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880B1 -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2880B1 KR100782880B1 KR1020010043484A KR20010043484A KR100782880B1 KR 100782880 B1 KR100782880 B1 KR 100782880B1 KR 1020010043484 A KR1020010043484 A KR 1020010043484A KR 20010043484 A KR20010043484 A KR 20010043484A KR 100782880 B1 KR100782880 B1 KR 1007828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t filter
- lint
- housing
- pressure
- 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린트필터(44)에 의해 건조쳄버(35)와 구획되는 린트덕트(45) 내부에 걸리는 압력으로 린트필터(44)의 막힘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기 린트덕트(45) 내부와 연통되게 압력연동호스(62)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연동호스(62)가 표시유니트(60)의 하우징(63) 내부일측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3)의 타측에는 대기압과 연통되게 압력통공(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3)의 내부공간(63')에는 대기압과 압력연동호스(62)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차이에 의해 이동되는 지시구(66)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63)에 구비된 투명창(65)을 통해 상기 지시구(66)의 이동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린트필터(44)의 막힘정도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린트필터, 막힘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드럼 35: 건조쳄버
37: 전면헤드 39: 후면헤드
43: 출구조립체 44: 린트필터
45: 린트덕트 47: 블로워
50: 열풍덕트 60: 표시유니트
62: 압력연통호스 63: 하우징
65: 투명창 65': 표시영역
66: 지시구 68: 스프링
본 발명은 린트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린트필터의 막힘정도를 감지하는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드럼(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은 원통형상으로 양단부가 개방되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감겨지는 벨트홈(2)이 외주면 중간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쳄버(5)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는 드럼(1)의 회전시 상기 건조쳄버(5) 내부에 있는 건조대상물을 뒤집어주는 배플(6)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게 각각 전면헤드(7)와 후면헤드(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헤드(7)와 후면헤드(9)는 상기 드럼(1)의 개방된 부분을 막아 건조쳄버(5)를 형성하고 드럼(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전면헤드(7)와 드럼(1)의 사이 및 상기 후면헤드(9)와 드럼(1)의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1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드럼(1)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헤드(7)에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8)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후면헤드(9)에는 에어공급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공급덕트(12)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 공기, 보다 정확하게는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헤드(7)의 통공(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헤드(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쳄버(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출구조립체(13)가 구비된다. 상기 출구조립체(13)에는 린트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출구조립체(13)와 연통되게 린트덕트(15)가 설치되는데, 상기 린트덕트(15)의 입구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린트필터(13)가 위치된다. 상기 린트덕트(15)와 연결되어서는 블로워(17)가 설치되어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상기 건조쳄버(5) 내부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블로워(17)는 블로워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18)은 일측이 상기 린트덕트(15)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1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덕트(1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블로워(17)의 힘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덕트(12)와 연결되게 열풍덕트(20)가 설치된다. 상기 열풍덕트(20)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건조작용을 하는 열풍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풍덕트(20)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열풍덕트(20)의 입구에는 가스노즐(22)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노즐(22)은 공급된 가스를 분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노즐(22)에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23은 가스관이다.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관(24)이 상기 열풍덕트(20)의 입구에서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는 상기 가스노즐(22)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는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된 가스와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 즉 1차공기가 섞여지게 된다. 상기 혼합관(24)의 선단에는 스파크플러그(26)가 설치되어 점화를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에 건조 대상물인 세탁포를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벨트홈(2)에 감겨있는 벨트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드럼(1)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17)가 동작되면서 상기 건조쳄버(5) 내부의 공기를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빨아낸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는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덕트(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열풍덕트(20)를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된다. 즉, 상기 가스노즐(22)을 통해 가스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스파크플러그(26)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와 같이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상기 열풍덕트(20)의 내부로 상기 블로워(17)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만들게 된다.
