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661B1 -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직물벨트 - Google Patents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직물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661B1
KR100782661B1 KR1020037014796A KR20037014796A KR100782661B1 KR 100782661 B1 KR100782661 B1 KR 100782661B1 KR 1020037014796 A KR1020037014796 A KR 1020037014796A KR 20037014796 A KR20037014796 A KR 20037014796A KR 100782661 B1 KR100782661 B1 KR 10078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abric
yarns
fabric layer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197A (ko
Inventor
비르젤레아르민
Original Assignee
뮬렌 손 게엠베하 엔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뮬렌 손 게엠베하 엔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뮬렌 손 게엠베하 엔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3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B31F1/2845Details, e.g. provisions for drying, moistening, pressing
    • B31F1/2877Pressing means for bringing facer sheet and corrugated webs into contact or keeping them in contact, e.g. rolls, bel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Paper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지 제조기계, 특히 골판지 제조기계용 직물 벨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벨트(1, 2, 3)는 인장력을 수용하며 경사들(21, 22; 61, 62, 63, 64; 81, 82, 83, 84)과 위사들(4; 6; 8)로 이루어진 제 1 직물층(20, 60, 80);과 이 제 1 직물층(20; 60; 80)을 덮으며 경사들(11, 12, 13, 14; 51, 52, 52, 53; 71, 72, 73, 74)과 위사들(4)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부 종이면을 형성하는 또 다른 상부 직물층(10; 50; 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물층들(10, 20; 50, 60; 70, 80)은 결합사들(40, 41, 42, 43; 44, 45; 46, 47)에 의해 상호간에 직조되어 있다. 기계적으로 고형구조(solid structure)에서 벨트의 양호한 투수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벨트(1, 2, 3)는 배수로들(56)을 포함하며, 이 배수로들은 상기 벨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상부 직물층(10; 50; 70)으로부터 생성되는 증기를 종이면으로부터 방출시킨다.

Description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직물벨트{FABRIC BELT FOR A CORRUGATED BOARD GLUING MACHIN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직물벨트에 관한 것이다.
공보 WO 96/07788로부터는, 높은 품질표준에서 장기간 작업시간에 걸쳐, 놓여진 재료의 양호한 탈수를 보장하는,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직물벨트(woven belt)가 공지되어 있다. 증가하는 요건에 따라, 벨트가 충분히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도 보장되어야 한다. 그 결과 벨트의 투수성을 바람직하지 못한 방식으로 감소시키는 다층의 직물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층구조 및 높은 기계적 강도에도 불구하고 놓여있는 재료의 신속한 탈습을 위한 벨트의 높은 투수성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로써 해결된다.
배수로(drainage channel)를 통과하여 증기는 종이면에서 벨트의 맞은편으로 방출된다.
