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091B1 -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조사하는 관리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조사하는 관리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091B1
KR100785091B1 KR1020060021699A KR20060021699A KR100785091B1 KR 100785091 B1 KR100785091 B1 KR 100785091B1 KR 1020060021699 A KR1020060021699 A KR 1020060021699A KR 20060021699 A KR20060021699 A KR 20060021699A KR 100785091 B1 KR100785091 B1 KR 100785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information
usage history
additional func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922A (ko
Inventor
박일수
윤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2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0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9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6Removing local dist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2Straightening vehicle body parts or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조사하는 관리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가 부가 기능 모듈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로 상기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의 기록을 요청하고, 기록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이력을 조사함으로써, 부가 기능과 관련된 제반 산업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
부가 기능, 사용이력, 메시지, 통신 단말기, 핸드폰

Description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조사하는 관리서버 및 방법{MANAGEMENT SERVER FOR SEARCHING LOG INFORMATION FOR USE OF AUXILIARY MODULE USING TEXT MESSAGE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력정보의 조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관리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통신 단말기
110: 관리 서버
111: 메시징부
112: 사용이력 조사부
본 발명은 관리 서버 및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 요청 메시지를 통해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기록 요청하고, 전송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록된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사용이력정보로부터 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을 조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통신 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손쉽게 연락할 수 있게 되어 종래보다 의사 소통이 빈번해지게 되었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들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문자 서비스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욕구에 맞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종래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음성 호의 착발신, 또는 왑(WAP) 접속 등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는 특정 서버에 기록된다. 예를 들어, 왑 서버에 접속하여 왑 서비스를 이용하는 왑 접속의 경우, 상기 왑 서버는 통신 단말기와의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데이터 및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시간 정보 등을 사용이력정보로서 기록한다. 이렇듯 기록된 사용이력정보는 사용자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여 기반 기술의 개발에 참조 정보로 이용되거나 특정 사건에 대하여 객관적인 증거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 통신 단말기 내 에서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 MP3 플레이어 모듈 등의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해서는 그 사용이력정보를 기록화할 수 없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특정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에 대하여 기록화하고 이를 객관적인 증거 자료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진보된 기술적 사상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를 조사하는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문자 메시지에 따라 단말기가 현재 사용중인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단말기에 기록된 사용이력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은,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와,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기록된 사용이력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콜백 URL이 포함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송 요청 메시지로부터 콜백 URL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콜백 URL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관리서버는,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통신 단말기 내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가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기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사용이력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징부, 및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사용이력정보를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이력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는 콜백 URL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전송 요청 메시지로부터 콜백 URL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콜백 URL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관리 서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력정보의 조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10)는 통신 단말기(100)의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를 조사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기(100)로 기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UMS(Unified Message Service)에 따른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로서, 특정 메시징 서버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되는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를 메모리에 기록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는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플래시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이력정보는 모듈 코드, 사용 시작시간 정보, 및 사용 종료시간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사용이력정보를 통해 어떤 부가 기능 모듈이 어느정도의 시간 동안 사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통해 해당 부가 기능 모듈의 특정 기간 동안에의 사용 빈도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10)의 상기 메시징부(111)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는 소정 데이터베이스의 주소 정보를 콜백 URL로 포함하고,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로부터 상기 콜백 URL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사용이력정보를 상기 콜백 URL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10)의 사용이력 조사부(11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사용이력 조사부(112)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100)에서의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을 기록화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메시징부(111) 및 사용이력 조사부(112)가 동일한 시스템인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상기 메시징부(111) 및 상기 사용이력 조사부(112)는 상호 독립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메시징부(111)는 