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064B1 -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064B1
KR100782064B1 KR1020060106949A KR20060106949A KR100782064B1 KR 100782064 B1 KR100782064 B1 KR 100782064B1 KR 1020060106949 A KR1020060106949 A KR 1020060106949A KR 20060106949 A KR20060106949 A KR 20060106949A KR 100782064 B1 KR100782064 B1 KR 100782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externa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even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환
김영찬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디바이스에서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한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통신 단말기에 메뉴 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메뉴 리스트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번호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번호에 대응하는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와; 실행된 메뉴의 새 메뉴 리스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새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외부 디바이스의 큰 화면에 표시된 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확인하고 외부 디바이스에서 키보드의 조작으로 통신 단말기의 메뉴 이동을 제어하고 메뉴를 실행하는 효과가 있다.
통신 단말기, 외부 디바이스, 메뉴 전송 및 제어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MENU TRANSMIT AND CONTROL SYSTEM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 조작에 의한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한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신 단말기                  110 : 세션 핸들러
120 : 이벤트 핸들러                130 : 애플리케이션
140 : 메뉴 생성기                  200 : 외부 디바이스
210 : 메뉴 파서                    220 : 메뉴 표시기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디바이스에서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한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말기는 작은 크기의 화면을 구비한다. 통신 단말기는 작은 크기의 화면에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구성을 표시하므로 메뉴 텍스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메뉴 텍스트의 크기가 작음으로 인해 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메뉴는 가독성이 떨어진다. 반면에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텍스트의 크기를 크게 하면 화면에 표시 가능한 메뉴 항목의 수가 줄어든다. 또한 메뉴 이동으로 인한 화면 스크롤이 자주 발생한다.
통신 단말기는 작은 크기의 화면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외부 디바이스의 큰 화면을 이용하는 방안을 채택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디바이스의 큰 화면을 이용하면 메뉴 텍스트를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메뉴 전송과 메뉴 제어에 관한 기술 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디바이스의 큰 화면에 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표시하는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 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통신 단말기에 메뉴 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메뉴 리스트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번호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번호에 대응하는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와; 실행된 메뉴의 새 메뉴 리스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새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 핸들러와; 메뉴 이동에 따라 다음에 나타날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프로토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세션을 통해 전송하는 메뉴 생성기와; 상기 데이터 세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메뉴 선택에 대한 이벤트를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것처럼 에뮬레이션하는 이벤트 핸들러;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메뉴 정보를 표시 가능한 메뉴 형식으로 변환하고, 메뉴 선택에 따른 이벤트를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뉴 파서와; 상기 메뉴 파서에 의해 변환된 메뉴 형식을 화면에 출력하 는 메뉴 표시기;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은 메뉴 이동에 따라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가리키는 파라미터를 메뉴 생성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생성기는 메뉴의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메뉴 리스트를 프로토콜 변환하여 세션 핸들러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핸들러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메뉴 생성기에 의해 변환된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은 이벤트 핸들러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메뉴 선택에 대한 이벤트를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것처럼 에뮬레이션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은 키 이벤트에 따라 메뉴 이동을 실행하면서 메뉴 이동에 따른 다음에 나타날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가리키는 파라미터를 메뉴 생성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생성기는 수신된 파라미터에 의해 가리키는 리소스 파일을 프로토콜 변환하여 세션 핸들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세션 핸들러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메뉴 생성기에 의해 변환된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은 메뉴 파서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메뉴 정보를 표시 가능한 메뉴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메뉴 표시기는 상기 메뉴 파서에 의해 변환된 메뉴 형식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파서는 화면에 출력된 메뉴에서 메뉴 선택 에 따른 이벤트를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장치 구성 및 방법 구성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성을 화면이 큰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한다.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가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면 데이터 세션이 형성된다. 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세션을 통해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세션을 통해 수신된 메뉴 리스트를 출력한다. 외부 디바이스는 메뉴 리스트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번호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통신 단말기는 번호에 대응한 메뉴를 실행하고 실행된 메뉴의 하위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하위 메뉴 리스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을 통해 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출력한다.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 단말기간에 메뉴 리스트 및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본 발명은 메뉴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메뉴 프로토콜은 메뉴 리스트의 전송과 선택된 메뉴 항목의 전송을 포함한다. 메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된 데이터 패킷은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송수신된다.
