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189B1 -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189B1
KR100790189B1 KR1020060113758A KR20060113758A KR100790189B1 KR 100790189 B1 KR100790189 B1 KR 100790189B1 KR 1020060113758 A KR1020060113758 A KR 1020060113758A KR 20060113758 A KR20060113758 A KR 20060113758A KR 100790189 B1 KR100790189 B1 KR 10079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antenna
antenna housing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광환
윤재삼
윤종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189B1/ko
Priority to US11/873,922 priority patent/US760921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안테나 하우징;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 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캠 부재; 상기 단말기 상에 결합되어 상기 캠 부재와 연동하는 멈춤 부재; 및 상기 안테나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이 상기 단말기 내로 잠입 된 때, 상기 멈춤 부재가 상기 멈춤 홈에 맞물려 상기 안테나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 내에 구속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조립체는 단말기의 하우징에 잠입 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디자인과 휴대성 향상에 기여하고, 양호한 통신 품질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단말기, 안테나, 출몰, 캠 부재, 멈춤 부재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ANTENNA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조립체의 캠 부재와 멈춤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조립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캠 부재의 가이드 홈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조립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조립체가 돌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안테나 조립체가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안테나 조립체의 로드 안테나가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아울러, 온라인을 통한 휴대용 단말기로의 게임, 동영상 파일 전송, 모바일 뱅킹, 주문형 비디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등 이동통신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 것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사용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업화가 가능해진 환경에 기인한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DMB 수신 기능 등이 부가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즉, 이동통신 서비스는 그 서비스 업자에 따라 800MHz 대역 또는 1.8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고, DMB 서비스는 지상파 DMB의 경우 174~216MHz 대역, 위성 DMB의 경우 2.6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와 DMB 서비스 등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에 적합한 안테나 장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단말기에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갖는 안테나 장치들을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이러한 안테나 장치들을 설치하더라도 단말기의 소형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DMB 수신용 안테나를 별도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한 단말기도 등장하였으나, 이는 별도의 안테나 모듈을 휴대하고 다녀야하기 때문에 휴대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단말기의 기능이 이동통신 또는 DMB 서비스 중 어느 하나만 갖게 되더라도 외장형 안테나의 경우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관을 저하시키거나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내장형 안테나의 경우 외장형 안테나에 비해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디자인 향상에 기여하면서 파손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인출시켜 양호한 통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안테나 하우징;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 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캠 부재;
상기 단말기 상에 결합되어 상기 캠 부재와 연동하는 멈춤 부재; 및
상기 안테나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이 상기 단말기 내로 잠입 된 때, 상기 멈춤 부재가 상기 멈춤 홈에 맞물려 상기 안테나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 내에 구속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100)는 안테나 하우징(102)이 단말기(10; 도 8에 도시됨)의 하우징(11; 도 8에 도시됨)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서, 캠 부재(104)와 멈춤 부재(105)에 의해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10)에 잠입 된 상태가 유지되고,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돌출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은 그 내부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로드 안테나(129)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립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내측 케이스(102a)와 외측 케이스(102b)로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에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조립체(100)는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의 일면으로부터 연결축(103)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축(103)은 사익 단말기의 하우징(11)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은 상기 연결축(10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축(103)의 단부에는 회동 부재(139)가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103)에 대하여 회동하며,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축(103)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그 단부에 토션 스프링(140; 도 3에 도시됨)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에 잠입 된 때, 상기 토션 스프링(140)은 상기 회동 부재(139)를 회동시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 밀착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연결축(103)의 외주면은 그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평면들을 구비함으로써 그 단면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상에는 상기 연결축(103)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판 스프링(131)이 설치된다.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때 상기 판 스프링(131)이 상기 연결축(103) 외주면의 평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의 회전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103) 외주면의 평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홈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홈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의 회전 정지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에는 지지봉(135)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축(103)의 인입/인출 동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봉(135)은 상기 연결축(103) 내로 잠입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캠 부재(104)가 상기 연결축(103)을 통해 상기 안테나 하우 징(102)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 부재(104)에는 상기 지지봉(135)이 관통하는 홀(149)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봉(135)은 상기 캠 부재(104)의 홀(149)을 통해 상기 연결축(103)에 잠입되는 것이다.
