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709B1 -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 Google Patents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709B1
KR100790709B1 KR1020060104208A KR20060104208A KR100790709B1 KR 100790709 B1 KR100790709 B1 KR 100790709B1 KR 1020060104208 A KR1020060104208 A KR 1020060104208A KR 20060104208 A KR20060104208 A KR 20060104208A KR 100790709 B1 KR100790709 B1 KR 100790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aveform
converter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권
이준영
홍성수
김종선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70Regulating power factor; Regulating reactive current or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전류를 검출하여 AC전원을 스위칭하는 제어부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 파형의 변환을 통해 스위칭을 조정하여 출력되는 DC 전류의 리플을 감소시키는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된 AC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고, 상기 AC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전압 값을 갖는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평준화 과정을 통해 상기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변환하여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파형 변환부와, 상기 기준 신호의 파형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컨버터(converter), 파형 변환(wave shaping), 리플(ripple)

Description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CONVERTER HAVING WAVE SAHPING OF INPUT CURRENT}
도 1은 종래의 컨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컨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컨버터의 회로도.
도 5의 (a)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의 (b)는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채용된 역률 보정부 및 전압 변환부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의 (a) 및 (b)는 종래의 컨버터와 본 발명의 컨버터의 출력 리플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컨버터 110...전원부
111...역률 보정부 112...전압 변환부
120...제어부 121...가변 듀티 제어부
122...고정 듀티 제어부 130...파형 변환부
Q1...제1 스위치 Q2...제2 스위치
Q3...제3 스위치 L1...제1 인덕터
L2...제2 인덕터
본 발명은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전류를 검출하여 AC전원을 스위칭하는 제어부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 파형의 변환을 통해 스위칭을 조정하여 출력되는 DC 전류의 리플을 감소시키는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TV 또는 LCD 모니터 등과 같은 LCD 제품에는 LCD 판넬에 필요한 광을 제공하는 엘시디용 백라이트 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엘시디용 백라이트 장치에는 냉음극 형광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인버터가 채택되는데, 상기 인버터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버터가 필수적으로 채택된다.
도 1은 종래의 컨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컨버터(10)는 정류된 AC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여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역률 보정부(11)와, 역률 보정부(11)로부터의 DC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12) 및 전압 변환부(12)로부터의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을 귀환받아 역률 보정부(11)와 전압 변환부(12)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한다.
제어부(13)은 상기 정류된 AC 전원의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정류된 AC 전원의 전류를 기준하여 역률 보정부(11)의 스위칭을 제어하는데, 상기 정류된 AC 전원의 파형에 따라 스위칭을 하게 되어, 역률 보정부(11)로부터 전압 변환부(12)에 인가되는 DC전원에 리플이 형성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상기 DC 전원의 리플은 이후 전압 변환부(12)의 출력 DC 전원에도 리플을 포함하게 되어 이후단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미도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전류를 검출하여 AC전원을 스위칭하는 제어부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 파형의 변환을 통해 스위칭을 조정하여 출력되는 DC 전류의 리플을 감소시키는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 는 컨버터는 입력된 AC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고, 상기 AC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전압 값을 갖는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와, 평준화 과정을 통해 상기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변환하여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파형 변환부와, 상기 기준 신호의 파형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파형 변환부는 상기 AC 전원을 평준화하여 상기 전류 파형이 한주기에 복수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파형 변화부는 상기 AC 전원을 충전을 통해 상기 AC 전원을 평준화하여 상기 전류 파형이 한주기에 복수의 변곡점을 갖게 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파형 변환부는 상기 전원부에 입력되는 AC 전원 레벨 중 사전에 설정된 레벨 이상을 반전시키는 레벨 반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전원부는 상기 AC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고 스위칭을 통해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률 보정부와, 상기 역률 보정부로부터의 DC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전압 값을 갖는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는 상기 전압 변환부로부터의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과 상기 파형 변환부로부터의 파형에 따라 상기 역률 보정부의 스위칭을 가변 시비율로 제어하는 가변 듀티 제어부와, 상기 전압 변환부의 스위칭을 고정된 시비율로 제어하는 고정 듀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버터(100)는 전원부(110), 제어부(120) 및 파형 변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0)는 AC전원을 입력받아 역률을 보정하고, 스위칭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부(110)는 AC전원을 입력받아 역률을 보정하고, AC전원을 스위칭하여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역률 보정부(111) 및 역률 보정부(111)로부터의 역률 보정된 DC 전원을 스위칭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원부(110)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은 PWM IC 등을 포함하여, 전원부(11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원부(110)이 역률 보정부(111) 및 전압 변환부(112)를 포함할 수 있음에 따라, 역률 보정부(111) 및 전압 변환부(112)의 스위칭을 각각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파형 변환부(130)는 상기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변환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파형 변환부(130)는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변환하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역률 보정부(111)은 AC 전원을 입력받아 평활하는 제1 인턱터(L1)와 제어부(120)로부터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제1 인턱터(L1)로부터의 AC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Q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턱터(L1)는 제어부(120)에 제로 스위칭 신호(Zs)를 전달하고, 제1 스위치(Q1)은 스위칭하는 전류 신호(Is)를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전압 변환부(112)는 제어부(120)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상보적으로 스위칭하 는 제2 스위치(Q2) 및 제3 스위치(Q3)를 포함하고,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갖는 트랜스포머(T)를 포함하여 스위칭된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제어부(120)는 역률 보정부(111)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가변 듀티 제어부(121) 및 전압 변환부(112)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고정 듀티 제어부(122)를 포함한다.