본 발명은 유에스비, 시리얼, 블루투스, 지그비 및 초광대역 통신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메뉴 프로토콜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데이터 채널을 통해 메뉴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은 외부 디바이스의 키보드 조작에 의해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메뉴 선택에 따른 이벤트를 키 이벤트로 에뮬레이션하여 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은 키 이벤트에 따라 메뉴를 이동하고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메뉴 이동에 따른 메뉴의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 조작에 의한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한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 단말기는 유에스비, 시리얼, 블루투스, 지그비 및 초광대역 통신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여 메뉴 리스트의 수신 및 출력, 메뉴 리스트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의 전송 등을 담당하는 메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채널을 연결한다(S101). 통신 단말기는 외부 디바이스의 메뉴 리스트 요청에 응답하는 메뉴 전송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외부 디바이스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통신 단말기에 메뉴 리스트를 요청한다(S102). 통신 단말기는 외부 디바이스의 메뉴 리스트 요청에 따라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메뉴 리스트를 전송한다(S103).
외부 디바이스는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고(S104) 메뉴 리스트의 메뉴 구성을 화면에 표시한다(S105). 외부 디바이스는 메뉴 리스트에서 메뉴 항목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S106)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번호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107).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번호에 대응하는 메뉴를 실행하고(S108), 실행된 메뉴의 하위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09). 외부 디바이스는 실행된 메뉴의 하위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한다(S110, S111).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의 구성 또한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이다.
통신 단말기(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 핸들러(110)를 포함한다. 세션 핸들러(110)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접속을 감지하면 통신 인터페이스에 데이터 채널을 열어 외부 디바이스(200)와 통신하는 데이터 세션을 형성한다. 외부 디바이스(200)가 분리되면 세션 핸들러(110)는 데이터 세션을 해제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메뉴 이동에 따라 다음에 나타날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프로토콜 변환하여 데이터 세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메뉴 생성기(140)를 포함한다. 메뉴 생성기(140)는 통신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130)에 링크되어 메뉴 이동에 따라 애플리케이션(130)의 리소스 파일을 참조하고 참조된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메뉴 생성기(14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메뉴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130)에서 참조 중인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데이터 세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되는 메뉴 선택에 대한 이벤트를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130)에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것처럼 에뮬레이션하는 이벤트 핸들러(120)를 포함한다. 이벤트 핸들러(120)는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의 종류를 해석하여 메뉴 선택에 관련된 이벤트인 경우 메뉴 선택에 대응한 키 이벤트를 발생시켜 애플리케이션(130)에 전달한다.
외부 디바이스(200)는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메뉴 정보의 수신과 메뉴 선택에 따른 이벤트의 전송을 처리하는 메뉴 파서(210)를 포함한다. 메뉴 파서(21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메뉴 정보를 표시 가능한 메뉴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메뉴 형식을 메뉴 표시기(220)에 전달한다. 메뉴 파서(210)는 메뉴 리스트에서 메뉴 선택에 따른 이벤트를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메뉴 파서(210)는 메뉴 선택에 따라 메뉴 요청 명령 및 선택한 메뉴의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을 생성하여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메뉴 파서(210)는 데이터 포맷을 생성할 때 AT 명령 방식을 사용한다.
MRQ Deli Menu # EOD
MRQ : Men Request. 메뉴 요청 명령이고, Deli : '\r'과 같은 구획 문자이고, Menu # : 선택한 메뉴의 번호로 0이면 최상위 메뉴를 요청하고, 1이상이면 1번 메뉴의 하위 메뉴를 요청하고, EOD : End Of Data. '\0'과 같은 종료 문자이다.
AT 명령 방식은 표 1과 같이, 데이터 포맷에 메뉴 요청 명령, 선택한 메뉴의 번호, 구획 문자 및 종료 문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포맷 AT*MRQ\r2\0에서 AT는 AT 명령 헤더이고, MRQ는 메뉴 요청 명령이고, \r은 구획 문자이고, 2는 선택한 메뉴의 번호이고, \0은 종료 문자이다. 데이터 포맷 AT*MRQ\r2\0을 수신한 통신 단말기(100)는 메뉴에서 2번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2번 메뉴로의 이동을 수행하고 2번 메뉴의 하위 메뉴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외부 디바이스(200)의 메뉴 파서(210)는 하위 메뉴에 대한 메뉴 형식을 수신한다.