상기 열풍은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상기 열풍은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게 된다. 이때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공기가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상기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를 빠져나가는 공기는 상기 린트필터(14)를 통과하면서 먼지나 실밥 등의 이물이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한 공기는 상기 블로워(17)의 구동에 의해 상기 건조쳄버(5)에서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과하여 상기 린트필터(14)를 지나 린터덕트(15)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 즉 실밥이나 먼지 등이 상기 린트필터(14)에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린트필터(14)에 많은 이물이 걸리게 되면 상기 건조쳄버(5)에서 상기 린트덕트(15)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 린트필터(14)에 이물이 걸린 정도, 즉 린트필터(14)의 막힘 정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어, 린트필터(14)가 거의 막힌 상태에서 건조기가 동작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이 린트필터(14)가 막힌 상태로 건조기가 동작되면 건조쳄버(5)를 통하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해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린트필터(14)가 막힌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린트필터(14)를 린트덕트(15)에서 빼내어서 확인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린트필터의 막힘정도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동작이 설계된대로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조쳄버에서 건조작용을 한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이 걸러지는 린트필터와, 상기 건조쳄버로부터 상기 린트필터를 통과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조립체와, 상기 린트필터와 송풍팬조립체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압력에 따라 상기 린트필터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표시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표시유니트는, 상기 린트필터와 송풍팬조립체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압력연통호스와, 상기 압력연통호스와 일측이 연통되고 타측은 대기압과 연통되며 투명창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양분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압력연통호스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과 대기압과의 차이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린트필터의 막힘상태를 지시하는 지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조쳄버와 송풍팬조립체의 사이는 린트덕트에 의해 연통되며, 상기 린트덕트에 형성되는 유로를 가로질러 상기 린트필터가 위치된다.
상기 지시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되도록 하우징의 내면과 대응되는 외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면 양측이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투명창에는 지시영역이 표시되어 상기 지시구의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의 차이로 린트필터의 막힘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지시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되도록 하우징의 내면과 대응되는 외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면 양측이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투명창에는 지시영역이 표시되어 상기 지시구의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의 차이로 린트필터의 막힘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지시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송풍팬조립체가 동작하지 않을 때, 초기위치에 있도록 탄지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린트필터의 막힘상태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적절한 시점에 린트필터를 교환하여 항상 최적의 상태로 건조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드럼(3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쳄버(35)가 형성된다. 도면 부호 32는 벨트홈, 36은 배플이다.
상기 드럼(31)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전면헤드(37)와 후면헤드(39)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헤드(37)와 후면헤드(39)는 상기 드럼(3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전면헤드(37)와 드럼(31)의 사이 및 상기 후면헤드(39)와 드럼(31)의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4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드럼(31)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드럼(3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헤드(37)에는 상기 건조쳄버(35)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38)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후면헤드(39)에는 에어공급덕트(4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공급덕트(42)는 상기 건조쳄버(35)의 내부로 공기, 보다 정확하게는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쳄버(35)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헤드(37)의 통공(3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헤드(3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쳄버(3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출구조립체(43)가 구비된다. 상기 출구조립체(43)의 내측과 아래에서 설명될 린트덕트(45)의 내부에는 린트필터(44)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필터(44)는 상기 건조쳄버(35)에서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출구조립체(43)와 연통되게 린트덕트(45)가 설치되는데, 상기 린트덕트(45)의 내부로까지 상기 린트필터(44)가 위치된다. 