가변 듀티 제어부(121)는 역률보정부(111)로부터 제로 스위칭 신호(Zs) 및 제1 스위치(Q1)의 스위칭 전류 신호(Is)를 전달받아 역률 보정부(111)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이에 더하여, 전압 변환부(112)로부터의 피드백 받은 출력 전원 및 파형 변환부(130)로부터의 파형 신호에 따라 역률 보정부(111)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고정 듀티 제어부(122)는 전압 변환부(112)의 스위칭을 제어하는데, 전압 변환부(112)의 출력에 상관없이, 전압 변환부(112)의 제2 및 제3 스위치(Q2, Q3)의 상보적인 스위칭을 고정 시비율(duty)로 스위칭 제어한다.
파형 변환부(130)는 상기 AC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변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C 전원은 반파 정류된 AC 전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 변환부(130)는 상기 AC 전원을 충전하여 상기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변환하는 캐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변환부(130)는 상기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반전하여 상기 전류 파형을 변환하는 반전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전원부(110) 및 제어부(120)의 구성은 도 3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의 (a)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변환부(130)로부터의 변환된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볼 수 있다.
도 5의 (b)는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형 변환부(130)로부터의 변환된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볼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채용된 역률 보정부 및 전압 변환부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채용된 역률 보정부의 각 소자의 파형을 볼 수 있으며,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채용된 전압 변환부의 각 소자의 파형을 볼 수 있다.
도 7의 (a) 및 (b)는 종래의 컨버터와 본 발명의 컨버터의 출력 리플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컨버터의 출력 리플(ripple) 파형을 볼 수 있으며,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버터의 출력 리플 파형을 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AC 전원을 역률 보정부(111)에 유입된다. 상기 AC 전원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D1,D2,D3,D4)에 의해 정류된 AC 전원일 수 있다. 상기 AC 전원은 역률 보정부(111)의 제1 인덕터(L1)에 의해 평활되어 제1 스위치(Q1)에 유입된다.
그이전에, 제1 인덕터(L1)에 유입되는 AC 전원은 파형 변환부(130)에 전달된다. 파형 변환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AC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AC 전원을 평준화하여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변환하는 캐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형 변환된 전류의 파형(Iref)은 도 5의 (a)이 같이 한 주기에 복수의 변곡점(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대 전류 및 최소 전류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가변 듀티 제어부(121)에 전달한다.
상술한 파형 변환된 전류의 파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반전기로 구성되어 도 5의 (b)와 같이 한 주기에 복수의 변곡점(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대 전류 및 최소 전류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가변 듀티 제어부(121)에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변 듀티 제어부(121)는 제1 인덕터(L1)로부터의 제로 스위칭 신호(Zs)에 따라 제1 스위치(Q1)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Gs)를 제1 스위치(Q1)에 전달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변 듀티 제어부(121)는 파형 변환부(130)로부터의 파형 신호의 기울기 및 전압 변환부(112)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따라 제1 스위치(Q1)의 스위칭을 제어하는데, 이때 제1 인덕터(L1)의 전류는 상기 제1 스위치(Q1)의 스위칭 제어 신호와 같은 때 역률 보정부(111)의 폐루프를 따라 프리 휠링(Free Wheeling)하여 감소한다.
