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123B1 - 다중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123B1
KR100786123B1 KR1020060049764A KR20060049764A KR100786123B1 KR 100786123 B1 KR100786123 B1 KR 100786123B1 KR 1020060049764 A KR1020060049764 A KR 1020060049764A KR 20060049764 A KR20060049764 A KR 20060049764A KR 100786123 B1 KR100786123 B1 KR 100786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power
multipath
light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402A (ko
Inventor
박동옥
손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지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지이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지이엔
Priority to KR102006004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23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H04L49/552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by ensuring the integrity of packets received through redundant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26Details of "hello" or keep-alive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제어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PLC와 같은 범용 컨트롤러 또는 특정 설비 제어를 위한 전용 컨트롤러로부터 2개 이상의 통신 경로 이중화를 통해 손실 없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낙뢰 시 컨트롤러의 공급 전원을 배터리 동작 모드로 강제로 전환하여 장치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화된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합 감시 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과 원거리에 있는 PLC 또는 Controller와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중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용선, CDMA, TRS, xDSL등의 다양한 통신 장비를 연결하여 다중경로통신시스템 간의 통신 이중화를 구성하여 낙뢰 피해 방지를 위한 강제로 유선 전원 공급에서 배터리 전원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통신경로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이중화하여 통신의 장애 상태에 따라 전환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의 이중화, 프로토콜 변환, 낙뢰 피해 방지 대책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을 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해 신뢰성과 안정성을 구비한 통합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다중통신경로, 낙뢰피해방지, 배터리 전환, 이중화

Description

다중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Multi-routes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communication route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통신 이중화 절차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통신 시스템간의 연결 예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과 컴퓨터 연결 예
<도면번호의 간단한 설명>
10 : 다중경로통신시스템 11 : 임베디드 메인기판
12 : 시리얼모듈(CDMA용) 13 : 시리얼모듈(TRS용)
14 : 시리얼모듈(전용선) 15 : 랜 포트(xDSL용)
16 : 랜 포트 17 : 시리얼모듈
18 : I/O 인터페이스 19 : 릴레이 출력채널
20 : 디지털 입력채널 21 : CDMA
22 : TRS 23 : 전용선
24 : xDSL 25 : PLC 또는 컨트롤러
26 : 전원 및 통신선로 27 : 배터리 전원
31 : COM/DCOM 컴포넌트 또는 Demon 애플리케이션
32 : 낙뢰피해방지모듈 33 : 프로토콜 변환기
34 : 통신이중화모듈 35 : PLC 또는 컨트롤러
36 : CDMA 모뎀 드라이브 37 : 전용선 모뎀드라이브
38 : TRS 모뎀 드라이브 39 : xDSL 모뎀 드라이브
40 : 윈도우 또는 임베디드 리눅스 소프트웨어
50, 51 : 다중경로통신시스템 52, 53 : PLC 또는 컨트롤러
54, 55 : 시리얼통신(RS-232C, RS-422, RS-485)
56, 57 : 배터리 58, 59 : AC 전원
60, 61 : AC 전원차단 및 복구 62, 63 : 배터리 차단 및 복구
64, 65 : CDMA 66, 67 : TRS
68, 69 : 전용선 70, 71 : xDSL
75 : 통합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통합 감시 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PLC와 같은 범용 컨트롤러 또는 특정 설비 제어를 위한 전용 컨트롤러로부터 2개 이상의 통신 경로 이중화를 통해 손실 없는 데이터 수집하고 낙뢰 시 컨트롤러의 공급 전원을 배터리 동작 모드로 강제로 전환하여 장치의 손상을 최소 화하는 신뢰성과 안정성을 구비한 이중화된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종래 기술은 PLC 또는 일반적인 컨트롤러 자체적인 통신 이중화 구성수단이 구현되어 있으나, 이는 랜(LAN) 또는 시리얼(Serial)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형태의 통신 이중화 기능으로만 제한되어 있어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xDSL, CDMA 통신, TRS 통신 등을 이용한 통신 이중화 기능에는 적합하지가 않으며, 통합감시시스템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PLC 또는 일반적인 컨트롤러의 낙뢰 피해 방지를 위한 전원 및 통신 선로 제어 장치는 제품으로 개발되어 있지 않고 각 시스템에 맞게 별도 설계 및 구축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중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서버를 이용하여 전용선, CDMA, TRS, xDSL등의 다양한 통신 장비를 연결하여 다중경로통신시스템 간의 통신 이중화를 구성하고, 낙뢰 피해 방지를 위한 강제로 유선 전원 공급에서 배터리 