상기 배수로는 직물구조 내에 개구로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로가 상이한 실 두께 및/또는 실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로는, 실을 빼내거나 첨가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실 틈새(thread interstic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수로는 짧은 시간에 중공을 형성하는 재료로 구성되는 직물층의 몇몇 실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는, 기술적 직조공정(weaving process)동안 통상의 단섬유(monofilament)와 같이 가공될 수 있으면서 직물구조 내에서 공간상 플레이스홀더(placeholder)로서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어 있다. 벨트의 어느 정도의 작업기간 후에, 예컨대 통상의 작업준비기간 후에, 실 재료는 직물 구조 내에서 배수로로서 작용하는 중공을 형성한다.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서 밝혀진 것은 높은 비율의 녹말을 포함하는 실 재료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실들은 완전히 녹말로 이루어져 있다. 녹말로 이루어진 실 재료는 건조된 상태에서 통상의 실과 같이 가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이 중공을 형성하는, 녹말로 이루어진 실이 물과 접촉하는 점에 한해, 녹말이 용해되어 물로써 씻겨진다. 그러므로 중공을 형성하는 실의 재료는 직물구조로부터 용해됨으로써 배수로로서 벨트의 길이 및/또는 폭 및/또는 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틈새가 설계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가 또한, 오직 극미한 내마모성을 갖는 중공섬유(hollow fiber)로 이루어진 실 재료일 수도 있다. 벨트의 작업준비 시간 후에 상기 중공섬유는 마모 및 분쇄(break-up)되며, 그럼으로써 외부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이 배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유형의 중공섬유는 종이 상부면으로부터 습기를 방출하기 위한 모세관효과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배수로가 벨트의 하부면 상으로 통해 있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배수로는 벨트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중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직조과정에서 직물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배수로의 정확한 위치와 표면단위 당 바람직한 수의 배수로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대략 65%의 폴리에스테르와 대략 53%의 비스코스(viscose)로 구성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합성실로 벨트가 직조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벨트 내에 높은 불용성(infusibility)을 갖는 실 재료, 특히 파라아라미드(Para Aramide) 또는 케블라(Kevlar)가 직조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는 동시에 마모방지 기능을 한다. 특히 불용성 실 재료는 길이방향 에지, 다시 말해 경사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에 협소한 폭으로 하여 직조되어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는 불용성 실 재료는 폭넓은 에지 영역 내에서 전체표면에 이를 때까지 특히 경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의 직물층 내에 직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추가의 청구항들, 그리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술되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제시되어 있다.
도 1은 직물벨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이면을 형성하는 상부의 직물층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벨트의 하부 직물층의 외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벨트의 종이면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직물벨트를 나타내는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벨트에 있어서 종이면을 형성하는 상부의 직물층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벨트의 하부 직물층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직물벨트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벨트에 있어서 종이면을 형성하는 상부의 직물층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벨트의 하부 직물층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은 벨트(1)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실로 제조된 벨트(1)는 상부 직물층(10), 인장력을 수용하는 중간 직물층(20) 그리고 하부 직물층(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장력을 수용하는 에미터 중간 직물층(20)에 대한 상부 직물층(10)의 맞은편은 직물벨트(1)의 종이면을 형성한다.
직물층들(10, 20, 30) 내에서는 위사들(4)이 벨트의 길이방향(5)(도 2)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부 직물층(10) 내에는 상호간에 변위되어 연장되는 4개의 경사들(11, 12, 13, 14)(도 1 및 도 2)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경사들은 중간 직물층(20) 쪽의 내 부 방향을 향할 뿐 아니라 종이면 쪽의 외부방향을 향해서도 각각 적어도 2개의 위사들(4)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인장력을 수용하는 에미터 중간 직물층(20)은 상호간에 변위되어 연장되는 2개의 경사들(21, 22)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들은 각각 2개의 위사들(4)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하부 직물층(30)은 각각 상호간에 변위되어 연장되는 4개의 경사들(31, 32, 33, 34)로 구성되며, 이러한 경사들은 중간 직물층(20) 쪽의 내부방향을 향해서는 단지 하나의 위사(4)만을 통과하고, 외부방향을 향해서는 적어도 3개의 위사들(4)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상기 3개의 직물층들(10, 20, 30)은 결합사들(40, 41, 42, 43; binding thread)에 의해 상호간에 직조되어 있다. 상기 결합사들은 각각 2개의 실 그룹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하나의 실 그룹을 형성하는 결합사들(42, 43)은 상호간에 변위되어 연장되면서 상부 직물층(10)을 중간 직물층(20)에 엮는다. 상기 결합사들(42, 43)은 각각 교대로 상부 직물층(10) 내 위사(4)와 중간 직물층(20) 내 위사(4)를 통과하면서 연장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결합사들(40, 41)로 이루어진 실 그룹은 하부 직물층(30)을 중간 직물층(20)에 엮는다.