이때의 제로 스위칭 신호(Zs)는 하이를 유지하고 있고, 제1 인덕터(L1)의 전류가 0이 되면 제로 스위칭 신호(Zs)가 로우가 되어 제1 스위치(Q1)을 다시 스위칭 온 한다. 이에 따라 제 스위치(Q1) 전류는 영전압 스위칭한다.
상술한 스위칭 동작을 모드 다이어그램(mode diagram)으로 나타내면 도 6의 (a)와 같이 된다.
한편, 전압 변환부(112)는 고정 듀티 제어부(122)는 사전에 설정된 고정 시비율(duty)에 따라 역률 보정부(111)로부터의 DC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전압 변환부(112)는 제2 및 제3 스위치(Q2, Q3)를 포함한 하프 브리지(half bridge)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 듀티 제어부(122)는 역률 보정부(111)로부터의 DC 전원의 출력값에 상관없이 제2 및 제3 스위치(Q2, Q3)를 사전에 설정된 고정 시비율로 스위칭 온/오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및 제3 스위치(Q2, Q3)를 0.5의 시비율로 상보적으로 스위칭 온/오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및 제3 스위치(Q2, Q3)의 스위치 전류는 일정하여 스위칭 오프시에 발생하는 전류의 피크(peak)값을 감소하여 스위칭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스위칭 전류파형에 RMS(root means square)값도 감소하여 도통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전압 변환부(112)의 스위칭 동작을 모드 다이어그램(mode diagram)으로 나타내면 도 6의 (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전압 변환부(11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갖는 트랜스포머(T)를 거쳐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으로 변환된 출력값은 제2 인덕터(L2)의 거쳐 평활되어, 가변 듀티 제어부(121)에 전달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파형 변환부(130)에 따라, 본 발명의 컨버터의 출력값을 종래의 컨버터의 출력값과 비교해보면 도 7의 (a) 및 (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7의 (a)의 상단 그래프는 종래의 컨버터에 유입되는 입력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며, 하단의 그래프는 이에 따라 종래의 컨버터의 출력에 발생하는 리플 파형을 나타낸다. 입력 전류의 파형에 따라 종래의 컨버터의 출력에 발생하는 리플의 최대최소값은 대략 7V정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b)의 상단 그래프는 본 발명의 컨버터에 유입되는 파형 변환된 입력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며, 하단의 그래프는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컨버터의 출력에 발생하는 리플 파형을 나타낸다. 입력 전류의 파형을 변환함으로써, 본 발명의 컨버터의 출력에 발생하는 리플의 최대최소값은 대략 4V 정도로 종래의 컨버터의 리플보다 대략 30%이상 저감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출력 전압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출력단에 연결된 마그네틱 소자 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으며, 이후에 연결되는 인버터(미도시)의 안정된 회로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전류 파형에 따라 스위칭을 제어하여 출력 전압의 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전압의 안정화 및 출력단에 연결된 마그네틱 소자의 사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입력된 AC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고, 상기 AC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전압 값을 갖는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평준화 과정을 통해 상기 AC 전원의 전류 파형을 변환하여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파형 변환부; 및
    상기 기준 신호의 파형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변환부는 상기 AC 전원을 평준화하여 상기 전류 파형이 한주기에 복수의 변곡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변화부는 상기 전원부에 입력되는 AC 전원을 평활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변환부는 상기 전원부에 입력되는 AC 전원 레벨 중 사전에 설정된 레벨 이상을 반전시키는 레벨 반전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AC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고 스위칭을 통해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률 보정부; 및
    상기 역률 보정부로부터의 DC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전압 값을 갖는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전압 변환부로부터의 사전에 설정된 DC 전원과 상기 파형 변환부로부터의 기준신호에 따라 상기 역률 보정부의 스위칭을 가변 시비율로 제어하는 가변 듀티 제어부; 및
    상기 전압 변환부의 스위칭을 고정된 시비율로 제어하는 고정 듀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KR1020060104208A 2006-10-25 2006-10-25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KR100790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208A KR100790709B1 (ko) 2006-10-25 2006-10-25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208A KR100790709B1 (ko) 2006-10-25 2006-10-25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709B1 true KR100790709B1 (ko) 2008-01-02

Family

ID=3921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208A KR100790709B1 (ko) 2006-10-25 2006-10-25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70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217B1 (ko) * 2009-10-21 2011-04-27 주식회사 오리엔트전자 고정 시비율로 동작하는 llc 공진 컨버터를 사용한 2단 방식 절연형 양방향 dc/dc 전력변환기