종래 이동통신사의 서버에서 구현되고, 상기 사용이력 조사부(112)는 특정 기업의 서버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기록된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는 통신 단말기(100)의 부가 기능에 대한 사용 빈도 또는 사용 시간을 조사하여 통신 단말기(100) 개발에 중요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 및 관리 서버(11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1에서 관리 서버(110)는 부가 기능 모듈을 구동하는 통신 단말기(100)로 사용이력정보에 대한 기록을 요청하는 기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는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와 구분되는 포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TID(transaction 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고유 식별되는 상기 TID를 통해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가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는 특정 수신 번호를 통해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와 구별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는 '111' 또는 '222' 등의 특정 숫자로 시작되는 발신측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숫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메시지를 기록 요청 메시지로 인식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활성화되는 부가 기능 모듈을 모니터링하며, 단계 203에서, 활성화된 부가 기능 모듈이 선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부가 기능의 선택 과정 또는 오 입력에 따른 부가 기능 모듈의 활성화를 무시한다. 즉, 상기 통신 단말기(100)에서 현재 활성화되는 부가 기능 모듈이 선정된 시간이상 유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현재 활성화된 부가 기능 모듈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202를 계속 수행하며, 상기 현재 활성화된 부가 기능 모듈이 선정된 시간이상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단계 204에서, 상기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를 메모리에 기록한다. 일례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관리 서버(110)로부터 기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활성화된 부가 기능 모듈이 10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부가 기능 모듈이 선정된 시간이상 동안 사용된다고 판단하고, 상기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에 기록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는 모듈 코드, 사용 시작시간 정보, 및 사용 종료시간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300)는 사용이력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모듈 코드 필드, 사용 시작시간 정보 필드, 및 사용 종료시간 정보 필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 코드 필드는 각각의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독립적인 모듈 코드를 기록한다. 일례로 상기 모듈 코드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코드 및 MP3 플레이어 모듈에 대한 코드 등 각각의 모듈에 대해 고유 식별 가능하다.
상기 사용 시작시간 정보 필드에는 각각의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활성화 시간에 대한 사용 시작시간이 기록되고, 상기 사용 종료시간 정보 필드에는 상기 각각의 사용 시작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비활성화 시간인 사용 종료시간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사용 시작시간 정보 및 상기 사용 종료시간 정보를 통해 각각의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 시간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로서, 상기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시작타입 정보를 더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시작타입 정보는 상기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을 어떠한 경로로 시작했는지에 대한 정보이며, 특정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넘버 또는 콜백 URL을 통해 접속한 경우 또는 부가 기능 선택 메뉴를 통한 활성화 경우 등에 따라 시작타입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도 3의 도면부호 301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의 메모리(300)에 기록된 사용이력정보는 모듈 코드로서 '코드1'를 기록하고, 상기 '코드1'은 14:00부터 14:27까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 관리 서버(110)는 단계 205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로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사용이력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는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상기 사용이력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특정 TID를 포함하여 일반 메시지와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할 목적지 주소를 콜백 URL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콜백 URL은 관리 서버(110) 측의 데이터베이스를 지칭한다.
이에, 단계 206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콜백 URL을 독출하며, 독출된 상기 콜백 URL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MMS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07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신한 상기 관리 서버(110)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용된 부가 기능 모듈의 이력정보를 산출한다. 즉, 관리 서버(110)는 특정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 빈도수, 사용 시간, 및 어떠한 방법으로 선택(활성화)되었는지 등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통해 상기 이력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관리 서버(110)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특정 단말기로부터 조사된 이력정보를 참고하여, 단말기에 추가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에 따른 중요도를 산출하고 단말기의 제조 등에 있어서, 중요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10)는 단계 208에서, 상기 사용이력정보의 정리 또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위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100)로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사용이력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삭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209에서, 상기 삭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삭제 요청 메시지에 따라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현재 특정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를 기록 중인 경우에 상기 기록 중인 사용이력정보의 기록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메뉴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관리 서버(110)로부터 수신되는 기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사용이력정보를 기록하지 않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사용이력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려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를 기록화하려는 경우에 사용이력정보로서 기록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고, 관리 서버(110)에 기록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객관적인 증거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록 요청 메시지, 전송 요청 메시지, 및 삭제 요청 메시지는 소정의 메시징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UMS(Unified Message Service)에 따른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 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특정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을 문자 메시지로써 기록 요청 및 전송 요청하는 관리 서버를 제공하여 신속하고 객관적인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부가 기능 모듈이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기존의 메시징 서버를 그대로 이용하여 상기 부가 기능 모듈에 대한 사용이력정보를 조사 요청함으로써, 사용되는 비용의 절감 효과를 꾀할 수 있다.