도 1에서 도 3까지에 결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있어 벨트(1)의 상부 직물층(10) 내에는 벨트(1)의 길이방향(5)으로 연장된 경사(1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경사는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 다시 말해 상부 직물층(10)에 있어 벨트의 나머지 영역에 걸쳐 제공되는 경사들(11, 12, 13, 14)과는 다른 실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종이를 형성하는 직물층(10)의 몇몇 경사들(11', 12', 13', 14')은, 배수로들(56)과 연결되어 있는,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배수로(56)는 바람직하기로는 직물 내에 기계적으로 직조되고 종이면에서 바로 벨트의 하부면 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으로서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중공은 종이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벨트의 하부면 상으로 통해있으며, 특히 상기 벨트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중공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증기가 상부 직물층(10)의 종이면으로부터 벨트(1)를 통과하여 방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로서 형성되었습니다.
위사들(4') 및 경사들(11', 12', 13', 14')은 바람직하기로는 기계적으로 직조된 배수로들(56)과 교차한다. 특히 상기 배수로들(56)은 위사들(4')과 경사들(11', 12', 13', 14')간 교차점에 배치되어 있다.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서는 예컨대 높은 녹말비율을 갖는 실 재료가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실 재료가 완전히 녹말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으로써 건조상태에서 녹말로 이루어져 있거나 높은 비율의 녹말을 갖는, 중공을 형성하는 실은 보통의 실과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직물구조 내에서 상기 실 재료는, 습기, 특히 물과 접촉 시에 용해되는 플레이스홀더를 형성한다. 직물로부터 녹말이 용해되고 씻겨진 후에 생성되는 갭(gap)은, 각각, 기계적으로 직조된 배수로(56) 내로 개방되는 배수로, 배수홈(drainage flute) 등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배수로들(56) 사이의 영역 내에는, 기계적으로 직조된 배수로(56)로 발생하는 습기를 직접 공급하고, 직물벨트 상에 놓이는 재료의 신속한 탈수를 돕는 일종의 격자형 배수로가 제공된다. 이러한 점에서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 이루어진 경사들은 어느 정도의 작업시간 후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채널(longitudinal channel)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 이루어진 위사들(4')은 폭방향 채널(lateral channel)을 형성한다. 상기 길이방향 채널과 폭방향 채널은 직물구조(경사/위사)에 근거하여 교차하기 때문에, 상기 폭방향 채널 및 길이방향 채널은 상호간에 흐름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로 인해 유체의 신속한 방출이 제공된다.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서 또한 중공섬유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보다 긴 작업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마모에 근거하여 중공섬유가 개방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중공섬유 내부의 중공 자체가 경사 내지 위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배수로 구조를 직물 안쪽에서도 또한 계속되도록 하기 위해, 또 다른 직물층들(20, 30)에 있어서도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 이루어진 경사와 위사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 이루어진 몇몇 결합사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직물구조 내에 있어서 하나의 직물층(10)에서 또 다른 직물층(20)에까지 연장되는 배수로가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직물구조의 결함을 회피하기 위해,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가 이중섬유(4", double filament)로서 경사, 위사 또는 역음실에 제공될 수 있다. 직물구조를 결정하는 경사, 위사 및 결합사는 그 수에 변화가 없다; 보충하 는 방식으로 경사 및/또는 위사 및/또는 결합사에,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 이루어진 실이 이중섬유(4")로서 추가된다. 이러한 이중섬유는 플레이스홀더로서 차후 원하는 배수로를 형성한다.
