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983B1 -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983B1
KR100784983B1 KR1020060135322A KR20060135322A KR100784983B1 KR 100784983 B1 KR100784983 B1 KR 100784983B1 KR 1020060135322 A KR1020060135322 A KR 1020060135322A KR 20060135322 A KR20060135322 A KR 20060135322A KR 100784983 B1 KR100784983 B1 KR 100784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ethylene
weight
parts
polypropylen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보
안종인
김종범
유영우
Original Assignee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필렌 85 ~ 99.5 중량부 및 에틸렌 0.5 ~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A) 83 ~ 97 중량부; 및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B),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C) 및 폴리부텐-1 중합체(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 3 ~ 17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은 외관, 내충격성, 내열성, 및 안티블록킹성 등이 매우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부텐-1, 레토르트

Description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Polypropylene block co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heat resistance, impact strength, and orange peel}
본 발명은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필렌 85 ~ 99.5 중량부 및 에틸렌 0.5 ~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A) 83 ~ 97 중량부; 및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B),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C) 및 폴리부텐-1 중합체(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 3 ~ 17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은 살균처리한 후에 백화, 열융착, 및 열변형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피쉬아이등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외관(이하 “오렌지필 현상”)이 우수하며,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내열성 및 안티 블록킹성이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탁월한 외관, 기계적 특성, 및 포장 적합성 등을 지니기 때문에, 식품 포장, 또는 섬유 포장 등과 같은 포장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각각 포함하는 연신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각각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각종 포장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연신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각각의 필름에 대해 사용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따라 외관,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내열성, 및 안티블록킹성 중에서 하나 이상의 특성이 불충분하다.
구체적으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은 외관 및 내열성이 탁월하지만,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불량하다. 또한, 프로필렌과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은 외관,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불량하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은 내충격성은 양호하나 피쉬아이의 발현으로 외관이 불량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은 하기와 같다.
대한 민국 특허공보 제1998-081868호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레올레핀계 열가소성 일레스토머 15 ~ 200 중량부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심층으로 하고, 이 심층의 양측에 피복층으로서 폴리 프로필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0.5 ~ 20중량부로 혼합한 층을 적층한 필 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필름은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개선할 수는 있으나, 오렌지필 및 박리강도가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일본 특허공보 제2003-183418호는 융점이 150 ~ 168℃의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으로서, 필름의 표면 거칠기 변형율이 -10 ~ 50%인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필름은 오렌지필을 개선할 수는 있으나, 충격강도 및 박리강도가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보 제2003-55510호는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 75 ~ 90중량부 및 프로필렌 함유량이 75 ~ 85중량부의 프로필렌 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성분 10 ~ 25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은 특히 공중합체 성분의 점도가 2 ~ 4 dl/g이고 조성물의 MFR이 0.5 ~ 10(g/10min)인 프로필렌 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내충격성이 개선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나 내열성 및 오렌지필성이 개선된 제품이 아니다.
일본 특허 공보 제2003-95251호는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 (A), 프로필렌 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성분(B) 및 에틸렌 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성분(C)으로 구성되고, MFR(230℃)이 0.01 ~ 2(g/10min) 미만의 조성물로서, (A)/(B)의 중량비가 85/15 ~ 97/3이고, (B)의 극한 점도가 2.5 ~ 4.5(dl/g)이며, 프로필렌 함유량이 65 ~ 80%이며, (C)의 밀도가 0.865 ~ 0.910(g/㎤)인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개선된 제품의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조성물은 오렌지필이 개선된 제품이 아니다.
