제공받고, 단말기 자체에서 컨텐츠 제공 언어를 번역하여 자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송출 센터(330)와 자막 및 번역 서버(350)와 통신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330)는 표시부(301), 입력부(303), 제어부(305), 디지털 방송 수신부(307), 및 RF 부(309)의 통상적인 구성을 가진다.
제어부(3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제공되면, 설정된 언어와 컨텐츠의 제공 언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05)는 자막 및 번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막 및 번역부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때, 자막 및 번역 서버(350)에서 번역된 자막을 제공받는 대신 이동 통신 단 말기(330) 내에서 컨텐츠 언어를 번역하여 자막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자막 및 번역 서버(350)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자막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들을 설정된 언어로 자동적으로 번역하고, 번역된 정보를 자막으로 생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제어부(305)가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디지털 방송 자막 기능, 디지털 방송 기능, 및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S401).
그리고 사용자가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경우, 본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305)가 로밍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05)는 자막 및 번역 서버(350)에 자막 서비스를 요청하고(S403), 자막 및 번역 서버(350)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S405).
그 후에, 제어부(305)는 디지털 방송이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S407), 제어부(305)는 디지털 방송 시청을 위하여, 원하는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를 송출 센터(330)에 요청한다(S411).
그리고 제어부(305)는 송출 센터(330)로부터 요청한 컨텐츠를 제공받는다(S413). 이어서, 제어부(305)는 제공받은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언어와 전술한 S401 과정에서 설정한 언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15).
컨텐츠 제공 언어와 설정된 언어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부(305)는 자막 및 번역 서버(350)에 컨텐츠 언어와 설정된 언어 정보를 전송한다(S417). 여기서, 컨텐츠 제공 언어와 설정된 언어가 동일하다면, 제어부(305)는 제공받은 컨텐츠를 표시부(301)에 표시한다. 한편, 컨텐츠 제공 언어와 설정된 언어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자막 및 번역부를 이용하여 설정된 언어 정보로 컨텐츠 언어를 번역한 뒤,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언어와 설정된 언어 정보를 받은 자막 및 번역 서버(350)는 설정된 언어 정보로 컨텐츠 언어를 번역하고 자막을 생성한다(S419).
그 후에, 자막 및 번역 서버(350)는 번역된 자막을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한다(S421).
마지막으로, 제어부(205)는 전술한 S413 과정에서 송출 센터(33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와 S421 과정에서 자막 및 번역 서버(350)로부터 제공받은 번역된 자막을 표시부(301)에 표시한다. 이 때, 컨텐츠와 번역된 자막이 동일한 시간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부(305)가 이들의 시간 정보를 제어하여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언어의 자막 정보만을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시청과 동시에 언어 공부를 할 수도 있고, 번역된 언어 정보를 자막으로 표시하는 대신 스피커 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송에서 제공하는 언어와 설정된 언어가 다를 경우, 모든 디지털 방송에 대하여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에 대해서만 자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은 자신이 원하는 언어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국가간 로밍이 활발한 유럽 지역에서 원하는 언어로 번역된 자막과 함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Claims (8)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설정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를 송출 센터에 요청하며, 상기 송출 센터로부터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에 대한 응답과 함께 상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된 자막이 제공될 수 있는 키 정보를 수신하는 설정 및 키 정보 수신 과정과,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상기 송출 센터에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과정, 및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언어를 상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자막 서비스하는 서비스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센터는 컨텐츠와 함께 상기 컨텐츠에 대해 복수 개의 언어로 번역된 자막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송출 센터가 제공하는 복수 개의 언어로 번역된 자막 중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언어로 번역된 자막을 선택할 수 있는 암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5. 자막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가 설정되는 설정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가 설정되면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과정과,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언어와 설정 언어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확인 과정,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언어와 설정 언어가 다르면 상기 자막 서버로부터 번역된 자막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번역된 자막과 컨텐츠를 표시하는 수신 및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표시 과정에서,
    상기 자막 서버에 상기 언어들의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설정된 언어로 상기 컨텐츠 제공 언어를 번역하는 번역 과정과,
    상기 번역된 언어를 자막으로 생성하는 자막 생성 과정, 및
    상기 생성된 자막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자막 전송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표시 과정은,
    상기 송출 센터에서 제공된 컨텐츠와 상기 자막 및 번역 서버에서 제공된 번역된 자막이 동일한 시간에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8. 자막 및 번역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가 설정되는 설정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가 설정되면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과정과,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언어와 설정 언어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확인 과정,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언어와 설정 언어가 다르면 상기 자막 및 번역부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언어를 번역하여 자막을 생성하고 상기 번역된 자막과 컨텐츠를 표시하는 수신 및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KR20060077043A 2006-08-16 2006-08-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KR10079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7043A KR100790784B1 (ko) 2006-08-16 2006-08-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7043A KR100790784B1 (ko) 2006-08-16 2006-08-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784B1 true KR100790784B1 (ko) 2008-01-02

Family

ID=3921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77043A KR100790784B1 (ko) 2006-08-16 2006-08-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7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64A (ko) * 2001-08-22 2003-03-04 (주) 젠터닷컴 다국어 지원용 양방향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40028183A (ko) * 2002-09-30 2004-04-03 김문종 온라인 자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64A (ko) * 2001-08-22 2003-03-04 (주) 젠터닷컴 다국어 지원용 양방향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40028183A (ko) * 2002-09-30 2004-04-03 김문종 온라인 자막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2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채널정보 제공장치와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으로의 자동접속방법과 채널접속정보 제공방법
KR101358224B1 (ko)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
US8737916B2 (en) Metadata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 receiver
US20070288954A1 (en)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KR10072499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채널 검색 방법
US20060161957A1 (en)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516126B2 (ja) 無線端末機に放送チャンネル番号を直接入力することによる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番組視聴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9078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자막 서비스 방법
KR100751859B1 (ko)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장치 및 방법
KR2006011408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KR10077263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464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전송 방법
KR2007011179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US20070155308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572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오디오 패스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0732991B1 (ko) 긴급방송 자동시청기능이 구비된 디엠비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1344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KR10163738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esg 관리 방법
CN101115157A (zh) 利用文本消息提供空中下载信息的装置及其方法
KR2008010789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채널 주파수 설정 방법
KR100783104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502691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253160B1 (ko)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6868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중 인식된 전화번호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2378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