상기 캠 부재(104)의 일면에는 폐곡선 궤적의 가이드 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는 멈춤 부재(10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캠 부재(104)가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멈춤 부재(105)의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141)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멈춤 부재(10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으로서 그 일면의 일단부에 회동핀(151)이 형성되고, 타면의 타단부에는 멈춤 돌기(1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핀(151)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멈춤 부재(105)가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상에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멈춤 돌기(153)가 상기 가이드 홈(141) 내에 위치된다. 상기 멈춤 돌기(153)가 상기 가이드 홈(141)의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멈춤 부재(105)가 상기 회동핀(15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테나 조립체(100)는 상기 지지봉(135) 상에 권선 된 형태로 결합된 탄성 부재(137)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 부재(137)는 그 일단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캠 부재(104)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연결축(103)은 상기 캠 부재(104)를 통해 상기 탄성 부재(137)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단말기 하우징(11)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가이드 홈(141)에는 제1, 제2 멈춤 홈(141a, 14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멈춤 돌기(153)가 상기 제1, 제2 멈춤 홈(141a, 141c)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 때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외부로 더 이상 돌출되지 않게 구속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때, 상기 멈춤 돌기(153)는 상기 제1 멈춤 홈(141a)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37)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음에도 더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구속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부로 잠입 된 때, 상기 멈춤 돌기(153)는 상기 제2 멈춤 홈(141c)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37)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 잠입 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캠 부재(104), 지지봉(135), 탄성 부재(137), 멈춤 부재(105) 등이 상기 단말기 하우징(11) 내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조립체(100)는 가이드 부재(106)와 캠 하우징(10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06)는 상기 멈춤 부재(105), 캠 부재(104), 탄성 부재(137), 지지봉(135)을 감싸게 결합되며, 상기 캠 부재(104)의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캠 하우징(101)은 상기 가이드 부재(106)를 감싸게 결합되면서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캠 하우징(101)은 회동홀(119)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멈춤 부재(105)의 회동핀(1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멈춤 부재(105)가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홈(141)은 상기 제1 멈춤 홈(141a)과 제2 멈춤 홈(141c)을 연결하는 경로가 두 개로 구성된 폐곡선 궤적으로서, 비대칭 형상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도 6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 잠입 된 모습을, 도 7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된 모습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안테나 조립체(100)의 안테나 하우징(102)이 출몰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 잠입 된 상태에서, 상기 멈춤 돌기(153)는 상기 제2 멈춤 홈(141c)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137)의 탄성력이 상기 캠 부재(104)에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내에 잠입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누르면, 상기 캠 부재(104)가 상기 단말기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멈춤 돌기(151)는 상기 제2 멈춤 홈(141c) 좌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141) 궤적을 따라 제1 절곡부(141d)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캠 부재(104)가 상기 단말기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37)에는 탄성력이 더 축적된다.
사용자가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캠 부 재(104)에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축(103)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에 잠입 된 상태에서 돌출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멈춤 돌기(153)는 상기 제2 멈춤 홈(141c)으로부터 상기 제1 절곡부(141d)를 지나 제1 멈춤 홈(141a)을 이어주는 좌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141)의 궤적을 따라 화살표 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멈춤 돌기(153)가 상기 제1 멈춤 홈(141a)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 부재(137)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은 더 이상 돌출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상기 단말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축(103)을 중심으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 상태가 양호한 방향으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 내에 위치된 로드 안테나(129)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 하우징(11)의 일측면에는 수용홈(19; 도 11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에 수용시키기 위하여, 우선 사용자는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회전시켜 상기 단말기 하우징(11)의 수용홈(19)에 나란하게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수용홈(19)에 나란하게 위치되면, 사용자는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눌러 상기 수용홈(19)으로 잠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멈춤 돌기(153)는 상기 제1 멈춤 홈(141a)으로부터 우측의 상기 가이드 홈(141) 궤적을 따라 화살표 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우측의 상기 가이드 홈(141) 궤적에는 제2 절곡부(14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멈춤 돌기(153)가 상기 제2 절곡부(141b)에 위치되면 사용자가 누르더라도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은 더 이상 상기 수용홈(19) 내측으로 잠입되지 않는다.
