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145B1 - 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 - Google Patents

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145B1
KR100783145B1 KR1020020022242A KR20020022242A KR100783145B1 KR 100783145 B1 KR100783145 B1 KR 100783145B1 KR 1020020022242 A KR1020020022242 A KR 1020020022242A KR 20020022242 A KR20020022242 A KR 20020022242A KR 100783145 B1 KR100783145 B1 KR 100783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robot
driving
suction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83524A (en
Inventor
송정곤
고장연
정재식
크라에브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145B1/en
Publication of KR2003008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5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1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청소 로봇은, 주행을 위한 복수의 구동휠을 구비한 로봇 본체; 상기 로봇 본체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흡입포트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오물을 집진하는 흡진부;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도록 상기 로봇 본체의 하면 일측에 그 일단이 조인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봇 본체의 내외로 출몰하는 선회형 흡입구; 상기 선회형 흡입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인 모터; 상기 로봇 본체의 주행 거리 및 주행로상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처리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휠, 흡진부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 로봇은, 소정의 주행 경로를 따라 청소를 수행하던 중 구석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가 나타나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선회형 흡입구가 로봇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소정 회전 반경으로 회전하면서 구석의 오물을 흡입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청소가 용이치 않았던 구석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 등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body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for traveling; A suction unit generating suction force at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and collecting dust collected in air sucked by the suction port; A rotatable suction por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bot main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such that one end of the robot main body is rotatable by a joint; A motor that is a drive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wing-type suction port;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driving distance of the robot body and an obstacle on a driving path;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signals of the sensor unit and to control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the reducer, and the motor. I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rner or a wall near the wall appears while cleaning along a predetermined driving path, the motor is driven by a signal from a controller to rotate the suction inlet from the robot body so that a predetermined rotation is performed. Suction dirt in the corners while rotating in a radius. Therefore, the corner, the place adjacent to the wall, etc. which were not easy to clean conventionally can be cleaned effectively, and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로봇, 청소로봇, 회전암, 흡입포트, 보조흡입구Robot, Cleaning Robot, Rotating Arm, Suction Port, Auxiliary Suction

Description

선회형 흡입구를 가지는 청소 로봇{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청소 로봇의 한 예를 나타낸 커버 분리 상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separated state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cleaning robot;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청소 로봇의 저면도,2 is a bottom view of the cleaning robot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회형 흡입구를 가지는 청소 로봇을 나타낸 저면도, 그리고,3 is a bottom view showing a cleaning robot having a swing suc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회형 흡입구를 가지는 청소 로봇의 구석 청소 예를 보인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4A and 4B are bottom and sid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leaning a corner of a cleaning robot having a swing suc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로봇 본체 11,12;구동휠10; robot body 11, 12; drive wheel

20;흡진부 40;센서부20; Suction part 40; Sensor part

50;제어부 300;선회형 흡입구50; control unit 300; swing type inlet

310;조인트 320;모터310; Joint 320; Motor

330;브러시 340;가이드 롤러330; brush 340; guide roller

400;스토퍼400; stopper

본 발명은 청소 로봇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석진 부분이나 협소한 장소 등을 청소하기 위하여 로봇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회전 돌출되는 선회형 흡입구를 가지는 청소 로봇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robot having a pivoting suction inlet that is selectively rotated and protruded from the robot body in order to clean a corner portion or a narrow plac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청소 로봇은 사용자의 조작없이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이다.As is well known, the cleaning robot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an area to be cleaned by suctioning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driving itself in the area to be cleaned without a user's operation.