전원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통신경로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이중화하여 통신 장애 발생 시에 스위치를 절체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해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 확보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화된 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을 구 축하는데 있어서 이 기종 PLC 또는 컨트롤러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범용 프로토콜 간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 기능을 구현하여 범용 프로토콜을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로 변환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중경로통신시스템 또는 통합 제어시스템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PLC와 같은 범용 컨트롤러 또는 특정 설비 제어를 위한 전용 컨트롤러로부터 2개 이상의 통신 경로 이중화를 통해 손실 없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낙뢰 시 컨트롤러의 공급 전원을 배터리 동작 모드로 강제로 전환하여 장치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신뢰성과 안정성을 갖춘 이중화된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도시된 도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이중화를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간의 연결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경로통신시스템과 통합감시 서버의 연결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합제어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산속 또는 오지의 관제 장치에 설치된 PLC와 같은 범용 컨트롤러 또는 특정 설비 제어를 위한 전용 컨트롤러로부터 2개 이상의 통신 경로 이중화를 통해 손실 없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낙뢰 시 컨트롤러의 공급 전원을 배터리 동작 모드로 강제로 전환하여 장치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신뢰성과 안정성을 구비한 이중화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통합제어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산속 또는 오지의 관제 장치에 설치된 PLC와 같은 범용 컨트롤러 또는 특정 설비 제어를 위한 전용 컨트롤러로부터 2개 이상의 통신 경로 이중화를 통해 손실 없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낙뢰 시 컨트롤러의 공급 전원을 배터리 동작 모드로 강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통신 및 장치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다중경로통신시스템(1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은 도1에서와 같이 전용선(23)은 시리얼 모듈(14, UART)을 이용하여 전용선 모뎀과 연결되며, xDSL(24)은 랜 포트(15)를 이용하여 xDSL 모뎀과 연결하거나 랜 스위치 장비와 연결되고, CDMA(21)은 시리얼 모듈(12, UART, Serial Module)을 이용하여 CDMA 모뎀과 연결되며, TRS(22)은 시리얼 모듈(13, UART, Serial Module)을 이용하여 TRS 모뎀과 연결되어 있다.
도1에서의 PLC 또는 일반 컨트롤러(25)와의 연결은 랜 포트(16)를 이용하여 이더넷(Ethernet)으로 연결하거나 시리얼 모듈(17, UART, Serial Module)을 이용하여 상용의 RS-232C, RS-422 및/또는 RS-485로 연결되어 있다.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낙뢰 피해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임베디드 메인기판(11)과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I/O 인터페이스 회로(18)를 구비하고, 다중경로통신시스템(10)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채널(20) 및 릴레이 온ㆍ오프를 위한 출력(Relay Output) 채널(19)을 이용하여 PLC 또는 일반 컨트롤러(25)에 공급되는 AC 전원 및 통신선로의 차단 및 복구(26)와, 배터리 전원의 차단 및 복구(27) 수단을 구비하고, PLC 또는 일반 컨트롤러(25)를 구비한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AC 전원 및 배터리 전원의 차단 및 복구와, 유선 통신 선로 차단 및 복구를 통하여 낙뢰 피해 방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다중경로통신시스템(도4의 50, 51)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다중경로통신시스템(도4의 50, 51) 또는 통합제어시스템(도5의 75)에는 윈도우 또는 임베디드 리눅스 소프트웨어(40)를 내장하며, 다중경로통신시스템(도4의 50, 51)간 또는 통합제어시스템(도5의 75)간의 데이터의 손실 없는 전송을 위하여 통신 이중화 모듈(34), 프로토콜 변환 모듈(33) 및 낙뢰 피해 방지 제어 모듈(32)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다중경로통신시스템 또는 통합제어시스템의 메모리 상에는 깊은 산속 또는 오지에 위치한 관제장치에 내장된 PLC 또는 일반적인 컨트롤러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으며, 일반 컴퓨터에서 통신 이중화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 다중경로통신시스템 또는 통합제어시스템의 전용선(37), CDMA(36), TRS(38) 및 xDSL(39)등의 모뎀 드라이브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고 다양한 통신 장비들과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에 흐름도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통신 이중화를 위한 통신 상태 판단 기준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액티브 상태일 때의 경우는 통신 데이터의 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정상적인 데이터의 송ㆍ수신이 소정 주기 안에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송ㆍ수신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 확인을 통하여 데이터의 에러 유무 및/또는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통합제어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 메모리에 설정된 정해진 시간 동안 에러가 N회 이상 연속하여 발생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설정하여 둔 통신 이중화에 따른 백업 유선 선로를 통해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통신이 무선 통신일 경우에는 전송데이터의 에러 유무 또는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수단으로 데이터 수신의 성공 여부 외에도 전파의 수신감도를 확인하여 전파의 세기가 일정 기준 이하로 내려가서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에 통신이중화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는 백업 통신으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인액티브(Inactive)상태일 경우를 살펴본다. 