외부 디바이스(200)는 메뉴 파서(210)로부터 메뉴 형식을 수신하고 메뉴 파서(210)에 의해 변환된 메뉴 형식을 화면에 출력하는 메뉴 표시기(220)를 포함한다. 메뉴 표시기(220)는 메뉴 형식에 저장된 메뉴 텍스트와 메뉴 번호를 포함하는 메뉴 구성을 화면 크기에 적합하도록 문자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또한, 장치 구성은 시간 흐름에 따라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된다. 프로세서는 장치로 구성된 모듈의 동작을 프로그램화한 작업 절차를 실행한다. 프로세서는 스케줄링된 작업 스케줄에 맞추어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거나 발생되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으로 분기하여 실행한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화된 여러 작업 중 현재 실행하는 작업에 대응한 장치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실행하고 있는 작업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 구성으로 동작하며 해당 동작에 따른 방법 모듈로 표현된다. 이러한 방법 모듈의 동작을 시간 흐름 및 이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 조작에 의한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조작에 의해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운영체제는 애플리케이션(130)에 키 이벤트를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130)은 키 이벤트를 처리하여 메뉴를 이동시키고(S301) 이동된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가리키는 파라미터를 메뉴 생성기(140)에 전달한다(S302). 메뉴 생성기(140)는 애플리케이션(130)에 동적으로 링크되는 라이브러리로 구성된다.
메뉴 생성기(140)는 애플리케이션(130)으로부터 전달된 파라미터에 저장된 리소스 파일을 열어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메뉴 리스트를 프로토콜 변환하여 세션 핸들러(110)로 전달한다(S303). 메뉴 생성기(140)는 메뉴 리스트를 프로토콜 변환할 때 AT 명령 방식을 사용한다.
NOM Deli 제1Menu Deli 제2Menu Deli ... EOD
NOM : Number of Menu. 메뉴 항목의 개수이고, Deli : '\r'과 같은 구획 문자이고, EOD : End of Data. '\0'와 같은 종료 문자이다.
AT 명령 방식은 표 2과 같이, 메뉴 항목의 개수, 구획 문자, 메뉴 텍스트 및 종료 문자를 사용하여 메뉴 리스트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리소스 파일에 5개의 메뉴 항목이 있을 때 다음과 같이 메뉴 리스트가 표현된다. AT*5\r메시지함\r새 메시지 작성\r컬러메일\r문구/이모티콘\r이메일\0에서 AT는 AT 명령 헤더이고, 5는 메뉴 항목의 개수이고, \r은 구획 문자이고, \0은 종료 문자이다.
세션 핸들러(110)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메뉴 생성기에 의해 변환된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메뉴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메뉴 형식을 화면에 출력한다.
외부 디바이스의 메뉴 파서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메뉴 정보를 표시 가능한 메뉴 형식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의 메뉴 표시기는 메뉴 파서에 의해 변환된 메뉴 형식을 화면에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한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외부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통신 단말기로 전달할 때 통신 단말기를 구성하는 이벤트 핸들러(120), 애플리케이션(130), 메뉴 생성기(140) 및 세션 핸들러(11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외부 디바이스는 메뉴 리스트에서 메뉴가 선택됨을 판단하여 메뉴가 선택되면 메뉴 선택에 따른 이벤트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외부 디바이스의 메뉴 파서는 화면에 출력된 메뉴에서 메뉴 선택에 따른 이벤트를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통신 단말기의 세션 핸들러(11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받은 이벤트를 이벤트 핸들러로 전달한다(S401). 통신 단말기의 이벤트 핸들러(120)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메뉴 선택에 대한 이벤트를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것처럼 에뮬레이션한다(S402). 이벤트 핸들러(12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를 키 이벤트로 변환하여 애플리케이션(130)에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130)은 키 이벤트에 따라 메뉴 이동을 실행하면서 메뉴 이동에 따라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변경하고(S403) 다음에 나타날 메뉴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변경된 리소스 파일을 가리키는 파라미터를 메뉴 생성기(140)로 전달한다(S404).
메뉴 생성기(140)는 수신된 파라미터에 의해 가리키는 리소스 파일을 프로토콜 변환하여 세션 핸들러(110)로 전송한다. 메뉴 생성기(140)는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메뉴 리스트를 AT 명령 방식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변환하고 변환된 메뉴 리스트를 세션 핸들러(110)로 전송한다(S405).
세션 핸들러(110)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메뉴 생성기에 의해 변환된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메뉴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메뉴 형식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외부 디바이스의 큰 화면에 메뉴 구성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외부 디바이스의 큰 화면에 표시된 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확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보드와 같은 편리한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외부 디바이스에서 키보드의 조작으로 통신 단말기의 메뉴 이동을 제어하고 메뉴를 실행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7)

  1. 외부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통신 단말기에 메뉴 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메뉴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메뉴 리스트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번호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번호에 대응하는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와;
    실행된 메뉴의 새 메뉴 리스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새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
  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 핸들러와;
    메뉴 이동에 따라 다음에 나타날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프로토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세션을 통해 전송하는 메뉴 생성기와;
    상기 데이터 세션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메뉴 선택에 대한 이벤트를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것처럼 에뮬레이션하는 이벤트 핸들러;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메뉴 정보를 표시 가능한 메뉴 형식으로 변환하고, 메뉴 선택에 따른 이벤트를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뉴 파서와;
    상기 메뉴 파서에 의해 변환된 메뉴 형식을 화면에 출력하는 메뉴 표시기;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파서는
    메뉴 선택에 따라 메뉴 요청 명령 및 선택한 메뉴의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을 생성하여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구성되는 메뉴 전송 및 제어 시스템.