중공을 형성하는 실들은, 바람직하기로는, 종이면을 형성하는 직물층(10)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배수로들(56)의 탈수 및 형성을 보조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직물층들(20, 30) 또한 중공을 형성하는 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직물벨트(2)의 개략적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벨트(2)는 상부 직물층(50)과 하부 직물층(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이면을 형성하는 상부 직물층(50) 내에서는, 상호간에 변위되어 배치되는 4개의 경사들(51, 52, 53, 54)이 연장되며, 하부 직물층(60) 내에서는 상호간에 변위되어 배치되는 4개의 경사들(61, 62, 63, 64)이 연장된다. 위사들(6)은 길이방향(7)에 대해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경사들은 각각 2개의 위사들(6)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상부 직물층(50)과 하부 직물층(60)은 결합사들(44, 45)에 의해 상호간에 직조되며, 결합사들은 상호간에 변위되어 각각 하나의 위사(6)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도 6은 상부 직물층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도 6과 동일한 벨트 단면의 하부 직물층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4개의 경사들(51, 52, 53, 54)은 상호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연결되어 2개의 결합사들(44, 4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직물층(60)의 실들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에 상응하게 직조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직물층(50)의 경사(52)와 하부 직물층(60)의 경사들(62, 64)은 나머지 경사들보다 큰 직경을 포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배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직물층(50)은 하부 직물층(60)보다 많은 배수로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로들은 또한 경사들(51 ~ 54) 및 경사들(61 ~ 64)의 실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실들은 자체 길이방향으로 예컨대 그루브(groov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에는 상부 직물층(70)과 하부 직물층(80)을 포함하는 벨트(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직물층(70)의 경사들(71 ~ 74)과 상기 하부 직물층(80)의 경사들(81 ~ 84)은 도 5의 경사들(51 ~ 54)과 경사들(61 ~ 64)에 상응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직물층(70)과 하부 직물층(80)은 결합사들(46, 47)에 의해 상호간에 직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사들(46, 47)은 각각, 상기 직물층들(70, 80)의 위사(8)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도 9는 상기 벨트(3)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경사들(71 ~ 74)은 상호간에 인접하여 직조되어 있으며, 그에 이어서 결합사들(46, 47)이 직조된다. 배수로들은 상기 직물층(70)에서 매 두 번째 경사를 제거함으로써 기계적으로 직조형성되며, 그럼으로써 결합사들(46, 47)에는 새로이 결합사들(46, 47)이 이어지며, 그 뒤에 또 다른 순서의 경사들(71 ~ 74)이 연결된다. 도 10에 벨트(3)의 하부면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시된 하부 직물층(80)은 도 7에 도시한 벨트(2)의 하부 직물층(60)에 상응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직물층(80)의 경사들(81 ~ 84)은 모두 동일한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1, 2, 3)의 불용성 및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벨트의 에지 영역 내에, 벨트 길이방향(5, 7)으로 높은 불용성을 갖는 실 재료, 다시 말해 파라아라미드 또는 케블라를 직조할 수 있다. 상기 불용성 실 재료는 또한 상부 직물층(10, 50, 70)의 전체 폭, 또는 하부 직물층(30, 60, 80)의 전체 폭, 또는 하부 직물층 및 상부 직물층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배수로들(56)은 또한 직물구조 내 개구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직물층의 인접한 경사들이 교차될 수 있다.
실 재료는 65%의 폴리에스테르와 35%의 비스코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 재료로서 또 다른 조성물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실 재료로서 단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인장력을 수용하며, 경사들(21, 22; 61, 62, 63, 64; 81, 82, 83, 84)과 위사들(4; 6; 8)로 이루어지는 직물층(20, 60, 80);과 상기 직물층(20; 60; 80)을 덮으며, 경사들(11, 12, 13, 14; 51, 52, 53, 54; 71, 72, 73, 74)과 위사들(4; 6; 8)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부 종이면을 형성하는 상부직물층(10; 50; 70);을 포함하는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직물벨트로서, 상기 직물층과 상부직물층들(10, 20, 50, 60; 70, 80)이 결합사들(42, 43; 44, 45; 46, 47)에 의해 상호간에 직조되어 있는 직물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내에 전체 또는 일부분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직물층(10; 50; 70)으로 부터 발생한 증기가 종이면으로부터 방출되도록 하는 배수로들(56)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들(56)은 직물구조 내 개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56)는