상기와 같은 청소 로봇의 한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such a cleaning robot i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도 1은 일반적인 청소 로봇의 커버 분리 상태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로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로봇 본체, 20은 흡진부, 30은 흡입구, 40은 센서부, 50은 제어부, 그리고, 60은 배터리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of a general cleaning robot, FIG. 2 is a bottom view of FIG. 1, wherein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robot body, 20 a suction unit, 30 a suction port, 40 a sensor unit, 50 a control unit, And 60 is a battery.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본체(10)의 양측에는 주행을 위한 복수의 구동휠(11)(12)이 설치된다. 이러한 로봇 본체(10)는 대략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 로봇 본체(10)에는 대략 반구형의 커버가 설치되나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As shown,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11 and 12 for driving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bot body 10. The robot body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the robot body 10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cover, but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상기 흡진부(20)는 상기 로봇 본체(10)에 형성된 흡입포트(도시되지 않음)에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바닥의 먼지를 집진하는 것으로써, 진공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이 진공모터의 구동에 의해 흡입포트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하는 진진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uction unit 20 collects dust on the floor by generating a strong suction force on a suction port (not shown) formed in the robot body 10, thereby driving a vacuum motor (not shown) and driving the vacuum motor. It comprises a dust chamber (not shown) for collecting the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by the.                         

상기 흡입구(30)는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도록 로봇 본체(1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바닥의 먼지를 털어내기 위한 회전 가능한 브러시(31)가 설치된다.The suction port 3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and a rotatable brush 31 is installed therein to shake off dust from the bottom.

상기 센서부(40)는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로봇 몸체(10)의 측면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부(40)는 장애물 검출센서와 주행거리 검출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nsor unit 40 i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side of the robot body 10 so as to transmit a signal to the outside and receive the reflected signal. The sensor unit 4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and a travel distance detection sensor.

상기 제어부(50)는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40)는 외부의 제어장치나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휠(11)(12)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흡진부(20)의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며, 또한, 상기 센서부(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가지고 청소 로봇의 주행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50 processe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transmitter / receiver and controls each component. That is, the control unit 40 drives the driving wheels 11 and 12 by receiving a signal from an external control device or a remote controller, and also drives the vibration motor of the reducer 20, and further, the sensor unit 40. Control the running of the cleaning robot with the signal received from).

상기와 같은 청소 로봇은, 센서부(40)를 통해 청소구역내에 설치된 기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로봇 본체(10)의 구동휠(11)(12)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스스로 방향을 전환해가면서 청소구역을 청소한다.The cleaning robot as described above determin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s such as a mechanism, office supplies, walls, etc. installed in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sensor unit 40, and accordingly drives the drive wheels 11 and 12 of the robot body 10. By selectively driving, the cleaning area is cleaned while turning itself.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청소 로봇은, 비교적 크기가 큰 반구형상의 로봇 본체(10)가 청소 구역을 주행하면서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석이나 벽 등에 인접한 장소는 흡입구(30)가 미치지 못함으로써 이들 부분의 청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청소효율이 떨어지고, 또한, 청소후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구석진 부분 등을 작업자가 손으로 청소를 하거나 다른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since the general cleaning robot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suck dust and dirt while the relatively large hemispherical robot body 10 travels through the cleaning area, the suction port 30 is located near a corner or a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of these parts is not effectively performed because they do not reach. Accordingly, the overall clean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re is a hassle that the worker has to clean the corners or the like where the cleaning is not performed after cleaning by hand or by using another clea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석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 등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청소 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leaning robot capable of effectively cleaning a corner or a place adjacent to a wa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청소 로봇은, 주행을 위한 복수의 구동휠을 구비한 로봇 본체; 상기 로봇 본체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흡입포트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오물을 집진하는 흡진부;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도록 상기 로봇 본체의 하면 일측에 그 일단이 조인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봇 본체의 내외로 출몰하는 선회형 흡입구; 상기 선회형 흡입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인 모터; 상기 로봇 본체의 주행 거리 및 주행로상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처리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휠, 흡진부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obot body having a plurality of drive wheels for traveling; A suction unit generating suction force at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and collecting dust collected in air sucked by the suction port; A rotatable suction por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bot main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such that one end of the robot main body is rotatable by a joint; A motor that is a drive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wing-type suction port;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driving distance of the robot body and an obstacle on a driving path;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signals of the sensor unit and to control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the reducer, and the moto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 로봇은, 소정의 주행 경로를 따라 청소를 수행하던 중 구석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가 나타나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선회형 흡입구가 로봇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소정 회전 반경으로 회전하면서 구석의 오물을 흡입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청소가 용이치 않았던 구석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 등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rner or a wall near the wall appears while cleaning along a predetermined driving path, the motor is driven by a signal from a controller to rotate the suction inlet from the robot body so that a predetermined rotation is performed. Suction dirt in the corners while rotating in a radius. Therefore, the corner, the place adjacent to the wall, etc. which were not easy to clean conventionally can be cleaned effectively, and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회형 흡입구는 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바닥의 먼지를 털어내는 브러시와, 그 단부에 설치된 회전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ng inlet comprises a brush rotatably mounted therein to shake off dust at the bottom, and a rotation guide roller provided at an end thereof.