일정 주기마다 상대측으 로 헬로우 패킷(Hello Packet)을 전송 한 후, 그것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유무를 점검한다.
무선 통신일 경우에는 전파의 수신 감도를 확인하여 전파의 세기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에 상대측으로 헬로우 패킷(Hello Packet)을 전송한 후 그것에 대한 응답 패킷을 상대방이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데이터의 통신 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한다.
주 통신라인인 경우에는 인액티브(Inactive)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헬로우 패킷(Hello Packet)을 전송하여 통신 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액티브(Active)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서의 낙뢰 피해 방지 기능 및 수단에 대하여 살펴본다. 낙뢰의 피해가 예상될 경우에는 원격 제어에 의하여 도1에서와 같이 PLC 또는 일반적인 컨트롤러(25)에 연결되어 있는 AC 전원을 릴레이 오ㆍ오프를 위한 출력(Relay Output)채널(19) 통해서 릴레이를 제어하여 AC 전원을 강제 차단하여 PLC 또는 일반적인 컨트롤러의 전원을 배터리 전원으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하며, 전환 시에도 신호가 소정의 시간동안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전원의 공급이 단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선 선로를 통해서 낙뢰에 의한 과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경로를 유선이 아닌 무선 통신으로 강제 전환하고, 유선 통신 장비로 공급된 AC전원을 강제로 차단하여 배터리로 공급하여 낙뢰가 유입될 수 있는 경로 를 사전에 최대한 차단하여 원거리에 설치된 관제 장치에 내장된 PLC 또는 일반적인 컨트롤러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낙뢰 피해 방지를 위한 본 발명의 구동절차는 a) PLC 또는 일반적인 컨트롤러에 연결된 AC 전원을 릴레이에 펄스 출력을 공급하여 AC 전원을 차단하고, 디지털 입력 포트를 사용하여 디지털 펄스신호를 입력하여 배터리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전환한다. b)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경로를 무선 통신으로 강제 전환한다. c) 유선 통신 장비에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한다. d) 유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통신 선로를 강제로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뢰 피해 방지 해제 절차를 살펴보면, a) 유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통신 선로의 차단을 해제한다. b) 유선 통신 장비에 전원을 공급한다. c) 통합제어시스템 및/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프로그램이 연동하여 릴레이를 작동시켜 PLC 또는 일반적인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AC 전원을 배터리전원으로 전환하여 공급한다. d) 통신 경로를 메모리에 설정된 주 통신경로 전환한다. e) 배터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저 전압 상태일 경우에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서버로 상태 확인을 요청하고 상태 지속 명령이 없으면 자동으로 AC 전원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의 절체 시에는 전원이나 신호의 단절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짧은 시간을 동안 병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화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서의 낙뢰 피해 방지는 수동과 자동(예약)으로 이룰 수 있으며, 먼저 수동의 경우를 살펴본다. 수동 구동은 관리자가 통신 수 단을 통해서 또는 직접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 구동 명령을 부여한다. 다중경로통신시스템과 다중경로통신시스템간의 연결 시에는 관리자는 통합제어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다중 통신 S/W를 통해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 구동 명령을 전달 할 수 있다. 이때 명령을 전달 받은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은 즉시 낙뢰 피해 방지 절차 모드로 전환하여 구동하게 된다. 도4에서의 다중경로통신시스템사이의 연결 시에는 관리자가 일측의 장치에 대해 구동 명령을 전달할 경우에 이 명령을 전달 받은 장치는 상대측의 장치에게 이 명령을 전달한 후, 낙뢰 피해 방지 절차 모드로 전환하게 되고, 상대측의 장치 또한 구동 명령을 받는 즉시 해당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낙뢰 피해 방지 수동 모드에서 해제할 경우에도 상기 구동 순서와 동일한 절차를 거쳐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은 자동(예약) 구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관리자가 다중 통신 소프트웨어를 내장한 통합제어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 낙뢰 피해 방지를 위하여 구동할 시각과 해제할 시각을 미리 예약 입력할 경우에 예약한 시각이 되면 자동으로 해당 절차를 수행하여 낙뢰방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5는 통합제어시스템(컴퓨터)과 다중경로통신시스템사이에서의 손실 