따라서, 내충격성, 내열성, 및 안티블록킹성 등이 우수하면서도 외관이 우수 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 내충격성, 오렌지필 현상, 내열성, 박리강도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한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필렌 85 ~ 99.5 중량부 및 에틸렌 0.5 ~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A) 83 ~ 97 중량부; 및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B),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C) 및 폴리부텐-1 중합체 (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 3 ~ 17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의 각 성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수지로서 프로필렌 85 ~ 99.5 중량부 및 에틸렌 0.5 ~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83 ~ 9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함량이 85 중량부 미만이고, 에틸렌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피쉬아이 및 오렌지필의 생성으로 외관상태가 불량하고, 프로필렌의 함량이 99.5 중량부를 초과하고, 에틸렌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충격강도가 불량하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이 83 중량부 미만이면, 필름 살균시 오렌지필 현상 및 피쉬아이가 심하게 발생하는 등 가공성이 열세이며, 97 중량부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1차 반응기에서 프로필렌을 중합하고, 2차 반응기에서 에틸렌을 공중합 하여 폴리프로필렌 부분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분을 포함하는 용융 온도가 150 ~ 165℃이고, 용융지수(ASTM D1238)가 1 ~ 5g/10min(230℃, 2.16k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 온도가 150℃ 미만이면, 필름 제품의 살균 후의 필름 표면에 오렌지필 현상이 발생하고, 용융 온도가 165℃를 초과하면 열접착성이 열세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융지수(ASTM D1238)가 1 g/10min 미만이면, 가공성 및 외관이 불량하고, 5 g/10min을 초과하면 충격강도 및 박리강도가 불량하다.
또한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부분의 고유점도가 2.0 ~ 3.0 ml/g이고, 용융지수(ASTM D1238)는 1.0 ~ 5.0g/10min(230℃, 2.16kg)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분의 고유점도가 2.0 ~ 3.5ml/g이고, C2 함량이 25 ~ 4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분의 고유 점도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C2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렌지 필 현상 및 피쉬아이가 다량 검출되므로 필름용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B) ~ (D) 에틸렌 포함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부텐-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조수지로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B),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C) 및 폴리부텐-1 중합체 (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 3 ~ 17 중량부를 포함한다. 즉, 본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부텐-1 중합체를 각각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3 성분 중 2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3 성분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체 수지 성분에 대하여 상기 보조수지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충격강도를 보완하는 효과가 적고, 17 중량부를 초과하면 피쉬아이 및 오렌지필성 현상이 나타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B)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밀도가 0.91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0 ~ 0.910g/㎤이고, 융용지수(ASTM D1238)가 1 ~ 10g/10min(190℃, 2.16kg)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0.910g/㎤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불량하고, 용융지수가 1 g/10min 미만이면 피쉬아이 및 외관이 불량하며, 10 g/10min을 초과하면 충격강도 및 살균 후 외관이 불량하다.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C)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밀도가 0.91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0 ~ 0.910g/㎤ 이하이고, 융용지수(ASTM D1238)가 1 ~ 10g/10min(190℃, 2.16kg)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0.910g/㎤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불량하고, 용융지수가 1 g/10min 미만이면 피쉬아이 및 외관이 불량하며, 10 g/10min을 초과하면 충격강도 및 살균 후 외관이 불량하다.
또한 상기 폴리부텐-1 중합체 (D)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밀도가 0.91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0 ~ 0.910g/㎤ 이고, 융용지수(ASTM D1238)가 1 ~ 10g/10min(190℃, 2.16kg)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0.910g/㎤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불량하고, 용융지수가 1g/10min 미만이면 피쉬아이 및 외관이 불량하며, 10g/10min을 초과하면 충격강도 및 살균 후 외관이 불량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필름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내열안정제, 슬립제, 및 중화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특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제조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름은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압출기의 스크류 속도(Screw Speed) 및 압출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가공 조건이 적절한 범위를 초과하면 오렌지필 현상 및 피쉬아이 현상이 현저히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은 레토르트 필름과 같이 식품 포장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85 중량부, B)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밀도 0.885g/㎤, 용융지수(190℃, 2.16kg) 3.6g/10min] 5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 min] 5 중량부, 및 폴리부텐-1 중합체[밀도 0.900g/㎤, 용융지수(190℃, 2.16kg) 4.0g/10 min] 5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3.0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가. 용용지수: ASTM D1238 (230℃, 2.16kg)
나. 융점(Tm): 차동 주사 열량계[상표명 DSC, 퍼킨-엘머 캄파니(Perkin-Elmer Co.)에서 제조함]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대기 하에 220℃에서 5분 동안 시험편 10mg을 예비 용융시킨 후, 온도를 5℃/min의 감온 속도로 40℃로 강하시킨다. 그 후, 온도를 5℃/min의 승온 속도로 상승시키고, 수득된 용융 흡열 곡선의 최대 피크의 피크 온도를 융점(Tm)으로서 정의하였다. 또한, 5℃/min의 승온 속도에서 상기한 측정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된 인듐(In)의 융점은 156.6℃이다.