또한, 상기 로봇 본체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선회형 흡입구의 복귀시 그 일측단에 접촉하여 선회형 흡입구의 초기 위치는 유지시켜 주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topp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pivot type suction port to mainta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ivot type suction port.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회형 흡입구를 가지는 청소 로봇을 나타낸 저면도 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회형 흡입구를 가지는 청소 로봇의 구석 청소 예를 보인 보인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며, 본 발명의 요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cleaning robot having a swing suc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illustrate a corner cleaning example of the cleaning robot having a swing suc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view and side view shown. 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prior ar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흡입구를 가지는 청소 로봇은, 로봇 본체(10), 흡진부(20), 선회형 흡입구(300), 센서부(40), 제어부(50) 및 배터리(6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ures 1, 3 and 4, the cleaning robot having an auxiliary suc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body 10, the suction unit 20, the swing type suction port 300, the sensor The part 40, the control part 50, and the battery 60 are provided.

상기 로봇 본체(10)의 양측에는 주행을 위한 복수의 구동휠(11)(12)이 설치된다. 이러한 로봇 본체(10)는 대략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 로봇 본체(10)에는 대략 반구형의 커버가 설치되나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11 and 12 for driving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bot body 10. The robot body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the robot body 10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cover, but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상기 흡진부(20)는 상기 로봇 본체(10)에 형성된 흡입포트(도시되지 않음)에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바닥의 먼지를 집진하는 것으로써, 진공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이 진공모터의 구동에 의해 흡입포트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집진하는 진진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ction unit 20 collects dust on the floor by generating a strong suction force on a suction port (not shown) formed in the robot body 10, thereby driving a vacuum motor (not shown) and driving the vacuum motor. It comprises a dust chamber (not shown) for collecting the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by the.

상기 선회형 흡입구(300)는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도록 로봇 본체(1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선회형 흡입구(30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로봇 본체(10)의 하면 일측에 조인트(310)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선회형 흡입구(3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하면서 로봇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구석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에서는 상기 선회형 흡입구(300)가 조인트(310)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로봇 본체(10)로부터 돌출되어 구석 등에 있는 오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선회형 흡입구(300)의 회전 구동원으로서 상기 로봇 본체(10)의 하면 일측에 장착된 모터(320)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 모터(320)는 상기 제어부(50)의 구동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선회형 흡입구(300)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예컨대, 센서부(4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320)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The pivoting suction port 3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10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Here, the revolving suction port 30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by the joint 310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10 in accordance with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ivoting suction port 300 may protrude out of the robot body 10 while pivoting, as shown in FIG. 4A in an initial state as illustrated in FIG. 3. Due to this structure, the pivoting suction port 300 pivots about the joint 310 at a corner or a place adjacent to the wall, and protrudes from the robot body 10 to effectively suck dirt from the corn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3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10 is used as the rotation driving source of the swing-type suction port 3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motor 320 is driven by the controller 50. The rotational suction port 300 is driven to rotate while operating by a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40 and outputs the driving signal of the motor 320.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선회형 흡입구(300)는 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주행 경로상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오물을 털어내는 브러시(330)를 구 비하며, 또한, 선회형 흡입구(300)의 선회시 이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흡입구(300)의 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34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ng inle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ush 330 rotatably mounted therein to shake off dust and dirt pres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vel path. It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34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ction port 300 in order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300.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소 로봇은 상기 로봇 본체(10)의 하면 일측에 상기 선회형 흡입구(3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때, 그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스토퍼(400)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opper 400 for holding the position when the swing-type suction port 30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on one side of the robot body 10.