없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낙뢰 시 컨트롤러의 공급 전원을 배터리 동작 모드로 강제로 전환하여 장치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신뢰성과 안정성을 구비한 이중화된 통신경로를 구비한 구성으로 상기 다중경로통신시스템사이에의 통신 및 낙뢰방지를 위한 모든 구성 및 기능에서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 또는 통합제어시스템에는 운용 프로그램 으로 임베디드 리눅스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인터페이스는 데몬 애플리케이션(Demon Application) 프로그램이 내장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전용선, CDMA, TRS 및 xDSL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4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중경로통신시스템 또는 통합제어시스템과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는 일반 컴퓨터는 운용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2000, 윈도우 XP, 윈도우 2003 서버 등의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인터페이스는 COM/DCOM 컴포넌트가 내장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전용선, CDMA, TRS 및 xDSL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4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은 통합제어시스템 및 다중경로통신시스템으로 멀리 떨어져 관측 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제장치 또는 전자 장비 등을 낙뢰피해로부터 보호하고, 손실 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으로 산업 상 이용가능성이 아주 높다.
본 발명은 다중 통신 소프트웨어를 내장한 통합제어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용선, CDMA, TRS, xDSL등의 다양한 통신 장비를 연결하여 다중경로통신시스템 간의 통신 이중화를 구성하고, 낙뢰 피해 방지를 위한 강제로 유선 전원 공급에서 배터리 전원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통신경로를 유선 및 무선으로 이중화하여 통신 장애 발생 시에 스위치를 절체 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해 통합 감시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 확보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이중화된 통합제어시스템 또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이 기종 PLC 또는 컨트롤러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범용 프로토콜 간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 기능을 구현하여 범용 프로토콜을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Claims (5)

  1. 이중화된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ㆍ수신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의 확인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ㆍ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통신선로를 절체하는 수단;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관제 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낙뢰 발생시에 관제장비로 공급되는 AC전원을 강제로 차단하고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 및 AC 전원으로 복구하는 수단;
    상기 배터리 전원이 정상적인지를 점검하는 수단;
    상기 통신선로를 절체하는 시간과 낙뢰로부터 관제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AC 전원에서 배터리 전원으로의 전환하는 시간에 전송신호 및 전원의 단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동안 병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수단; 및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관제 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선로를 차단 또는 복구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한 이중화된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
  2. 이중화된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에서,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을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무선통신일 경우에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파의 수신감도를 확인하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상대측에 헬로우 패킷 메시지를 전송하여 판단하며,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 데이터 전송경로를 변경하는 수단;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관제 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낙뢰시에 관제장비로 공급되는 AC전원을 강제로 차단하고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 및 AC 전원으로 복구하는 수단;
    상기 배터리 전원이 정상적인지를 점검하는 수단;
    상기 통신선로를 절체하는 시간과 낙뢰로부터 관제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AC 전원에서 배터리 전원으로의 전환하는 시간에 전송신호 및 전원의 단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동안 병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수단; 및
    다중경로통신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낙뢰로부터 관제 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선로를 차단 또는 복구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한 이중화된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수단은 CDMA 또는 TRS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경로통신시스템.