[필름 특성]
두께가 70㎛인 각각의 필름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다.
가. 외관
직경이 약 200㎛이상인 피쉬아이를 각각의 샘플에서 가시적으로 관찰하고, 피쉬아이의 수가 약 8ea/1000㎠ 이하인 필름을 우수하다고 정의하며, 피쉬아이의 수가 약 15/1000㎠ 이상인 필름을 불량하다고 정의하였다.
나. 오렌지필
필름의 외관형태를 가시적으로 관찰하는 것으로 필름 표면의 형상이 귤껍질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는 필름을 불량하다고 하며, 일반 CPP형태의 매끈한 표면을 가진 것을 우수하다고 정의하였다.
다. 충격 강도
70 ~ 80㎛로 성형된 필름을 20㎝ * 30㎝ 규격으로 재단한 다음 각각의 충격 강도를 도요세끼 세이사꾸 쇼 LTD에서 제조한 필름 충격 시험기에 의해 직경이 15mm인 반구형 충격 헤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라. 내열성 Test
살균전의 완제품 필름을 고압 살균솥에서 고온(140℃), 고압(1.5kg/㎠)하에 서 5분 동안 가열 후 필름의 외형의 변형 정도를 관찰후 정리 하였다.
마. 박리강도
살균된 완제품의 필름으로 열접착을 시키고 접착된 필름을 폭 15mm로 재단하여 필름의 계면 박리강도를 23℃에서 200mm/min의 박리속도로 180°의 박리각에서 서로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86 중량부,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밀도 0.885g/㎤, 용융지수(190℃, 2.16kg) 3.6g/10 min] 7 중량부,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 min] 7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5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86 중량부,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밀도 0.885g/㎤, 용융지수(190℃, 2.16kg) 3.6g/10min] 7 중량부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수지[밀도 0.900g/㎤, 용융지수(190℃, 2.16kg) 4.0g/10min] 7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86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 min] 7 중량부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수지[밀도 0.900g/㎤, 용융지수(190℃, 2.16kg) 4.0g/10 min] 7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6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93 중량부 및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밀도 0.885g/㎤, 용융지수(190℃, 2.16kg) 3.6g/10 min] 7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3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93 중량부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 min] 7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2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93 중량부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수지[밀도 0.900g/㎤, 용융지수(190℃, 2.16kg) 4.0g/10 min] 7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4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100 중량부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80 중량부 및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밀도 0.885g/㎤, 용융지수(190℃, 2.16kg) 3.6g/10min] 20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6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80 중량부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 min] 20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4g/10min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 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1.0g/10 min] 80 중량부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수지[밀도 0.900g/㎤, 용융지수(190℃, 2.16kg) 4.0g/10 min] 20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7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98 중량부 및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밀도 0.885g/㎤, 용융지수(190℃, 2.16kg) 3.6g/10min] 2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3.4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98 중량부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 min] 2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3.4g/10min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1.0g/10 min] 98 중량부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수지[밀도 0.900g/㎤, 용융지수(190℃, 2.16kg) 4.0g/10 min] 2 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3.6 g/10min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min] 80 중량부,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밀도 0.885g/㎤, 용융지수(190℃, 2.16kg) 3.6g/10 min] 10 중량부,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 min] 10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2.8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80 중량부,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밀도 0.885g/㎤, 용융지수(190℃, 2.16kg) 3.6g/10min] 10 중량부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수지[밀도 0.900g/㎤, 용융지수(190℃, 2.16kg) 4.0g/10min] 10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3.1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0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용융지수(230℃, 2.16kg) 2.0g/10 min] 80 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밀도 0.867g/㎤, 용융지수(190℃, 2.16kg) 2.9g/10 min] 10 중량부,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수지[밀도 0.900g/㎤, 용융지수(190℃, 2.16kg) 4.0g/10 min] 10중량부를 혼련하여 용융지수가 3.1 g/10min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부텐-1 중합체 용융지수