상기 센서부(40)는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로봇 몸체(10)의 측면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부(40)는 장애물 검출센서와 주행거리 검출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nsor unit 40 i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side of the robot body 10 so as to transmit a signal to the outside and receive the reflected signal. The sensor unit 4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and a travel distance detection sensor.

상기 제어부(50)는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40)는 외부의 제어장치나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휠(11)(12)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흡진부(20)의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며, 또한, 상기 센서부(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가지고 청소 로봇의 주행을 제어함과 아울러 선회형 흡입구(300)의 구동원인 모터(320)의 구동도 제어한다.The controller 50 processe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transmitter / receiver and controls each component. That is, the control unit 40 drives the driving wheels 11 and 12 by receiving a signal from an external control device or a remote controller, and also drives the vibration motor of the reducer 20, and further, the sensor unit 40.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leaning robot with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it also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320 which is the driving source of the swing-type suction port 300.

상기와 같은 청소 로봇은, 센서부(40)를 통해 청소구역내에 설치된 기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로봇 본체(10)의 구동휠(11)(12)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스스로 방향을 전환해가면서 청소구역을 청소한다. 이 때, 본 발명은 청소 로봇의 주행 중 상기 센서부(40)에 의한 구석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에 도달하였다는 신호가 제어부(50)로 수신되면, 제어부(50)는 상기 모터(320)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320)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선회형 흡입구(300)가 조인트(3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선회형 흡입구(3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소정 회전반경으로 선회하게 되며, 따라서, 흡입구(300)가 구석진 부분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까지 위치되면서 이 부분에 있는 각종 오물들을 흡입하게 된다.The cleaning robot as described above determin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s such as a mechanism, office supplies, walls, etc. installed in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sensor unit 40, and accordingly drives the drive wheels 11 and 12 of the robot body 10. By selectively driving, the cleaning area is cleaned while turning itself.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nsor unit 40 reaches a corner or a place adjacent to the wall while the cleaning robot is running, the control unit 50 drives the motor 320. The output of the signal,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320 is rotated inlet 300 is rotated about the joint (310). As a result of this, as shown in FIG. 4A, the revolving suction port 30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robot body 10 to revolve at a predetermined radius of rotation, and thus, the intake port 300 is formed at a corner or wall. It is located up to an adjacent location, and it picks up various dirts in this part.