상기 린트덕트(45)와 연결되어서는 블로워(47)가 설치되어 상기 린트덕트(45)를 통해 상기 건조쳄버(35) 내부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블로워(47)는 블로워하우징(4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48)은 일측이 상기 린트덕트(45)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4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쳄버(3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덕트(4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블로워(47)의 힘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4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덕트(42)와 연결되게 열풍덕트(50)가 설치된다. 상기 열풍덕트(50)는 상기 건조쳄버(35)의 내부에서 건조작용을 하는 열풍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풍덕트(50)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히터나 가스버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린트필터(44)의 막힘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표시유니트(60)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유니트(60)는 예를 들면 건조기의 콘트롤패널부 근처 등,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표시유니트(60)는 상기 린트덕트(45)의 내부와 압력연통호스(62)로 연통되어 상기 린트덕트(45)의 압력상태에 따라 린트필터(44)의 막힘을 감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표시유니트(60)의 하우징(63)에 형성되는 내부공간(63')의 일측은 상기 린트덕트(45)와 압력연통호스(62)를 통해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63')의 타측은 하우징(63)에 형성된 압력통공(64)을 통해 대기와 연통된다. 상기 하우징(63)은 그 외관 일측에 상기 내부공간(63')의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창(6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창(65)에는 린트필터(44)의 막힘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표시영역(65')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공간(63')에는 상기 린트덕트(45)의 압력에 따라 이동되는 지시구(66)가 설치된다. 상기 지시구(66)는 상기 내부공간(63')을 양분하게 되는데, 일측면에는 상기 압력연통호스(62)를 통해 린트덕트(45) 내부의 압력이 작용하고 타측면에는 상기 압력통공(64)을 통해 대기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시구(66)는 일측이 스프링(6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68)은 상기 지시구(66)를 예를 들어 상기 압력통공(64) 방향으로 밀어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시구(66)는 그 외면이 시각적으로 양분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양쪽 부분의 색상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지시구(66)의 외면을 제1색상(66a)과 제2색상(66b)으로 각각 달리 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달리 형성된 색상에 의해 상기 지시영역(65')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지시구(66)의 이동을 인식하고 린트필터(44)의 막힘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건조기가 동작되면 상기 열풍덕트(50) 내에서 공기가 가열되어 형성된 열풍이 상기 에어공급덕트(42)를 통해 드럼(31)의 건조쳄버(35) 내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은 상기 블로워(47)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쳄버(35) 내부에서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한 공기는 상기 블로워(47)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출구조립체(43)를 통해 상기 린트필터(44)를 거쳐 상기 린트덕트(45)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린트필터(44)에는 상기 공기에 섞인 이물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린트덕트(45)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브로워(47)를 통해 상기 배기파이프(49)로 전달되고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린트덕트(45)의 내부는 상기 블로워(47)와 상기 린트필터(44)의 상태에 따라 압력이 형성된다. 즉 상기 린트필터(44)가 깨끗한 상태, 즉 이물이 없는 상태이면, 상기 린트필터(44)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린트필터(44)에 이물이 많이 끼여 있으면 상기 린트필터(44)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심하면 상기 건조쳄버(35)와 린트덕트(45)의 사이가 차단되어 상기 린트덕트(45)의 내부에는 상기 블로워(47)의 흡입력에 의해 부압이 걸리게 된다.
상기 린트덕트(45)에 부압이 걸리게 되면 상기 압력연통호스(62)를 통해 상기 하우징(63)의 내부공간(63')에 설치된 지시구(66)의 일측면에도 부압이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통공(64)을 통해서는 대기압이 상기 지시구(66)의 타측면에 작용하므로 상기 부압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지시구(66)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즉, 상기 대기압과 부압(스프링(68)의 탄성력을 포함)의 압력차이에 의해 상 기 지시구(66)가 상기 압력연통호스(62)와 연결된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63)의 투명창(65)에 위치되는 색상의 면적에 따라서 린트필터(45)의 막힘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색상(66a)이 지시영역(65')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커질수록 상기 린트덕트(45)에 심하게 부압이 걸리는 것이므로 상기 린트필터(45)가 거의 막혀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도 4a는 린트필터(45)가 거의 막히지 않은 상태이고, 도 4b의 상태로 진행할 수록 린트필터(45)가 많이 막힌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유니트(60)의 투명창(65)의 지시영역(65')에 표시되는 색상(66a,66b)의 면적 비율을 보고 린트필터(45)의 막힘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투명창(65)에 반드시 지시영역(65')을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투명창(65)을 적절한 크기로 형성함에 의해 투명창(65)만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배기식 