상기 멈춤 돌기(153)가 상기 제2 절곡부(141b)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탄성 부재(13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용홈(19)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멈춤 돌기(153)는 상기 가이드 홈(141)의 궤적에 의해 화살표 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멈춤 홈(141c)으로 이동하여 멈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137)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은 상기 수용홈(19)에 잠입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상기 안테나 조립체(100)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를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 하우징(100)이 상기 단말기(10)의 하우징(11)이 수용된 상태에서 돌출, 회전한 후, 상기 로드 안테나(129)가 인출된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단말기(10)는 상기 하우징(11)의 일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3) 와, 다수의 키들로 이루어진 키패드(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 조립체(100) 중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1) 일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면에는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수용홈(19)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를 통해 음성통화를 할 수 있으며, DMB 시청,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최근의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들은 음성통화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는 내장형으로 구성하는 추세이다. 여기에 DMB 시청, GPS 수신 등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가 요구되며, 상기 단말기(10)는 상기 안테나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DMB 시청, GPS 수신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10)가 DMB 시청 또는 GPS 수신 기능 중 어느 하나 기능만을 제공하는 전용 단말기인 경우에도 상기 안테나 조립체(100)를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이 상기 단말기 하우징(11)의 수용홈(19)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140)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은 상기 수용홈(19)에 밀착되므로 외관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단말기(10)의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눌러 돌출시킨 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로드 안테나(129)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조립체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잠입 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디자인과 휴대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말기의 외관으로 안테나 하우징을 돌출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파손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누름 동작만으로 안테나 하우징을 잠입/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용이하고 양호한 통신 품질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안테나 하우징;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 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캠 부재;
    상기 단말기 상에 결합되어 상기 캠 부재와 연동하는 멈춤 부재; 및
    상기 안테나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이 상기 단말기 내로 잠입 된 때, 상기 멈춤 부재가 상기 멈춤 홈에 맞물려 상기 안테나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 내에 구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부재는,
    그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핀; 및
    그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멈춤 홈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멈춤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핀이 상기 단말기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멈춤 부재가 상기 단말기 상에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에 형성되는 폐곡선 궤적의 가이드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멈춤 홈은 상기 가이드 홈 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이 출몰함에 따라, 상기 멈춤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결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연결축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캠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연결축을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은 상기 연결축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단부에 제공되는 토션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이 상기 단말기 내에 잠입 된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을 상기 단말기 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단말기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테나 하우징이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판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 스프링이 가압함에 따라 상기 연결축의 회전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평면을 구비하고,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연결축 외주면의 평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연결축 외주면의 홈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연결축의 회전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캠 부재를 감싸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 고,
    상기 캠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단말기 내에 고정되는 캠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멈춤 부재는 상기 캠 하우징 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KR1020060113758A 2006-11-17 2006-11-17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KR100790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758A KR100790189B1 (ko) 2006-11-17 2006-11-17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US11/873,922 US7609214B2 (en) 2006-11-17 2007-10-17 Antenna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758A KR100790189B1 (ko) 2006-11-17 2006-11-17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189B1 true KR100790189B1 (ko) 2008-01-02

Family

ID=3921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758A KR100790189B1 (ko) 2006-11-17 2006-11-17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09214B2 (ko)
KR (1) KR100790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1886A1 (en) * 2008-08-07 2010-02-10 Giga-Byte Communications, Inc. Wireless transceiver having double rotary antenna
TWI514665B (zh) * 2010-08-25 2015-12-21 Chiun Mai Comm Systems Inc 天線組件及其可攜式電子裝置
JP5939117B2 (ja) * 2012-10-01 2016-06-22 富士通株式会社 接点金具及び該接点金具の取付構造を備える携帯端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5006A (ja) * 2006-06-20 2008-01-1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画再生方法
JP2008003003A (ja) * 2006-06-23 2008-01-10 Omron Corp 電波検知回路及び遊技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5845A (en) * 1986-03-03 1988-02-16 Motorola, Inc. Retractable helical antenna
US6545643B1 (en) * 2000-09-08 2003-04-08 3Com Corporation Extendable planar diversity antenna
KR100454918B1 (ko) 2001-11-13 2004-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TW586704U (en) * 2003-06-30 2004-05-01 Send Far Technology Co Ltd Antenna guid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wireless network card
KR20050069004A (ko) 2003-12-30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5006A (ja) * 2006-06-20 2008-01-1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画再生方法
JP2008003003A (ja) * 2006-06-23 2008-01-10 Omron Corp 電波検知回路及び遊技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특허공개 제2003-0039609호
한국특허공개 제2005-0069004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17109A1 (en) 2008-05-22
US7609214B2 (en)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8554285B2 (en) Swing-type portable terminal
EP1758343A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7853301B2 (en)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146134B (zh) 用于便携式终端的滑动模块
KR20050089257A (ko)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8466849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85051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hinge apparatus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KR1007901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체
US8588858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ual hinge axes
US7529568B2 (en) Hinge guide apparatus of swing-type portable terminal
EP1848183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62674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856221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545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442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6012977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7005225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724873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