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102B1 -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102B1
KR100789102B1 KR1020070023049A KR20070023049A KR100789102B1 KR 100789102 B1 KR100789102 B1 KR 100789102B1 KR 1020070023049 A KR1020070023049 A KR 1020070023049A KR 20070023049 A KR20070023049 A KR 20070023049A KR 100789102 B1 KR100789102 B1 KR 10078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b
voltage
external device
u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방식과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통신방식을 각각 지원할 수 있는 외부장치가 이동 단말기와 접속하여 연동하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가 USB 방식과 UART 방식 중 어느 방식의 모드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이동 단말기의 통신방식 모드설정의 변경 없이 이동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는 외부장치 및 그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가 USB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UART 전압을 USB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시 이동 단말기로 공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통신방식 설정모드의 변경없이도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자체전원, USB, UART

Description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 방법{An outer device including no electric power and method for associating the outer device with a mobile phone}
도 1은 이동 단말기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가 접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이동 단말기에 접속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의 연동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등의 자체전원을 가지지 않은 외부장치가 USB 모드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로부터 공급받은 UART 전압을 USB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시 이동 단말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USB(Universal Serial Bus)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와 그 주변기기 간 통신에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그 이용범위를 다양하게 확장하고 있다.
예컨대, 최근에는 PC와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수단으로 주소록 갱신이나 저장, 음악파일 전송 등에 USB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가 PC와 USB방식으로 연동할 때 PC는 마스터(master) 또는 호스트(host)로서 동작하고, 이동 단말기는 슬래이브(slave) 또는 디바이스(device)로 동작한다. 이 경우, 마스터(또는 호스트)인 PC가 슬래이브인 이동 단말기로 USB 전압(Vbus)을 공급해 주도록 구성된다.
이때, USB 슬래이브(또는 디바이스)인 이동 단말기는 버스 전원(bus power) 또는 자체 전원(self power) 모드 중에서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자체 전원(self power) 모드의 경우에도 +5V의 전원이 호스트에서 디바이스로 공급되어야 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간의 또 다른 통신 방식으로서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UART는 비동기 직렬 통신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모뎀이나 기타 다른 직렬 장치들과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UART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 또는 복원하고,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거나 패리티를 검출, 제거하며 비동기 통신을 위해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한편, 외부장치가 UART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와 연동할 때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통신하기 때문에 외부장치가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USB 방식의 선호추세에 따라, 최근 출시되는 UART/USB 겸용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는 사용자에게 판매시 기본적으로 USB 방식으로 설정되어 출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UART 방식을 지원하는 외부장치로서 자체전원을 가지지 않은 외부장치를, USB 방식으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에 접속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이동 단말기의 외부인터페이스 설정을 USB방식에서 UART 방식으로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처럼 외부장치와 접속하여 사용할 때마다 매번 이동 단말기의 설정 모드를 확인하여 USB 방식이나 UART 방식으로 상호 간에 변경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많은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체 전원을 가지지 않은 UART 방식의 외부장치와 접속했다가, 다시 자체 전원을 가진 USB 방식의 외부장치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또 다시 이동 단말기의 설정 모드를 USB 방식으로 변경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체 전원을 가지지 않은 외부장치로서, USB 방식으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의 설정모드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이동 단 말기와 상호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체 전원을 가지지 않은 외부장치에서 USB 방식으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와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공급받은 UART 전압을 USB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시 이동 단말기에 공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는, 이동 단말기와의 UART 통신을 위한 UART 통신모듈;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USB 통신을 위한 USB 통신모듈;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공급받은UART 전압을 USB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USB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외부장치와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UART 전압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USB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공급받은 UART 전압을 USB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USB 전압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USB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USB 모드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동 단말기(200)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100)가 접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장치(100)의 커넥터(110)는 이동 단말기(200)의 외부 인터페이스 단자(210)와 결합함으로써, 외부장치(100)와 이동 단말기(200) 간에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100)와 이동 단말기(200) 간의 접속형태는 도 1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블을 통한 연결도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200)의 측면 등에 구비된 또 다른 인터페이스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이동 단말기(200)에 접속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100)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100)는 UART 통신모듈(10), USB 통신모듈(20), 변압기(30), 제어부(40), 레귤레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인식부(60)와 안테나(70)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100)의 응용을 위해 부수적으로 추가되는 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ART 통신모듈(10)는 이동 단말기(200)와 UART 통신을 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이동 단말기(200)의 통신 모드가 UART 모드와 USB 모드 중에서 UART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UART 통신모듈(10)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을 하게 된다.
이동 단말기(200)와 UART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에 필요한 전원 을 이동 단말기(200)에서 외부장치(100)로 공급하게 되므로, 제어부(40)는 변압기(30)에서 이동 단말기(200)로 전원(Vbus, 5V)을 공급하지 않도록 변압기(30)를 제어한다.
USB 통신모듈(20)은 이동 단말기(200)와 USB 통신을 할 수 있는 외부장치(100)의 구성요소이다. 이동 단말기(200)의 통신 모드가 USB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USB 통신모듈(20)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을 하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와 USB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USB 통신에 필요한 값으로 변환하여 다시 이동 단말기(200)로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변압기(3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값을 USB 통신에 필요한 전압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을 이동 단말기(200)로 다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 단말기(200)가 USB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고(도 2의 실시예에서는 4.2 Volt의 전원을 수신),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전원의 전압값을 USB 통신에 필요한 전압값(도 2의 실시예에서는 5 Volt)으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200)로 공급한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200)가 USB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자체전원을 포함하지 않은 본 발명의 외부장치(100)와 USB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외부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는, 이동 단말기(200)의 통신 모드가 UART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UART 통신모듈(10)를 통해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하도록 하고, 변압기(30)가 이동 단말기(200)로 전압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의 통신 모드가 USB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도 2의 실시예에서는 4.2 Volt 전압)을 USB 통신에 필요한 전압값(도 2의 실시예에서는 5 Volt)으로 변환하도록 변압기(30)를 제어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부(4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레귤레이터(50)로부터 전달되며, 레귤레이터(5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이용하여 제어부(4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부(40)로 공급한다.
RF 인식부(60)는, 외부장치(100)의 활용을 위해 부가한 임의적인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200)와 외부장치(100)를 연결한 상태에서 특정 서버와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태그를 RF 인식부(60)를 통해 읽은 경우, 상기 외부장치(100)에서 읽은 접속 정보는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되고, 이동 단말기(200)에서는 상기 접속 정보에 따라 특정 서버와 자동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안테나(70)는 RF 인식부(60)의 RF태그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RF 인식부(60)로부터 전달되는 전파를 RF태그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RF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와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100)를 이동 단말기(200)의 인터페이스 단자에 접속한 후(S10), 이동 단말기(200)와 UART 통신을 시도한다(S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ART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외부장치(100)가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외부장치(100)의 변압기(30)는 전압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외부장치(100)는, S20의 UART 통신시도에 대하여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정상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 상기 S30의 확인 결과,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정상응답이 있으면 이동 단말기(200)와 UART 통신을 수행한다(S35).
반면, 상기 S30의 확인 결과, 이동 단말기(200)가 정상응답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USB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우선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다(S40).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압은 변압기(30)에서 USB 통신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한다(S50).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변압기(30)가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4.2 Volt의 전압을 입력받아서 5Volt의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S50에서 변환된 전압은 이동 단말기(200)에 다시 공급되고(S60), 외부장치(100)는 이동 단말기(200)와 USB 통신을 시도한다(S70).
그러고 나서, S20의 USB 통신시도에 대하여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정상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0). 상기 S80의 확인 결과,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정상응답이 있으면 이동 단말기(200)와 USB 통신을 수행한다(S85).
반면, 상기 S80의 확인 결과, 이동 단말기(200)가 정상응답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UART 및 USB 중 어느 모드로도 통신이 안 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에러처리를 하고(S90) 통신 접속시도를 종료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와 USB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S85), 외부장치(100)의 RF 인식부(60)에서 인식한 RF태그(도시하지 않음) 정보는 외부장치(100)의 USB 통신모듈(20)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은 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4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레귤레이터(50)를 통해 공급될 수 있으며, 레귤레이터(5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은 전원을 적절한 값으로 조정하여 제어부(40)에 공급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외부장치(100)의 제어부(40)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받는 한편, 외부장치(100)와 이동 단말기(200) 상호 간의 USB 통신을 위한 전원은 이동 단말기(200)의 전원을 변압하여 외부장치(100)에서 제공해 주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체전원을 가지지 않은 외부 장치임에도 USB 모드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장치는, USB 방식으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와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공급받은 UART 전압을 USB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시 이동 단말기에 공급함으로써 USB 방식으로 설정된 이동 단말기의 설정모드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이동 단말기와 상호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이동 단말기와의 UART 통신을 위한 UART 통신모듈;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USB 통신을 위한 USB 통신모듈;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공급받은UART 전압을 USB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USB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는 외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서 상기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는 외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UART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변압기가 상기 변환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는 외부 장치.
  4. 이동 단말기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UART 전압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USB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공급받은 UART 전압을 USB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USB 전압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USB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USB 모드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얻기 위해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KR1020070023049A 2007-03-08 2007-03-08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KR100789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049A KR100789102B1 (ko) 2007-03-08 2007-03-08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049A KR100789102B1 (ko) 2007-03-08 2007-03-08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102B1 true KR100789102B1 (ko) 2007-12-26