함량(중량부) 함량(중량부) 함량(중량부) 함량(중량부) g/10min
실시예 1 85 5 5 5 3.0
실시예 2 86 7 7 0 2.5
실시예 3 86 7 0 7 2.8
실시예 4 86 0 7 7 2.6
실시예 5 93 7 0 0 2.3
실시예 6 93 0 7 0 2.2
실시예 7 93 0 0 7 2.4
비교예 1 100 0 0 0 2.0
비교예 2 80 20 0 0 2.6
비교예 3 80 0 20 0 2.4
비교예 4 80 0 0 20 2.7
비교예 5 98 2 0 0 3.4
비교예 6 98 0 2 0 3.4
비교예 7 98 0 0 2 3.6
비교예 8 80 10 10 0 2.8
비교예 9 80 10 0 10 3.1
비교예 10 80 0 10 10 3.1
필름물성
충격강도(g) 외관 오렌지필 내열성 Test 박리강도(살균후)
실시예 1 2000 8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30N/15mm
실시예 2 1800 8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28N/15mm
실시예 3 1850 8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28N/15mm
실시예 4 1900 8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29N/15mm
실시예 5 1700 5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24N/15mm
실시예 6 1700 5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25N/15mm
실시예 7 1750 5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27N/15mm
비교예 1 680 5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17N/15mm
비교예 2 1900 20ea/1000㎠ 발생 발생(변형) 24N/15mm
비교예 3 1900 20ea/1000㎠ 발생 발생(변형) 24N/15mm
비교예 4 2000 20ea/1000㎠ 발생 발생(변형) 25N/15mm
비교예 5 750 8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17N/15mm
비교예 6 770 8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17N/15mm
비교예 7 780 8ea/1000㎠ 양호(발생X) 양호(변형 없음) 18N/15mm
비교예 8 2000 20ea/1000㎠ 발생 발생(변형) 27N/15mm
비교예 9 2000 20ea/1000㎠ 발생 발생(변형) 25N/15mm
비교예 10 2000 20ea/1000㎠ 발생 발생(변형) 28N/15mm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피쉬아이 및 오렌지 필성은 양호하나 충격강도 및 살균 후 박리 강도가 개선되지 않았다. 비교예 2 ~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부텐-1 중합체를 20 중량부를 사용시 충격강도 및 박리강도는 뛰어나나 피쉬아이를 개선할 수 없으며, 살균 후 오렌지필성 또한 개선 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5 ~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부텐-1 중합체를 2 중량부로 사용시 피쉬아이, 오렌지필성 및 내열성은 뛰어나나 충격강도 및 박리 강도가 개선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8 ~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부텐-1 중합체를 각각 10 중량부를 사용하여 2개를 블렌드하여 사용시 충격강도 및 살균 후 박리강도는 뛰어나나 피쉬아이, 오렌지필성 및 내열성등은 개선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7에 나타나 바와 같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부텐-1 중합체의 조성비를 3 ~ 17 중량부로 조정하여 사용시 충격강도, 피쉬아이, 오렌지필, 내열성 및 박리강도 등이 개선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 외관, 오렌지필성 및 열봉합성이 우수한 식품 포장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프로필렌 85 ~ 99.5 중량부 및 에틸렌 0.5 ~ 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A) 83 ~ 97 중량부; 및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B),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C) 및 폴리부텐-1 중합체(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 3 ~ 1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1차 반응기에서 프로필렌을 중합하고, 2차 반응기에서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폴리프로필렌 부분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분을 포함하는 용융 온도가 150 ~ 165℃이고, 용융지수(ASTM D1238)가 1 ~ 5g/10min(23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부분의 고유점도가 2.0 ~ 3.0 ml/g이고, 용융지수(ASTM D1238)는 1.0 ~ 5.0g/10min(23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분의 고유점도가 2.0 ~ 3.5ml/g이고, C2함량이 25 ~ 4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밀도가 0.910g/㎤ 이하이고, 용융지수(ASTM D1238)가 1 ~ 10g/10min (19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밀도가 0.910g/㎤ 이하이고, 용융지수(ASTM D1238)가 1 ~ 10 g/10min (19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7.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부텐-1 중합체는 밀도가 0.910g/㎤ 이하이고, 용융지수(ASTM D1238)가 1 ~ 10 g/10min (19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제조된 필름.