  4.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 단말기 간에 데이터 채널이 연결됨에 따라, 통신 단말기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의 키 조작에 의해 키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이 키 이벤트를 처리하여 메뉴를 이동시키고, 이동된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가리키는 파라미터를 메뉴 생성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통신 단말기의 메뉴 생성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된 파라미터에 저장된 리소스 파일을 열어 리소스 파일에 포함된 메뉴 리스트를 프로토콜 변환하여 세션 핸들러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핸들러가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메뉴 생성기에 의해 프로토콜 변환된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
  5. 외부 디바이스에서 메뉴 리스트의 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통신 단말기의 세션 핸들러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이벤트를 이벤트 핸들러로 전달하는 단계와;
    통신 단말기의 이벤트 핸들러가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메뉴 선택에 대한 이벤트를 키 이벤트로 변환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에뮬레이션하는 단계와;
    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이 키 이벤트에 따라 메뉴 이동을 실행하면서 메뉴 이동에 따라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변경하고, 다음에 나타날 메뉴의 리소스 파일을 가리키는 파라미터를 메뉴 생성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생성기가 수신된 파라미터에 의해 리소스 파일을 프로토콜 변환하여 세션 핸들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핸들러가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데이터 세션을 통해 상기 메뉴 생성기에 의해 변환된 메뉴 리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단말기의 메뉴 전송 및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60106949A 2006-10-31 2006-10-31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782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949A KR100782064B1 (ko) 2006-10-31 2006-10-31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949A KR100782064B1 (ko) 2006-10-31 2006-10-31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064B1 true KR100782064B1 (ko) 2007-12-04

Family

ID=3913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949A KR100782064B1 (ko) 2006-10-31 2006-10-31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0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2117A1 (en) * 2013-05-09 2014-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7047942A1 (ko) * 2015-09-18 201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63A (ko) * 2002-10-22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의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기기 및이를 이용한 인디케이터 아이콘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63A (ko) * 2002-10-22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의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기기 및이를 이용한 인디케이터 아이콘 표시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35463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2117A1 (en) * 2013-05-09 2014-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843618B2 (en) 2013-05-09 2017-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7047942A1 (ko) * 2015-09-18 201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34127A (ko) * 2015-09-18 201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34103B1 (ko) * 2015-09-18 2022-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US11546664B2 (en) 2015-09-18 2023-01-03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transmitting menu data to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49955B2 (en) 2015-09-18 2024-04-02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93702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on betwe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intelligent terminal
US20040010561A1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024734B2 (en) Remote control device, a far-end device, a multimedia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N103051693B (zh) 设备控制方法与移动通信终端
CN101581990B (zh) 电子设备和应用于电子设备的可穿戴式指点装置、方法
US10956025B2 (en) Gesture control method, gesture control device and gesture control system
US20080062121A1 (en) Shuttl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kvm switch and method thereof
KR20120089782A (ko) 휴대용 단말의 메시지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CN100479389C (zh) 实现设备访问接口的模块和方法、设备访问系统和方法
JP2005228227A (ja) 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CN106603581A (zh) 支持多种通信协议的测试方法及装置
KR100782064B1 (ko) 통신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간의 메뉴 전송 및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1936592B (zh) 空调系统
EP1234465B1 (en) A portab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utility device
CN103678100A (zh) 终端的应用自动化测试方法及其系统
CN202533929U (zh) 一种基于Android平台智能电视的截屏系统
KR2010012741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기기 검색 방법
CN101316350B (zh) 双屏幕互动数字电视系统与方法
JP5427592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機器
CN106302707A (zh) 一种创建快捷方式的方法及系统
WO2022237325A1 (zh) 一种射频前端、芯片及设备
CN101478561A (zh) 在应用程序之间路由用户输入的方法
KR101454044B1 (ko) 신디케이티드 데이터 피드를 맞춤화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081463A (zh) 计算机、移动通信装置及其遥控方法
CN102736730B (zh) 具分享功能的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