Family

ID=3914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049A KR100789102B1 (ko) 2007-03-08 2007-03-08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1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681A (ja) * 2001-07-03 2003-02-2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傾斜した回転軸を有するx線管と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681A (ja) * 2001-07-03 2003-02-2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傾斜した回転軸を有するx線管とその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 제20-0352681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71B1 (ko) 듀얼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동작하는 단일 포트 유에스비장치
US683681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101634976B (zh) 一种为计算机提供蓝牙功能的方法及终端
US8320960B2 (en) Docking station and computer system using the docking station
US20090172208A1 (en) Wibro USB modem device having storage device
MXPA02010535A (es) Un metodo y aparato para la comunicacion entre dispositivos esclavos a traves de una interconexion inherentemente maestro esclavo.
KR200360109Y1 (ko) 유에스비 대 유아트 통신용 데이터 통신 케이블
US20030119553A1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cellulous phone
KR20040007056A (ko) 무선모뎀 휴대폰
KR102315230B1 (ko) Usb c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EP1308827A2 (en) Portable computer apparatus with power sav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N108459981B (zh) 多功能信号转换电路和转换器
KR100723498B1 (ko) Usb 장치
KR100789102B1 (ko)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WO2022095606A1 (zh) 信息读取方法、设备、线缆、充电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CN213751063U (zh) 一种串行通信总线的控制装置和电子设备
KR1006512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9753472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20030058745A (ko) 유에스비 전원을 사용하는 데이터 케이블 장치
KR200377353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통신용 장치
KR20050006484A (ko)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US20080104279A1 (en) Power supply
CN212302465U (zh) 一种紧凑型调试接口及其连接器、电子系统
CN1318994C (zh) 具无线遥控功能的非挥发性存储装置
KR200288185Y1 (ko) Usb 단자를 내장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