KR101099790B1 (ko) * 2009-09-29 2011-12-2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KR101116498B1 (ko) 2010-06-07 2012-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228797B1 (ko) * 2011-05-30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전원 공급 장치
KR101267745B1 (ko) * 2011-11-04 2013-05-24 유병삼 직류 열선의 전원공급 시스템
KR101422024B1 (ko) * 2008-01-03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의 전원공급장치
KR101449230B1 (ko) 2010-06-22 2014-10-08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멀티페이즈형 컨버터
KR101515875B1 (ko) * 2014-01-20 2015-05-06 (주)갑진 2단 방식의 ac/dc 변환기
KR20190092173A (ko) * 2018-01-30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하 제어 효율이 개선된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2667A (ko) * 1996-04-30 1997-11-07 제럴드 리드스터 역률 보정 회로
KR20020074245A (ko) * 2001-03-19 2002-09-30 주식회사 파웰 역률 보정기능을 갖는 결합 인덕터 및 에너지 회생 회로를사용한 고 효율 소프트 스위칭 교류-직류 승압 컨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2667A (ko) * 1996-04-30 1997-11-07 제럴드 리드스터 역률 보정 회로
KR20020074245A (ko) * 2001-03-19 2002-09-30 주식회사 파웰 역률 보정기능을 갖는 결합 인덕터 및 에너지 회생 회로를사용한 고 효율 소프트 스위칭 교류-직류 승압 컨버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024B1 (ko) * 2008-01-03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의 전원공급장치
KR101099790B1 (ko) * 2009-09-29 2011-12-2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KR101031217B1 (ko) * 2009-10-21 2011-04-27 주식회사 오리엔트전자 고정 시비율로 동작하는 llc 공진 컨버터를 사용한 2단 방식 절연형 양방향 dc/dc 전력변환기
US8467199B2 (en) 2009-10-21 2013-06-18 Myongji University Industry And Academia Cooperation Foundation Two-stage insulated bidirectional DC/DC power converter using a constant duty ratio LLC resonant converter
KR101116498B1 (ko) 2010-06-07 2012-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8942010B2 (en) 2010-06-07 2015-01-27 Samsung Sdi Co., Ltd. Inverter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torage system
KR101449230B1 (ko) 2010-06-22 2014-10-08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멀티페이즈형 컨버터
KR101228797B1 (ko) * 2011-05-30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전원 공급 장치
KR101267745B1 (ko) * 2011-11-04 2013-05-24 유병삼 직류 열선의 전원공급 시스템
KR101515875B1 (ko) * 2014-01-20 2015-05-06 (주)갑진 2단 방식의 ac/dc 변환기
KR20190092173A (ko) * 2018-01-30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하 제어 효율이 개선된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22965B1 (ko) 2018-01-30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하 제어 효율이 개선된 인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709B1 (ko) 입력 전류의 파형 변환 기능을 갖는 컨버터
US8581515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EP2364064B1 (en) LED lighting device
US9872353B2 (en) LED lighting device and LED illuminating device
US7973497B2 (en) Discharge tube lighting apparatus
US852542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gas discharge lamps
KR102213794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회로
CN103763830A (zh) 发光元件驱动系统、驱动控制电路及驱动方法
US20200389950A1 (en) Dimming signal generation circuit, dimming signal generation method and led driver
US7521877B2 (en) Dimmer circuit for a discharge lighting apparatus
US939152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KR100662469B1 (ko) 인버터 및 인버터 구동 방법
KR101018171B1 (ko) 전류 제한 기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용 구동 장치
KR101188057B1 (ko) 전원 공급 장치
KR20140070126A (ko) 조명 구동 장치 및 조명 구동 방법
KR20150008205A (ko) 전원 공급 장치
KR100782755B1 (ko) Lcd 디스플레이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KR20060019191A (ko)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20090018605A (ko) 교류 전원 장치 및 교류 전원 장치용 집적 회로
US8111003B2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031902A1 (en) Inverter device
KR102217632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회로
KR100581880B1 (ko) 전원회로와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전원공급장치
KR20120060532A (ko) 직류/직류 컨버터 권선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출력 직류/직류 컨버터
KR20040043060A (ko) Lcd 모니터의 램프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