한편, 청소 로봇이 상기와 같은 구석 부분을 벗어나게 되면, 선회형 흡입구(300)는 초기 위치, 예컨대 로봇 본체(10) 하면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이와 같은 복귀 과정에서 흡입구(300)의 일측단이 로봇 본체(10)에 형성된 스토퍼(400)에 접촉되면서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leaning robot is out of the corner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swing-type suction port 30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for example,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ure 3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10, in this return process One side end of the suction port 300 may be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stopper 400 formed on the robot body 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청소 로봇은 흡입구(300)가 선택적으로 로봇 본체(10)로부터 돌출되어 소정 회전반경으로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는 청소가 어려웠던 구석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 등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ction port 300 selectively protrudes from the robot body 10 and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corner or a place adjacent to the wall, which has previously been difficult to clean. Can be cleaned effective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가 로봇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하여 소정 회전 반경으로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청소가 어려웠던 구석이나 벽에 인접한 장소(즉 청소 로봇이 주행할 수 없는 협소한 장소) 등도 효과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목적하는 청소 구역을 청소 로봇이 단 한 번 주행하는 것으로 완벽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청소후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을 다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ction port can selectively protrude from the robot body and pivot at a predetermined radius of rotation, a place adjacent to a corner or a wall that has been difficult to clean in the past (that is, a narrow space where the cleaning robot cannot travel) Cleaning in one place). Therefore, the overall clea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since the cleaning robot can completely clean the target cleaning area by only running once, cleaning the parts where the cleaning is not performed after cleaning as in the prior art. You can eliminate the hassl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주행을 위한 복수의 구동휠을 구비한 로봇 본체;A robot body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for driving; 상기 로봇 본체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흡입포트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오물을 집진하는 흡진부;A suction unit generating suction force at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and collecting dust collected in air sucked by the suction port;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도록 상기 로봇 본체의 하면 일측에 그 일단이 조인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로봇 본체의 내외로 출몰하는 선회형 흡입구;A rotatable suction por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bot main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such that one end of the robot main body is rotatable by a joint; 상기 선회형 흡입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인 모터;A motor that is a drive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wing-type suction port; 상기 로봇 본체의 주행 거리 및 주행로상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driving distance of the robot body and an obstacle on a driving path; And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처리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휠, 흡진부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로봇.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signals of the sensor unit and control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the suction unit, and the mo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회형 흡입구는 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바닥의 먼지를 털어내는 브러시와, 그 단부에 설치된 회전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로봇.The pivoting suction inlet is rotatably mounted therein, and includes a brush to shake off dust on the floor and a rotating guide roller provided at an end thereo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로봇 본체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선회형 흡입구의 복귀시 그 일측단에 접촉하여 선회형 흡입구의 초기 위치는 유지시켜 주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로봇.And a stopp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body to contact the one end of the pivot type suction port to mainta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ivot type suction port.
KR1020020022242A 2002-04-23 2002-04-23 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 KR1007831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242A KR100783145B1 (en) 2002-04-23 2002-04-23 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242A KR100783145B1 (en) 2002-04-23 2002-04-23 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524A KR20030083524A (en) 2003-10-30
KR100783145B1 true KR100783145B1 (en) 2007-12-07

Family

ID=3238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242A KR100783145B1 (en) 2002-04-23 2002-04-23 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1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907B1 (en) 2006-05-01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for sensing obsta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331661B1 (en) * 2011-09-23 201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14A (en) * 1993-06-19 1995-01-03 장근홍 Grape stem binding clip
KR950000141A (en) * 1993-06-02 1995-01-03 알도 파시 Use of L-carnitine O-esters containing aromatic acids for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KR20000000978U (en) * 1998-06-18 2000-01-15 배길성 Suction device of traveling robot for robot cleaner
KR20000009782A (en) * 1998-07-28 2000-02-15 윤종용 Dish was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141A (en) * 1993-06-02 1995-01-03 알도 파시 Use of L-carnitine O-esters containing aromatic acids for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KR950000014A (en) * 1993-06-19 1995-01-03 장근홍 Grape stem binding clip
KR20000000978U (en) * 1998-06-18 2000-01-15 배길성 Suction device of traveling robot for robot cleaner
KR20000009782A (en) * 1998-07-28 2000-02-15 윤종용 Dish wash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978호(2000.01.15,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5-000014호(1995.01.03,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524A (en)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387B1 (en) Wheel assembly for robot vacuum cleaner
US20050166356A1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20050012047A (en) Robot cleaner having a rotating damp cloth
JP2002355204A (en) Traveling vacuum cleaner
US20070252549A1 (en) Robot having an obstacle detection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3047579A (en) Vacuum cleaner
KR20050108556A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KR100479379B1 (en) Self-moving robot cleaner
JPS62292124A (en) Self-propelling cleaner
CN109982624B (en) Autonomous walking type dust collector
JPH0732752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JP6757575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JP2003225184A (en) Cleaning device
KR20070091718A (en) A robot cleaner
KR20040013383A (en) Cleaning robot
WO2019087378A1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100783145B1 (en) 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
KR20030083525A (en) Cleaning robot having a revolving sucking device
KR100619797B1 (en) Robot cleaner able to clean the corner of a wall
KR100545375B1 (en) Robot cleaning machine
KR20050028248A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JP2003052582A (en) Cleaning equipment
KR100677259B1 (en) Brush apparatus for robot cleaner
KR100595543B1 (en) Method for cleaning corner of a robot cleaner
KR100481666B1 (en) suction equipment of vacuum cleaning robot worked by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