건조기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순환식 건조기 뿐만아니라 건조겸용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는 린트필터의 막힘정도에 따라 린트덕트에 형성되는 압력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린트필터를 직접 보지 않고도 그 청소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시기에 린트필터를 청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동작이 항상 설계된 대로 이루어지게 되어 건조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 건조쳄버에서 건조작용을 한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이 걸러지는 린트필터와,상기 건조쳄버로부터 상기 린트필터를 통과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조립체와,상기 린트필터와 송풍팬조립체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압력에 따라 상기 린트필터의 막힘정도를 표시하는 표시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표시유니트는,상기 린트필터와 송풍팬조립체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압력연통호스와,상기 압력연통호스와 일측이 연통되고 타측은 대기압과 연통되며 투명창을 구비하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양분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압력연통호스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과 대기압과의 차이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린트필터의 막힘상태를 지시하는 지시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쳄버와 송풍팬조립체의 사이는 린트덕트에 의해 연통되며, 상기 린트덕트에 형성되는 유로를 가로질러 상기 린트필터가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되도록 하우징의 내면과 대응되는 외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면 양측이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투명창에는 지시영역이 표시되어 상기 지시구의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의 차이로 린트필터의 막힘상태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송풍팬조립체가 동작하지 않을 때, 초기위치에 있도록 탄지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43484A KR100782880B1 (ko) | 2001-07-19 | 2001-07-19 |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43484A KR100782880B1 (ko) | 2001-07-19 | 2001-07-19 |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8648A KR20030008648A (ko) | 2003-01-29 |
KR100782880B1 true KR100782880B1 (ko) | 2007-12-06 |
Family
ID=2771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43484A KR100782880B1 (ko) | 2001-07-19 | 2001-07-19 |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288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3403B1 (ko) * | 2021-08-05 | 2022-02-14 | 예영동 | 수도 스트레이너 막힘감지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85199A (ja) * | 1989-08-29 | 1991-04-10 | Toshiba Corp | 衣類乾燥機 |
KR960037542U (ko) * | 1995-05-09 | 1996-12-18 | 엘지전자주식회사 | 강제열풍식 빨래건조기의 필터막힘 감지장치 |
US5860224A (en) * | 1997-06-02 | 1999-01-19 | Larson; Eric K. | Testing for blocked dryer vent |
-
2001
- 2001-07-19 KR KR1020010043484A patent/KR1007828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85199A (ja) * | 1989-08-29 | 1991-04-10 | Toshiba Corp | 衣類乾燥機 |
KR960037542U (ko) * | 1995-05-09 | 1996-12-18 | 엘지전자주식회사 | 강제열풍식 빨래건조기의 필터막힘 감지장치 |
KR0120396Y1 (ko) * | 1995-05-09 | 1998-07-15 | 구자홍 | 강제열풍식 빨래건조기의 필터막힘 감지장치 |
US5860224A (en) * | 1997-06-02 | 1999-01-19 | Larson; Eric K. | Testing for blocked dryer v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8648A (ko) | 2003-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66970A (ko) | 의류건조기 | |
KR100578349B1 (ko) | 건조기의 공기유동구조 | |
KR20100031925A (ko) | 의류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0782880B1 (ko) |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
KR100662479B1 (ko) | 건조기 | |
KR100461637B1 (ko) | 건조기의 히터제어방법 및 장치 | |
KR20040011216A (ko) | 건조기의 먼지량 감지 구조. | |
KR101154947B1 (ko) | 건조기의 히터 어셈블리 | |
KR20030008647A (ko) | 건조기의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 |
KR100756446B1 (ko) | 린트필터 막힘감지방법 | |
KR101308512B1 (ko) | 필터청소시기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 |
JP4545566B2 (ja) | 業務用乾燥機 | |
US8147239B2 (en) | Method of controlling gas type clothes dryer | |
KR101256147B1 (ko) |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 |
KR101122078B1 (ko) |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 | |
KR101008653B1 (ko) | 건조기 | |
KR101430469B1 (ko) | 건조기 | |
KR101385098B1 (ko) | 세탁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85100B1 (ko) |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 |
KR20090127768A (ko) | 세탁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JP3674102B2 (ja) | 衣類乾燥機 | |
KR20030012415A (ko) | 드럼모터 정상동작 감지방법 | |
KR20030008639A (ko) |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 |
KR100476438B1 (ko) |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 |
KR101308636B1 (ko) |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