KR1020060049764A 2006-06-02 2006-06-02 다중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 KR100786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764A KR100786123B1 (ko) 2006-06-02 2006-06-02 다중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764A KR100786123B1 (ko) 2006-06-02 2006-06-02 다중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02A KR20070115402A (ko) 2007-12-06
KR100786123B1 true KR100786123B1 (ko) 2007-12-18

Family

ID=39141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764A KR100786123B1 (ko) 2006-06-02 2006-06-02 다중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874B1 (ko) * 2013-05-14 2013-11-21 한국유체기술(주) 다중경로통신장치를 이용한 원격감시 시스템
KR101317451B1 (ko) * 2013-05-14 2013-10-11 한국유체기술(주) 다중경로통신장치를 이용한 상, 하수도 계측제어 시스템
KR101719320B1 (ko) * 2013-10-04 2017-04-04 (주)대산이엔씨 재난 예방용 영상 수위 감시 시스템
KR101428982B1 (ko) * 2013-10-04 2014-08-12 (주)대진포스 지그비 통신 및 인터넷망을 이용한 무선주문카드결제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370A (ja) * 1994-05-25 1995-12-08 Toyo Commun Equip Co Ltd 遠隔制御通信システム
KR19990000903A (ko) * 1997-06-11 1999-01-15 윤종용 이중화된 전원 분배 장치
KR20050057637A (ko) * 2002-10-15 2005-06-16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다중경로 신호 강도 표시기
KR20050058622A (ko) * 2003-12-12 2005-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경로 이중화장치 및 이중화된 통신경로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370A (ja) * 1994-05-25 1995-12-08 Toyo Commun Equip Co Ltd 遠隔制御通信システム
KR19990000903A (ko) * 1997-06-11 1999-01-15 윤종용 이중화된 전원 분배 장치
KR20050057637A (ko) * 2002-10-15 2005-06-16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다중경로 신호 강도 표시기
KR20050058622A (ko) * 2003-12-12 2005-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경로 이중화장치 및 이중화된 통신경로의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02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5082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550785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6877105B1 (en) Method for sending notice of failure detection
KR100786123B1 (ko) 다중 통신경로를 구비한 다중경로통신시스템
KR102546893B1 (ko) PoE 기반 IoT 시스템용 네트워크 스위치 순차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611589A (zh) 一种路由器断网自动侦测装置及其工作方法
CN101369932A (zh) 一种采用双备用链路的数据采集装置及应用方法
CN105140886A (zh) 继电保护系统和利用其来收集数据的方法
CN101604143A (zh) 可主动紧急停止的工业无线遥控设备和方法
US8959386B2 (en) Network and expansion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 network
CN102144416A (zh) 无线电网络元件到总站上的冗余连接
CN111064504B (zh) 一种光通信系统中的1比1的olp保护方法
JP2023057111A (ja) 非常用設備
CN203133573U (zh) 机房远程智能监控系统
JP6965403B2 (ja) トンネル非常用設備
JP6715654B2 (ja) トンネル非常用設備
KR101465991B1 (ko) 보안 기능이 구비된 네트워크 제어 장치
CN109835787B (zh) 电梯故障远程监控装置及方法
JP6945416B2 (ja) 電源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システム
CN112804082B (zh) 故障定位系统
CN114355823B (zh) 基于网络的矿用防爆组合开关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652543A (zh) 用于供水设备的无线冗余控制器
KR100646473B1 (ko) 광단국 장치를 이용한 기지국 원격복구 장치
CN203180943U (zh) 一种可级联的光电一体化bypass设备
CN210836066U (zh) 一种适用于无人值守台站电源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