KR1020060135322A 2006-12-27 2006-12-27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078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322A KR100784983B1 (ko) 2006-12-27 2006-12-27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322A KR100784983B1 (ko) 2006-12-27 2006-12-27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983B1 true KR100784983B1 (ko) 2007-12-11

Family

ID=3914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322A KR100784983B1 (ko) 2006-12-27 2006-12-27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9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84B1 (ko) * 2013-06-25 2013-11-06 현대이피 주식회사 열가소성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KR101453533B1 (ko) 2014-02-11 2014-10-23 주식회사 네고팩 폴리프로필렌 용기에 부착하는 계면 박리형 필름
KR20180039773A (ko) * 2016-10-10 2018-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184B1 (ko) 1997-03-04 1999-06-01 이영일 내열성이 우수한 레토르트용 무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366569B1 (ko) 2000-05-26 2003-01-09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3327643A (ja) 2002-05-15 2003-11-19 Sumitomo Chem Co Ltd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184B1 (ko) 1997-03-04 1999-06-01 이영일 내열성이 우수한 레토르트용 무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366569B1 (ko) 2000-05-26 2003-01-09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3327643A (ja) 2002-05-15 2003-11-19 Sumitomo Chem Co Ltd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84B1 (ko) * 2013-06-25 2013-11-06 현대이피 주식회사 열가소성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KR101453533B1 (ko) 2014-02-11 2014-10-23 주식회사 네고팩 폴리프로필렌 용기에 부착하는 계면 박리형 필름
KR20180039773A (ko) * 2016-10-10 2018-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3360B2 (ja) 積層フィルム組成物、それらから作製される包装品、および使用方法
EP2416961B1 (en) High performance sealable coextrud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JP5261196B2 (ja) 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101452147B1 (ko)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JP2013503756A (ja) 多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これ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100784983B1 (ko) 내열성,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EP1680451B1 (en) Improved properties of polyolefin blends and their manufactured articles
JPH0577371A (ja) 積層フイルム
JP459868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KR101145072B1 (ko) 과산화물을 이용한 충격강도 및 오렌지필이 개선된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0550313B1 (ko) 저온열접착성, 투명성 및 인열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JP4601988B2 (ja) 二軸延伸エチレン重合体フィルム
USH1274H (en) Polypropylene-polybutylene heat sealable laminated packaging film with improved optics
JP5795802B2 (ja) 接着性が改善したポリプロピレン/ポリエチレン多層フィルム
JP2021091115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70502B2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US20230357550A1 (en)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roducts
JP2000218745A (ja) ポリエチレン系積層フィルム
JP2021066468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H02199144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4226348A (ja) 改良された引裂強さを有するポリプロピレン−ポリブチレンの積層された包装フイルム
KR20210065313A (ko)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0783554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JP3722656B2 (ja) 積層フイルム
KR20210066218A (ko) 충격강도 및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