    경사들(71, 72, 73, 74)을 빼내거나 추가함으로써 직물구조내의 실 틈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들(56)은, 직물층(10, 20)에 있어서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위사와 경사들(11', 12', 13', 14', 4')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와 경사들(11' 12' 13' 14' 4')의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 는 높은 비율의 녹말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실의 재료는 중공섬유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 재료에 의해 형성된 실은 경사, 위사 및 결합사로 직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9. 제1항에 있어서, 인장력을 수용하는 상기 직물층(20; 60; 80) 내에는 상기 경사들(21, 22; 61, 62, 63, 64; 81, 82, 83, 84)이 적어도 각각 2개의 위사들(4; 6; 8)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상기 상부직물층(10; 50; 70) 내에서는 경사들(11, 12, 13, 14; 51, 52, 53, 54; 71, 72, 73, 74)이 내부 및 외부방향으로 하여 적어도 2개의 위사들(4; 6; 8)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상기 벨트는 하부직물층(30, 60, 8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직물층(10, 30; 50, 60; 70, 80) 내에서 실 그룹 내부의 경사들(11 ~ 14; 31 ~ 34; 51 ~ 54; 61 ~ 64; 71 ~ 74; 81 ~ 84)이 각각 상호간에 변위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직물층과 상부 및 하부직물층들(10, 20, 30; 50, 60; 70, 80)은 결합사들(40, 41, 42, 43, 44, 45; 46, 47)에 의해 상호간에 직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사들(40, 41, 42, 43; 44, 45; 46, 47)은 특히 각각 위사(4; 6; 8)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21, 22; 61, 62, 63, 64; 81, 82, 83, 84), 위사(4; 6; 8) 결합사(42, 43, 44, 45, 46, 47)는, 65%의 폴리에스테르와 35%의 비스코스로 구성된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는 합성실로 직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들(21, 22; 61, 62, 63, 64; 81, 82, 83, 84), 상기 위사들(4; 6; 8) 및 결합사들(42, 43; 44, 45; 46, 47)은 높은 불용성을 갖는 파라아라미드 또는 케블라가 포함되어 높은 불용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실의 재료는 녹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실 재료는 이중섬유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벨트.
KR1020037014796A 2001-08-02 2001-08-02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직물벨트 KR100782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1/008958 WO2003014447A1 (de) 2001-08-02 2001-08-02 Gewebegurt für eine wellpappenbeklebe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197A KR20040039197A (ko) 2004-05-10
KR100782661B1 true KR100782661B1 (ko) 2007-12-07

Family

ID=816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796A KR100782661B1 (ko) 2001-08-02 2001-08-02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직물벨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99142B2 (ko)
EP (1) EP1412571A1 (ko)
JP (1) JP2004538380A (ko)
KR (1) KR100782661B1 (ko)
WO (1) WO2003014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4296B2 (en) 2003-11-24 2010-02-02 Albany International Corp. Grooved single facer belt
IT1391327B1 (it) * 2008-08-08 2011-12-05 Feltri Marone S P A Tessuto di fabbricazione della carta, in particolare da utilizzare nella sezione di formazione di una macchina di fabbricazione della carta
GB2462877B (en) * 2008-08-26 2012-05-23 Subito Technology Systems Ltd Board connection apparatus, method and kit of parts
EP3362594B1 (en) * 2015-10-13 2020-07-22 Albany Engineered Composites, Inc. 3d woven preforms with channels
CN106435941A (zh) * 2016-11-17 2017-02-22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涤粘混纺织物的生产工艺
CN106367865B (zh) * 2016-12-02 2018-02-02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涤纶纤维/粘胶纤维双层垫纱面料织物的生产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51752A (en) * 1936-01-01 1936-08-11 Thomas Hardman And Sons Ltd An improved felt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paper, cardboard and analogous materials