Claims (14)

  1.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기록된 사용이력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콜백 URL이 포함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전송 요청 메시지로부터 콜백 URL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콜백 URL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이력정보는,
    모듈 코드, 사용 시작시간 정보, 또는 사용 종료시간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UMS(Unified Message Service)에 따른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이력정보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이력정보의 기록을 요청하는 기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UMS(Unified Message Service)에 따른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이력정보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상기 단계는,
    소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이력정보의 기록을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이력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삭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록 중인 상기 사용이력정보의 기록을 중단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사용이력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요청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UMS(Unified Message Service)에 따른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이력정보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부가 기능 모듈의 활성화가 선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유지되는 경우, 상기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 제공 방법.
  10.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통신 단말기 내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가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기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사용이력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징부; 및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사용이력정보를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이력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는 콜백 URL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전송 요청 메시지로부터 콜백 URL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콜백 URL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관리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UMS(Unified Message Service)에 따른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관리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 상기 사용이력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삭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삭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록 중인 상기 사용이력정보의 기록을 중단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사용이력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관리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요청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UMS(Unified Message Service)에 따른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관리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부가 기능 모듈의 활성화가 선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유지되는 경우, 상기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관리서버.
KR1020060021699A 2006-03-08 2006-03-08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조사하는 관리서버 및 방법 KR100785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699A KR100785091B1 (ko) 2006-03-08 2006-03-08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조사하는 관리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699A KR100785091B1 (ko) 2006-03-08 2006-03-08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조사하는 관리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922A KR20070091922A (ko) 2007-09-12
KR100785091B1 true KR100785091B1 (ko) 2007-12-12

Family

ID=3868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699A KR100785091B1 (ko) 2006-03-08 2006-03-08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조사하는 관리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0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555A (ko) * 2003-12-16 2005-06-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통신장치와 무선통신장치 자체 옵트인 설정 방법 및시스템과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555A (ko) * 2003-12-16 2005-06-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통신장치와 무선통신장치 자체 옵트인 설정 방법 및시스템과 그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922A (ko)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352B1 (ko) 국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US8359014B2 (en) I am driving/busy automatic response system for mobile phones
US8412161B2 (en) “I am driving/busy” automatic response system for mobile phones
JP4728387B2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上のワイヤレスデバイスの接続品質を判定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041342B2 (en) Moving notification message
KR100987133B1 (ko) 영상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8570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행위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951568A (zh) 短信信息拦截处理方法及装置
KR100981763B1 (ko) 발신자 식별 멀티미디어 컨텐츠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623629B1 (ko) 통신 단말기에서 하나 이상의 개인 정보에 대한 보안을설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100785091B1 (k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 기능 모듈의 사용이력정보를조사하는 관리서버 및 방법
KR100606238B1 (ko) 단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0138954B (zh) 一种通话记录的管理方法及终端
KR100678336B1 (ko) 지도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KR100622677B1 (ko) 휴대단말기와 녹음서버를 이용한 음성메모 녹음/재생시스템 및 방법
KR100815240B1 (ko) Dmb와 연동하여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KR101857537B1 (ko) 악의 호 신고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KR100719432B1 (ko) 특정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 및 지능망서버의 동작 방법, 상기 방법을 채용한 교환기 및 지능망서버
KR100726478B1 (ko)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착신 응답을 제공하는 발신교환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발신 교환기와착신 알림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가입 확인 응답을제공하는 지능망 서버
KR101100249B1 (ko) 브랜드 정보를 이용한 통신방법 및 이를 위한 브랜드 스위칭 서버
KR2006003950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50098188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유지보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05596B1 (ko) 음성 메일 시스템의 음성 메일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12895A (ko) 부재중 전화번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