US5164249A (en) * 1991-11-22 1992-11-17 Wangner Systems Corporation Controlled porosity papermaking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8933A (en) * 1963-11-15 1968-02-13 Huyck Corp Corrugator combiner machine
US4308897A (en) * 1978-08-09 1982-01-05 Scapa Dryers, Inc. Dryer felt with encapsulated, bulky center yarns
US4274448A (en) * 1978-08-09 1981-06-23 Scapa Dryers, Inc. Dryer felt with encapsulated, bulky center yarns
US4403632A (en) * 1981-03-19 1983-09-13 Albany International Corp. Corrugator belt with high air permeability
US5087327A (en) * 1990-07-09 1992-02-11 Albany International Corp. Pmc yarn with soluble monofilament core
DE4040861C3 (de) * 1990-12-20 2001-02-01 Conrad Munzinger & Cie Ag Olte Preßfilz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4137984C1 (ko) * 1991-11-19 1992-12-17 Thomas Josef Heimbach Gmbh & Co, 5160 Dueren, De
US5597450A (en) * 1992-02-28 1997-01-28 Jwi Ltd Paper machine dryer fabrics containing hollow monofilaments
US5368696A (en) * 1992-10-02 1994-11-29 Asten Group, Inc. Papermakers wet press felt having high contact, resilient base fabric with hollow monofilaments
DE9414344U1 (de) * 1994-09-03 1994-10-20 Muehlen Sohn Gmbh & Co Gewebter Gurt für eine Wellpappenmaschine
DE19837182B4 (de) * 1998-08-17 2007-01-25 Stahlecker, Fritz Transportband zum Transportieren eines zu verdichtenden Faserverband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51752A (en) * 1936-01-01 1936-08-11 Thomas Hardman And Sons Ltd An improved felt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paper, cardboard and analogous materials
US5164249A (en) * 1991-11-22 1992-11-17 Wangner Systems Corporation Controlled porosity papermaking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2571A1 (de) 2004-04-28
WO2003014447A8 (de) 2003-04-10
WO2003014447A1 (de) 2003-02-20
JP2004538380A (ja) 2004-12-24
KR20040039197A (ko) 2004-05-10
US6899142B2 (en) 2005-05-31
US20040118474A1 (en)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9808A (en) Multi-ply papermaking fabric with ovate binder yarns
KR100767882B1 (ko) 초지기 패브릭
RU2324781C2 (ru) Трехслойная формирующая ткань с двойной основой,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оптимальны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формирования бумажного полотна
US5152326A (en) Binding thread arrangement in papermaking wire
CN100419156C (zh) 用于造纸机的多层织物
US4187618A (en) Papermakers' felt
RU2347019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формовочная ткань, состоящая из двух систем основных нитей с трехниточ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JP5162252B2 (ja) 多重の境界バインダーを有する三重層布
KR100876018B1 (ko) 하부 md사 보다 적은 유효 상부 md사를 갖는 경사접결된 제지용 형성직물
RU2347018C2 (ru) Многослойная формовочная ткань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и нитями
KR100732001B1 (ko) 기계측 너클을 형성하는 기계방향 접결사를 구비한 제지용성형직물
JP4909998B2 (ja) 異なる輪郭パターンを持ったペアのバインダー糸を有する多層布
KR20140025372A (ko) 제지기 직물
KR20000069510A (ko) 다층/다수 심 프레스 직물의 심 완전성 개선
RU2379400C2 (ru) Трехслойная ткань с основными настилами и двойной внутренней связующей нитью основы
JP2004517226A (ja) プレスフェルトを形成する方法並びにプレスフェルト
JP4726487B2 (ja) 再湿潤しないプレス布
KR100782661B1 (ko) 골판지 아교도포기용 직물벨트
US6770172B2 (en) Method of making press felt, and press felt
JP4630818B2 (ja) 段ボール接着機械用織りベルト
US5346590A (en) Dryer screen in a paper machine
KR101126075B1 (ko) 제지기용 다층 패브릭
JP2000170083A (ja) 製紙面側織物に補助緯糸を配置した製紙用2層織物
NZ248711A (en) Paper machine wet end forming fabric without an independent bottom warp and shute bind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